KR200213916Y1 -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 Google Patents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3916Y1 KR200213916Y1 KR2020000022264U KR20000022264U KR200213916Y1 KR 200213916 Y1 KR200213916 Y1 KR 200213916Y1 KR 2020000022264 U KR2020000022264 U KR 2020000022264U KR 20000022264 U KR20000022264 U KR 20000022264U KR 200213916 Y1 KR200213916 Y1 KR 2002139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everage
- storage spaces
- container neck
- neck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 또는 그와 유사한 성질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플라스틱 음료용기이다. 종래에는 하나의 용기에 하나의 용기목 또는 2개로 구획된 용기에 2개의 용기목을 갖게 하여 음료용기로서의 실용적 다양성을 갖지 못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stic beverage container that can contain a liquid of a beverage or similar properties. Conventionally, having one container neck in one container or two container necks in two partitioned containers does not have a practical variety as a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용기(1)내의 바닥으로부터 1개의 용기목(2) 상단까지를 복수로 구획하여 용기내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저장공간을 갖게 하고, 용기목(2)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구 중 1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배출구에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후속적인 임의 선택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다. 사용상의 편의성과 보관성 및 맛, 향, 색깔 등이 다른 음료를 하나의 용기에 담을 수 있는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다.The invention devises a plurality of compartments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 to the top of one container neck 2 so as to have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which the container can hold a beverage, and a plurality of outlets formed in the container neck 2. One of them remains open, while the other outlet can be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to be opened according to subsequent optional selection. Ease of use, storage, and the variety of flavors, flavors, colors and other beverages can be pursued in a single container.
Description
본 고안은 음료 또는 그와 유사한 성질의 액체를 담을 수 있고 용기의 내부가 복수의 저장공간으로 분할된 플라스틱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ic beverage container which can contain a beverage or a liquid of a similar nature and whose interi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종래에 하나의 용기 내에 복수의 저장공간을 갖도록 한 것으로는 향수용기가 있었다. 이것은 하나의 플라스틱병으로 이루어진 본체 내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각각의 공간 위쪽으로 용기목을 형성한 것이다. 그래서 2개의 용기목을 통하여 같은 향수나 다른 향수를 각각 주입하고, 한쪽 또는 양쪽의 용기목을 개방하여 향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Conventionally, perfume containers have been provided to have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one container. This divides the body of one plastic bottle into two spaces and forms a container neck above each space. Therefore, the same fragrance or other perfume is injected through each of the two container necks, and one or both container necks are opened to release the fragran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수저장공간을 갖는 액체용기는 하나의 용기에 복수개의 용기목이 있기 때문에 향수병 또는 그와 유사한 성질을 갖는 액체를 담기 위한 용기로는 특색이 있을지언정 음료용기로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왜냐하면 음료용기는 대부분 탄산가스가 들어가 있어서 오래 보관하고 사용하는 것이 아닐 뿐만 아니라 취음자가 용기목에 입을 대고 마시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2개의 용기목이 있게 되면 매우 불편하여 실용성이 없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하나의 용기 내에 복수의 저장공간이 있을 때 이 각각의 저장공간 내의 음료가 하나의 용기목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면 음료용기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liquid container having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has a plurality of container necks in one container, it may be characterized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perfume bottle or a liquid having similar properties, but it is not suitable for a beverage container. have. Because most of the beverage containers are carbon dioxide gas is not stored and used for a long time as well as drinkers put their mouth on the container neck and drink a lot because the two container neck is very uncomfortable and practical. However, if there i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one container, if the beverage in each storage space can be selectively discharged through one container neck can be said to be suitable as a beverage container.
본 고안은 이와 같이 하나의 용기목을 통하여 하나의 용기 내에 있는 복수의 저장공간 내 음료를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보관성 및 상품의 다양성, 즉 맛, 향, 색깔 등이 다른 음료를 하나의 용기에 담을 수 있게 하는 차별화를 추구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elective discharging of beverages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one container through a single container neck, so that convenience, storage and variety of products, that is, taste, aroma, color, etc. are different. Its purpose is to enable the differentiation of a beverage into one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음료용기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그 용기목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tainer neck.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의 종단면도.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의 평면도.6 is a plan view of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용기 본체, 2,2a,2b:용기목, 3,3a,3b:격판, 4a:폐쇄판, 4b:배출마개, 5:노치, 6:절취링, 8:연결핀, 9:오링, 10:스크래핑1: container body, 2, 2a, 2b: container, 3, 3a, 3b: plate, 4a: closed plate, 4b: discharge stopper, 5: notch, 6: cutting ring, 8: connecting pin, 9: O-ring, 10: scraping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용기내의 바닥으로부터 하나의 용기목 상단까지를 복수로 구획하여 용기내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저장공간을 갖게 하고, 하나의 용기목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구 중 1개는 적어도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배출구에는 개폐수단을 설치하여 후속적인 임의 선택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for storing a beverage in a container by dividing a plurality from the bottom of one container to the top of one container neck, and a plurality formed in one container neck. One of the outlets of the is maintained at least in the open state, the other outlet is configured to be opened to open according to any subsequent selection by opening and closing mean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용기내 복수의 저장공간에는 1종 이상의 음료를 각각 충진하고 마개를 열었을 때 용기목에 형성된 하나의 배출구만 개방되어 있게 되며, 용기목의 나머지 배출구는 폐쇄되어 있어서 취음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개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one or more beverages are respectively fill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the container and the cap is opened, only one outlet formed in the container neck is opened, and the remaining outlets of the container neck are closed. Therefore, the sound absorber can select and open as need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도 1은 용기의 기본적인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용기목을 나타낸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기목을 나타낸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FIG.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basic shape of a container, and FIGS. 2 to 4 show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show a container ne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먼저, 도 1에 따라 설명하면, 일반 플라스틱 팻트병으로 도시된 용기 몸체(1)와 용기목(2)은 내부의 중간이 격판(3)에 의하여 종방향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격판(3)의 양측 단부와 저면 단부가 용기 몸체(1)와 용기목(2)의 내면과 일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예컨대 블로우 성형시에 금형과 금형의 사이에 이미 성형된 격판(3)을 삽입하고 블로우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는 그외의 성형기법에 의하여도 달성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tainer body (1) and the container neck (2) shown as a normal plastic plastic bottle is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diaphragm (3) inside. Both end portions and bottom end portions of the diaphragm 3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surfaces of the container body 1 and the container neck 2. This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inserting and blow molding the already formed diaphragm 3 between the mold and the mold during blow molding, and technically can also be achieved by other molding techniques.
또한, 도 1에서는 용기 내의 저장공간이 2개로 구획된 경우만을 예시하였지만 본 고안에서는 2개 이상, 즉 실용적으로 3∼4개의 저장공간으로 구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격판(3)의 성형으로 얼마든지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용기목(2)의 직경을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In addition, in FIG. 1, only a case in which the storage space in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two is illustrat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that is, practically, three to four storage spaces may be partitioned. This can be realized by forming the diaphragm 3, in which case the diameter of the container neck 2 should be large.
1회용 제품의 대량 소비에 따른 환경친화와 관련하여, 격판(3)의 형성에 따른 용기의 재활용과 환경공해문제는 현재의 재활용기술과 썩는 용기재질의 선택 등 기술적인 면을 고려하면 크게 문제될 것이 없을 것이다.Regarding environmental friendliness due to the large consumption of disposable products, recycling of container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the formation of diaphragms 3 will be a major problem in consideration of technical aspects such as current recycling technology and selection of rotting container materials. There will be nothing.
용기목(2)은 격판(3)을 중심으로 한 쪽은 개방되어 있고, 다른 쪽은 폐쇄되어 있다. 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 도 2 내지 도 4이다. 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목(2a)의 폐쇄되어 있는 부분이 약간 들어간 상태에서 반원형으로 막혀 있으며, 반원형으로 막혀 있는 폐쇄판(4a)의 가장자리에는 저면에 노치(5)가 반원형으로 돌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neck 2 is open on one side of the diaphragm 3 and closed on the other side. 2 to 4 illustrate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losed portion of the container neck (2a) is closed in a semicircle with a slightly entered state, the notch (5) in the bottom at the edge of the closing plate (4a) is closed in a semicircle, Formed.
그리고 폐쇄판(4a)의 상면에는 손가락을 걸어 당길 수 있는 절취링(6)이 일체로 달려 있다. 이들 재질은 격판(3a)과 같은 것이다. 그래서 절취링(6)을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면 노치(5) 부분이 찢어지면서 폐쇄판(4a)이 떨어져 나가 막혀 있던 배출구의 개방이 이루어진다.And the cutting ring 6 which can pull a finger hang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osing plate 4a integrally. These materials are the same as the diaphragm 3a. Thus, when the cutting ring 6 is pulled with a finger, the notch 5 is torn and the closing plate 4a is pulled out to open the outlet.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2b)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용기목(2b)의 상부에 손으로 좌우회전시킬 수 있는 배출마개(4b)가 부착되어 있다. 배출마개(4b)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원래의 병마개(7)에 의하여 액밀을 유지하는 것으로, 격판(3b)의 상단 중앙에 돌출한 연결핀(8)을 배출마개(4b)의 중앙에 끼워 용착시킴에 의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격판(3b)의 용착된 연결핀(8)과 배출마개(4b) 사이에는 오링(9)을 끼워 탄성을 갖게 하여야 액밀을 유지할 수 있다. 액밀이 유지되는 곳은 배출마개(4b) 중앙의 연결핀(8)이 끼워지는 곳과 배출마개(4b)와 용기목(2b) 상단 사이, 그리고 배출마개(4b)와 격판(3b) 상단 사이이다. 이러한 배출마개(4b)는 한 쪽(1/2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어 있다. 또 배출마개(4b)의 외측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크래핑(10)이 형성되어 있다.The container neck 2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shown in Figs. 5 and 6, in which case an outlet stopper 4b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neck 2b. The discharge stopper 4b holds the liquid seal by the original bottle stopper 7 indicated by a virtual line. It can be fixed by applying. At this time, the O-ring 9 is inserted between the welded connecting pin 8 and the discharge plug 4b of the diaphragm 3b to be elastic to maintain the liquid tightness. Where the liquid seal is maintained, the connection pin 8 at the center of the discharge plug 4b is fitted, between the discharge plug 4b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neck 2b, and between the discharge plug 4b and the top of the diaphragm 3b. to be. This discharge plug 4b has one side (1/2 part) open and the other part closed.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lug (4b) is formed with a scraping (10) to prevent slipping when holding by hand.
따라서, 용기 본체(1) 내의 저장공간에는 음료 또는 이와 유사한 성질의 액체를 담게 되는데, 그것은 같은 종류를 동시에 담을 수도 있지만 다른 종류, 예컨대 맛과 향과 색깔이 다른 여러 음료를 저장공간마다 다르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가 1차로 병마개(7)를 열어 개방된 배출구 쪽의 음료를 마시고 나서 미개봉된 나머지 음료를 마시게 된다.Thus, the storage space in the container body 1 contains a beverage or a liquid of a similar nature, which may contain the same kind at the same time but different beverages, for example, different beverages with different tastes, aromas and colors. It is. The consumer then first opens the bottle cap 7 to drink the beverage on the open outlet side and then drinks the remaining unopened beverage.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2a)의 경우에는 배출구가 개방된 음료를 먼저 마시고 나서 폐쇄판(4a)을 뜯어 그 내부의 저장공간에 충진된 음료를 마시면 되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목(2a)의 경우에는 배출마개(4b)를 돌려서 그 어느 한쪽의 배출구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막을 수 있으므로 일 실시예보다는 음료 선택의 폭이 넓다.In the case of the container neck 2a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having an outlet opening is first drinked, and then the closing plate 4a is torn off to drink the beverage filled in the storage space therein, but the container neck 2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the case of), one of the outlets can be freely blocked by turning the discharge stopper 4b according to the taste of the consumer, so the choice of beverage is wider than in the embodiment.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음료의 개봉에 시간차를 둠으로써 미개봉 음료의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고, 또 큰 용기에 포장된 음료를 계속 반복 사용하면서도 비교적 장기간에 걸처 원래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용기에 담길 수 있는 양을 2번에 나누어 개봉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용기의 부피에 비하여 개봉되는 음료의 양을 줄이게 되어 탄산가스의 배출로 인한 음료의 폐기(낭비)를 줄일 수 있다. 실수로 음료를 엎지렀다고 하더라도 용기 한 쪽의 음료만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낭비는 막을 수 있다. 또 색깔, 맛 등이 서로 다른 음료를 1개의 용기에 포장함으로써 상업적인 부가가치를 높인다. 이와 같이 2개의 다른 음료를 1개의 용기에 포장함으로써 각각의 다른 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하는 것보다 물류비용이 절약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quality of the unopened beverage by placing a time difference in the opening of the beverage, and can maintain the original quality over a relatively long time while continuing to use the beverage packaged in a large container. Since the amount that can be contained in one container is opened in two times, as a result, the amount of the beverage to be opened is reduced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container, thereby reducing the waste (waste) of the beverage due to the release of carbon dioxide. Even if you accidentally spill a drink, you can prevent this waste because only the beverage on one side remains the same. In addition, by adding beverages of different colors, tastes, etc. in one container, commercial added value is increased. As such, by packaging two different beverages in one container, logistics costs can be saved compared to selling by packaging each other container.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264U KR200213916Y1 (en) | 2000-08-04 | 2000-08-04 |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264U KR200213916Y1 (en) | 2000-08-04 | 2000-08-04 |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3916Y1 true KR200213916Y1 (en) | 2001-02-15 |
Family
ID=7305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264U KR200213916Y1 (en) | 2000-08-04 | 2000-08-04 |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3916Y1 (en) |
-
2000
- 2000-08-04 KR KR2020000022264U patent/KR200213916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50346B1 (en) |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 |
US5588550A (en) | Compartmented container including closure with access to individual compartments | |
US3467269A (en) | Compartmented glass bottles | |
US7249690B2 (en) | Independent off-bottle dispensing closure | |
US3081926A (en) | Containers and closures therefor | |
KR20110051255A (en) | Container with two opposing lids | |
US20080105639A1 (en) | Fresh product dispensing system | |
US20050061764A1 (en) | Variable volume beverage container | |
JP4586029B2 (en) | Beverage packing unit including spout | |
KR200213916Y1 (en) | Multi-Storage Comparted Drink Bottle | |
JP2003231544A (en) | Dispensing closure, and package incorporating same | |
KR20090114295A (en) | Double container | |
JP2005096824A (en) | Blow-molded thin standing container | |
JP2006321540A (en) | Beverage bottle | |
KR200192656Y1 (en) | The multitude of space furnish drink vessel | |
KR200295520Y1 (en) | Cap | |
KR100429708B1 (en) | Drinking water bottle having double division structure of the body and cup combined use structure of the stopper | |
KR200282170Y1 (en) | Twins drinking-water vessel (bottle) | |
KR200328710Y1 (en) | A cup for preventing a pet bottle from gas leaking | |
KR200167400Y1 (en) | Empty can for kipping soft dranks | |
US10189696B2 (en) | Bottled bag fluid dispenser | |
KR200398052Y1 (en) | A beverage bottle having double storage spaces for beverage | |
WO2006054322A1 (en) | Plastic bottles and containers with cups incorporated | |
KR200188176Y1 (en) | upside down milk & drink bottle | |
JPH11301732A (en) | Refill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0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1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2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07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6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