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3017Y1 - 사각완금 - Google Patents

사각완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017Y1
KR200213017Y1 KR2019980015129U KR19980015129U KR200213017Y1 KR 200213017 Y1 KR200213017 Y1 KR 200213017Y1 KR 2019980015129 U KR2019980015129 U KR 2019980015129U KR 19980015129 U KR19980015129 U KR 19980015129U KR 200213017 Y1 KR200213017 Y1 KR 200213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ner cylinder
cos
square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613U (ko
Inventor
조형기
Original Assignee
조형기
삼흥중전기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기, 삼흥중전기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형기
Priority to KR2019980015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01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01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완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가벼운 프라스틱재질의 완금을 형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COS 설치시 완금 자체가 절연체로서 선락에 따른 순간 정전 등을 방지하므로서, 별도의 결합애자를 삭제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사각완금에 관한 것이다. 즉 전주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COS 등이 설치되는 완금에 있어서, 상기 완금을 프라스틱재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내부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된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관통공(21)내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각 모서리에 체결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는 알류미늄 파이프(32)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공(33)을 갖는 내통(30)과; 상기 외통(20)의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결합턱(41)이 형성되고 그 모서리부에는 내통(30)의 체결공(31)내로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42)이 형성된 캡(40)을 구비하여 완금이 절연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COS 설치시 전류가 오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결합애자를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거리를 위해 길게 형성되던 완금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완금이 가벼운 프라스틱재질로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Description

사각완금(A rectangular frame for the pole supporting an electric line)
본 고안은 사각완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재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가벼운 프라스틱재질의 완금을 형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COS 설치시 완금 자체가 절연체로서 선락에 따른 순간 정전 등을 방지하므로서, 별도의 결합애자를 삭제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사각완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금은 전선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주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어 COS 및 애자 등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철재로 이루어져 있다.
도3은 종래의 완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전선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전주(1)의 상부 일단에 COS(2) 및 애자(3) 등이 설치되는 정사각형의 완금(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완금(4)의 하부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기(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전주(1)에 설치되는 종래의 완금(4)은 그 재질이 철재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완금(4)을 전주(1) 까지 이동하여 설치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완금(4)이 철재로서 COS(2) 설치시 전류가 오버되어 순간 정전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거리를 늘리고, 별도의 결합애자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설치단가가 상승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라스틱재로 사각형상을 이루며 외통과, 상기 외통의 관통공내로 삽입 체결되는 내통 및 상기 외통의 외주면과 내통의 체결공내로 삽입 체결되는 캡을 갖는 사각완금을 형성하여주므로서, 철재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가벼운 프라스틱재질의 완금을 형성하여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또한 COS 설치시 완금 자체가 절연체로서 선락에 따른 순간 정전 등을 방지하여 별도의 결합애자를 삭제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사각완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전주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COS 등이 설치되는 완금에 있어서, 상기 완금을 프라스틱재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내부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관통공내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각 모서리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는 알류미늄 파이프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공을 갖는 내통과; 상기 외통의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결합턱이 형성되고 그 모서리부에는 내통의 체결공내로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이 형성된 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완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완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종래의 완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각완금 20 : 외통
21 : 관통공 30 : 외통
31 : 체결공 32 : 알류미늄 파이프
33 : 관통공 40 : 캡
41 : 결합턱 42 : 체결봉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사각완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프라스틱재로 이루어지며 그 형상은 사각형상을 이루고, 내부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된 외통(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통(20)의 관통공(21)내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각 모서리에 체결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는 알류미늄 파이프(32)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공(33)을 갖는 내통(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통(20)과 내통(30)의 양끝단에 동시에 체결되는 것으로, 외통(20)의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일정높이를 갖는 결합턱(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모서리부에는 내통(30)의 체결공(31)내로 삽입 체결되도록 체결봉(42)을 갖는 캡(40)이 형성되어 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사각완금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정규격에 따라 사출성형된 외통(20)의 관통공(21)내로 중앙부로 알류미늄 파이프(32)가 체결되고 각 모서리부로는 체결공(31)이 형성된 내통(30)을 삽입 체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되는 외통(20)과 내통(30)은 그 길이가 길게 사출되어 작업구간이나 설치되는 계기 등에 따라 일단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때 사각완금(10)의 재질이 프라스틱재로서 그 설치를 위한 절단 및 운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작업에 필요한 만큼의 길이로 외통(20) 및 내통(30)이 절단되었으면 작업자는 상기 외통(20) 및 내통(30)의 양끝단을 캡(40)으로서 마감하게 된다.
즉, 캡(40)의 체결봉(42)은 내통(30)의 체결공(31)에 삽입 고정시키며 캡(40)의 걸림턱(41)을 외통(20)의 외주면에 밀착, 체결시켜주므로서, 내통(30)이 외통(20)으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사각완금(10)의 양끝단을 안정되게 고정,지지하여 상부로 설치되는 계기 등에 의해 완금(10)이 휘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사각완금(10)을 사용하는 경우 프라스틱재의 완금(10) 자체가 절연체 기능을 수행하므로서, COS(2) 설치시 전류가 오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선락를 방지하기 위해 완금(10)에 설치되던 결합애자(3)를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거리를 위해 길게 형성되던 완금(10)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완금(10)이 가벼운 프라스틱재질로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완금자체를 프라스틱재로 형성하므로서, 완금이 절연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COS 설치시 전류가 오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결합애자를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절연거리를 위해 길게 형성되던 완금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이에 따른 설치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완금이 가벼운 프라스틱재질로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할 것이다.

Claims (1)

  1. 전주의 상부 일단에 설치되며 COS 등이 설치되는 완금에 있어서, 상기 완금을 프라스틱재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사각형상을 이루며 내부로는 사각형상의 관통공(21)이 형성된 외통(20)과;
    상기 외통(20)의 관통공(21)내로 삽입 체결되는 것으로 각 모서리에 체결공(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로는 알류미늄 파이프(32)가 삽입 체결되는 관통공(33)을 갖는 내통(30)과;
    상기 외통(20)의 외주면에 체결되도록 외주연에 결합턱(41)이 형성되고 그 모서리부에는 내통(30)의 체결공(31)내로 삽입 체결되는 체결봉(42)이 형성된 캡(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완금.
KR2019980015129U 1998-08-12 1998-08-12 사각완금 Expired - Fee Related KR200213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29U KR200213017Y1 (ko) 1998-08-12 1998-08-12 사각완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129U KR200213017Y1 (ko) 1998-08-12 1998-08-12 사각완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13U KR20000004613U (ko) 2000-03-06
KR200213017Y1 true KR200213017Y1 (ko) 2001-02-15

Family

ID=69520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129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3017Y1 (ko) 1998-08-12 1998-08-12 사각완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0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613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017Y1 (ko) 사각완금
US2808135A (en) Metal pole structure and method
KR200184037Y1 (ko) 배전용 점프선 지지애자
KR200235040Y1 (ko) 다기능 편출용 디형 랙크 구조
CN215717567U (zh) 一种防雨罩底端加固装置
KR970001682Y1 (ko) 분전반의 베이스 취부구조
KR200266933Y1 (ko) 주상변압기용 행거브래킷의 부착 구조
CN219041237U (zh) 一种穿插电缆专用支架
KR200270047Y1 (ko) 전신주용 가공지지대의 절연 장치
KR200194586Y1 (ko) 인입전용 완금
KR200220422Y1 (ko) 전주번호찰
KR20250101068A (ko) 배전선로용 애자 완철
CN211232793U (zh) 一种户外灯具的固定装置
CN217105908U (zh) 具有装饰功能的阴角固定收口结构
KR200187676Y1 (ko) 건설공사용 천막
CN207377261U (zh) 一种道桥施工用安全围挡
CN212696388U (zh) 一种防水性好的电路控制装置
ATE264972T1 (de) Betonmast für freileitungen
JPS58224834A (ja) バンパ−表皮部材の取付構造
CN209891023U (zh) 一种机场道面板的施工设备及其防护布固定器
KR200145113Y1 (ko) 레이져 커팅 치구
KR19980073735A (ko) 활선 작업용 완금
JPS6116356Y2 (ko)
KR20000036982A (ko) 경계석 받침대
JPH03216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81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1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7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