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1811Y1 -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 Google Patents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811Y1
KR200211811Y1 KR2020000023129U KR20000023129U KR200211811Y1 KR 200211811 Y1 KR200211811 Y1 KR 200211811Y1 KR 2020000023129 U KR2020000023129 U KR 2020000023129U KR 20000023129 U KR20000023129 U KR 20000023129U KR 200211811 Y1 KR200211811 Y1 KR 200211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enclosure
opening
animals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현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병현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현, 정진우 filed Critical 정병현
Priority to KR2020000023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811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동물용 사육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생쥐, 랫트, 햄스터와 같이 작은 소동물을 번식, 양육, 계류, 실험용으로 사육할 때나, 토끼, 고양이, 개와 같이 중동물의 번식장에서 새끼를 양육하거나, 계류, 일시보관, 동물병원에 입원 치료할 때, 그리고 작은 애완용 동물을 기를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일측이 개방된 내공간부(1a)를 갖는 함체(1)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내공간부에 설치되어 소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2)과, 상기 사육통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동물로부터 발생된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3)와, 상기 오물받이의 플랜지(3a)와 함체의 바닥사이에 형성되어 함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구(8)와, 상기 환기구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빨아내는 환풍기(9)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본 고안은 소동물용 사육케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생쥐, 랫트, 햄스터와 같이 작은 소동물을 번식, 양육, 계류, 실험용으로 사육할 때나, 토끼, 고양이, 개와 같이 중동물의 번식장에서 새끼를 양육하거나, 계류, 일시보관, 동물병원에 입원 치료할 때, 그리고 작은 애완용 동물을 기를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첨단과학이라 함은 생명과학분야가 으뜸가는 분야로서, 인간이 필요로 하는 식량자원, 환경관리, 의약품개발, 유전공학, 의료기술 개발 등에 관한 연구에 필연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실험용 동물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실험용 동물들은 짧게는 수일에서부터 길게는 수년 또는 수십년동안 사육을 하면서 이들의 생체변화를 실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기간 사육하는 과정에서 실험용 동물을 실험조건에 맞게 사양관리(사료급여, 음수급여, 사료그릇 및 음수그릇의 청소, 배설물 청소, 실험조건 및 실험동물의 종류에 따라 제각기 다른 온도조절, 동물의 행동 관찰 등)하여 최적의 환경조건 하에서 실험이 이루어지기를 과학자들은 간절히 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조건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있는 사육케이지의 결함과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사양조건이 달라야 하는 동물임에도 불구하고 연구조건이 열악한 곳에서는 서로 다른 사양조건을 요구하는 실험용 동물군을 같은 사육실 공간에서 사육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온도관리에서 실험용 동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온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실험을 강행하여 실험의 결과가 왜곡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또한, 실험용 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와 발효가스로 인한 정상적인 사양관리 실패로 실제와 다른 실험결과를 얻거나, 호흡기 질병이 발생하여 실험 전체를 망치는 경우도 발생된다.
특히, 전염성 질병의 발생으로 실험군 전체가 질병이 걸릴 경우 장기간에 걸친 연구를 망치게 하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한편, 번식장에서 많은 실험용 동물과 새끼를 기르는 과정에서도 사육환경이 불량하여 전염병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동물이 한꺼번에 폐사하거나, 감염 발생으로 실험동물로써의 가치를 상실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전염병으로부터 전체가 노출되지만 기존의 사육시설로는 개선할 방법이 없다.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어 동물병원이나 애견센타 및 애견의 번식장, 그리고 백화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동물을 계류하여야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때, 동물병원에서는 질병동물을 관리하는 입원실에서 개체관리를 하기 위한 사육통 및 계류시설, 애견센터와 번식장의 사육통 및 계류시설, 백화점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일시 보관시설의 미비로 관리에 많은 인력이 요구되는 것은 물론 환기 및 오물배설 기능이 없으므로 실내의 공기오염은 물론 질병이 많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설치류와 같은 실험동물은 4면과 바닥이 밀폐된 플라스틱그릇과 같은 4각통형태의 사육통에 깔집을 넣어 오줌과 분변이 깔집에 흡수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신속한 처리가 불가능하여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그래서 사육통을 수용하는 사육실(시설)은 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비교적 좋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개체 또는 군별로 분류되는 사육통의 결함인 개별환기장치나 개별적 오물의 배출장치가 없으므로 오줌과 분변에서 나오는 가스와 악취로 사육실 내의 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이들을 사육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질병의 공기전파와 악취로 인한 발육장애를 일으키기 쉬운 환경이 제공되므로 탈취제까지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연구의 목적 또는 실험동물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환경온도 및 사육조건이 달라야 하지만, 기존의 사육통은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육실 전체의 온도를 동일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꼭 필요할 경우 별도의 사육실을 각각 이용하여야 되므로 냉, 난방에 따른 에너지 비용 및 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실험용 동물이나, 애완동물을 사육통에서 사육하는 동안 오줌 및 분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실외로 자동 배출시켜 실내와 수용동물에 대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함체내에 복수개의 사육통을 내장, 사육통내에 실험동물을 군(Group)별로 구분하여 독립된 환경으로 사육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질병전파와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육통내의 온도 및 습도를 수용중인 동물의 종류 및 계절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3은 함체내에 장착되는 사육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가 적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가 적층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종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사육통
3 : 오물받이 5 : 도어
8 : 환기구 9 : 환풍기
10 : 공기유입구 12 : 고정덮개
13 : 열림덮개 14 : 연결관
16 : 냉, 온풍기 17 : 수조
18 : 냉, 온풍공급관 21 : 공기유입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된 내공간부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내공간부에 설치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과, 상기 사육통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동물로부터 발생된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와, 상기 오물받이의 플랜지와 함체의 바닥사이에 형성되어 함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구와, 상기 환기구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빨아내는 환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함체내에 장착되는 사육통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공간부(1a)를 갖는 함체(1)의 개방부위에 내공간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공간부(1a)에는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사육통(2)의 저면에는 소동물 또는 중동물로부터 발생된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도시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함체(1)의 내벽에 걸림턱(4)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전면이 개방된 사육통(2)의 플랜지(2a)가 걸려 지지되어 있고 상기 사육통의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공(2b)이 형성되어 있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로부터 발생되는 오물이 통공(2b) 또는 유통공(2c)을 통해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사육통의 전면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인 도어(5)의 내면에는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6)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환풍기(9)가 구동함에 따라 실내의 공기는 공기유입구(10) - 통공(2b) 또는 유통공(2c) - 오물받이(3)의 플랜지(3a) 측면 - 환기구(8) - 환풍기(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많은 수의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기 위해 여러개의 함체(1)를 같은 장소에 설치할 경우에는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 2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함체(1)를 종(상, 하)방향과 횡(좌, 우)방향으로 복수개 일체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여건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의 함체(1)를 상, 하방향으로만 적층 배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함체(1)를 결합한 제 2 실시예로 도시한 도 4는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함체(1)의 내벽에 설치된 걸림턱(4)에 도 3과 같은 사육통(2)의 플랜지(2a)가 걸려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함체(1)의 바닥면에는 오물받이(3)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오물받이의 플랜지(3a)와 함체(1)의 바닥면사이에는 환기구(8)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함체(1)에 형성된 환기구(8)는 연결관(14)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소규모인 경우에는 환풍기(9)를 함체(1)의 상부에 설치하여도 되지만, 대규모인 경우에는 실외측에 구비된 별도의 기계실(15)내에 환풍기(9)를 설치한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환기구(8)와 인접된 연결관(14)에 조절레버(19)가 설치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가 적층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도 4와 다른 점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공기를 차단시키기 위하여 도어(5)의 공기유입구(10)를 투명재질로 밀폐시킨 것과,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추가된 점이다.
이에 따라, 함체(1)내의 천정부위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파이프는 냉, 온풍공급관(18)을 통하여 냉, 온풍기(16) 및 수조(17)가 연결되어 환풍기(9)의 작동으로 음압이 발생되면 함체(1)의 하부에 형성된 환기구(8)를 통하여 오염된 함체내의 공기가 빠져 나가게 되므로 함체(1)내에 음압이 형성된다.
상기 음압은 다시 냉, 온풍공급관(18)을 통하여 냉, 온풍기(16)에 전달되므로 냉, 온풍기에서 발생된 열기 또는 냉기를 갖는 공기가 수조(17)를 통하여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함체의 내부에는 항상 신선한 공기만이 유입된다.
만약, 실내의 온도가 적당한 온도를 유지한다면 냉, 온풍기(16)의 구동을 중단시키게 되므로 함체(1)의 내부는 실내의 온도와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함체(1)내에 장착되는 사육통(2)은 사용목적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를 수 있으며, 개나 고양이같은 중동물을 단기간동안 계류하는 동안에는 도 1과 같은 사육통(1)이 적합하고, 설치류와 같은 실험동물을 장기간 사육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사육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체(1)에 설치되는 환풍기(9) 및 냉, 온풍기(16)는 냉, 온풍공급관(18) 및 연결관(14)으로 연결하여 주위의 여건에 따라 적당한 장소에 설치하여도 되지만, 대규모 사육장일 경우에는 실외에 기계실(15)을 별도로 설치하고 냉, 온풍공급관(18) 및 연결관(14)을 시설에 매몰하며 필요한 위치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조인트를 사용하면 이들의 설치가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1)내에 설치되는 사육통(2)의 바닥면 또는 둘레면에는 무수히 많은 유통공(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도시한 사육통(2)과 같이 바닥면의 전체에 걸쳐 유통공(2c)을 형성하거나, 둘레면에만 유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사육통(2)의 바닥면 일부분(약 2/3 정도)에만 유통공(2c)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육통(2)의 전체에 걸쳐 유통공(2c)을 형성하지 않고 일부분에만 유통공을 형성하는 이유는 생쥐와 같이 비교적 몸집이 작은 설치류인 경우, 유통공(2c)을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생쥐의 체감온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생쥐가 스스로 이동하여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생쥐가 더우면 유통공(2c)이 형성된 부위에서 더위를 식히도록 하고, 이와는 반대로 생쥐가 추우면 유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에서 수면과 휴식을 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3 실시예로 도시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상기 함체(1)의 내벽에 걸림턱(4)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에 소동물이 얹혀지는 망형태의 패널(7)을 설치하여 상기 패널이 사육통(2)의 바닥면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함체(1)의 하부에 설치된 오물받이(3)의 플랜지(3a)와 함체의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게 환기구(8)가 형성되어 함체(1)내의 오염된 공기(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고 상기 환기구상에는 공기를 빨아내는 환풍기(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육통(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로부터 발생되는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3)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플랜지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적어지게 형성되어있다.
이는, 환풍기(9)의 구동으로 발생된 함체(1)내에 음압을 좌우 플랜지(3a)측으로 분산시켜 함체내의 환기가 고르게 이루어져 함체(1)내에는 항상 신선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함체(1)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제 1, 2 실시예에서는 상측에 실내의 공기를 함체(1)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10)가 형성된 도어(5)가 함체(1)의 전면에 힌지(11)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개폐수단을 제 3 실시예로 나타낸 도 6 및 도 7과 같이 함체(1)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덮개(12)와, 상기 고정덮개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열림덮개(13)와, 상기 함체(1)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5)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와 같이 구성할 경우 고정덮개(12) 및 열림덮개(13)를 전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거나, 그 중 어느 하나의 덮개를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열림덮개(13)를 개방하지 않고도 함체(1)내의 소동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함체(1)를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 하, 좌, 우로 적층 배열하여 좁은 면적에서도 보다 많은 소동물을 사육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각 함체(1)의 환기구(8)상에 연결관(14)을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외부로 배출시켜도 되지만, 스트레스에 민감한 종류의 생쥐나, 대단위 실험동물 사육장이라면 연결관(14)을 더욱 연장하여 실외에 설치된 기계실(15)에서 각 함체(1)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9) 및 냉, 온풍기(16)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환풍기(9)를 실외의 기계실(15)내에 설치하는 이유는 환풍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해 함체(1)내의 소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제 2 실시예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내의 온도가 낮거나, 높을 경우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를 더욱 이상적으로 개선하고자 할 경우나, 실내의 공기보다 더욱 신선한 공기의 투입이 필요한 경우와, 같은 사육실내에서 각각 다른 온도조건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환기구(8)의 반대편에 냉, 온풍기(16) 및 수조(17)와 연결된 냉, 온풍공급관(18)을 설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사육중인 소동물 또는 중동물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연결관(14)과 냉, 온풍공급관(18)상에는 함체(1)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양 및 냉, 온풍의 유입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조절레버(19)(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는, 사육통(2)이 설치되는 장소, 즉 환풍기(9) 및 냉, 온풍기(16)로부터 발생된 흡입력 및 송풍력이 사육통(2)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달라져 음압의 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각 사육통(2)의 위치에 따라 조절레버(19)(20)를 조작하여 함체(1)내의 음압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함체(1)와 고정덮개(12)사이에 공기유입구(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유입구에는 실내의 공기를 함체(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21)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공기유입구(10)상에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히터(22) 및 수조(23)가 설치되어 있고, 함체(1)의 내부에는 함체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온도감지기(도시는 생략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고 대량의 사육시설에서는 도 2와 같은 형태의 사육케이지를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 하, 좌, 우로 적층하여 소동물을 사육할 수 있게 되는데, 제 1, 2 실시예의 경우에는 함체(1)의 내공간부에 형성된 걸림턱(4)에 사육통(2)의 플랜지(2a)를 안착시키면 상기 플랜지가 걸림턱(4)의 상면에 위치된 패킹(24)에 밀착되므로 이들 사이의 기밀이 유지된다.
그러나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패널(6)이 사육통의 저면역할을 하며, 고정덮개(12) 및 열림덮개(13)가 상면역할을 하게 되는데, 제 3 실시예의 경우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소동물이 질병에 걸려 동물병원에 입원하여 계속적인 관찰이나, 처치(주사, 약물투여 등)가 필요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므로 패널(7)의 상면에 깔집을 깔아주지 않아도 되지만, 제 1, 2 실시예에서 걸림턱(4)에 사각통형태의 사육통(2)을 사용할 경우에는 생쥐 또는 햄스터와 같은 소동물을 사육하게 되므로 바닥면에 깔집을 깔아주어야 된다.
이에 따라, 제 1, 2 실시예의 경우 도어(5)를 개방한 다음 사육통(2)내에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이나, 생쥐나, 햄스터 등의 실험동물을 집어 넣은 후 도어(5)를 닫고, 제 3 실시예의 경우에는 열림덮개(13)를 개방한 상태에서 소동물을 함체(1)의 내부에 질병에 걸린 개나 고양이 등을 집어 넣고 개방하였던 열림덮개(13)를 닫는다.
이와 같이 함체(1)내에 소동물을 집어 넣고 사육하는 동안 소동물로부터 분변 발생되면 발생된 분변은 사육통(2)의 하방에 위치된 오물받이(3)측으로 자유 낙하되어 쌓이게 되는데, 이 때 분변은 대부분 건조된 상태이다.
이렇게 오물받이(3)에 쌓인 분변의 양이 많아지면 관리자가 함체(1)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5)를 개방한 상태에서 분변을 수거 처리하면 된다.
그러나 제 1, 2 실시예의 케이지인 경우 소동물로부터 발생된 오줌이 사육통(2)내에 깔아준 깔집에 반복적으로 흡수되면 오줌으로부터 심한 악취가 발생되는데, 발생되는 악취가 워낙 특이하여 연구실 또는 사육실 전체는 물론 건물 전체를 오염시키지만,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이러한 악취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소동물의 사육시 발생된 악취는 환기구(8)상에 설치된 환풍기(9)의 구동에 따라 실내의 깨끗한 공기가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함체내의 오염된 공기와 함께 환기구(8)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므로 악취가 실내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실내에서는 악취가 전혀 나지 않는다.
이 때, 깔집에 묻은 오줌 및 분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가스도 오염된 공기와 함께 환기구(8)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환풍기(9)를 끄지 않는 한 악취가 실내로 빠져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함체(1)의 내부에는 강제환기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과 동일한 양의 신선한 공기가 함체(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사육통의 내부에는 항상 일정한속도로 유동하는 신선한 공기만이 존재하므로 사육통의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함체(1)내부의 음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연결관(14)상에 설치된 조절레버(19)를 조작하거나, 환풍기(9)에 설치된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므로써 동물에게 가장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환기 속도(0.2-0.4m/sec)로 환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냉, 온풍기(16) 및 수조(17)가 함체(1)내에 냉, 온풍공급관(18)으로 연결되거나, 제 3 실시예와 같이 공기유입구(10)상에 히터(22) 및 수조(17)가 설치된 경우에는 사육중인 소동물의 건강 또는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량에 따라 함체(1)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절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되므로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보다 쾌적한 상태에서 사육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사육통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동물이 배설하는 오줌과 분변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암모니아 가스 그리고 배설물을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사육통내의 소동물이 항상 쾌적한 환경에서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므로 소동물을 건강한 상태로 보전할 수 있게 된다.
둘째, 각각의 함체의 내부를 독립적으로 환기는 물론 오줌과 분변의 배출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장소의 사육시설에서 집단사육으로 인한 개체간의 질병전파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셋째, 함체를 상하로 적층할 경우에는 여러 가지의 소동물을 동시에 수용하면서도 목적에 따라 사육통마다 다른 조건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관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넷째, 사육통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기 때문에 오줌과 분변은 신속히 건조되므로 인력이 가장 많이 투입되는 악취 발생억제를 위한 인건비 및 탈취제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일측이 개방된 내공간부를 갖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개방부위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상기 내공간부에 설치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과, 상기 사육통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동물로부터 발생된 오물을 받아내는 오물받이와, 상기 오물받이의 플랜지와 함체의 바닥사이에 형성되어 함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구와, 상기 환기구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빨아내는 환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플랜지가 걸려 지지되며, 바닥면 또는 둘레면에 무수히 많은 유통공이 형성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을 수용하는 사육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플랜지가 걸려 지지되고 바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통공이 형성되어 소동물 또는 중동물이 수용되며 전면이 개방된 사육통과, 상기 사육통의 전면을 폐쇄하는 개폐수단의 내면에 고정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내벽에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걸려 지지되어 소동물이 얹혀지는 망형태의 패널로 이루어진 사육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함체의 전면에 힌지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함체의 상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덮개와, 상기 고정덮개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열림덮개와, 상기 함체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와 고정덮개사이에 형성된 공기유입구와, 상기 공기유입구와 통하여지게 연결된 공기유입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상에 히터 및 수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가 상하로 적층 배열되어 상기 각 함체의 환기구상에 연결관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상에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설치되며 실외의 기계실내에는 각 함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의 반대편에는 냉,온풍기 및 수조와 연결된 냉,온풍공급관이 더 구비되고, 상기 냉,온풍공급관에는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레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KR2020000023129U 2000-08-14 2000-08-14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KR200211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129U KR200211811Y1 (ko) 2000-08-14 2000-08-14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129U KR200211811Y1 (ko) 2000-08-14 2000-08-14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532A Division KR20020012085A (ko) 2000-08-05 2000-08-05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811Y1 true KR200211811Y1 (ko) 2001-01-15

Family

ID=73053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129U KR200211811Y1 (ko) 2000-08-14 2000-08-14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8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36B1 (ko) * 2010-10-18 2013-02-05 윤창훈 애완동물용 집
CN113854170A (zh) * 2021-11-03 2021-12-31 吉林大学 一种养殖箱特殊气体环境维持法及养殖箱
KR20230080229A (ko) 2021-11-29 2023-06-07 육지은 칸막이를 적용한 햄스터 케이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536B1 (ko) * 2010-10-18 2013-02-05 윤창훈 애완동물용 집
CN113854170A (zh) * 2021-11-03 2021-12-31 吉林大学 一种养殖箱特殊气体环境维持法及养殖箱
KR20230080229A (ko) 2021-11-29 2023-06-07 육지은 칸막이를 적용한 햄스터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4838A1 (en) Hybrid heat recovery system with energy recovery and use thereof
KR200441134Y1 (ko)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CN205040391U (zh) 一种奶牛饲养舍
RU2524240C2 (ru)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онных каналов для замены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части воздуха в секции стойл или в системе стойл с секциями стойл и способ вентиляции секций стойл или системы стойл
KR20140033190A (ko) 가금류축사환기시스템
KR20020012085A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CN110679508A (zh) 一种智能化育雏鸭笼
KR0156293B1 (ko) 양돈사의 환기와 분뇨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0443163Y1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KR20060086648A (ko) 포유모돈과 자돈이 분리기거 가능한 친환경 돈사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211811Y1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
KR200325510Y1 (ko) 이유 자돈사
CN212678020U (zh) 全封闭隔离式通用栏舍
JP2008079599A (ja) 畜舎
US12144313B2 (en)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KR200208352Y1 (ko) 소동물용 사육케이지내의 악취 배출장치
KR200201907Y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EP4115729A1 (en) A method for mitigating airborne pathogens from a livestock house
KR20040019412A (ko)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KR20100092339A (ko) 환기시스템
JP2010029118A (ja) 畜舎及び家畜の飼育方法
KR200441135Y1 (ko) 컨테이너형 축사의 배기 및 환기장치
RU2070791C1 (ru) Клетк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птицы
KR20200109078A (ko) 이유자돈 포유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4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