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49Y1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Google Patents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11449Y1 KR200211449Y1 KR2020000022430U KR20000022430U KR200211449Y1 KR 200211449 Y1 KR200211449 Y1 KR 200211449Y1 KR 2020000022430 U KR2020000022430 U KR 2020000022430U KR 20000022430 U KR20000022430 U KR 20000022430U KR 200211449 Y1 KR200211449 Y1 KR 2002114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urifying
- container
- present
- p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얻어지는 폐품을 이용하여 고안된 것으로 우리가 흔히 마시는 플라스틱 음료수병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폐품을 이용함으로써 환경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마시기가 꺼려지는 계곡이나 산천등의 자연수를 본원 고안의 간이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정수함으로써 야외에서나 집안에서 간편하면서도 안심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것으로 폐품을 재활용함으로써 우리 실생활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얻어지는 폐품을 이용하여 고안된 것으로 우리가 흔히 마시는 플라스틱 음료수병을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생활주변에서 얻어지는 플라스틱병을 절단하여 얻어지는 상부와 별도로 제작되는 활성탄을 주 재료로 하는 정화제를 이용하여 다단으로 결합된 최상단의 주입통에 물을 부어 주면 주입통 및 정화통에 형성된 각각의 토출구측에 안착된 정화제를 통과하여 물이 1차, 2차, 3차로 정화되어 집수통에 저장이 되는 것이다.
종래에도 간이 정수기는 있었으나 페트병을 이용하여 다단식으로 형성되거나 하여 물을 여러차례 여과하여 정수를 하는 것은 없었다. 따라서 간편하고 깨끗하며 신선하게 정화된 물을 얻기가 어려웠다. 특히 야외나 가정의 수돗물일 경우에도, 수질에 따라 간편하게 2중, 3중으로 재정수 해야 될 경우가 있어도 간편하게 2중 3중으로 재정수 할 수 있는 기구가 없어서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했던 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생활 주변에서 쉽게 얻어지는 플라스틱병을 이용하여 본고안의 목적을 해결하고자 함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을 결합하여 보인 사용상태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입통 11 주입통토출구
20 상부정화통 21 하부정화통
22 정화통토출구
30, 31 집수통
40 받침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고, 도2는 본 고안을 결합하여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도1내지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통토출구(11)를 구비한 주입통(10)과 정화통토출구(22)를 구비한 상,하부정화통(20)(21)과 저부에 받침대(40)를 구비한 집수통(30)을 다단으로 포개어 결합하되, 주입통(10) 및 상,하부정화통(20)(21)의 내측으로는 정화제(50)를 안착하여 구성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수도관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결합된 최상부에 위치하는 주입통(10)과 중간부에 결합되는 상,하부정화통(20)(21)과 하부로는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받침대(40)를 부착한 집수통(30)을 다단으로 쌓아 올려 결합한 것으로 주입통(10) 및 상,하부정화통(20)(21)의 토출구(11)(22)의 내측으로는 활성탄을 주원료로 하는 정화제(50)를 각각 안착하여 구성이 되는 것으로,
사용시에는 최상부에 형성된 주입통(10)의 내부로 정화하고자 하는 물을 부어 줌으로써 주입통(10)의 내부에 안착된 정회제(50)를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는 것이다.
상기의 주입통(10)에서 정화제(50)를 통과하여 주입통토출구(11)를 빠져 나온 물은 재차 상부 정화통(20)에 안착된 정화제(50)통과하여 정화통토출구(22)를 빠져 나와 하부 정화통(21)으로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인 물은 마지막으로 하부정화통(21) 내측에 안착된 정화제(50)를 통과하여 정화통토출구(22)를 빠져 나와 마지막으로 집수통(30)에 모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3차례의 정화제(50)를 통과함으로써 오염된물이나 더러운 물을 깨끗하고 먹기 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관(100)의 수돗물이 미미하게 흐르도록 하여 수도관으로부터 이어지는 호스의 끝단부를 본원 고안의 주입통(10)에 주입하여 주고 이때 정화통(20)(21) 아래에 놓여지는 집수통(31)은 충분한 양을 담을 수 있는 큰 것으로 바꾸어서 놓아줌으로써 가정에서 수돗물을 깨끗하게 정화하여 마실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의 주입통(10) 및 정화통(20)(21)과 집수통(30)은 오래 사용하여 내부가 더러워져도 세척하기가 매우 간편하고 또한, 우리생활 주변에 널리 있는 것으로 어디서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으로 제작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생활 주변에 버려지는 폐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진 것으로 환경공해를 줄일 수 있으며 마시기가 꺼려지는 계곡이나 산천등의 자연수나 또는 가정의 수돗물을 본원 고안의 간이 정수기를 이용하여 물을 정수하여 마심으로써 야외에서나 집안에서 간편하면서도 안심하게 물을 마실 수 있는 것으로 폐품을 재활용함으로써 우리 실생활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Claims (2)
- 주입통토출구(11)를 구비한 주입통(10)과 정화통토출구(22)를 구비한 상,하부정화통(20)(21)과 저부에 받침대(40)를 구비한 집수통(30)을 다단으로 포개어 결합하되, 주입통(10) 및 상,하부정화통(20)(21)의 내측으로는 정화제(50)를 안착하여 구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정화통토출구(22)를 갖는 정화통(20)내에 정화제(50)을 넣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430U KR200211449Y1 (ko) | 2000-08-07 | 2000-08-07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22430U KR200211449Y1 (ko) | 2000-08-07 | 2000-08-07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11449Y1 true KR200211449Y1 (ko) | 2001-01-15 |
Family
ID=7307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43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1449Y1 (ko) | 2000-08-07 | 2000-08-07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11449Y1 (ko) |
-
2000
- 2000-08-07 KR KR2020000022430U patent/KR200211449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16502A (en) | Elongate housing with end cap members | |
CN200945387Y (zh) | 家用水过滤器 | |
CN201981096U (zh) | 一种雨水回用处理装置 | |
KR200211449Y1 (ko)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
KR20020012372A (ko)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
JPH10211954A (ja) | 水処理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のカートリッジと飲料ボトルとの組合せ構造ならびにこの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水処理方法 | |
KR20090095747A (ko) | 휴대용 정수 필터 | |
KR20130072355A (ko) | 페트병을 이용한 다단식 간이 정수기 | |
CN2228902Y (zh) | 超滤纯水家用饮水器 | |
CN211896552U (zh) | 一种茶壶式鱼池生化沉淀分离式过滤器 | |
RU2252062C2 (ru) | Контейнер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 |
CN208997398U (zh) | 分体式龙头分流器 | |
CN2135022Y (zh) | 家用过滤水箱 | |
JPH08252486A (ja) | ペットボトル用浄水フィルター付きノズル | |
CN208130606U (zh) | 一种纺织面料生产用四方池污水处理装置 | |
KR200257574Y1 (ko) | 필터가 장착된 수도꼭지 보조헤드 | |
CN2342865Y (zh) | 饮水机用净水过滤器 | |
CN2354630Y (zh) | 饮水机净化滤水桶 | |
KR960000758Y1 (ko) | 정수기 | |
CN2561776Y (zh) | 一种净水器的内置式结构 | |
CN1153605C (zh) | 饮水机净化滤水桶 | |
KR950008056Y1 (ko) | 정수용 물통 | |
KR950009448Y1 (ko) | 청정수를 이용하는 냉, 온수기 | |
KR200333296Y1 (ko) | 정수기 | |
CN206901973U (zh) | 一种直饮机废水再利用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0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11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0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