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1137Y1 - 목욕용 위생의자 - Google Patents

목욕용 위생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137Y1
KR200211137Y1 KR2020000022540U KR20000022540U KR200211137Y1 KR 200211137 Y1 KR200211137 Y1 KR 200211137Y1 KR 2020000022540 U KR2020000022540 U KR 2020000022540U KR 20000022540 U KR20000022540 U KR 20000022540U KR 200211137 Y1 KR200211137 Y1 KR 200211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groove
open groove
center
b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박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수 filed Critical 박영수
Priority to KR2020000022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137Y1/ko
Priority to CN01200578U priority patent/CN2467036Y/zh
Priority to JP2001047110A priority patent/JP2002051929A/ja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pecial Chair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중목용탕이나 가정의 욕실에서 사용되는 목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전후면 및 상단중앙을 연통하는 개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앉을 경우 신체의 음부가 상판에 접촉되지 않고 개방홈상에 위치되어져 개방홈을 통해 신체의 음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균감염의 염려를 줄이며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단이 개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전면 중앙으로 부터 상단 중앙을 거쳐 후면 중앙으로 연결되는 개방홈(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은 신체의 안착감을 도모하기 위해 완만하게 패인 홈이 형성된 타원형을 이루고, 안정감과 보관 또는 이동시 적층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의자에 앉을 경우 신체의 음부가 상판에 접촉되지 않고 개방홈상에 위치되어져 개방홈을 통해 신체의 음부인 항문이나 성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세균감염의 염려를 줄이며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목욕용 위생의자{Chair for bath}
본 고안은 공중목용탕이나 가정의 욕실에서 사용되는 목욕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전후면 및 상면을 연결하는 개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앉을 경우 신체의 음부가 상판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개방홈상에 위치되어져 상기 개방홈을 통해 신체의 음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균감염의 염려를 줄이며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할 수 있는 목욕용 위생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시에 사용하는 의자는 사출성형된 낮은 의자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의자에 앉게 되면 상단의 좌판에 신체의 하부인 엉덩이부가 밀착되는 까닭에 항문이나 성기 등의 음부를 세척하려면 의자에서 일어나거나 몸을 기울리거나 하는 등으로 매우 불편하게 되고, 세척수를 불필요하게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단 좌판에 음부가 밀착되는 것에 의해 세균감염을 염려하게 되고 음부에 압박감을 주어 착석감을 저하시키며 불결한 부위의 세척을 등한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상단 좌판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상단 전면부에 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은 못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전후면 및 상단중앙을 연통하는 개방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앉을 경우 신체의 음부가 상판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개방홈상에 위치되어져 상기 개방홈을 통해 신체의 음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균감염의 염려를 줄이며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할 수 있는 목욕용 위생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A-A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B-B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위생의자 11: 개방홈
11a: (전면)개방홈 11b: (상면)개방홈
11c: (후면)개방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욕용 위생의자는 하단이 개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전면 중앙으로 부터 상단 중앙을 거쳐 후면 중앙으로 연결되는 개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A-A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선B-B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욕용 위생의자(10)는 하단이 개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전면 중앙으로 부터 상단 중앙을 거쳐 후면 중앙으로 연결되는 개방홈(11)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즉, 전면 중앙에 보다 낮게 형성되는 개방홈(11a)과, 후면 중앙에 보다 높게 형성되는 개방홈(11c)과, 상면 중앙에 상기 전후면 개방홈(11a)(11c)을 연결하는 경사진 개방홈(11b)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면 개방홈(11b)은 전후면 개방홈(11a)(11c) 보다 확개되도록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단은 신체의 안착감을 도모하기 위해 완만하게 패인 홈이 형성된 타원형을 이루고, 안정감과 보관 또는 이동시 적층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
상기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위생의자(10)의 전면 개방홈(11a)을 정면으로 하여 앉게 되면 신체의 엉덩이부가 상단 좌판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나 항문이나 성기 등의 음부는 상단 중앙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방홈(11b)에 위치되어져 의자 몸체로 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음부가 개방홈(11)에 의해 떨어져 그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음부를 세척할 경우에는 전후면에 형성된 개방홈(11a)(11c)을 통해 손이나 샤워기를 상단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개방홈(11b)으로 넣을 수 있어 앉은 상태에서 신체의 항문이나 성기를 용이하게 세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방홈(11)으로 물을 끼얹어 필요한 부위만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어 그만큼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타원형이고 움푹 패인 상단 좌판의 형상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신체가 편중되지 않아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석감을 주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욕용 위생의자는 하단이 개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전면 중앙으로 부터 상단 중앙을 거쳐 후면 중앙으로 연결되는 개방홈이 형성된 인체공학적인 설계구조에 의해, 의자에 앉을 경우 신체의 음부가 상판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개방홈상에 위치되어져 상기 개방홈을 통해 신체의 음부인 항문이나 성기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세균감염의 염려를 줄이며 편안한 착석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에게 있어서는 뒷물처리 및 비대기능이 부여되는 등 편리하고 위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하단이 개구되도록 사출성형되는 목욕의자에 있어서,
    전면 중앙으로 부터 상단 중앙을 거쳐 후면 중앙으로 연결되는 개방홈(1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위생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홈(11)은 보다 낮게 형성되는 전면 개방홈(11a)과, 보다 높게 형성되는 후면 개방홈(11c)과, 상기 전후면 개방홈(11a)(11c)을 연결하는 경사진 상면 개방홈(11b)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면 개방홈(11b)은 전후면 개방홈(11a)(11c) 보다 확개되도록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위생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좌판은 신체의 안착감을 도모하기 위해 완만하게 패인 홈이 형성된 타원형을 이루고, 안정감과 보관 또는 이동시 적층이 가능하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욕용 위생의자.
KR2020000022540U 2000-08-08 2000-08-08 목욕용 위생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211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40U KR200211137Y1 (ko) 2000-08-08 2000-08-08 목욕용 위생의자
CN01200578U CN2467036Y (zh) 2000-08-08 2001-02-09 洗澡用卫生椅子
JP2001047110A JP2002051929A (ja) 2000-08-08 2001-02-22 衛生椅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540U KR200211137Y1 (ko) 2000-08-08 2000-08-08 목욕용 위생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137Y1 true KR200211137Y1 (ko) 2001-01-15

Family

ID=1966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54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1137Y1 (ko) 2000-08-08 2000-08-08 목욕용 위생의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51929A (ko)
KR (1) KR200211137Y1 (ko)
CN (1) CN2467036Y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2B1 (ko) 2018-09-10 2019-09-27 윤용철 욕실 의자
KR20210001998U (ko) 2020-02-26 2021-09-06 석운식 목욕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5230A (zh) * 2016-07-01 2016-12-07 卓达新材料科技集团威海股份有限公司 斜面靠椅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572B1 (ko) 2018-09-10 2019-09-27 윤용철 욕실 의자
KR20210001998U (ko) 2020-02-26 2021-09-06 석운식 목욕 의자
KR200494556Y1 (ko) * 2020-02-26 2021-11-04 석운식 목욕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51929A (ja) 2002-02-19
CN2467036Y (zh) 200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1137Y1 (ko) 목욕용 위생의자
CN210185442U (zh) 浴凳
JPH0753585Y2 (ja) 風呂用椅子
KR200175195Y1 (ko) 변기시트 구조
CN210872939U (zh) 一种清洗盆
KR200286619Y1 (ko) 유아용 욕조 세트
CN212755427U (zh) 一种婴儿洗澡沐浴盆
KR200296669Y1 (ko) 개량 목욕용 의자
JP3042878U (ja) 風呂用セット
JPS586395Y2 (ja) 浴場用腰掛け
KR200322619Y1 (ko) 물튐방지용 변기뚜껑
CN2652299Y (zh) 一种浴缸
CN2270454Y (zh) 节水、卫生浴缸
JP3087962B2 (ja) 車椅子利用者用洗面カウンター
KR100397378B1 (ko) 물이 샘솟는 세면기
JPH0131226Y2 (ko)
JPS6028310Y2 (ja) 浴槽
KR200178069Y1 (ko) 돌출턱이 구비된 좌변기 덮개
KR200251865Y1 (ko) 환자용 변기
KR200196454Y1 (ko) 욕실용 보조세면대
JP2002209782A (ja) 浴室用椅子
JP3072050B2 (ja) 洗面台
JPH09140619A (ja) 手動式のおしり洗い器
KR0113084Y1 (ko) 좌욕기
KR100900927B1 (ko) 의자겸용 변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