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0187Y1 - 래칫감속기 - Google Patents

래칫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187Y1
KR200210187Y1 KR2020000014458U KR20000014458U KR200210187Y1 KR 200210187 Y1 KR200210187 Y1 KR 200210187Y1 KR 2020000014458 U KR2020000014458 U KR 2020000014458U KR 20000014458 U KR20000014458 U KR 20000014458U KR 200210187 Y1 KR200210187 Y1 KR 200210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rotation
output shaft
ratchet wheel
input shaf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희
Original Assignee
황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희 filed Critical 황재희
Priority to KR2020000014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입력축(入力軸) 1회전에 출력축(出力軸)은 수십분의 1회전하는 라체트(Ratchet) 감속기이다.

Description

래칫감속기 {Ratchet decelerator}
본 고안은 래칫감속기에 관한 것으로 입력축의 캠이 축설된 회동편에 축설되어 회동하는 래칫을 출력축에 축착된 래칫휘일에 치합시켜 래칫휘일의 간헐회전으로 출력축의 완속회전 기능을 갖게하며 래칫휘일의 공회전으로 출력축의 급속회전 기능을 갖게하고 래칫과 래칫휘일의 치합으로 출력축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감속기는 평치차 치합형이므로 정격감속 기능은 있으나 완속회전과 급속회전의 변속기능은 기대할 수 없고 또 역회전 방지기능이 없기 때문에 역전방지를 위하여는 별도의 역회전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복잡성이 있으므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감속기의 기능을 개선하여 출력축의 완속회전과 급속회전 그리고 역회전 방지기능을 함께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감속기의 입력축에 형성된 캠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하는 래칫을 출력축에 축착된 래칫휘일에 치합시켜 래칫의 회동으로 래칫휘일이 시계방향의 한쪽방향으로 간헐회전하면서 출력축을 완속회전시키며, 출력축이 시계방향의 한쪽방향으로 급속회전하면 래칫휘일의 공회전으로 출력축의 급속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래칫과 래칫휘일의 치합은 출력축의 역회전을 방지하여 출력의 완속과 급속 및 역회전 방지기능을 함께 가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2는 입력축의 캠이 수직선상에 위치할때 래칫회동편에 축설된 래칫이 래칫휘일톱니에 물리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입력축의 캠이 90도 회전선상에 위치할때 래칫이 래칫휘일톱니에 물리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입력축의 캠이 180도 회전선상에 위치할때 래칫이 래칫휘일톱니에 물리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입력축의 캠이 270도 회전선상에 위치할때 래칫이 래칫휘일톱니에 물리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래칫회동편을 입력축과 출력축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축 2 : 내측캠 3 : 회측캠 4 : 출력축 5 : 내측회동편 6 : 외측회동편 7,8 : 래칫 9 : 래칫휘일
입력축(1)의 선단에는 수직선상으로 편심을 이루는 내측캠(2)과 외측캠(3)이 형성되었으며 내측캠(2)과 외측캠(3)은 출력축(4)에 상부 축공(5b)이 축설된 내측회동편(5)과 외측회동편(6)에 미끄럼 접속된 회동자(5a)(6a)에 축설되었고 내,외측회동편(5)(6)의 시계방향쪽 하단에는 래칫(7)(8)이 축설되어 이 래칫(7)(8)이 출력축(4)에 축착된 래칫휘일(9)의 치(9a)에 치합되도록 스프링(7a)(8a)에 의하여 탄설지지 되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감속기 케이스이고, 12는 케이스 덮개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입력축(1)의 내,외측캠(2)(3)의 회전으로 내,외측회동자(5a)(6a)가 수직선상으로 미끄럼작동 하면서 내,외측회동편(5)(6)을 회동시키는바 내,외측회동편(5)(6)의 회동은 래칫(7)(8)을 회동시켜 래칫휘일(9)을 시계방향으로 간헐회전시키므로 출력축(4)에는 입력축(1)의 감속력이 전달되는 완속회전의 기능을 갖게된다.
또 출력축(4)의 회전속도가 입력축(1)이 돌려주는 회전속도 보다 크면 래칫휘일(9)의 급속회전은 래칫(7)(8)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공회전하여 출력축의 급속회전 기능을 갖게하고, 또 입력축(1)에 회전력이 없으면 래칫휘일의 치(9a)에 래칫(7)(8)이 치합된 상태로 래칫휘일(9)의 역회전이 방비되므로 출력축(4)의 역회전 방지기능을 갖게 한다.
본 고안의 감속기는 완속회전과 급속회전이 자유로우므로 파일해머와 같이 완속운동과 급속운동이 요구되는 기계적 장치에 이용가능하며, 또 어선의 어망 인양 로울러장치에 적용시켜서는 어망 인양로울러를 입력축(1)의 입력과 별도의 외부력(예컨데 어망 인양로울러에 로우프를 감아 당겨서 회전력을 얻는힘)으로 급속회전 시킬수 있으므로 어망 인양작업의 조건에 따라 출력축의 완속회전과 급속회전을 자유로히 조절하면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또 컨베이어 장치에 적용시켜서는 역회전 방지장치(브레이크)없이도 컨베이어의 역회전을 방지 할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완속회전과 급속회전의 변속기능을 가지고 또 역회전방지 기능도 가지므로 그 용도의 폭이 넓고 사용가치가 크다.

Claims (1)

  1. 입력축(1)의 내,외측캠(2)(3)을 내,외측회동편(5)(6)에 미끄럼접속된회동자(5a)(6a)에 축결합하며 내,외측회동편(5)(6)의 시계방향쪽 하단에 래칫(7)(8)을 축설하고 출력축(4)에 축착된 래칫휘일(9)의 치(9a)에 래칫(7)(8)이 치합되게 스프링(7a)(8a)으로 탄설지지시켜서 된 래칫감속기.
KR2020000014458U 2000-05-22 2000-05-22 래칫감속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10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458U KR200210187Y1 (ko) 2000-05-22 2000-05-22 래칫감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458U KR200210187Y1 (ko) 2000-05-22 2000-05-22 래칫감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187Y1 true KR200210187Y1 (ko) 2001-01-15

Family

ID=7308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45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10187Y1 (ko) 2000-05-22 2000-05-22 래칫감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90994T1 (de) Hebewerk
KR910000520B1 (ko) 자전거의 동력구동장치
CA1097324A (en) Direct drive deck winch
KR200210187Y1 (ko) 래칫감속기
JPS5830552A (ja) 遊星歯車装置
US4287969A (en) Motion snubbing device
KR20090100820A (ko) 역입력 간섭방지 기능을 갖는 모터용 변속기
KR200227479Y1 (ko) 래칫감속기
CN1808856B (zh) 电动轮毂
CN205780442U (zh) 一种对称式单向传动装置
RU2237008C1 (ru) Лебедка
GB2069076A (en) Torque transmitting mechanisms
JPS587804B2 (ja) タ−ビンロ−タのタ−ニング装置
KR200159341Y1 (ko) 낚시대 릴의 원 웨이스토퍼장치
US1700049A (en) Rotary-shaft lock
KR200213788Y1 (ko) 역추력 회전방지용 감속장치
KR100241436B1 (ko)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의 캠 구동 장치
KR200210122Y1 (ko) 동일 중심상에서 입출력이 이루어지는 감속장치
RU1801522C (ru) Н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енажера
JP2005239339A (ja) 手巻きウインチ
JP2545473B2 (ja) 土木建築機械用減速機
KR900004654B1 (ko) 차동식 자동 감속장치
SU1240984A1 (ru) Импульсный вариатор
JP2001208161A5 (ko)
RU2156390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и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31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