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10106Y1 -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106Y1
KR200210106Y1 KR2019970034797U KR19970034797U KR200210106Y1 KR 200210106 Y1 KR200210106 Y1 KR 200210106Y1 KR 2019970034797 U KR2019970034797 U KR 2019970034797U KR 19970034797 U KR19970034797 U KR 19970034797U KR 200210106 Y1 KR200210106 Y1 KR 2002101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soundproof
noise
vibration
inner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300U (ko
Inventor
황언식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34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10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1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10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중앙과 양옆에 설치되어 루프 및 도어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측판넬(22)과, 외측판넬(24)이 폐단면(20a)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20a)에는 외부로부터의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도록 복수개의 방음부재(21)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21)는 폐단면(20a)을 밀폐할 수 있는 형상을 한 것으로 내부에 삽입공간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발포재(21b)가 삽입됨과 아울러 외면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후크(21c)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넬(22)에는 상기 방음부재(21)의 후크(21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2a)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필러의 폐단면을 밀폐하여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에 삽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열 가소성 발포재가 삽입 함으로써, 소량의 발포재로서도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열 가소성 발포재 이므로 각 구성물을 재활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방음부재를 탈, 장착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중앙과 양옆에 설치되어 루프 및 도어를 지지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차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필러(10) 센터필러(20) 및 리어필러(30)의 사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도어(D)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필러들의 상단부에 루프(40)의 외측부를 형성하는 루프레일(42)이 연결되며, 상기 필러들 하단부에 차량의 저면부를 형성하는 플로어판넬(50)과 사이드실(6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은 프론트 필러, 센터 필러, 리어 필러등 필러류에 관련된 것으로 센터 필러를 일례로 한 도 2를 참고로하여 종래의 필러류(이하, "필러"라 약칭함.)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필러(20)는 절곡된 내측판넬(22)과 외측판넬(24)이 폐단면(20a)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폐단면(20a)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판넬(22)의 외측면에는 트림(26)이 결합되며, 필러(20)의 외측으로는 도어(D)가 위치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의 필러는, 필러(20)의 소정의 위치에 복수개의 방음부재(21)를 설치한다. 즉, 자동차는 주행시에 주행으로 인한 진동 및 소음이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바 특히, 프론프 필러(10), 센터 필러(20), 리어 필러(30)에 형성된 폐단면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며, 아이들(Idle)상태에서 엔진룸에서의 소음이 팬더와 사이드실(60)을 거쳐 필러에 유입되어 실내에 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기 위하여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러의 폐단면(20a)에 복수개의 방음부재(21)를 폐단면(20a)에 횡방향으로 설치한다. 한편, 방음부재(21)는 발포성 방음패드로서, 발포되기전 상태인 발포성 테잎의 상태로 폐단면(20a)에 부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도장 공정이 수행되는 바, 도장 공정시 건조열에 의한 열에 의해 발포성 테잎은 발포되어 발포 방음패드로 됨과 동시에 필러(20)의 폐단면(20a)의 측벽에 견고히 부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는 상기 방음부재(21)가 건조열에 의해 발포되는 바, 발포시에 그 일부가 발포되지 않고 흘러내리므로 상기 폐단면(20a)을 완전히 밀폐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타 부품의 고정작업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포성 테잎은 고가이며 많은 양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상승됨은 물론, 열경화성 재질이므로 재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필러의 폐단면을 밀폐하여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를 열 가소성 발포재로 구성함으로써, 재활용 할 수 있음은 물론, 소량의 발포재로서도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실내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대응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센터필러 20a: 폐단면
21: 방음부재 21a: 삽입공간부
21b: 열 가소성 발포재 21c: 후크
22: 내측판넬 22a: 고정공
24: 외측판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측판넬과, 외측판넬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부재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는 폐단면을 밀폐할 수 있는 형상을 한 것으로 내부에 삽입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발포재가 삽입됨과 아울러 외면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넬에는 상기 방음부재의 후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그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주요부의 단면도이다(본 고안에서는 프론트 필러, 센터 필러, 리어 필러중 센터 필러를 일례로하여 설명한다.). 이에 따르면, 필러(20)는 절곡된 내측판넬(22)과 외측판넬(24)이 폐단면(20a)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폐단면(20a)을 형성하고 있는 내측판넬(22)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고정공(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에는 트림(26)이 결합된다. 또한, 필러(20)의 외측으로는 도어(D)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자동차의 필러에는, 필러(20)의 소정의 위치에 외부로부터의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방음부재(21)를 설치한다.
방음부재(21)는 내측판넬(22)과 외측판넬(24)에 의해 형성된 폐단면(20a)을 밀폐할 수 있도록 대략 육각형의 평판 형상을 한 것으로 필러(20)의 폐단면(20a)에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삽입공간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발포재(21b)가 삽입되며, 이 열가소성 발포재(21b)는 도장 공정시 건조열에 의해 발포되어 도면에서와 같이 삽입공간부(21a)에 틈세없이 채워지게 된다. 아울러 외면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후크(21c)가 형성되어 있어 내측판넬(22)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공(22a)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는 열 가소성 발포재(21b)가 삽입된 방음부재(21)가 필러(20)의 폐단면(20a)에 복수개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행시에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 등이 플로어판넬(50)을 통하여 필러(20)로 유입될 경우 이를 차단하여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며, 팬더와 사이드 실(60)을 통해 유입된 엔진룸의 소음을 차단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하여 승객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느낄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방음부재(21)를 내측판넬(22)로부터 탈거하여 재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방음부재(21)에 삽입되어 있는 열 가소성 발포재 또한, 열 가소성이므로 재활용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필러의 폐단면을 밀폐하여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하는 방음부재에 삽입공간부를 형성하여 열 가소성 발포재가 삽입 함으로써, 소량의 발포재로서도 진동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열 가소성 발포재 이므로 각 구성물을 재활용 할 수 있으며, 상기 방음부재를 탈, 장착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측판넬(22)과, 외측판넬(24)이 폐단면(20a)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폐단면(20a)에는 외부로부터의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도록 복수개의 방음부재(21)가 설치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음부재(21)는 폐단면(20a)을 밀폐할 수 있는 형상을 한 것으로 내부에 삽입공간부(21a)가 형성되어 있어 열가소성 발포재(21b)가 삽입됨과 아울러 외면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후크(21c)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판넬(22)에는 상기 방음부재(21)의 후크(21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공(22a)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KR2019970034797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2101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97U KR20021010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797U KR20021010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00U KR19990021300U (ko) 1999-06-25
KR200210106Y1 true KR200210106Y1 (ko) 2001-02-01

Family

ID=5389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797U Expired - Lifetime KR200210106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1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195B1 (ko) * 1999-12-13 2001-11-07 류정열 자동차 바디필라의 발포충진제 받침판 취부구조
KR100545029B1 (ko) * 2002-09-13 2006-01-24 헨켈코리아 주식회사 차량 프레임의 소음방지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00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106Y1 (ko) 자동차용 필러의 방음구조
KR20190035528A (ko) 흡음부, 차음된 차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자동차
KR100402119B1 (ko) 자동차의 필러 밀폐 공간부 충전방법 및 필러
JP2000095039A (ja) 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における貫通孔シール構造
JP2002087179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3545263B2 (ja) フロントピラーの下部構造
KR100897332B1 (ko) 차량용 펜더 인슐레이터
KR100403476B1 (ko) 자동차 필러의 소음방지 구조
KR100405613B1 (ko) 컴팩트한 내부 충전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필러
JP2500424Y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タダッシュ
KR100471478B1 (ko) 자동차용 바디의 방음구조
KR200147951Y1 (ko) 자동차의 전동식 안테나 방음구조
KR100578056B1 (ko) 자동차용 발포 조립체
JPH0745391Y2 (ja) 自動車用インシュレータダッシュ
JPH0143326Y2 (ko)
KR100412869B1 (ko) 자동차의 도어
JP2021154928A (ja) 車両用外装パネル
KR960003758Y1 (ko) 철도차량용 실내 내장판재들의 접합부 몰드
JP3509559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0133993Y1 (ko) 자동차의 그로메트 조립체
KR100456564B1 (ko) 자동차용 충전재 충전방법
KR200166291Y1 (ko) 차량의 센터 필라 웨더 스트립 결합 구조
KR0181461B1 (ko) 자동차의 도어 스커프 트림 고정구조
KR0126804Y1 (ko) 버스의 리어 콤파트먼트 단면구조
KR200149215Y1 (ko) 자동차의 로커패널커버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1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5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1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