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9622Y1 -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 Google Patents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22Y1
KR200209622Y1 KR2020000023446U KR20000023446U KR200209622Y1 KR 200209622 Y1 KR200209622 Y1 KR 200209622Y1 KR 2020000023446 U KR2020000023446 U KR 2020000023446U KR 20000023446 U KR20000023446 U KR 20000023446U KR 200209622 Y1 KR200209622 Y1 KR 200209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caffolding
twin
building
jo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순
Original Assignee
신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순 filed Critical 신재순
Priority to KR2020000023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공사장의 외관공사 및 고층건물의 철거와 수리시에 작업자들의 작업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디디고 설 수 있는 패널(발판)을 걸쳐 놓기 위한 쌍줄비계틀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양측에 삽입구를 형성한 연결구에 의해 연결된 쌍줄의 종비계에 횡으로 횡비계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한 쌍줄비계틀과, 상기 쌍줄비계틀을 건축물의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건축물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에 대향하여 쌍줄비계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밀착부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로 이루어진 하부지지구와, 상기 하부지지구에 지지된 쌍줄비계틀을 건축물의 정면과 배면에서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에 의해서 발코니에 고정되어 쌍줄비계틀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보강대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하는 상부지지구와, 상기 하부지지구에 지지된 쌍줄비계틀을 상부 측벽면에서 체결구로 지지대와 보강대를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벽면에 부착판을 부착하여 고정구로 고정하는 측벽면지지구로 결합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A supporting base for a prefabricated double-pole type scaffold frame}
본 고안은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공사장의 외관공사 및 고층건물의 철거와 수리시에 작업자들의 작업을 도모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디디고 설 수 있는 패널(발판)을 걸쳐 놓기 위한 쌍줄비계틀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건축공사장에서 사용되는 통나무 비계는 저층건물에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철선으로 엮어서 결합한후에 패널을 얹혀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통나무비계는 저층에는 사용이 가능하였지만 5층이상의 고층건물에는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오랜사용으로 인하여 부폐되므로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야기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고층건물에도 사용할 수 있고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강관비계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강관비계도 역시 통나무비계와 마찬가지로 교차되는 부분의 강관을 하나 하나 클램프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조립하는데에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므로 비계설치비가 많이 들고 설치공정도 길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고층으로 올라갈수록 강관비계 설치의 강도가 약해져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작업도 쉽지 않을 뿐만아니라 비계설치에 대한 부속품이 많이 들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운반하는데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또 사용후 철거시에는 자재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과 부속품인 클램프들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아 자재 손실의 낭비가 비일비재하였던 것이다.
그 뿐만아니라 고층으로 올라 갈수록 비계설치에 미숙한 초보자는 비계를 타면서 고공 작업을 하기란 매우 위험하기때문에 오랜 경험의 숙련자만이 고공에서 작업할 수 있지만 이 또한 항상 위험성이 내포되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들을 보강하기 위한 실용신안등록 제 184793호인 조립식강관비계틀이 공고되었으나, 이는 강관 비계인 각재를 서로 연결하여 규모가 큰 비계틀을 일체로 공장에서 작업한후 현장에서 규모가 큰 비계틀을 크레인이나 기중기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외주변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설치에 있어서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으나, 물류운반에 드는 운송비와 별도의 비계틀을 제작하기 위한 초기비용이 너무 많이 소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시공후에 일체로 된 비계틀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규모가 큰 적재공간을 필요로 함은 물론 녹방지를 위한 별도의조치도 취해야 함으로 보관상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함을 해결하고자 개량 안출한 것으로, 고층건물 공사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강관비계를 이용하여 쌍줄비계틀로 조립시킨 다음 상기 쌍줄비계틀을 지지구에 의해 일체로 지지하여 건축물의 외주변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현장의 강관비계를 사용하여 비계틀을 조립하여 일시에 높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간편화를 도모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의 자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중으로 운반하는데 드는 물류비용을 줄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을 건축물의 정면 또는 배면에 설치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을 건축물의 측벽면에 설치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을 하부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을 발코니부위에 고정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상부지지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을 건축물의 측벽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측벽면지지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쌍줄의 종비계 2. 횡비계
3. 쌍줄비계틀 4. 발판
5. 연결구 6. 체결구
7. 하부지지구 8. 상부지지구
9. 측벽면지지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강관 비계를 쌍줄의 종비계(1)로 조립하여 발판(4)을 안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삽입구(51)를 형성한 연결구(5)와,
상기 쌍줄의 종비계(1)에 횡으로 횡비계(2)를 체결구(6)에 의해 체결한 쌍줄비계틀(3)과,
상기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건축물의 하부면(110)에 밀착되는 밀착부(71)와, 상기 밀착부(71)에 대향하여 쌍줄비계틀(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72)와, 상기 지지대(72)와 밀착부(71)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73)로 이루어진 하부지지구(7)와,
상기 하부지지구(7)에 지지된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정면과 배면에서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81)에 의해서 발코니(111)에 고정되어 쌍줄비계틀(3)을 지지하는 지지대(82)와 보강대(83)를 체결구(6)에 의해 체결하는 상부지지구(8)와,
상기 하부지지구(7)에 지지된 쌍줄비계틀(3)을 상부 측벽면(112)에서 체결구(6)로 지지대(93)와 보강대(94)를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벽면(112)에 부착판(92)을 부착하여 고정구(91)로 고정하는 측벽면지지구(9)로 결합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쌍줄비계틀(3)의 조립공정 및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 건축물에 설치되는 쌍줄비계틀(3)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강관비계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강관비계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연결구(5)의 양측에 형성된 삽입구(51)로 강관비계를 삽입하여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강관비계를 서로 연결하게 되면 쌍줄의 종비계(1)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쌍줄의 종비계(1)들에 횡으로 강관비계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연속하여 체결구(6)에 의해 체결하게 되면 쌍줄의 종비계(1)에 횡비계(2)가 서로 결합하여 쌍줄비계틀(3)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쌍줄비계틀(3)의 내측, 즉 쌍줄의 종비계(1)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구(5) 및 횡비계(2)의 상부로 발판(4)을 얹혀서 고정시키게 되면 발판(4)위로 사람이 지나다니면서 작업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조립된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외주변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크레인으로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외주변으로 세워서 각종 지지구(7, 8, 9)에 의해 건축물의 벽면에 지지하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크레인에 의해 쌍줄비계틀(3)이 건축물의 외주변에 세워지면 건축물의 하부면(110)에 쌍줄비계틀(3)의 하부를 하부지지구(7)에 의해 지지하여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즉, 하부지지구(7)를 형성하고 있는 밀착부(71)를 건축물의 하부면(110)에 밀착시키면 이와 대향하여 고정대(73)에 의해 고정된 지지대(72)가 쌍줄비계틀(3)의 하부면에 밀착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지지구(7)가 건축물의 하부면(110)과 쌍줄비계틀(3)의 하부면에 서로 밀착되어 쌍줄비계틀(3)의 하부를 지지시킨후 체결구(74)에 의해 하부지지구(7)와 쌍줄비계틀(3)을 체결하게 되면 쌍줄비계틀(3)의 하부는 건축물의 외주변에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쌍줄비계틀(3)의 하부를 건축물의 하부면(110)에 지지하여 고정시켜서 중심을 잡은후, 다음 단계인 상부지지구(8)와 측벽면지지구(9)로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정면과 배면 및 측벽면에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부지지구(8)를 사용하여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정면 및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램프(81)를 건축물의 상부에 형성한 발코니(111)에 체결한 후 클램프(81)와 연결된 지지대(82) 및 보강대(83)를 쌍줄비계틀(3)에 지지시킨후 체결구(6)로 체결하게 되면 상부지지구(8)에 의해 쌍줄비계틀(3)은 건축물의 발코니(111)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건축물의 측벽면(112)에 쌍줄비계틀(3)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건축물 시공시 측멱면(112)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통공(113)에 맞추어 측벽면지지구(9)를 형성하고 있는 부착판(92)을 부착시킨후 고정구(91)를 삽입하여 너트(95)로 고정시키면 부착판(92)은 지지대(93) 및 보강대(94)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93) 및 보강대(94)에 쌍줄비계틀(3)을 밀착하여 체결구(6)로 체결하게 되면 쌍줄비계틀(3)은 측벽면지지구(9)에 일체로 체결되어 고정이 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속하여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발코니(111)와 측벽면(112)에서 상부지지구(8) 및 측벽면지지구(9)로 체결하여 고정시키면 쌍줄비계틀(3)은 건축물의 외주변에 고정되어 설치 되는 것이다. 상기 쌍줄비계틀(3)이 고정되면 크레인 작업을 철수시킨다.
상기와 같이 쌍줄비계틀(3)의 설치작업이 끝나면 비계의 발판(40)위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고, 또한 쌍줄비계틀(3)의 외측에는 체결구(31)에 의해 손잡이(32)가 장착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잡이(32)를 잡고 안전하게 이동하면서 작업 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쌍줄비계틀(3)의 높이는 몇개층의 높이에 맞추어 일체로 조립구성 되어 있고, 아파트 공사시에 쌍줄비계틀(3)이 설치된 층의 내, 외부 마감공사가 끝나면 다시 상부로 쌍줄비계를 설치하여야 하는데 본 고안은 이미 설치된 쌍줄비계틀(3)위로 종래와 같이 새로운 비계를 추가로 설치하지 않고, 이미 설치된 쌍줄비계틀(3)을 고정하고 있는 각종 지지구(8, 9)를 풀어준후 그대로 상부로 크레인에 의해 이동하여 다시 지지구(8, 9)로 체결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현장에서 쌍줄비계틀을 조립한후 상기 쌍줄비계틀을 하부지지구와 상부지지구 및 측벽면지지구로 건축물에 고정하여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함므로서, 한 번 건물에 설치된 쌍줄비계틀을 공사가 끝나면 계속해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비계설치 공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를 최대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에 삽입구(51)를 형성한 연결구(5)에 의해 연결된 쌍줄의 종비계(1)에 횡으로 횡비계(2)를 체결구에 의해 체결한 쌍줄비계틀(3)과,
    상기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하부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건축물의 하부면(110)에 밀착되는 밀착부(71)와, 상기 밀착부(71)에 대향하여 쌍줄비계틀(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72)와, 상기 지지대(72)와 밀착부(71)를 일체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73)로 이루어진 하부지지구(7)와,
    상기 하부지지구(7)에 지지된 쌍줄비계틀(3)을 건축물의 정면과 배면에서 수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클램프(81)에 의해서 발코니(111)에 고정되어 쌍줄비계틀(3)을 지지하는 지지대(82)와 보강대(83)를 체결구(6)에 의해 체결하는 상부지지구(8)와,
    상기 하부지지구(7)에 지지된 쌍줄비계틀(3)을 상부 측벽면(112)에서 체결구(6)로 지지대(93)와 보강대(94)를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해 측벽면(112)에 부착판(92)을 부착하여 고정구(91)로 고정하는 측벽면지지구(9)로 결합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KR2020000023446U 2000-08-18 2000-08-18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46U KR200209622Y1 (ko) 2000-08-18 2000-08-18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446U KR200209622Y1 (ko) 2000-08-18 2000-08-18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622Y1 true KR200209622Y1 (ko) 2001-01-15

Family

ID=7308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44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622Y1 (ko) 2000-08-18 2000-08-18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938A (en) Form panel
KR200209622Y1 (ko) 조립식 쌍줄비계틀 지지구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200184793Y1 (ko) 조립식 강관비계틀
CN215630675U (zh)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构件
JP3115524U (ja) 足場組付け装置
CN216239024U (zh) 一种连墙件
JPH0315713Y2 (ko)
JPH028993Y2 (ko)
JP2001227094A (ja) 鉄骨ビルの階床構造
JP3638761B2 (ja) H形枠組み足場
CN219500928U (zh) 一种可拆卸的隐藏式幕墙清洗钢架
CN216586985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建筑的装配结构
JPS6133172Y2 (ko)
KR0119715Y1 (ko) 외부 측벽용 접철식 브라켓트
JPS6133174Y2 (ko)
JP3792356B2 (ja) 庇の取付構造
JPH0635054Y2 (ja) 足場装置
JP3654713B2 (ja) 軒先ユニット構造体
JPS6322269Y2 (ko)
KR100255585B1 (ko) 결속용클램프를 이용한 핏트내 가설작업판의 설치방법
JP2503452Y2 (ja) 工業化住宅の施工用足場構造
JPS6133173Y2 (ko)
JPH0144867B2 (ko)
JPS6382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29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2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