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9187Y1 -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187Y1
KR200209187Y1 KR2020000021898U KR20000021898U KR200209187Y1 KR 200209187 Y1 KR200209187 Y1 KR 200209187Y1 KR 2020000021898 U KR2020000021898 U KR 2020000021898U KR 20000021898 U KR20000021898 U KR 20000021898U KR 200209187 Y1 KR200209187 Y1 KR 20020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device
fuel
lid
combustion cylinder
so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춘식
Original Assignee
임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춘식 filed Critical 임춘식
Priority to KR2020000021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18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식을 굽거나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받침돌기(2)가 돌출된 화덕(1)의 하단 일측에 투입구(3)를 형성하고 이 투입구(3)에 고체나 액체연료가 내장된 가열장치(4)를 투입하며, 상기 가열장치(4)는 내부 연료통(5)과 연소통(6)은 분리되게 형성하되 연료통(6)의 중앙부에는 뚜껑(7)을 형성하고, 연소통(6)의 상측에는 화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8)가 설치된 캡(9)을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이송이 편리하며,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화력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가열장치의 내부에 연료만 투입하여 재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THE SIMIPLIFIED HEATING DEVICE WHICH IS USING SOLID OR LIQUIO FOR FUEL}
본 고안은 각종 음식을 굽거나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덕의 일측에 투입구를 형성하여 불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연소통 몸체 뚜껑이 설치되어 있는 가열장치를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하게 음식물을 굽거나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 조리용 가열장치는 가스를 이용하는 랜지와 숯불을 이용하는 화덕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바, 상기 전자의 방법은 별도로 가스배관이 가열장치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사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소형으로 된 가스통과 가열기구를 같이 이동하여야 함으로서 운반이 불편하고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용으로 된 소형 가스통을 내장하는 가열장치가 안출되었으나 이와 같은 가열장치는 연료 자체가 가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 및 사용시 주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화덕의 내부에 숯을 넣어 가열하는 방법으로서, 숯을 화덕에 담은 다음 숯에 불을 붙여 사용함으로서 불붙이기가 불편하고 힘든 단점이 있으며, 숯의 화력이 금방 연소됨으로서 장시간에 걸쳐 사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과 부피가 커서 운반 설치등에 불편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 후자의 가열장치는 사용상의 문제와 부피 때문에 운반에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전자의 방법은 가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불을 키고 끄기가 편리한 점이 있으나 폭발드의 위험성이 있고 , 후자의 방법은 전자의 방법에 비하여 위험성은 없으나 숯에 불을 피우기가 어렵고 힘들며, 또한 불을 끌 경우 숯에 물을 끼얹거나 화덕을 분리하여 숯을 계속 태워 연소시켜야 함으로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덕의 일측에 투입구를 형성하고 이 투입구에 고체나 액체 연료가 내장된 가열장치를 투입하되 가열장치의 상부에 불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가 설치된 연소통 몸체 뚜껑을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화덕 2. 돌출부 3. 투입구
4. 가열장치 5. 연료통 6. 연소통
7. 뚜껑 8. 화력조절장치 9. 연소통뚜껑
10. 관통공 11. 손잡이 12. 보조손잡이
13. 차단판
화덕의 상부에 구이판이 설치된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받침돌기(2)가 돌출된 화덕(1)의 하단 일측에 투입구(3)를 형성하고 이 투입구(3)에 고체나 액체연료가 내장된 가열장치(4)를 투입하며, 상기 가열장치(4)는 연료통(6)을 내장하는 연소통 몸체(5)와 연료통뚜껑(9)으로 분리되게 형성하되 연료통(6)의 중앙부에 뚜껑(7)을 형성하고,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는 화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8)를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 설명 부호 14는 구이판을 보인 것이다.
상기 화력 조절장치(8)는 중앙부에 관통공(10)이 형성된 연소통뚜껑(9)의 일측에 손잡이(11)를 고정 설치하고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는 일측에 보조손잡이(12)가 부착된 차단판(13)을 연소통뚜껑(9)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1)와 핀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부에 고체나 젤리형의 연료가 담긴 연료통(6)케이스를 연소통몸체(5)에 투입한 다음 연소통뚜껑(9)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손잡이(12)와 연소통뚜껑(9)을 고정하고 있는 손잡이(11)를 잡고 회전시키면 차단판(13)이 연소통뚜껑(9)에서 회전하여 연소통 뚜껑(9)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10)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통(6)의 중앙부에 체결된 뚜껑(7)을 연 다음 불을 붙이면 연료통(6)에 내장되어 있는 연료에 의하여 불이 붙게 되고, 이와 같이 불이 붙은 가열장치(4)를 화덕(1)의 투입구(3)를 통하여 화덕의 내부로 투입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덕(1)의 내부로 가열장치(4)가 투입되면 화덕(1)의 상부에 구이판을 올려놓으면 구이판은 화덕(1)의 내측에 돌출 되어 있는 수개의 돌출부(2)에 의하여 고정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구이판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굽거나 덮히면 되는 것이다.
한편 불의 강약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 체결된 차단판(13)을 회전시켜 연소통뚜껑(9)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0)을 가리면 차단판(13)이 연료에 붙은 불의 크기를 차단하게 됨으로서 불의 강약을 조절하게 되고, 불을 끄고자 할 때에는 차단판(13)을 회전시켜 관통공(10)전체를 덮어 차단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열장치를 사용치 아니할 때에는 뚜껑(7)을 연료통(6)에 체결하여 밀폐시킴으로서 연료를 장시간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화덕의 일측에 투입구를 형성하고 이 투입구에 고체나 액체 연료가 내장된 가열장치를 투입하되 가열장치의 상부에 불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정장치가 설치된 연소통 몸체 뚜껑을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저렴하고,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화력을 조절할 수가 있으며 가열장치의 내부에 연료만 투입하여 재 사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화덕의 상부에 구이판이 설치된 가열장치에 있어서, 상부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의 받침돌기(2)가 돌출된 화덕(1)의 하단 일측에 투입구(3)를 형성하고 이 투입구(3)에 고체나 액체연료가 내장된 가열장치(4)를 투입하며, 상기 가열장치(4)는 연료통(6)을 내장하는 연소통 몸체(5)와 연료통뚜껑(9)으로 분리되게 형성하되 연료통(6)의 중앙부에 뚜껑(7)을 형성하고,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는 화력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장치(8)를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화력 조절장치(8)는 중앙부에 관통공(10)이 형성된 연소통뚜껑(9)의 일측에 손잡이(11)를 고정 설치하고 연소통뚜껑(9)의 상측에는 일측에 보조손잡이(12)가 부착된 차단판(13)을 연소통뚜껑(9)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11)와 핀으로 체결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KR2020000021898U 2000-08-01 2000-08-01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98U KR200209187Y1 (ko) 2000-08-01 2000-08-01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898U KR200209187Y1 (ko) 2000-08-01 2000-08-01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187Y1 true KR200209187Y1 (ko) 2001-01-15

Family

ID=7307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9187Y1 (ko) 2000-08-01 2000-08-01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18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5772A1 (en)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KR20150133109A (ko) 캠핑용 난로
US11747016B2 (en) All-purpose gas stove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air intake thereof
WO2009099404A2 (en) High efficiency combustion stove
KR200209187Y1 (ko) 고체나 액체연료를 이용한 간이 가열장치
KR101918730B1 (ko) 화덕 겸용 난로
US20240023754A1 (en) Oven
JP3722681B2 (ja) 炭起こし器
KR200377597Y1 (ko) 숯불 화로
KR880001769Y1 (ko) 숯불 풍로
KR102637190B1 (ko) 캠핑용 화목 난로
JPS6014406Y2 (ja) ガス炊飯電気保温ジヤ−
KR200393064Y1 (ko) 가스 버너
KR830002703Y1 (ko) 신 선 로
KR200163043Y1 (ko) 고형 파라핀의 연소기
KR930003149Y1 (ko) 숯불 풍로
JPS5849449Y2 (ja) ガスバ−ナ
KR200225704Y1 (ko) 숯불구이용 로스터
KR0127118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그레이트 구조
KR830001104Y1 (ko) 유연탄 난로
KR200149418Y1 (ko) 휴대용 가스버너
JPS5850199Y2 (ja) 簡易湯沸器
JPH025217Y2 (ko)
KR850002681Y1 (ko) 알콜 버너 겸용 조립식 코펠
RU96109126A (ru) Способ поджига газовых плит зажигалко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8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8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