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8304Y1 -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 Google Patents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04Y1
KR200208304Y1 KR2020000020285U KR20000020285U KR200208304Y1 KR 200208304 Y1 KR200208304 Y1 KR 200208304Y1 KR 2020000020285 U KR2020000020285 U KR 2020000020285U KR 20000020285 U KR20000020285 U KR 20000020285U KR 200208304 Y1 KR200208304 Y1 KR 200208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utting machine
hot cutting
machine burner
bu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진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진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진유리
Priority to KR2020000020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0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8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형된 유리제품을 산소와 가스로 인해 발생하는 화염으로 절단함과 함께 절단된 면의 표면을 고르게 해주는 유리제품 가공 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핫 커팅머신 버너의 몸체를 개폐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제품을 용이하게 바이스에 물림과 함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바이스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제품을 바이스의 발에 용이하게 물리도록 한 것이며, 분사부에서 발생되어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를 강하게 함으로써 유리제품의 절단된 면을 고르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지지부(201)와, 상기 지지부(201)의 상단부에 설치된 모터(230)와, 상기 지지부(201)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절부(210)와, 상기 조절부(210)의 일단에 결합된 지지판(150)과, 상기 지지판(150)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부(120)가 구비된 본체에 결합되어 유리제품을 절단하도록 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개구부(110)와, 상기 절단개구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부(300)와, 상기 몸체(101)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주입부(302)와, 상기 몸체내에 형성된 이동부(301)가 구비된 핫 커팅머신 버너(100)에 있어서,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의 몸체(101)는 개폐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 몸체(101a)(101b)의 전면에는 각 몸체(101a)(101b)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해주는 손잡이(140)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150)의 상면에는 각 몸체(101a)(101b)와 연결되어 각 몸체(101a)(101b)의 개폐를 각각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123)(12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HOT CUTTING MACHINE BURNER FOR PROCESSING EQUIPMENT OF GLASSES}
본 고안은 성형된 유리제품을 가공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산소와 가스를 이용해 화염을 일으킴에 따라 유리제품이 절단됨과 함께 절단된 면의 표면이 고르게 되는 유리제품 가공 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제품이라 함은 유리컵, 유리잔, 유리그릇 등과 같이 투명도가 높은 유리로 만들어진 것을 말한다.
유리제품은 몇 가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먼저, 필요로 하는 유리조성에 맞도록 규사(모레), 탄산소다, 탄산석회 등의 원료를 배합하고, 배합된 원료를 1400℃ 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녹인 다음 여러가지 성형기법으로 일정 형상을 만들고, 성형된 유리제품은 곧바로 상온에서 냉각하면 잔류응력이 생기게 되어 작은 충격에도 깨지기 때문에 고온에서 서냉시키며, 서냉후 불필요한 부분을 자르고, 갈고, 붙히고, 파는 등의 가공을 거치게 되고, 가공된 제품은 최종적으로 검사를 통해 완전한 유리제품이 된다.
유리제품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전통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1400℃에서 녹은 유리를 쇠파이프에 찍어낸 후 입김을 불어넣어 기물을 만들어 내는 유리불기(Glass Blowing) 기법이다.
그럼 여기서 유리제품 가공장치의 구성을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제품 가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유리제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핫 커팅머신 버너(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0)는 골격이 되는 지지부(201)를 포함하는데, 상기 지지부(201)의 외측에는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의 위치를 조절해주는 조절부(2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부(201)의 하단부 외측에는 상기 조절부(210)의 이동경로가 되는 가이드 라인(2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210)의 외측에는 조절부(210)가 상기 가이드 라인(202)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손으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핸들레버(21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절부(210)의 일단에는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를 지지해주는 지지판(1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50)의 일단에는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와 지지판(150)을 연결해주는 연결부(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01)의 상단부에는 각종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부(220)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지지부(201)의 상단부에는 전기가 공급되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부(220)의 외측에는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기를 상기 모터(230)로 공급하거나 차단해주는 온/오프 스위치(222)가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컨트롤부(220)의 외측에는 온/오프 스위치(222)와 동일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모터(230)의 회전수를 조절해주는 스피드 컨트롤 스위치(2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모터(230)의 하방에는 모터(23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구동기어(240)가 축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1구동기어(240)의 측면에는 제1구동기어(240)가 가지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구동기어(241)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구동기어(241)의 하방에는 제2구동기어(241)가 가지고 있는 회전력을 왕복운동으로 바꿔주는 변환부(242)가 축결합되어 있다.
상기 변환부(242)에는 내부에 일단이 위치됨과 함께 외부에 타단이 위치되어 변환부(242)에서 왕복운동으로 변환된 운동력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250)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50)의 하단부에는 피스톤(250)과 함께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바이스(26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이스(260)의 저면부에는 유리제품의 하단부를 잡아주는 복수개의 발(26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1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1)의 중앙부에는 유리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이 삽입되는 절단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1)의 내주연부 즉, 상기 절단개구부(110)의 외측면에는 절단하고자하는 유리제품의 절단부위를 절단하도록 산소와 가스를 가지고 화염을 일으켜 분출하는 복수개의 분사부(300)가 절단개구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부(300)의 일단에는 산소와 화염을 분출하는 분사구(30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1)의 외주연부에는 몸체(101)의 외부로 연결된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산소와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부(30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부(300)와 상기 주입부(302) 사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1)내에 위치하며 주입부(302)를 통해 주입된 산소와 가스를 분사부(300)로 이동해주는 이동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지지부(201)의 상단부에 설치된 컨트롤부(220)의 스피드 컨트롤 스위치(221)를 조정하여 상기 모터(230)의 회전수를 결정하고 온/오프 스위치(222)를 누르면 모터(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모터(230)는 일정한 회전수를 갖는 구동력을 갖게 된다.
상기 컨트롤부(220)에 의해 조정되는 상기 모터(2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1구동기어(24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2구동기어(241)로 전달되어 제2구동기어(241)를 회전시키며, 상기 제2구동기어(241)의 회전력은 변환부(242)에서 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부(242)에서 변환된 왕복운동은 피스톤(250)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50)은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왕복운동하는 피스톤(250)에 의해 피스톤(250)의 하단부에 결합된 바이스(260)도 피스톤(250)과 함께 도면상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피스톤(250)과 상기 바이스(260)는 상기 컨트롤부(220)에 의해왕복운동의 방향과 거리가 결정된다.
여기서,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제품의 하단부를 상기 바이스(260)의 저면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발(261)에 물리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컨트롤부(220)를 조정하여 피스톤(250)이 상승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상기 스피드 컨트롤 스위치(221)를 조정하여 상기 모터(230)의 회전수를 결정한 다음 상기 온/오프 스위치(222)를 누르면 모터(230)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230)는 구동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상기 피스톤(250)이 상승하고, 피스톤(250)의 하단부에 결합된 바이스(260)도 상승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부(220)에 의해 상기 바이스(260)는 어느정도 상승한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 바이스(260)가 정지하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핸들레버(211)를 조절하여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를 하강시킨다.
상승한 바이스(260)와 하강한 핫 커팅머신 버너(100) 사이로 상기 유리불기 기법으로 성형된 유리제품과 그 일단에 결합된 쇠파이프를 집어넣고, 상기 바이스(260)의 저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261)에 상기 유리제품의 하단부를 물린다.
상기 유리제품이 상기 바이스(260)의 복수개의 발(261)에 물리면 상기 컨트롤부(220)를 조정하여 상기 피스톤(250)과 상기 바이스(260)를 어느정도 하강시킨 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바이스(260)가 어느정도 하강한 후 정지하게 되면 상기 핸들레버(211)를 조절하여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의 분사부(300)가 상기 유리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에 위치되면,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의 몸체(101)내로 상기 주입부(302)를 통해 산소와 가스를 주입시킨다.
그러면, 주입된 산소와 가스는 상기 이동부(301)를 통해 상기 각 분사부(300)로 이동되며, 상기 각 분사부(300)에서는 압축착화에 의해 화염으로 변하고, 화염은 분사구(300a)를 통해 분출되면서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의 유리제품이 절단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유리불기 기법으로 유리제품을 성형할 때, 성형된 유리제품과 그 일단에 결합된 쇠파이프의 길이가 바이스와 핫 커팅머신 버너 사이의 간격보다 길 경우에는 상기 유리제품을 바이스에 물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제품을 바이스의 발에 물릴 때,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면 모터가 계속해서 작동하여 바이스도 계속 왕복운동을 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컨트롤부를 조정하여 바이스의 왕복운동을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사부가 1단으로만 형성되어 그 내경이 일정하기 때문에 분사부로 들어오는 느린 속도의 산소와 가스는 분사부를 통과할 때 압력의 변화가 없기 때문에 일정하게 되고, 따라서 각 분사부의 일단에 형성된 분사구에서 분출되는 화염의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고 화염의 세기가 약함에 따라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제품의 절단되는 속도도 느릴뿐만 아니라 절단되는 면이 고르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제1목적은 핫 커팅머신 버너의 몸체를 개폐가능하도록 분리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유리제품을 용이하게 바이스에 물림과 함께,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바이스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유리제품을 바이스의 발에 용이하게 물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분사부에서 발생되어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를 강하게 함으로써, 유리제품의 절단된 면을 고르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유리제품 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2의 I-I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도5의 Ⅱ-Ⅱ 단면도.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핫 커팅머신 버너 101 : 몸체
110 : 절단개구부 120 : 연결부
130 : 제어부 140 : 손잡이
150 : 지지판 200 : 본체
201 : 지지부 210 : 조절부
220 : 컨트롤부 230 : 모터
250 : 피스톤 260 : 바이스
300 : 분사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에 결합되어 유리제품을 절단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개구부와, 상기 절단개구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주입부와, 상기 몸체내에 형성된 이동부가 구비된 핫 커팅머신 버너에 있어서,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의 몸체는 개폐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 몸체의 전면에는 각 몸체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해주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각 몸체와 연결되어 각 몸체의 개폐를 각각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상기 각 몸체가 개폐될 때 각 몸체와 착탈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4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리제품 가공장치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4는 본 고안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는 본 고안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6은 도5의 Ⅱ-Ⅱ 단면도이다.
유리제품 가공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소정의 위치에 결합되어 유리제품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는 본 고안 핫 커팅머신 버너(1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 핫 커팅머신 버너(10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101)를 포함하는데, 상기 몸체(101)는 개폐가능하도록 분리된 두개의 몸체 즉,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01)는 두개로만 분리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그 이상으로도 분리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상기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의 전면에는 각 몸체(101a)(101b)를 용이하게 개폐시키는 손잡이(140)가 각각 결합되어 있는데, 하나의 몸체에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판(150)의 상면에는 상기 각 몸체(101a)(101b)와 연결되어 각 몸체(101a)(101b)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각각 가이드해주는 제1가이드부재(123)와 제2가이드부재(124)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각 몸체(101a)(101b)와 상기 각 가이드부재(123)(124)는 제1연결부재(120a)와 제2연결부재(120b)로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부재(123)(124)는 각 몸체(101a)(101b)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밖의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각 몸체(101a)(101b)가 개방될 때 상기 각 몸체(101a)(101b)와 착탈되면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모터(230)의 작동을 조정해주는 제어부(130)가 결합된다.
상기 제어부(130)에는 골격이 됨과 함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기(1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발생기(132)의 일측에는 상기 각 몸체(101a)(101b)가 개폐될 때 각 몸체(101a)(101b)에 의해 신호발생기(132)에 착탈됨으로써 신호발생기(132)로부터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제어판(131)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50)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101a)와 제2몸체(101b) 사이에 위치하여 유리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이 상기 분사부(300)의 각 분사구(300a)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상기 각 몸체(101a)(101b)가 폐쇄될 때 각 몸체(101a)(101b)의 중심이 일치하게끔 각 몸체(101a)(101b)의 위치를 잡아주는 제1스토퍼(121)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50) 상면에는 상기 각 몸체(101a)(101b)가 개방될 때 상기 각 연결부재(120a)(120b)의 일측면에 착탈됨으로써 상기 각 몸체(101a)(101b)를 일정폭만큼만 개방되도록 하여, 각 몸체(101a)(101b)가 필요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각 몸체(101a)(101b)가 개방될 때 개방되는 어느 한 몸체로부터 상기 제어부(130)를 보호해주는 제2스토퍼(12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각 몸체(101a)(101b)의 중앙부분에는 각 몸체(101a)(101b)가 폐쇄될 때 원형을 형성하며 유리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이 위치하는 절단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단개구부(110)의 외측면에는 산소와 가스를 가지고 화염을 발생시켜 화염을 분출함으로써 유리제품을 절단하는 복수개의 분사부(300)가 절단개구부(110)의 외측면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고, 각 몸체(101a)(101b)의 외주연부에는 각 몸체(101a)(101b)의 외부로부터 산소와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부(3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몸체(101a)(101b)내에는 상기 주입부(302)로부터 주입된 산소와 가스를 각 분사부(300)로 이동시켜 주는 이동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300)의 일단에는 화염이 분출되는 출구인 분사구(300a)형성되어 있는데, 분사부(300)는 상기 이동부에서 상기 분사구(300a)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다단으로 형성됨으로 해서, 분사구(300a)로 갈수록 압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기 이동부(301)로부터 전달되는 산소와 가스의 가스의 속도는 상기 분사부(300)를 통과하면서 점점 빨라지게 되며 이로 인해 분사구(300a)에서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가 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200)의 스피트 컨트롤 스위치(221)에서 모터(230)의 회전수를 결정하고 온/오프 스위치(222)중 온 스위치를 눌러 모터(23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나서, 상기 각 몸체(101a)(101b)를 개방하면 상기 제1몸체(101a)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판(131)을 신호발생기(132)에 밀착시켜, 상기 신호발생기(132)에서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상기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230)의 작동이 조정되어 상기 피스톤(250)과 상기 바이스(260)는 어느정도 상승한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 바이스(260)가 정지하면 유리불기 기법으로 성형된 유리제품과 그 일단에 형성된 쇠파이프를 상기 절단개구부(110)를 통해 삽입하고 유리제품의 하단부를 상기 바이스(260)의 저면부에 결합된 복수개의 발(261)에 물린다.
상기 유리제품을 상기 바이스(260)의 복수개의 발(261)에 물린 후 상기 각 몸체(101a)(101b)를 폐쇄하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판(131)이 신호발생기(132)에서 분리되어 상기 각 몸체(101a), (101b)를 개방할 때와는 반대의 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모터(230)는 반대로 조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250)과 상기 바이스(260)는 어느정도 하강한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 바이스(260)가 하강한 후 정지됨과 함께 상기 바이스(260)의 복수개의 발(261)에 물린 유리제품이 정지하면 상기 본체(200)의 조절부(210)에 결합된 핸들레버(211)를 조정하여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100)의 분사부(300)가 유리제품의 절단하고자 하는 부분에 위치시킨 후, 상기 주입부(302)를 통해 산소와 가스를 주입한다.
상기 주입부(302)로 주입된 산소와 가스는 상기 이동부(301)를 통해 상기 분사부(300)로 이동하게 되고, 분사부(300)에서 압축착화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이 발생하여 분출됨으로해서 상기 유리제품은 절단되고 절단된 면은 고르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계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를 개폐가능하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분리함으로써, 성형된 유리제품과 그 일단에 형성된 쇠파이프의 길이가 바이스와 본 고안 사이의 간격보다 길어도 바이스의 발에 용이하게 물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바이스의 발에 유리제품을 물리고자 할 경우, 자동으로 모터를 조정함으로써 바이스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유리제품을 바이스의 발에 용이하게 물릴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분사부가 화염이 분출되는 분사구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분사구로 갈수록 압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동부로부터 전달되는 산소와 가스의 속도가 빨라지고, 분사부에서 발생되어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가 강해짐으로해서 유리제품을 빠른시간에 절단할 수 있고 절단된 부분의 표면이 더 고르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결합된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의 일단에 결합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된 연결부가 구비된 본체에 결합되어 유리제품을 절단하도록 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단개구부와, 상기 절단개구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분사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주입부와, 상기 몸체내에 형성된 이동부가 구비된 핫 커팅머신 버너에 있어서,
    상기 핫 커팅머신 버너의 몸체는 개폐 가능하도록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고, 상기 각 몸체의 전면에는 각 몸체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해주는 손잡이가 결합되며,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각 몸체와 연결되어 각 몸체의 개폐를 각각 가이드해주는 가이드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모터의 작동을 조정하도록 상기 각 몸체가 개폐될 때 각 몸체와 착탈되면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폐쇄되는 상기 각 몸체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각 몸체의 위치를 잡아주는 제1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각 몸체가 일정폭만큼만 개방되도록 하는 제2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동부에서 분사구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로 좁아지는 다단으로 형성되어 분사부에서 발생하여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가 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부재는 각 몸체의 개폐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KR2020000020285U 2000-07-14 2000-07-14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Expired - Fee Related KR200208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85U KR200208304Y1 (ko) 2000-07-14 2000-07-14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85U KR200208304Y1 (ko) 2000-07-14 2000-07-14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04Y1 true KR200208304Y1 (ko) 2000-12-15

Family

ID=19665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8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8304Y1 (ko) 2000-07-14 2000-07-14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7112396A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формы для секционной машины
CN101885234A (zh) 一步法注拉吹塑料中空成型机
KR200208304Y1 (ko) 유리제품 가공장치용 핫 커팅머신 버너
CN109368991B (zh) 果汁杯生产工艺
AU6159500A (en) Method and device for pressing a gob
ES2195915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de moldeo por inyeccion con unidad de agarre desmontable mejorada con matrices de cierre horizontal.
RU2246455C2 (ru) Стеклоформующая машина секционного типа
KR101658385B1 (ko) 유리용기 제조용 블로금형 컨트롤 장치
IT1309797B1 (it) Meccanismo maschietto per la pressatura di gocce di vetro fusodentro lo stampo sbozzatore di una macchina i.s. per la produzione
CN216584707U (zh) 一种玻璃瓶的快吹制瓶机
JP4795849B2 (ja) 封止容器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並びに封止容器
CN211678364U (zh) 立式制瓶机翻转机构
CN209702544U (zh) 一种玻璃壶身成型生产线
US5983674A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objects of glass or crystal
US3642461A (en) Method of treating bottles during ribbon separation
CN112010541A (zh) 一种生产化妆品用玻璃瓶使用的退火装置
CN111906908A (zh) 一种用于陶瓷工艺自动贴花装置
US143629A (en) Improvement in molds for glassware
CN207825544U (zh) 一种包含顶部升温的金属模具
CN220482400U (zh) 一种水晶头生产工装
CN218083311U (zh) 一种使釉层快速定型的施釉生产线
CN215403801U (zh) 一种玻璃模压成形机构
RU177388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стеклоизделий
CN1962226A (zh) 收口偏心式塑料检查井成型方法
CN116903229A (zh) 一种玻璃容器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7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7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