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8196Y1 - 자동차의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196Y1
KR200208196Y1 KR2019970040926U KR19970040926U KR200208196Y1 KR 200208196 Y1 KR200208196 Y1 KR 200208196Y1 KR 2019970040926 U KR2019970040926 U KR 2019970040926U KR 19970040926 U KR19970040926 U KR 19970040926U KR 200208196 Y1 KR200208196 Y1 KR 200208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nstallation space
housing
electromagnet
star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8301U (ko
Inventor
문형준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40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196Y1/ko
Publication of KR199900283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3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19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내부에 설치공간(102)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10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설치공간(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04)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출입구(108)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가이드 홈(104)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모터축(114)의 선단에는 출입구(108)를 통해 이동하면서 트랭크 축의 링 기어(14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18)가 형성되고, 모터축(114)의 일측에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오버 런닝 클러치(116)가 형성된 모터(110)와;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의 전면에 출입구(108)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착된 전자석(120)과; 전자석(1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모터(110)에도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가이드 홈(104)의 선단에 장착되어 모터(110)의 가이드 돌기(112)를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종래에 사용된 마그네트 스위치부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부피가 축소되었으며, 구조가 간단해 짐과 동시에 작동이 간단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작동이 간단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엔진은 자가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동을 걸때에는 외력에 의해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은 소정의 속도를 내지 않으면 시동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상기 크랭크 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시동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모터부와, 동력전달부 및 마그네트 스위치부로 구분된다.
상기 모터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예컨데 직류 직권모터와 같이 시동토크가 큰 모터(10)가 구비되고, 이 모터(10)는 자동차의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가능한 한 소형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엔진시동후 엔진에 의해 모터가 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 런닝 클러치(30)가 구비되고, 모터 축(12)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랭크 축에 설치되어 있는 링기어(40)와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 스위치부는 시동 스위치(50)에 의해 작동하는 마그네트 스위치(60)와, 마그네트 스위치(60)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레버(62)를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14)를 링기어(40)와 맞물리도록 하는 힘을 제공하며, 피니언 치합후에 메인스위치(70)를 접속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역활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피니언 기어(14)를 크랭크 축에 설치되어 있는 링기어(40)와 치합시키기 위해서 별도로 마그네트 스위치(60)와 구동레버(62) 등의 구성요소들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구조가 복잡해지고, 그만큼 고장이 잘 나며, 조립작업이 어렵고, 단가가 비싼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마그네트 스위치부를 제거하여 구조를 간단하게 함과 동시에 작동이 간단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자동차의 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우징 102: 설치공간
104: 가이드 홈 106: 스프링
108: 출입구 110: 모터
112: 가이드 돌기 114: 모터축
116: 오버 런닝 클러치 118: 피니언 기어
120: 전자석 130: 시동 스위치
132:: 배터리 140: 링 기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설치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출입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가이드 홈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모터축의 선단에는 출입구를 통해 이동하면서 트랭크 축의 링 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의 일측에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오버 런닝 클러치가 형성된 모터와; 하우징의 설치공간의 전면에 출입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착된 전자석과; 전자석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모터에도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가이드 홈의 선단에 장착되어 모터의 가이드 돌기를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설치공간(102)의 내면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공간(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일정한 길이만큼 후방으로 가이드 홈(10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에는 모터(110)가 내설되어 있으며, 이 모터(110)의 외면에는 하우징(100)의 가이드 홈(104)에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가이드 돌기(112)가 모터(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104)의 전방에는 스프링(106)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106)은 가이드 돌기(112)를 항상 후방으로 탄지하고 있다.
하우징(100)의 전방에는 출입구(108)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의 전면에는 출입구(108)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자석(120)이 고착되어 있다. 이 전자석(120)은 시동 스위치(130)가 접촉되면 배터리(13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화되고, 인력에 의해 모터(110)를 끌어 당기게 된다.
한편, 배터리(13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전자석(120)으로 보내짐과 거의 동시에 모터(110)로도 공급되어 모터(110)에서 연장되는 모터축(114)을 회전시키게 된다.
모터(110)에서 연장되는 모터축(114)의 선단에는 크랭크 축에 설치되어 있는 링 기어(14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피니언 기어(118)는 모터(110)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모터(110)와 함께 하우징(100)의 출입구(108)를 통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즉, 피니언 기어(118)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링 기어(140)와 치합되고, 피니언 기어(118)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링 기어(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한편, 모터축(114)에는 엔진시동후 엔진에 의해 모터가 반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오버 런닝 클러치(116)가 장착되어 있다.
지금부터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운전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걸게 되면, 시동 스위치(130)가 접촉되어 배터리(132)로부터 전원이 전자석(120)으로 공급되고, 이와 동시에 모터(110)로도 전원이 공급된다.
전자석(120)으로 공급된 전원은 전자석(120)을 자화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전자석(120)은 인력이 발생되어 모터(110)를 끌어 당기게 된다. 그러면, 모터(1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모터축(114)의 선단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18)가 크랭크 축에 설치되어 있는 링 기어(140)와 치합된다.
이와같은 작동과 거의 동시에 배터리(132)의 전원은 모터(110)로 공급되고, 모터(110)를 회전시키게 되며, 따라서 모터축(114)의 선단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18)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 기어(118)과 치합되어 있는 링 기어(140)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링 기어(140)가 회전하면서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 엔진을 작동시키게 된다.
엔진이 작동된 후에는 시동 스위치(130)가 떨어지게 되고, 전자석(120)과 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전자석(120)은 자화를 잃게 되고, 스프링(106)이 모터(110)의 가이드 돌기(112)를 후방으로 탄지하고 있기 때문에 모터(11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피니언 기어(118)는 링 기어(140)로부터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모터축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와 링 기어를 치합시켜 모터의 회전력을 크랭크 축에 전달하는 데 있어서 부피가 작은 전자석을 사용하여 종래의 시동장치에 사용되는 마그네트 스위치부를 제거하였기 때문에 하우징의 부피가 축소되었으며, 구조가 간단해 짐과 동시에 작동이 간단하고, 생산원가를 절감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설치공간(102)이 형성되고, 이 설치공간(102)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기 설치공간(10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04)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출입구(108)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에 설치되고,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04)과 대응되는 가이드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으로 연장되는 모터축(114)의 선단에는 상기 출입구(108)를 통해 이동하면서 트랭크 축의 링 기어(14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18)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114)의 일측에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오버 런닝 클러치(116)가 형성된 모터(1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02)의 전면에 상기 출입구(108)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착된 전자석(120)과;
    상기 전자석(120)에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모터(110)에도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가이드 홈(104)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110)의 가이드 돌기(112)를 후방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06)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시동장치.
KR2019970040926U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시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08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26U KR200208196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926U KR200208196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01U KR19990028301U (ko) 1999-07-15
KR200208196Y1 true KR200208196Y1 (ko) 2001-01-15

Family

ID=53896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926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8196Y1 (ko) 1997-12-26 1997-12-26 자동차의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1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971A (ko) * 2000-11-20 2002-05-25 이계안 엔진 스타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301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057Y1 (ko) 엔진용 스타터장치
KR200208196Y1 (ko) 자동차의 시동장치
KR930003261Y1 (ko) 관성 접동식 시동 전동기
US6776273B2 (en) Starter having braking member for one-way clutch
US6828707B2 (en) Starter having a seal member near bearing for holding output shaft
US5823048A (en) Starter for an engine
JP3644116B2 (ja) スタータ
KR200153369Y1 (ko) 내연기관용 플라이휘일 구동장치
KR19990028149U (ko) 시동전동기의 스톱퍼구조
KR200145639Y1 (ko) 자동차의 시동 전동기
JPH0631592B2 (ja) スタ−タ
KR19990028156U (ko) 시동전동기의 일체형 오버런닝 클러치
KR200150235Y1 (ko) 내연기관용 플라이휘일 구동장치
KR100234065B1 (ko) 시동 전동기의 피니언 구동장치
KR20000017056U (ko) 스타터의 구동레버
KR0122354B1 (ko) 자동차의 기동전동기와 솔레노이드 분리형 기동장치
KR100422750B1 (ko) 차량용 보조 아웃사이드 미러 장치
KR100405439B1 (ko) 엔진스타터
JPH0528380Y2 (ko)
KR0123540Y1 (ko) 자동차의 시동제한장치
KR200162316Y1 (ko) 시동전동기 피니언 정지장치
KR200211053Y1 (ko) 시동 전동기의 피니언 레버장치
JP2001355552A (ja) スタータ
JP3010872B2 (ja) スタータのブレーキ装置
KR100428189B1 (ko) 차량의 시동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10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9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