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7759Y1 -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 Google Patents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759Y1
KR200207759Y1 KR2020000017478U KR20000017478U KR200207759Y1 KR 200207759 Y1 KR200207759 Y1 KR 200207759Y1 KR 2020000017478 U KR2020000017478 U KR 2020000017478U KR 20000017478 U KR20000017478 U KR 20000017478U KR 200207759 Y1 KR200207759 Y1 KR 2002077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nd
pin
duct
scre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Original Assignee
김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수 filed Critical 김기수
Priority to KR2020000017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7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7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7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덕트(1)의 합성수지관(11,11') 이음새 부분 외주면에 감기는 띠형상 권취부(31), 상기 권취부(3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된 고리부(33) 및 타단에 부착된 고리부(35), 체결 나사(37)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55)이 형성된 관통핀(39) 및 상기 체결 나사(37)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57)이 형성된 체결핀(41), 상기 관통핀(39)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체결핀(41)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체결 나사(37)로 구성되어 있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30)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31)는 단측 띠 형상부(45)와 장측 띠 형상부(4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띠 형상부(45,47)는 서로 겹치는 끝부분에 착탈식 연결수단(49,51)이 구비되어 있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밴드(30)의 권취부(31)를 장단측 띠 형상부(45,47) 두 부위로 나누고 각 띠 형상부(45,47)를 후크 등과 같은 착탈식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체결용 밴드(30)를 덕트의 합성수지관 등에 손쉽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fastening band for flexible duct}
본 고안은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시 실내외의 공기순환을 위해 설치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설비하기 위해 설비 조건에 따라 채용되는 신축식 에어덕트를 덕트 상호 간에 또는 다른 시설물이나 부품과 연결할 때 연결부위의 이음새 부분을 죄기 위해 사용되는 체결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실내 공기를 외부와 유통되도록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의 설비는 필수적인 것이며, 이러한 공기 조화 시스템은 에어 덕트의 설치를 그 주된 구성으로 하는데, 일반적으로 박스 형태의 덕트가 많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의 덕트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통형 에어 덕트는 도 1에 101로 도시된 것처럼, 건물의 횡보(103)와 천정 마감재(105) 사이에 설치되며, 횡보(103)에 연결된 행거(107)에 의해 횡보(103)와 외벽(109)이 이루는 모서리 부분에 고정되며,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얇은 내외부관(121,12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관(111), 이 내외부관(121,123) 사이의 공간에 삽입 설치된 스프링 형태의 보강부재(113), 합성수지관(111) 내부를 흐르는 공기를 단열시키기 위한 단열재(115), 단열재(115)의 형태를 잡아주는 철망 형태의 정형부재(117) 그리고 외관을 형성하는 포장관(119)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원통형 에어 덕트(101)는 보강부재(113) 등의 탄력성 및 신축성으로 인해 반경방향으로의 변형이 자유로워 용이하게 단면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으며, 덕트(101) 상호간에 혹은 덕트(101)와 시설물과 연결할 때 다소의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는 등 시공 상 많은 편리성을 제공할 뿐 아니라, 내열성이 뛰어나고 연소시 유독 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때, 이러한 신축형 에어 덕트(101)는 덕트 상호 간에 연결을 하거나, 유사한 원통 형태의 구조물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 3에 도면번호 13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용 밴드를 사용하여 왔다.
도 3은 에어 덕트와 에어 덕트를 연결하는 경우로 덕트 내부의 좌우 합성수지관(111,111') 안팎으로 겹쳐 끼운 상태에서 체결용 밴드(130)를 이음새 부분에 감아 죈 다음, 유리섬유 같은 단열재(115)를 합성수지관 둘레부분에 감고 난 뒤 최종 포장관(119)으로 마감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여기에서 종래의 체결용 밴드(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관(111')의 외주면에 감기는 띠형태의 권취부(131), 이 권취부(13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된 고리부(133)와 타단에 용접된 고리부(135), 고리부(133)에 끼워지며 체결 나사(137)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관통핀(139)과 고리부(135)에 끼워지며 체결 나사(137)가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핀(141), 와셔(143)를 사이에 두고 관통핀(139)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핀(141)에 체결되는 체결 나사(137)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체결용 밴드(130)를 이용해 에어 덕트를 연결하는 경우, 먼저 연결할 좌우의 합성수지관(111,111')을 도 3과 같이 끼운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관통핀(139)의 관통공에 체결 나사(137)를 끼워 넣은 채로 두 관이 겹치는 이음새 부분에 풀려진 상태의 밴드(130) 권취부(131)를 둘러 감는다. 이때, 나사(137)가 끼워져 있지 않은 체결핀(141) 측을 합성수지관(111') 표면에 눌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관통핀(139)에 끼워져 있는 나사(137)의 끝부분을 체결핀(141) 나사공에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나서 합성수지관(111,111')이 상대운동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로 나사(137)를 죄면 합성수지관의 결합은 완료되고, 이후에 단열재(115)와 포장관(119)을 씌우면 에어 덕트(101)의 연결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작업 중 합성수지관(111.111')의 직경이 매우 큰 경우 또는 작업 공간이 매우 협소하거나 작업 위치가 불편한 경우, 체결핀(141)이 고리부(135)에서 겉돌고 있으므로 권취부(131)를 합성수지관(111')에 감은 상태로 관통핀(139)에 끼워진 나사(137)의 끝부분을 체결핀(141)의 나사공에 끼우는 작업이 여간 곤란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덕트의 설치작업이 지연되거나 작업 능률이 저하되어 전체적으로 공조 시스템의 시공이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신축형 에어 덕트 체결용 밴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체결용 밴드의 권취부에 별도의 착탈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체결용 밴드로 덕트를 연결함에 있어 미세한 조정이 필요한 나사결합방식은 밴드를 죄는 데에만 적용하고, 밴드를 체결하는 데는 간단한 후크 결합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덕트 연결 작업을 손쉽게 하여 덕트 시공 시간을 단축하고, 시공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시켜 신속하고 효율적인 공사의 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체결용 밴드가 적용되는 신축형 에어 덕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건축물의 개략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형 에어 덕트의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체결용 밴드가 신축형 에어 덕트의 합성수지관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상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확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용 밴드가 신축형 에어 덕트의 합성수지관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상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체결용 밴드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발췌 확대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용 밴드의 발췌 확대 정면도.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체결용 밴드의 착탈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신축형 덕트 11,11' : 합성수지관
30, 230 : 체결용 밴드 31, 231 : 권취부
33, 35 : 고리부 37, 237 : 체결 나사
39, 239 : 관통핀 41, 241 : 체결핀
45, 245 : 단측 띠 형상부 47, 247 : 장측 띠 형상부
49, 249 : 체결 후크 51, 251 : 체결 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연결하고자 하는 덕트의 합성수지관 이음새 부분 외주면에 감기는 띠형상 권취부, 이 권취부의 일단에 절곡 형성된 고리부 및 타단에 부착된 고리부, 체결 나사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관통핀 및 체결 나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된 체결핀, 관통핀에 관통 삽입되어 체결핀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 나사로 구성되어 있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에 있어서, 권취부는 단측 띠 형상부와 장측 띠 형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띠 형상부는 서로 겹치는 끝부분에 착탈식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결용 밴드(30)는 기본적으로 종래의 신축형 덕트 체결용 밴드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연결될 합성 수지관(11,11')의 이음새 부분 외주면에 감기는 띠형상의 권취부(31)와 합성 수지관(11.11')에 감긴 권취부(31)를 죄는 체결 나사(37) 그리고 권취부(31)와 체결 나사(37)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품 들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의 밴드(30)는 권취부(31)가 다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측 띠 형상부(45)와 길이가 긴 장측 띠 형상부(47) 2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단측 띠 형상부(45)의 일단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고리부(33)를 형성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장측 띠 형상부(47)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예컨대 체결 후크(49)와 같은 연결수단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장측 띠 형상부(47)는 일단에 체결 후크(49)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연결수단으로서 예컨대 체결홈(5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고리부(35)가 부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측 띠 형상부(45)의 고리부(33)에는 축경부에 의해 고리부(33)에 끼워지는 관통핀(39)이 축선을 중심으로 자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관통핀(39)의 확경부에는 체결 나사(37)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55)이 관통핀(39)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핀(39)과 나사(37) 머리 사이에는 소형 와셔(43)가 끼워져 있다. 마찬가지로 장측 띠 형상부(47)의 고리부(35)에는 축경부에 의해 고리부(35)에 자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체결핀(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체결핀(41)의 확경부에는 체결 나사(37)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57)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스냅식이나 나사체결식 등 기타 다른 여러 가지 기계적인 연결수단에 의해 단측 띠 형상부(45)와 장측 띠 형상부(47)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후크 체결을 채용한 경우라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과 체결 후크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실시할 수도 있는데,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 단측 띠 형상부(245)의 일단에 체결 홈(251)이 형성되며, 장측 띠 형상부(247)의 일단에 체결 후크(249)가 부착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230) 구성에 의하면, 도 8에서와 같이 먼저 밴드(230)의 단측 띠 형상부(245)에 끼워져 있는 관통핀(239)의 관통공(255)에 나사(237)를 삽입한 다음, 다시 나사(237)를 장측 띠 형상부(247)의 체결핀(241)에 나사 체결한다. 이때, 밴드(230)를 합성수지관에 체결한 후 나사(237) 조절에 의해 밴드(230)를 죌 수 있도록 체결핀(241)의 나사공(257)에 결합되어 들어가는 나사(237)의 길이를 가능한한 짧게 유지하여 조절 여유를 남기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30)를 죄고자 하는 합성수지관 둘레에 감은 다음, 단측 띠 형상부(245)의 체결홈(251)에 장측 띠 형상부(247)의 체결 후크(249)를 걸면 일단 손쉽게 밴드(230)의 연결은 완료된다. 그 다음에 밴드(230)를 죄고자 하는 만큼 체결핀(241) 안으로 나사(237)를 돌려 넣게 되면 원하는 강도로 합성수지관의 연결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다양한 치수의 직경을 가지고 있는 신축형 에어덕트를 상호 간에 또는 동일한 형태의 다른 설비 부분에 연결하고자 할 때 본 고안의 체결 밴드에 의하면, 작업 공간이 비좁거나 작업 위치가 불편한 경우라도 먼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밴드를 나사식으로 된 죔 부위부터 조절 여유를 두고 임시로 결합한 다음, 에어덕트의 합성수지관 이음새 둘레에 감아 후크식 체결수단에 의해 간단히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밴드를 이용할 때처럼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겉도는 체결핀의 나사공에 체결 나사를 정조준하여 끼워야 하는 수고를 덜게 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덕트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덕트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수고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능률적인 덕트 시공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연결하고자 하는 덕트(1)의 합성수지관(11,11') 이음새 부분 외주면에 감기는 띠형상 권취부(31), 상기 권취부(31)의 일단에 절곡 형성된 고리부(33) 및 타단에 부착된 고리부(35), 체결 나사(37)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공(55)이 형성된 관통핀(39) 및 상기 체결 나사(37)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공(57)이 형성된 체결핀(41), 상기 관통핀(39)에 관통 삽입되어 상기 체결핀(41)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체결 나사(37)로 구성되어 있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30)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31)는 단측 띠 형상부(45)와 장측 띠 형상부(4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띠 형상부(45,47)는 서로 겹치는 끝부분에 착탈식 연결수단(49,5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9,51)은 상기 단측 띠 형상부(45)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 후크(49)와 상기 장측 띠 형상부(47)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홈(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249,251)은 상기 장측 띠 형상부(247)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 후크(249)와 상기 단측 띠 형상부(245)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홈(2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KR2020000017478U 2000-06-20 2000-06-20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Expired - Lifetime KR2002077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478U KR200207759Y1 (ko) 2000-06-20 2000-06-20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478U KR200207759Y1 (ko) 2000-06-20 2000-06-20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759Y1 true KR200207759Y1 (ko) 2000-12-15

Family

ID=1966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478U Expired - Lifetime KR200207759Y1 (ko) 2000-06-20 2000-06-20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7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462B2 (en) 2002-11-22 2016-08-02 Facebook,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and content sharing among users over a network
KR102373734B1 (ko) * 2021-10-22 2022-03-14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환풍기용 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7462B2 (en) 2002-11-22 2016-08-02 Facebook, Inc.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and content sharing among users over a network
KR102373734B1 (ko) * 2021-10-22 2022-03-14 주식회사 존환경디자인 환풍기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052B2 (en) Insulated clamp
US3915477A (en) Duct fitting
JP6251549B2 (ja)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
KR101128257B1 (ko) 아파트용 엘보 일체형 플렉시블 조인트 스프링클러 장치
KR200207759Y1 (ko) 신축형 덕트의 체결용 밴드
JP2018054127A (ja)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
JP7121084B2 (ja) 空調設備用ドレン管の接続構造、及び配管構造
US6390512B1 (en) Gasket retainer clip
JPH0814450A (ja) 管継手
KR100758529B1 (ko) 배관설치용 걸이구
KR200266356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JP3089393B2 (ja) 天吊型空気調和設備並びにその施工方法及び天吊型空気調和設備に用いるダクトの製法
KR200403584Y1 (ko) 덕트 연결용 클램프
JPH0560283A (ja) スプリンクラー用配管部品
JP2001041373A (ja) 伸縮管継手
CN223137315U (en) Integrated three-way joint convenient to install
JP2013072492A (ja) ダクト接続装置
CN223049651U (zh) 一种用于固定排烟风管的安装架
RU2193145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гибких воздуховодов
JPH09144967A (ja) ホースクランプ
JP7591786B2 (ja) ガス栓へのフランジ板取付構造
JPH0511434Y2 (ko)
KR101097875B1 (ko) 보정기능을 가지는 호스용 클램프
KR20190131335A (ko) 보일러의 연도관 연결구조
KR200266038Y1 (ko) 고리형 고정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7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