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79Y1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Google Patents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6779Y1 KR200206779Y1 KR2020000017878U KR20000017878U KR200206779Y1 KR 200206779 Y1 KR200206779 Y1 KR 200206779Y1 KR 2020000017878 U KR2020000017878 U KR 2020000017878U KR 20000017878 U KR20000017878 U KR 20000017878U KR 200206779 Y1 KR200206779 Y1 KR 20020677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e
- connection
- connection unit
- main body
- modul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5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6 feath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다수의 접속유니트가 하나의 탑재대에 탑재되며 접속유니트의 증감이나 교체가 자유롭고 각각의 접속유니트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가 제공된다.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가 단선된 1조의 선로의 양단을 접속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유니트 및, 다수의 접속유니트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유니트는, 전기적 신호흐름을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 및, 선로접속용 금속구와 협력해서 선로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2개 이상의 선로접속용 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선로접속용 금속구는 접속될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2개 이상의 고정레그(2210, 2220)를 갖고, 각각의 레그는 선로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슬릿(2211, 2221)을 가지며,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접속될 선로단부를 꽂을 수 있는 2개 이상의 선로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로삽입공과 교차하게 배치된다.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are mounted on one mount, and a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is provided that is fre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connection unit and to reus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each connection unit. At least one connection unit used for connecting both ends of a set of lines in which the terminal for modular line connection is disconnected, and a mount which can mount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The said connection unit is an electrical signal flow And at least two line connecting metal spheres 2200 formed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conveying well, and at least two line connecting pressure spheres for fixing the ends of the line in cooperation with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s. The metal ball for connection has two or more fixing legs 2210 and 2220 for fixing the end of the line to be connected, and each leg has slits 2211 and 2221 with one side open to allow the line to be fitted therein. The pressurizing port 2300 is formed of an insulating resin, and has two or more track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end of the track to be connected is inserted, and the sl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track insertion holes. Are placed to intersect.
Description
이 고안은 다수의 접속유니트가 하나의 탑재대에 탑재되는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증감이나 교체가 자유롭고 각각의 접속유니트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일부의 재사용이 가능한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for modular line conn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are mounted on a mount tabl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freely increase or decrease the mounted connection units and to reuse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of each connection unit. A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is possible.
통신선로나 송전선로 등과 같은 유선선로를 개설함에 있어서는 다수의 위치에 접속점이 설치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건물의 옥외선로와 옥내선로를 연결하는 단자함에는 다중선로가 집결되며, 그러한 다중선로는 배선설계에 따라 옥내와 옥외의 각각의 선로를 서로 결선해야 하므로, 수십쌍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In establishing a wired line such as a communication line or a transmission line, connection points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mong them, the multi-line is concentrated in the terminal box connecting the outdoor line and the indoor line of the building, and the multi-line is connected to each of the indoor and outdoor lines according to the wiring design, so that dozens of pairs of terminals are installed. .
흔히 사용되는 단자는 접속용 금속패드의 양단에 결선용 스크류가 설치된 형태의 단자이다. 이러한 단자는 접속해야 할 선로의 피복을 벗겨낸 후에, 결선용 스크류를 풀고 그러한 스크류의 스템의 둘레에 피복을 벗겨낸 심선을 감은 후에, 결선용 스크류를 다시 조임으로써, 옥내선로와 옥외선로가 접속용 금속패드를 통해 서로 접속되게 하는 것이다.A commonly used terminal is a terminal in which wiring screw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a metal pad for connection. After the terminal is stripped of the line to be connected, the indoor line and the outdoor line are connected by loosening the wiring screw, winding the stripped core wire around the stem of the screw, and then tightening the wiring screw again. It i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metal pad.
이러한 단자는 박피과정을 포함한 여러 단계의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스크류조임과정에서 선로가 비틀리고, 사용과정에서 진동 등으로 인해 스크류가 풀리면 접속이 불량해지며, 작업상태에 따라 접속으로 인한 저항증가치의 편차가 극심하다는 단점을 갖는다.These terminals are not only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in many stages of the process, including the peeling process, but also the connection becomes poor when the screw is loosened due to vibration in the screw tightening process and vibration during use.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variation in resistance increase due to the connection is extreme.
음성통신이나 데이터통신보다 훨씬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해야 하는 화상통신이 보편화 하고 있는 현재의 통신환경에서 접속불량이나 저항증가는 전체적인 통신품질에 지대한 악영향을 미친다.In today's communication environment, where video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transmit much more data at a higher speed than voice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poor connection and increased resistance have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overall communication quality.
이러한 스크류결선식 단자를 대체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단자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한 단자는 선로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선로의 단부를 결선홈에 삽입한 후에 선로의 피복을 투과하여 심선에 닿을 수 있는 투피용 결선나이프를 박아서 선로를 접속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단자는 결선나이프를 박기가 매우 곤란하므로, 그러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수하게 고안된 공구를 사용해야 한다.Various types of terminals have been released to replace such screw-connected terminals. Such a terminal is configured to connect a line by inserting an end cover of the line into the connection groove without removing the cover of the line, and then inserting a two-pipe connecting knife that can penetrate the core and touch the core wire. However, such a terminal is very difficult to put the wiring knives, in order to easily perform such a task must use a specially designed tool.
또한, 일단 결선나이프를 박고나면, 그 것을 빼내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배선설계를 변경하거나 선로를 교체할 경우에는, 이미 사용했던 접속유니트를 재사용할 수 없으며, 새로운 접속유니트를 이용해야 한다. 더욱이,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증감이나 교체가 불가능하게 구성된 단자모듈에서 사용되지 않은 새로운 접속유니트가 없는 경우에는 새로운 단자모듈을 증설하거나 교체해야 한다.In addition, once the wiring knife has been inserted, it is impossible to remove it. Therefore, when the wiring design is changed or the line is replaced, the already used connection unit cannot be reused, and a new connection unit must be used. In addition, if there is no new connection unit that is not used in the terminal module that cannot be increased or replaced, the new terminal module must be added or replaced.
이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선로접속용 단자의 단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증감이나 교체가 자유로운 단자모듈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is invention is made in view of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line connec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terminal module free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ounted connection unit.
또한, 각각의 접속유니트를 선로의 박피나 특수공구의 사용이 없이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용이하게 결선할 수 있게 구성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connection unit is intended to be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onnect by pressing the finger without the use of the line peeling or special tools.
또한, 각각의 접속유니트를 이미 결선된 선로를 용이하게 빼내고 사용전의 상태로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며, 선로를 빼내는 과정에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구성요소만 교체함으로써 접속유니트를 복구할 수 있게 구성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each connection unit can be easily removed by reconnecting already connected lines,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use, and reusable, and even if some components are damaged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connection, only the damaged components are replaced. You will configure it so that it can be recovered.
도 1은 이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탑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table of a terminal for modula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탑재대의 상면도이고,FIG. 2 is a top view of the mounting tabl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탑재대의 좌측면도이며,3 is a left side view of the mounting tabl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탑재대의 각각의 탑재셀에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사시도이고,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unit mounted on each mounting cell of the mounting table shown in FIG. 1;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탑재대에 하나의 접속유니트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이며,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for connecting a modular line in a state in which one conn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shown in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탑재대에 10개의 접속유니트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이고,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in a state in which ten connection unit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shown in FIG. 1;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접속유니트의 본체의 사시도이며,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unit shown in FIG.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상면도이고,8 is a top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7;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정면도이며,9 is a front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배면도이고,10 is a rear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좌측면도이며,FIG. 11 is a left sid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7;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본체의 저면도이고,12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7,
도 1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사시도이며,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sphere fo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3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사시도이고,1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sphere fo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3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제1 요소의 사시도이며,Fig.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lement of the metal sphere fo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제2 요소의 사시도이고,Fig. 13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lement of the metal sphere fo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금속구의 정면도이며,14 is a front view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
도 14a는 도 13b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1 요소의 정면도이고,14A is a front view of the first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B,
도 14b는 도 13c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2 요소의 정면도이며,FIG. 14B is a front view of the second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C;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금속구의 배면도이고,FIG. 15 is a rear view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
도 15a는 도 13b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1 요소의 배면도이며,FIG. 15A is a rear view of the first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B;
도 15b는 도 13c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2 요소의 배면도이고,FIG. 15B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C;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금속구의 좌측면도이며,FIG. 16 is a left side view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
도 16a는 도 13b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1 요소의 좌측면도이고,FIG. 16A is a left side view of the first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B;
도 16b는 도 13c에 도시된 금속구의 제2 요소의 좌측면도이며,FIG. 16B is a left side view of the second element of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C;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금속구가 삽입된 상태의 본체의 저면도이고,17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with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 inserted;
도 17a는 도 13a에 도시된 금속구가 삽입된 상태의 본체의 저면도이며,FIG. 17A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with the metal sphere shown in FIG. 13A inserted; FIG.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본체의 상면도이고,18 is a top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17,
도 18a는 도 17a에 도시된 본체의 상면도이며,18A is a top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 17A,
도 19는 탑재대에 하나의 접속유니트가 탑재되고 보강용 강봉이 삽입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이고,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with one connection unit mounted on a mounting table and a reinforcing steel bar inserted;
도 20은 선로를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슬릿 속에 밀어 넣기 위해 이용되는 선로접속용 가압구의 사시도이며,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connecting pressure tool used to push a line into a slit of a line connecting metal ball;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가압구의 정면도이고,FIG. 21 is a front view of the pressing hole shown in FIG. 20,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가압구의 배면도이며,FIG. 22 is a rear view of the pressing hole shown in FIG. 20;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가압구의 상면도이고,FIG. 23 is a top view of the pressure port shown in FIG. 20;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가압구의 저면도이며,24 is a bottom view of the pressure port shown in FIG. 20,
도 25는 도 20에 도시된 가압구의 좌측면도이고,FIG. 25 is a left side view of the pressing hole shown in FIG. 20;
도 26은 탑재대에 10개의 접속유니트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에서 접속유니트의 여러 가지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Fig. 26 is a view showing various states of the connection unit in the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with ten connection units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도 27은 도 26과 유사하지만 선로삽입공의 수를 두 쌍으로 형성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7 is a view similar to FIG. 26, but show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of track insertion holes is formed in two pairs.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 고안에 따르면, 단선된 1조의 선로의 양단을 접속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유니트 및, 다수의 접속유니트를 탑재할 수 있는 탑재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유니트는, 전기적 신호흐름을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금속재료로 형성된 2개 이상의 선로접속용 금속구 및, 선로접속용 금속구와 협력해서 선로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2개 이상의 선로접속용 가압구를 포함하며, 상기 선로접속용 금속구는 접속될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2개 이상의 고정레그를 갖고, 각각의 레그는 선로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슬릿을 가지며,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접속될 선로단부를 꽂을 수 있는 2개 이상의 선로삽입공을 가지며, 상기 슬릿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선로삽입공과 교차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선로삽입공 속에 선로단부를 꽂고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를 누르면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금속부분이 선로의 외피를 파손하고 선로의 심선에 접촉하여 통전로를 개설하게 구성된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t least one connection unit used to connect both ends of a set of disconnected lines, and a mounting table o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on units can be mounted, The unit includes two or mor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 flow well, and two or more line connecting pressure spheres for fixing the end of the line in cooperation with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has two or more fixing legs to fix the end of the line to be connected, each leg has a slit open on one side to fit the line, the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2300 is It is formed of an insulating resin, and has two or more track insertion holes into which the end of the line to be connected can be inserted, and the slit has at least one of The module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insertion hole so that when the end of the line is inserted into the line insertion hole and the pressure connecting hole is pressed, the metal part forming the slit breaks the outer skin of the line and contacts the core of the line to open a conducting path. Terminals are provided for the type line connection.
상기 탑재대는 일렬로 배열된 다수의 탑재셀을 포함하며, 각각의 탑재셀은 하나의 접속유니트를 스냅핏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형성된 것이 양호하다.The mounting table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cells arranged in a row, each mounting cell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le to secure one connection unit in a snap fit manner.
각각의 탑재셀의 바닥에는 접속유니트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수단이 형성된 것이 양호하다.It is preferable that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unit is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mounting cell.
상기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는 상기 접속유니트의 좌면으로부터 우면까지 관통하게 형성된 구멍과, 상기 접속유니트의 구멍과 정합하는 위치에서 상기 탑재대의 좌우측벽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접속유니트의 구멍과 상기 탑재대의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탑재대에 대한 상기 접속유니트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보강용 강봉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modular line connecting terminal includes a hole formed to penetrate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on unit, a hol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mount at a position that matches the hol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hole of the connection unit and the mounting. 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steel bar inserted through the hole of the stand to reinforce the coupling force of the connection unit to the mount.
상기 탑재대는 상기 접속유니트에 접속된 선로를 정리해서 고정시키기 위한 선로정리용 깃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 may additionally include a line trimming feather for arranging and fixing the lin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상기 선로접속용 금속구와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는 상기 접속유니트의 본체에 형성된 홈 속에 삽입되어 조립되며, 개별적으로 분해가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양호하다.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and the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ar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ng unit, assembled, and preferably disassembled separately.
상기 선로접속용 금속구는 접속될 선로의 양단을 고정시킬 2개의 고정레그 및 상기 2개의 고정레그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고정레그를 통한 신호흐름을 시험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험레그를 갖는 것이 양호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has two fixing leg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line to be connected and a test leg disposed between the two fixing legs and used to test the signal flow through each of the fixing legs.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는 상기 접속유니트의 본체에 형성된 홈 속에 삽입된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정면 쪽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유니트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에 스냅핏식으로 결합하는 결합레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된 제1 돌출부와 상기 결합레그에서 연장된 제2 돌출부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눌러서 서로 접근시키면, 상기 결합레그가 상기 삽입부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접속유니트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턱과의 스냅핏식 결합이 해제되게 구성된 것이 양호하다.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unit, and a coupling leg coupled to the locking jaw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sertion part and snap-fitted to the engaging jaw formed on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unit. When the first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coupling leg are held by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nd pressed to approach each other, the coupling leg is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locking jaw is formed on the main body of the connection unit. It is preferred that the snap fit engagement is configured to be released.
상기 선로접속용 가압구는 적어도 두 쌍 이상의 직경이 다른 선로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may include at least two pairs of different diameter line insertion holes.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보면서, 이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 및 그러한 단자모듈의 탑재대에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구성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겠다.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nection unit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of such a terminal module.
도 1은 이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탑재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상면도이고, 도 3은 그 좌측면도이다. 도시된 탑재대(1000)는 최대로 10개의 접속유니트를 탑재할 수 있는 10개의 탑재셀(1010 내지 11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방향에서 10개의 탑재셀(1010 내지 1100)은 횡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변(1200) 및 하변(1300)에는 탑재되는 각각의 접속유니트를 스냅핏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돌기(1201 내지 1210 및 1301 내지 1310)가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탑재셀(1010 내지 1100)의 바닥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방향에서 종방향중심선을 따라 연장하는 1개의 위치결정용 돌출선(1401)과 4개의 위치결정용 돌기(1411, 1412, 1413, 1414)가 형성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table of a terminal for modula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top view thereof, and FIG. 3 is a left side view thereof. In the illustrated mounting table 1000, ten mounting cells 1010 to 1100 capable of mounting up to ten connection units are formed. Ten mounting cells 1010 to 1100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ure 2 are arranged horizontally, the coupling protrusions that can be fixed to each of the connection unit mounted on the upper side (1200) and the lower side (1300) by snap-fitting ( 1201-1210 and 1301-1310 are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mounting cell 1010 to 1100, one positioning projection line 1401 and four positioning projections 1411, 1412, 1413,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1414 is formed.
도 4에는 각각의 탑재셀(1010 내지 1100)에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탑재대(1000)에 하나의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탑재대(1000)에 10개의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on unit mounted on each of the mounting cells 1010 to 1100, and in FIG. 5, a modular line connection with on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is shown. The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is shown,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rminal for modular line connection with ten connection units 2000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도 7에는 도 4에 도시된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그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shown in FIG. 4, a top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8, a front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9, and FIG. A rear view is shown, a left side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11, and a bottom view thereof is shown in FIG. 12.
본체(2100)는 절연용 수지로 압출성형되며, 거기에 접속유니트(20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삽입되어 접속유니트(2000)의 완성품으로 조립된다. 도 7에 도시된 방향에서 본체(2100)의 하측에는, 즉, 도 12에 도시된 본체(210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선로접속용 금속구가 삽입되는 금속구삽입홈(2101, 210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방향에서 본체(2100)의 상측에는, 즉, 도 8에 도시된 본체(2100)의 상면에는 선로접속용 금속구와 협력해서 선로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선로접속용 가압구가 삽입되는 가압구삽입홈(2111, 2112)이 형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된 본체(2100)의 한 쌍의 금속구삽입홈(2101, 2102) 및 가압구삽입홈(2111, 2112)에 삽입되는 2개의 선로접속용 금속구 및 2개의 선로접속용 가압구의 형상은 동일하다.The main body 2100 is extruded from an insulating resin, and other components of the connection unit 2000 are inserted therein and assembled into a finished product of the connection unit 2000. The metal sphere insertion grooves 2101 and 2102 into which a pair of wire connecting metal spheres are inserted below the main body 2100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7,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shown in FIG. 12). Is formed. Further,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7,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00,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shown in FIG. 8, a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for cooperating with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to fix the end of the line is provided.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to be inserted are formed. Two wire connection metal spheres and two line connections inserted into the pair of metal sphere insertion grooves 2101 and 2102 and the pressure sphere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f the main body 2100 shown in FIGS. 7 to 12. The shape of the pressure pressing tool is the same.
도 13에는 이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tal wire connecting wi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ront view thereof, FIG. 15 is a rear view thereof, and FIG. 16 is a left side view thereof. Is shown.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는 접속될 선로의 양단 사이의 전기적 신호흐름을 양호하게 전달할 수 있는 금속재료로 형성되며, 그 일단에 제1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제1 고정레그(2210)를 갖고, 그 타단에 제2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제2 고정레그(2220)를 가지며, 중간에는 제1 및 제2 선로단부를 통한 신호흐름을 시험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험레그(2230)를 갖는다. 각각의 레그(2210, 2220, 2230)에는 상측이 개방된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의 개방된 상단은 V자형 홈을 이루게 발산하고 있다.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satisfactorily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 flow between both ends of the line to be connected, and has a first fixing leg 2210 for fixing the first line en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fixing leg 2220 for fixing the second line en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test leg 2230 used in the middle for testing the signal flow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e ends. Each of the legs 2210, 2220, and 2230 has vertical slits 2211, 2221, and 2231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the open upper ends of the longitudinal slits 2211, 2221, and 2231 form a V-shaped groove. Radiating.
이러한 V자형 홈은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 속으로 선로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즉,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의 상측으로부터 선로를 압입시키면, V자형 홈에 의해 유연하게 안내되면서 선로가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 속으로 밀려들어가며,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은 탄성한계 내에서 변형하면서 벌어져서 선로를 수용하게 된다. 이 때, 종방향슬릿(2211, 2221, 2231)의 양측 레그는 선로의 외피를 파고 들어가 심선에 닿게 된다.These V-shaped grooves are form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track into the longitudinal slits 2211, 2221, 2231. That is, when the line is press-fit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ngitudinal slits 2211, 2221, and 2231, the line is pushed into the longitudinal slits 2211, 2221, and 2231 while being guided flexibly by the V-shaped grooves. 2211, 2221, and 2231 are deformed within the elastic limits and open to accommodate the track. At this time, both legs of the longitudinal slits 2211, 2221, and 2231 dig into the outer skin of the track to reach the core wire.
도 17은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가 삽입된 상태의 본체(2100)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그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7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2100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shown in FIGS. 13 to 16 is inserted, and FIG. 18 is a top view thereof.
도 17을 보면, 본체(2100)의 저면은 본체의 4면 벽(2130, 2140, 2150, 2160)에 의해 외곽범위가 정해지고, 2개의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하단과 본체의 4면 벽(2130, 2140, 2150, 2160)의 하단은 동일평면상에 배치된다.Referring to FIG. 17,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100 has an outer range defined by four-sided walls 2130, 2140, 2150, and 2160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two wire connecting metal spheres 2200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2100. The lower ends of the face walls 2130, 2140, 2150, 2160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도 2로 돌아가서, 탑재셀(1010 내지 1100)에 접속유니트(2000)를 탑재할 때에, 각각의 탑재셀(1010 내지 1100)의 바닥에 형성된 위치결정용 돌출선(1401)은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에서 4면 벽(2130, 2140, 2150, 2160)의 하단보다 안쪽에 형성되어 2개의 금속구삽입홈(2101, 2102)을 격리시키는 중간벽(2107)과 정합하며, 위치결정용 돌출선(1401)의 양단이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의 정면(2130)과 배면(2150)에 밀착함으로써,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셀(1010 내지 1100)내에서 종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4개의 위치결정용 돌기(1411, 1412, 1413, 1414)는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의 4면 벽(2130, 2140, 2150, 2160)에 의해 형성된 사각구석의 근처에서 좌면(2140)과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사이 및 우면(2160)과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셀(1010 내지 1100)내에서 횡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2, when mounting the connection unit 2000 in the mounting cells 1010 to 1100, the positioning projection line 1401 formed at the bottom of each mounting cell 1010 to 1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000. In the main body 2100 of the four-sided wall (2130, 2140, 2150, 216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middle wall (2107) isolating the two metal sphere insertion grooves (2101, 2102) to match, positioning Both ends of the protruding line 1401 for the main body 2100 and the back 2150 of the main unit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unit 2000 is longitudinally located in the mounting cells 1010 to 1100. To restrict movement. In addition, the four positioning projections 1411, 1412, 1413, and 1414 have a seating surface near the corners formed by the four side walls 2130, 2140, 2150, and 2160 of the main body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A connection unit 2000 is inserted in the mounting cells 1010 to 1100 between the 2140 and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and between the right surface 2160 and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To restrict movement.
또한, 조립시에 탑재대(1000)에 형성된 결합돌기(1201 내지 1210 및 1301 내지 1310)는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의 정면(2130)과 배면(2150)에 형성된 결합홈(2111, 2121)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결합돌기(1201 내지 1210 및 1301 내지 1310)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스냅핏식 결합이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손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s 1201 to 1210 and 1301 to 1310 form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at the time of assembly are coupled grooves 2111 formed on the front side 2130 and the rear side 2150 of the main body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 2121). Since the coupling is a snap fit coupling using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201 to 1210 and 1301 to 1310, it can be easily separated by hand if necessary.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에는 그 좌면(2140)으로부터 우면(2160)까지 관통하는 구멍(2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2141)은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대(10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탑재대(1000)의 좌우측벽에 형성된 구멍(1501, 1601)과 정합한다. 이러한 구멍(2141, 1501, 1601)들은 접속유니트(2000)의 본체(2100)가 탑재대(1000)에 조립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01 내지 1210 및 1301 내지 1310)와 결합홈(2111, 2121)에 의한 결합력을 보강할 목적으로 보강용 강봉(1701)을 삽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 19에는 탑재대(1000)에 하나의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되고 보강용 강봉(1701)이 삽입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main body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is formed with a hole 2141 penetrating from the left surface 2140 to the right surface 2160, and the connection unit 20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It is matched with the holes 1501 and 1601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mounting table 1000 in the state fixed in the The holes 2141, 1501, and 1601 are coupled to protrusions 1201 to 1210 and 1301 to 1310 and coupling grooves 2111 and 2121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100 of the connection unit 2000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table 1000.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inserting the reinforcing steel bar 1701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the bonding force by.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with on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and a reinforcing steel bar 1701 inserted therein.
도 18을 보면, 본체(2100)의 금속구삽입홈(2101, 2102)에 삽입된 상태의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는 본체(2100)의 상면 쪽에서 가압구삽입홈(2111, 2112) 내에 제1 고정레그(2210)와 제2 고정레그(2220)가 각각 노출되며, 시험레그(2230)는 본체(2100)의 상면의 중간에 형성된 보호턱(2141)의 개방슬롯(2143, 2144) 내에 약간 노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8, the wir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metal sphere insertion grooves 2101 and 2102 of the main body 2100 is formed in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2100. The first fixing leg 2210 and the second fixing leg 2220 are exposed, respectively, and the test leg 2230 is in the open slots 2143 and 2144 of the protective jaw 2141 formed in the midd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Slightly exposed
도 20에는 접속될 선로의 단부를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고정레그(2210, 2220)에 형성된 종방향슬릿(2211, 2221) 속에 밀어 넣기 위해 이용되는 선로접속용 가압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그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그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5에는 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ne connecting pressure tool used to push the end of the line to be connected into the longitudinal slits 2211 and 2221 formed in the fixing legs 2210 and 2220 of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21 shows its front view, FIG. 22 shows its rear view, FIG. 23 shows its top view, FIG. 24 shows its bottom view, and FIG. 25 shows its left side. Shaving is shown.
도 20 내지 도 24에 보이듯이,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며, 본체(2100)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 꼭맞게 삽입되게 형성된 삽입부(2310)를 갖는다. 도면에 도시된 방향에서 삽입부(2310)의 정면 쪽에는 삽입부(2310)가 본체(2100)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2100)의 정면(2130) 또는 배면(2150)에 형성된 걸림턱(2131, 2132, 2151, 2152)에 스냅핏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삽입부(2310)가 본체(2100)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2개의 결합레그(2330, 23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레그(2330, 2340)는 삽입부(2310)의 상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2320)에 대해 파손을 방지하기에 최소의 두께만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의 결합레그(2330, 2340)를 연결하는 제2 돌출부(2350)가 제1 돌출부(2320)와 같은 높이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 돌출부(2320)와 제2 돌출부(2350)를 엄지와 검지로 잡고 눌러서 서로 접근시키면, 결합레그(2330, 2340)가 삽입부(2310)로부터 멀어지면서 걸림턱(2131, 2132, 2151, 2152)과의 스냅핏식 결합이 해제되어 삽입부(2310)가 본체(2100)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제1 돌출부(2320)와 제2 돌출부(2350)의 상단에는 삽입부(2310)가 본체(2100)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으로부터 용이하게 인발할 수 있도록 외향 플랜지(2321, 235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20 to 24, 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formed of an insulating resin, and inserts 2310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f the main body 2100. Have The front portion 2130 of the main body 2100 in a state in which the inserting portion 231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pressing hole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f the main body 2100 in the front side of the inserting portion 2310 in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Alternatively, the insertion part 2310 moves upwardly in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f the main body 2100 by snap-fitt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s 2131, 2132, 2151, and 2152 formed on the rear surface 2150. Two coupling legs 2330 and 2340 are formed to prevent this. However, the coupling legs 2330 and 2340 are connected with only a minimum thickness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protrusion 232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310, and two coupling legs 2330 and 2340. Since the second protrusion 2350 for connecting) extends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protrusion 2320, by holding the first protrusion 2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50 with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nd approaching each other, As the legs 2330 and 2340 move away from the insertion portion 2310, the snap fit type engagement with the locking jaws 2131, 2132, 2151 and 2152 is released, and the insertion portion 2310 is inserted into the pressing hole insertion groove of the main body 2100 ( 2111, 2112 allows upward movement. Outward flanges 2321 and 2351 are provided at upper ends of the first protrusion 2320 and the second protrusion 2350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310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of the main body 2100. Are formed respectively.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의 삽입부(2310)의 정면으로부터 후면까지는 2개의 선로삽입공(2311, 2312)이 천공되어 있으며, 저면쪽에는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제1 고정레그(2210) 또는 제2 고정레그(2220)가 삽입될 수 있는 2개의 레그삽입용 슬롯(2313, 2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는 본체(2100)의 정면쪽과 배면쪽에 하나씩 형성된 2개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 하나씩 삽입되며, 정면쪽의 가압구삽입홈(2111) 속에 삽입되는 가압구(2300)와 배면쪽의 가압구삽입홈(2112) 속에 삽입되는 가압구(2300)는 그 형상이나 크기가 동일하다.Two line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are drill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of the insertion portion 2310 of the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2300, and the first fixing leg of the lin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is located at the bottom side thereof. Two leg insertion slots 2313 and 2314 into which a 2222 or a second fixing leg 2220 can be inserted are formed. The line connection pressurizing holes 2300 are inserted one by one into the two pressing hole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formed one by one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100, and are inserted into the pressing hole insertion groove 2111 on the front side. The pressing holes 2300 and the pressing holes 2300 inserted into the pressing hole insertion grooves 2112 on the rear side have the same shape or size.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가 본체(2100)의 정면쪽에 형성된 가압구삽입홈(2111) 속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본체(2100)의 2개의 금속구삽입홈(2101, 2102) 속에 삽입되는 한 쌍의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제1 고정레그(2210)가 2개의 레그삽입용 슬롯(2313, 2314) 속에 삽입되며, 이 때, 선로삽입공(2311, 2312)과 제1 고정레그(2210)의 종방향슬릿(2211)은 그 위치가 정확히 정합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가 본체(2100)의 배면쪽에 형성된 가압구삽입홈(2112) 속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본체(2100)의 2개의 금속구삽입홈(2101, 2102) 속에 삽입되는 한 쌍의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의 제2 고정레그(2220)가 2개의 레그삽입용 슬롯(2313, 2314) 속에 삽입되며, 이 때, 선로삽입공(2311, 2312)과 제2 고정레그(2220)의 종방향슬릿(2221)은 그 위치가 정확히 정합되게 구성되어 있다.When 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 211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100, as long as it is inserted into the two metal ball insertion grooves 2101 and 2102 of the main body 2100. The first fixing leg 2210 of the pair of wire connecting metal balls 2200 is inserted into the two leg insertion slots 2313 and 2314. At this time, the line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and the first fixing leg are inserted. The longitudinal slit 2211 of 2210 is comprised so that the position may match correctly. In addition, when 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inserted into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 211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2100, the wir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inserted into the two metal ball insertion grooves 2101 and 2102 of the main body 2100. The second fixing leg 2220 of the pair of wire connecting metal balls 2200 is inserted into the two leg insertion slots 2313 and 2314, and at this time, the line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and the second The longitudinal slits 2221 of the fixed legs 2220 are configured to exactly match their positions.
도 26에는 탑재대(1000)에 10개의 접속유니트(2000)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에서 1 내지 3번의 탑재셀(1010 내지 103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의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는 상측으로 인발된 채로 선로가 끼워져 있고, 4 내지 6번의 탑재셀(1040 내지 106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에는 선로가 이미 접속되어 있으며, 7 내지 9번의 탑재셀(1070 내지 109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에 끼워진 선로가 정리되어 있고, 10번의 탑재셀(111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는 사용전의 상태로 있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6 shows the lin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first to third mounting cells 1010 to 1030 in the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in the state where the ten connection units 2000 are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The line for the pressurizing port 2300 is pulled upward and the line is fitted, and the line is alrea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4 to 6 mounting cells 1040 to 1060, and the 7 to 9 mounting cells. The tracks fitted to the connection units 2000 mounted at 1070 to 1090 are arranged, and the front view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to the tenth mounting cell 1110 is in a state before use is shown.
즉, 7 내지 9번의 탑재셀(1070 내지 109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에 접속된 선로는 탑재대(1000)의 하변(1300)에 형성된 선로정리용 깃(1330 내지 135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된 채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다. 1 내지 3번의 탑재셀(1010 내지 1030)에 탑재된 채로 상측으로 인발되어 있는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의 삽입부(2310)의 2개의 선로삽입공(2311, 2312)은 고정레그(2210, 2220)의 종방향슬릿(2211, 2221)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접속할 선로의 단부를 완전히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부(2310)의 정면으로부터 배면까지 막힘 없이 관통되어 있다. 삽입부(2310)의 2개의 선로삽입공(2311, 2312) 속에 선로의 단부가 삽입되면 접속유니트(2000)는 1 내지 3번의 탑재셀(1010 내지 1030)에 탑재된 상태와 같이 되며, 이 상태에서 삽입부(2310)의 상부에 돌출된 제1 돌출부(2320)를 손으로 강하게 누르면, 선로삽입공(2311, 2312) 속에 삽입된 선로가 고정레그(2210, 2220)의 종방향슬릿(2211, 2221) 속으로 삽입되면서 종방향슬릿(2211, 2221)의 양측 레그가 선로의 외피를 파고들어가 심선에 강하게 접촉함으로써 안정적인 선로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 다음에 선로를 정리해 주면, 7 내지 9번의 탑재셀(1070 내지 109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와 같은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10번의 탑재셀(111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2000)의 상태로부터 삽입부(2310)를 인발하는 과정으로부터 선로의 단부를 선로삽입공(2311, 2312) 속에 삽입하고 제1 돌출부(2320)를 눌러서 선로를 고정레그(2210, 2220)의 종방향슬릿(2211, 2221) 속에 삽입하기까지, 선로의 피복을 벗기거나 특수한 공구를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엄지와 검지만으로 모든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된다는 것이다. 또한, 인입측과 인출측의 선로가 N:1 또는 1:N으로 다중화 하거나 분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의 도구나 작업이 없이 어느 한 쪽의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 삽입된 삽입부(2310)의 선로삽입공(2311, 2312) 속에 다수의 선로의 단부를 끼우기만 하면 된다.That is, the lin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mounting cells 1070 to 1090 of Nos. 7 to 9 is a space between the line trimming collars 1330 to 1350 formed on the lower side 1300 of the mounting table 1000. It is neatly organized while being inserted in. The two line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of the insertion portion 2310 of the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2300 drawn on the mounting cells 1010 to 1030 of the first to third times are fixed legs 2210. 2220 is positioned immediately above the longitudinal slits 2211 and 2221 and penetrat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sertion portion 2310 without a block so as to completely insert an end portion of the line to be connected. When the end of the track is inserted into the two track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of the insertion unit 2310, the connection unit 2000 is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first to third mounting cells 1010 to 1030, and in this state. Pressing strongly by hand the first protrusion 2320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310, the line inserted into the track insertion hole (2311, 2312) is a longitudinal slit (2211, 2211) of the fixing legs (2210, 2220) 2221, both legs of the longitudinal slits 2211 and 2221 penetrate the outer shell of the track and make a strong line connection by making a strong contact with the core wire. Then, the lines are arranged in the same state as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seventh to nineth mounting cells 1070 to 1090.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end of the line is inserted into the track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from the process of drawing the insertion unit 2310 from the state of the connection unit 2000 mounted on the ten mounting cell 1110. With the thumb and the black, without the hassle of uncovering the line or using a special tool, until pressing the projection 2320 to insert the line into the longitudinal slits 2211 and 2221 of the fixing legs 2210 and 2220, The work is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when the line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needs to be multiplexed or branched to N: 1 or 1: N, it is inserted into one of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without any tools or work. It is only necessary to fit the end portions of a plurality of lines into the line insertion holes 2311 and 2312 of the inserted portion 2310.
한편, 일단 설계대로 배선이 완료된 후에, 배선설계를 변경하거나 선로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를 잡아 당겨 가압구삽입홈(2111, 2112)으로부터 삽입부(2310)를 인발해 내면, 가압구삽입홈(2111, 2112) 속에 아무런 잔류물을 남김이 없이 선로의 단부가 삽입부(2310)와 함께 빠져 나오며, 이 상태에서 종선의 선로의 단부를 빼내고 새로운 선로의 단부를 삽입한 후에, 제1 돌출부(2320)를 눌러서 선로를 고정레그(2210, 2220)의 종방향슬릿(2211, 2221) 속에 다시 삽입해 넣으면 된다. 가압구삽입홈(2111, 2112)으로부터 삽입부(2310)를 인발해 낼 때 갈고리나 끈을 끼워넣고 잡아당겨 인발해 낼 수 있도록,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의 제1 돌출부(2320)와 제2 돌출부(2350)를 관통하게 인발구삽입공(도시 안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인발과정에서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가 파손될지라도, 본체(2100)를 비롯한 접속유니트(2000)의 대분분으로 그대로 재사용하고 파손된 선로접속용 가압구(2300)만 교체한다.On the other hand, once the wiring has been completed as designed, whe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wiring design or replace the track, the insertion section 2310 is pulled from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by pulling 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 The end of the track exits with the insertion section 2310 without leaving any residue in the pressurization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and in this state the end of the track of the vertical line is removed and After inserting the end portion, the first protrusion 2320 may be pressed to reinsert the track into the longitudinal slits 2211 and 2221 of the fixing legs 2210 and 2220. When the insertion portion 2310 is pulled out from the pressure port insertion grooves 2111 and 2112, the first protrusion 2320 of the pressure port 2300 for the line connection is inserted so that the hook or the string can be pulled out and pulled out. A drawing hole insertio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2350. Even though the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broken in the drawing process, it is reused as most of the connection unit 2000 including the main body 2100, and only the damaged line connection pressure port 2300 is replaced.
한편, 도 13a내지 13c에는 이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a 및 14b에는 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a 및 15b에는 그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a 및 16b에는 그 좌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3a to 13c is shown a perspective view of the metal wire for the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view is shown in Figs. 14a and 14b, the rear view is shown in Figs. 15a and 15b. 16A and 16B show a left side view thereof.
도 13a에 보이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는 도 13b에 도시된 제1 요소(2200A)와 도 13c에 도시된 제2 요소(2200B)라고 지칭되는 2개의 요소를 조함하여 구성된다. 제2 요소(2200B)는 일단에 제1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제1 고정레그(2210)를 갖고, 그 타단에는 제1 요소와 맞물리는 제1 결합레그(2250)를 가지며, 제1 요소(2200A)는 일단에 제2 선로단부를 고정시킬 제2 고정레그(2220)를 가지며, 중간에는 제1 및 제2 선로단부를 통한 신호흐름을 시험하기 위해 이용되는 시험레그(2230)를 갖고, 그 타단에는 제2 요소의 제1 결합레그(2250)와 맞물리는 제2 결합레그(2240)를 갖는다.As shown in FIG. 13A, the metal wire 2200 for lin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wo elements referred to as the first element 2200A shown in FIG. 13B and the second element 2200B shown in FIG. 13C. Consist of The second element 2200B has a first fixing leg 2210 at one end to fix the first line end portion, and at the other end thereof has a first coupling leg 2250 engaged with the first element, and the first element 2200A. ) Has a second fixing leg 2220 at one end to fix the second line end, and has a test leg 2230 used at the middle to test the signal flow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line ends, the other end thereof. Has a second engagement leg 2240 engaged with the first engagement leg 2250 of the second element.
도 17a는 도 13a 내지 도 16b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로접속용 금속구(2200)가 삽입된 상태의 본체(2100)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8a은 그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17A shows a bottom view of the main body 2100 in a state in which the wire connecting metal sphere 2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3A to 16B is inserted, and FIG. 18A shows a top view thereof. It is.
도 17a 및 18a에 보이듯이, 제1요소(2200A)와 제2 요소(2200B)는 제1 결합레그(2250)와 제2 결합레그(2240)가 맞물린 채로 조합되어, 본체(2100)에 삽입된다. 제1 결합레그(2250)와 제2 결합레그(2240)가 맞닿은 부분은 본체(2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서지전압 등과 같은 순간적인 과부하가 걸리면 차단되는 안전차단소자(도시 안됨)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7A and 18A, the first element 2200A and the second element 2200B are combined with the first coupling leg 2250 and the second coupling leg 2240 engaged and inserted into the main body 2100. .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leg 2250 and the second coupling leg 2240 contact each other is exposed to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and a safety blocking device is cut off when a momentary overload such as a surge voltage is applied therebetween. (Not shown) may be inserted.
도 27에는 탑재대(1000)에 제3 실시예의 10개의 접속유니트(3000)가 탑재된 상태의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에서 1 내지 3번의 탑재셀(1010 내지 103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3000)의 선로접속용 가압구(3300)는 상측으로 인발된 채로 선로가 끼워져 있고, 4 내지 6번의 탑재셀(1040 내지 106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3000)에는 선로가 이미 접속되어 있으며, 7 내지 9번의 탑재셀(1070 내지 109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3000)에 끼워진 선로가 정리되어 있고, 10번의 탑재셀(111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3000)는 사용전의 상태로 있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7 shows the connection unit 3000 mounted on the first to third mounting cells 1010 to 1030 in the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in the state where the ten connection units 3000 of the third embodiment are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1000. The line connection pressurizing port 3300 of) is fitted with a line drawn upward, and a line is alread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3000 mounted on the 4-6 mounting cells 1040 to 1060. Lines fitted to the connection unit 3000 mounted on the nineth mounting cells 1070 to 1090 are arranged, and the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unit 3000 mounted on the tenth mounting cell 1110 is in a state before use. have.
10번의 탑재셀(1100)에 탑재된 접속유니트(3000)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실시예의 선로접속용 가압구(3300)에서는 삽입부(3310)에 선로의 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두 쌍의 선로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에 있는 제1 쌍의 선로삽입공(3311, 3312)은 비교적 굵은 선로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으로서, 하측에 형성된 제2 쌍의 선로삽입공(3313, 3314)보다 직경이 크다.As can be seen from the connection unit 3000 mounted on the 10 mounting cell 1100, in the line connecting pressure port 3300 of this embodiment, two pairs of line insertions are inserted to insert the end of the line into the insertion part 3310. The ball is formed. The first pair of line insertion holes 3311 and 3312 on the upper side are used to connect relatively thick lines, and ar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econd pair of line insertion holes 3313 and 3314 formed on the lower side.
위에서는 이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지만, 그러한 실시예는 이 고안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이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도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부터의 조절이나 변화 또는 변경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그러한 조절예나 변화예 또는 변경예를 포괄적으로 망라하게 기술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above based 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is invention, such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intended to limit this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changed or changed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appended claims are intended to comprehensively cover such modifications, variations or variations.
이 고안에 따른 모듈식 선로접속용 단자를 이용하면, 탑재되는 접속유니트의 증감이나 교체가 자유로우며, 선로의 박피나 특수공구의 사용이 없이도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용이하게 결선할 수 있고, 이미 결선된 선로를 용이하게 빼내고 사용전의 상태로 복원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선로를 빼내는 과정에서 일부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더라도, 파손된 구성요소만 교체함으로써 접속유니트를 복구할 수 있다.The modular line connec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freely increase or decrease the connection unit to be mounted, and the operator can easily connect the wires with a finger without using the line peeling or the use of special tools. It can be easily removed and restored to the state before use, and reused. Even if some components are broken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rack, the connection unit can be restored by replacing only the damaged component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878U KR200206779Y1 (en) | 2000-06-23 | 2000-06-23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7878U KR200206779Y1 (en) | 2000-06-23 | 2000-06-23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4712A Division KR20020003662A (en) | 2000-06-23 | 2000-06-23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6779Y1 true KR200206779Y1 (en) | 2000-12-15 |
Family
ID=73079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787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6779Y1 (en) | 2000-06-23 | 2000-06-23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6779Y1 (en) |
-
2000
- 2000-06-23 KR KR2020000017878U patent/KR200206779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366388A (en) | Wiring distribution system and devices for building wiring | |
US5658166A (en) | Modular coupler arrangement for use in a building wiring distribution system | |
JP3136263B2 (en) | Guide plate for modular plug | |
AU720657B2 (en) | Connector unit | |
EP0743707B1 (en) | Connector modules | |
CA1100576A (en) | Testing circuit boards | |
US20140273605A1 (en) | Connector | |
US4797112A (en) | Wire holders and harnesses incorporating wire holders | |
EP0044387B1 (en) | Universal plug housing for a non solder, non screw and non strip system for testing,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conductor cords | |
US6089902A (en) | Miniature connector assembly, a miniature connector retrofit kit and a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
KR200206779Y1 (en)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
US4363941A (en) | Patch module | |
KR20020003662A (en) |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 |
US7052307B2 (en) | Modular jack having connecting cap | |
US466206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rientation of a coax cable having a ground termination bar | |
EP2755281A1 (en) | Connector | |
KR19980079457A (en) | Wire preparation tools | |
US4971572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6514094B1 (en) | Set of contact blades in a multiple connector strip for cable connectors, and multiple connector strip | |
US4615577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S62160672A (en) | Connector | |
KR100332489B1 (en) | A terminal block | |
KR102149225B1 (en) | Communication cable connection terminal | |
KR100510041B1 (en) | Modular Jack having connecting Cap | |
KR200231274Y1 (en) | Connector of phone terminal adopting rj45 modular-ty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UN2301 | Change of applicant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2000091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23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11026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1I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006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