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6263Y1 - 홀딩 도어의 구조 - Google Patents

홀딩 도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63Y1
KR200206263Y1 KR2020000018546U KR20000018546U KR200206263Y1 KR 200206263 Y1 KR200206263 Y1 KR 200206263Y1 KR 2020000018546 U KR2020000018546 U KR 2020000018546U KR 20000018546 U KR20000018546 U KR 20000018546U KR 200206263 Y1 KR200206263 Y1 KR 200206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door
holding
door body
coupling ho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8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전
Priority to KR2020000018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06B3/481Wings foldable in a zig-zag manner or bi-fold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홀딩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홀딩 도어 본체를 결합 시공할 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 일측에 결합홀(12)을 형성함과 아울러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 타측에 홀딩 도어 본체(10) 보다 강도가 저하되는 연결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3)의 단부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결합홀(12')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이부(14)를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홀딩 도어의 구조 {MEANS OF HOLDING DOOR}
본 고안은 홀딩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홀딩 도어는 건물내의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바닥면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 도어는 목재를 판상으로 성형하여 자연적인 미감이 가미되도록 하였으나 최근에는 목재 원료의 고갈과 원자재의 원가 상승 등으로 인해 홀딩 도어를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홀딩 도어는 압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종래의 홀딩 도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도어 본체(1)의 양측에 삽입홈(2)을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홀딩 도어 본체(1,1')를 연결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결봉(3)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홀딩 도어 본체(1,1')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홀딩 도어 본체(1)를 위치시킨 후 홀딩 도어 본체(1)의 삽입홈(2)에 연결봉(3)의 일단을 끼운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3)의 타단에 타 홀딩 도어 본체(1')의 삽입홈(2')을 끼우면서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2)에 연결봉(3)을 끼움과 동시에 연결봉(3)에 타 홀딩 도어 본체(1')의 삽입홈(2')을 끼움으로써 연속적인 홀딩 도어 본체(1,1')의 시공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삽입홈(2,2')에 연결봉(3)이 끼워진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고 지지되는 것이다.
그러자 상기한 홀딩 도어의 구조는, 홀딩 도어 본체(1,1')의 양측에 삽입홈(2,2')만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홀딩 도어 본체(1,1')의 연결 결합 작업시에 별도의 연결봉(3)을 구비하여 삽입홈(2,2')에 끼움을 통해 연결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홀딩 도어 본체를 결합 시공할 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홀딩 도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홀딩 도어 본체의 몸체 일측에 결합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몸체 타측에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에 걸이부를 형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것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사용상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10': 홀딩 도어 본체 11,11': 몸체
12,12': 결합홀 13,13': 연결부
14,14': 걸이부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 일측에 결합홀(12)을 형성함과 아울러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 타측에 홀딩 도어 본체(10) 보다 강도가 저하되는 연결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3)의 단부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결합홀(12')에 끼워져 걸림되는 걸이부(1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10')는 압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10')를 제작할 때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10')의 몸체(11,11')와 연결부(13,13') 및 걸이부(14,14')는 하나의 금형을 통해서 연결 성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금형에 몸체(11,11')와 걸이부(14,14')를 형성하기 위한 경질 합성수지 인입홀(미도시)을 형성함과 아울러 연결부(13,13')를 형성하기 위한 연질 합성수지 인입홀(미도시)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연질 합성수지는 경질 합성수지 보다 강도가 저하되므로 제작 완료된 상태에서 휘어짐이 원활한 플랙시블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3,13')를 플랙시블하게 형성하므로써 홀딩 도어 본체(10,10') 결합시에 각각의 홀딩 도어 본체(10,10')를 수평선상으로 위치시키지 않아도 그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3,13')의 단부에 후크식으로 형성하는 걸이부(14,14')는 적어도 한면이 만곡되게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 결합홀(12,12')에 끼울때는 만곡되는 부분을 통해서 용이하게 끼워지나 결합홀(12,12')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만곡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14,14')는 사각형상, 원형상, 삼각형상 등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홀딩 도어 본체(10,10')를 결합 시공할 때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의 결합홀(12)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걸이부(14')를 끼우는 것이다.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의 결합홀(12)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걸이부(14')를 끼울 때 플랙시블하게 형성된 연결부(13')가 휘어지게 됨으로써 결합홀(12)의 대향지점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를 대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홀(12)에 걸이부(14')를 위치시킨 후 타 홀딩 도어 본체(10')를 밀면서 결합할 수 있게 되어 결합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홀딩 도어 본체(10)의 결합홀(12)에 타 홀딩 도어 본체(10')의 걸이부(14')를 끼우게 되면 홀딩 도어 본체(10,10')의 시공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결합홀(12)에 걸이부(14')를 끼울때 연결부(13')가 원활하게 휘어짐으로써 연결부(13') 파손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12)에 끼워지는 걸이부(14')가 적어도 한면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어 끼워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홀(12)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이부(14')의 걸림에 의해서 홀딩 도어 본체(10,10')의 분리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상기 걸이부(14,14')를 사각형상, 원형상, 삼각형상 등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홀(12,12') 끼워질 때나 끼워진 후에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홀딩 도어 본체에 연결부와 걸이부를 형성함으로써 홀딩 도어 본체의 연결 결합시에 걸이부를 결합홀에 끼우게 되면 그 결합이 완료되게 되어 결합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홀딩 도어 본체의 연결부를 플랙시블하게 형성함으로써 결합홀에 걸이부를 끼울때 연결부가 파손되지 않게 되어 홀딩 도어 본체를 정상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 단부에 걸이부를 형성하여 결합홀에 끼울 때나 끼운후 각각의 홀딩 도어 본체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홀딩 도어 본체를 연결 결합할 때 별도의 연결봉을 구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3)

  1. 홀딩 도어 본체(10)의 몸체(11) 일측에 결합홀(12)을 형성함과 아울러 몸체(11) 타측에 연결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3)에 걸이부(14)를 형성한 홀딩 도어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를 플랙시블하게 형성한 홀딩 도어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14)는 적어도 한면이 만곡되게 형성한 홀딩 도어의 구조.
KR2020000018546U 2000-06-29 2000-06-29 홀딩 도어의 구조 KR200206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46U KR200206263Y1 (ko) 2000-06-29 2000-06-29 홀딩 도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8546U KR200206263Y1 (ko) 2000-06-29 2000-06-29 홀딩 도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63Y1 true KR200206263Y1 (ko) 2000-12-01

Family

ID=1966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546U KR200206263Y1 (ko) 2000-06-29 2000-06-29 홀딩 도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45668S1 (en) Concrete reinforcing rod chair
US20110085874A1 (en) Attachment device for plaster walls
USD454993S1 (en) Pet toy
KR200206263Y1 (ko) 홀딩 도어의 구조
US6959666B2 (en) Corner joint particularly for modular cages
DE69935911D1 (de) Verbinder für zwei vorrichtungen zur fertigbearbeitung der ecken einer wand in trockenbauweise
JP3989305B2 (ja) グレーチング
USD449114S1 (en) Resin building
KR200273590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의 결합구조
KR200213669Y1 (ko) 콘테이너박스 외벽구조
KR200231287Y1 (ko) 하우스용 비닐 사이딩 연결구조
CN214942035U (zh) 一种组合式装饰条
CN210164763U (zh) 一种膨胀栓
KR200143662Y1 (ko) 미장용 흙손의 손잡이 체결장치
SE0303421D0 (sv) A moulding
US20010048224A1 (en) Coupling for tubular elements arranged at right angles
JP3033021U (ja) 木製ブロック及び木製タイル
ITMI20000686U1 (it) Elemento di collegamento per divisori per la suddivisione del vano diun cassetto
KR200216217Y1 (ko) 건축용 판재
KR20080040174A (ko) 비닐하우스의 이형 파이프 연결용 소켓
JPS6015864Y2 (ja) 並設用板状体用連結具
KR102011332B1 (ko) 욕실용 수건걸이
KR920004000Y1 (ko) 조립식 장식블럭의 체결장치
KR101835086B1 (ko) 내외장 보드 결합구조, 그리고 그에 적용되는 내외장 보드 및 보드 결합용 브래킷
KR960002321Y1 (ko) 조립식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3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