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5619Y1 - 주사액 자동 주입기 - Google Patents

주사액 자동 주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619Y1
KR200205619Y1 KR2020000020932U KR20000020932U KR200205619Y1 KR 200205619 Y1 KR200205619 Y1 KR 200205619Y1 KR 2020000020932 U KR2020000020932 U KR 2020000020932U KR 20000020932 U KR20000020932 U KR 20000020932U KR 200205619 Y1 KR200205619 Y1 KR 200205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gas
chamber
liquid
syring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년
Original Assignee
김용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년 filed Critical 김용년
Priority to KR2020000020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619Y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0004212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65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61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 A61M5/155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using pressurised reservoirs, e.g. pressurised by means of pistons pressurised by gas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사액 자동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사액이 저장되는 주사기 몸체의 상부에 격벽에 의하여 상부실과 하부실로 나누어진 형태의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고, 서로간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고체물질과 액체물질을 상기 상부실과 하부실에 각각 내재시킨 후, 사용시 고체물질이 격벽을 뚫고 액체물질에 담겨지게 하는 동시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이때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되는 가스의 압에 의하여 주사기몸체의 피스톤이 일정한 속도로 전진되어, 주사기몸체내의 주사액이 일정시간내에 정속/정량으로 환자에게 배출 공급되도록 한 주사액 자동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주사액 자동 주입기{An automatic pouring apparatus of an injection}
본 고안은 주사액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으로서, 고체와 액체물질을 격막으로 분리시켜 놓고, 사용시 격막을 터트림에 따라 상기 고체와 액체물질이 혼합되어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탄산가스가 발생하는 바, 이 가스의 압력으로 주사액이 자동으로 정속/정량 배출되도록 한 주사액 자동 주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자들에게 일정량의 주사약액을 특정시간내에 주입시키고자 할때에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하여 자동주입기를 사용한다.
종래의 주사액 자동 주입기는 원형의 챔버(Chamber)내에 고무재의 탄력주머니가 부착된 구조로서, 탄력주머니에는 주사액을 주입하여 부풀어 오르게 하는 주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물고무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탄력주머니내의 주사액은 대기압에 의해 일시에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부착된 가느다란 튜브를 통하여 소량씩 배출되어 환자에게 공급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주사액 주입기는 탄력주머니의 두께와 밀도에 따라 탄성력이 일정치 못하고, 또한 탄력주머니의 주사액 최초 배출압력과 말기의 압력간의 편차가 커서 그 배출압력이 일정하지 않는 바, 주입되는 주사액의 유량 변동이 심한 단점이 있다.
또한, 탄력주머니의 제조시 균일하지 못한 두께로 탄성변동 및 미세한 구멍이 뚫린 불량품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불량품은 실제 사용시에 발견되어 정확한 량의 주사액을 주사하지 못하는 페단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소하고자 환자에게 일정시간내에 정량의 주사액을 정확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주사액 자동주입기(출원일:1999년 8월 31일, 특허출원번호: 제99-8037호)를 이미 출원한 바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출원된 상기 주사액 자동주입기를 개선하여, 소정의 하우징내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는 고체물질과 액체물질을 격벽을 사이에 두고 내재시킨 후, 사용시 고체물질이 격벽을 뚫고 액체물질에 담겨지게 하는 동시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도록 함에 따라, 이때 발생되는 가스의 압에 의하여 주사기몸체의 피스톤이 일정하게 전진되는 동시에 주사기 몸체내의 주사액이 일정시간내에 정속/정량으로 배출되도록 한 주사액 자동주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일정시간내에 정량의 주사액을 환자에게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어 주사액 자동주입기의 신뢰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 주입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 주입기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 주입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가압판
14 : 상부실 16 : 제1가스배출구
18 : 하부실 20 : 격벽
22 : 제2가스배출구 24 : 압력조절밸브
26 : 가스경유실 28 : 기체 통과성 박막
30 : 고체물질 32 : 액체물질
34 : 눈금 36 : 피스톤
38 : 주사기 몸체 40 : 주사기 배출구
42 : 튜브관 44 : 주사액 공급밸브
46 : 클램프 48 : 필터
50 : 주사바늘뭉치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주입기는:
상면에 가압판(12)이 누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부실(14)과, 바닥면에 제1가스배출구(16)가 형성된 하부실(18)과, 상기 상부실(14)과 하부실(18)을 나누어주는 격벽(20)과, 일측에는 상기 제1가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압력조절밸브(24)가 부착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압력조절밸브(24)와 연통되는 제2가스배출구(22)가 형성된 가스경유실(26)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상기 하부실(18)의 바닥면과 둘레면을 감싸며 부착된 기체통과성 박막(28)과; 상기 상부실(14)에 내재되는 고체물질(30)과; 상기 기체통과성 박막(28)에 의하여 밑으로 통과되지 않고 하부실(18)내에 채워지는 액체물질(32)과; 상기 가스경유실(26)의 제2가스배출구와 연통되며 일체로 형성되고, 피스톤(36)이 내설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주사액의 주입 및 배출량을 알려주도록 눈금(34)이 표시된 주사기몸체(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고체물질(30)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 60 중량%, KBr 20 ~ 40 중량% 및 알루미나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고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체물질(32)은 L-타르타르산(C4H6O6)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피스톤(36)의 하부 형상은 상기 주사기몸체(38)의 하부 배출구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을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주입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10은 주사기몸체(38)와 일체로 성형된 원통형의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10)은 크게 상부실(14)과 하부실(18), 그리고 상부실(14)과 하부실(18)을 나누어주며 일정한 압력에 의하여 찢어지는 격벽(20), 상기 하부실(18) 밑으로 형성된 일정공간의 가스경유실(26)로 구성되는 바, 각 구성부위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부실(14)의 상면 중앙부에는 원판형의 가압판(12)이 누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 60 중량%, KBr 20 ~ 40 중량% 및 알루미나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원판형의 고체물질(30)이 격벽(20)상에 놓여져 있다.
또한, 상기 격벽(20) 밑의 하부실(18)에는 그 둘레면과 바닥면에 걸쳐 기체통과성 박막(28)이 둘러싸여 있고, 기체통과성 박막(28) 밑의 바닥면 일정부위에는 제1가스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체통과성 박막(28)으로 둘려싸여 있는 상기 하부실(18)에는 액체물질(32) 즉, L-타르타르산(C4H6O6) 용액이 채워지게 되는데, 액체상태의 L-타르타르산(C4H6O6) 용액은 상기 기체통과성 박막(28)의 수밀작용으로 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실(18)의 밑으로는 소정 공간의 가스경유실(2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가스경유실(26)의 일측면에는 예를들어, 기준치를 초과하는 가스압을 배출시키는 압력조절밸브(24)가 상기 제1가스배출구와 연통되게 부착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는 역시 압력조절밸브(24)와 연통되는 제2가스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경유실(26)의 제2가스배출구(22) 밑으로는 상기 하우징(1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인 주사기 몸체(38)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주사기 몸체(38)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피스톤(36)이 내재되어 있고, 물론 하단끝에는 주사액 배출구(40)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주사기 몸체(38)의 표면에는 내부의 주사액의 잔량과 배출되는 량을 식별 가능하도록 ml단위의 눈금(34)이 새겨져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36)의 하부 형상과 주사기 몸체(38)의 배출구쪽 하부 형상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피스톤(36)이 하강하여 주사기몸체(38)의 배출구쪽에 꼭 맞도록 함으로써, 데드 체적(Dead volume)을 없애는 동시에 주사액이 남김없이 배출됨을 보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주사기 몸체(38)의 배출구(40)에는 통상적으로 일정길이의 튜브관(42)이 삽입 고정되는 바, 이 튜브관(42)의 일정부위에는 주사액을 상기 주사기 몸체(38)내로 공급하여주는 공급밸브(44)와, 튜브관(42)을 따라 흐르는 주사액의 흐름을 차단하여주는 클램프(46)와, 주사액내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48)가 부착되고, 튜브관(42)의 끝단에는 환자의 피부에 꼿을 수 있는 주사바늘뭉치(50)가 부착되어진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주사액 자동 주입기에 대한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 2와 3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튜브관(42)에 부착되어 있는 주사액 공급밸브(44)를 통하여 주사약액을 주입하면, 주사액이 상기 주사기 몸체(38)의 피스톤(36)을 위쪽으로 밀면서 주사기 몸체(38)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36)이 위쪽으로 밀리면서 피스톤(36) 위쪽 공간의 공기 압력은 상기 제2가스배출구(22)와 압력조절밸브(24)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사액은 주사기 몸체(38)내에 용이하게 채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사액을 주사기 몸체(38)내에 채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실(14)의 가압판(12)을 소정의 힘으로 가압시키면, 가압판(12)이 밑으로 밀리면서 그 내부의 고체물질(30)을 누르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체물질(30)은 격벽(20)을 찢으며 빠져나와, 하부실(18)내의 액체물질(32)에 담겨지게 되는 동시에 액체물질(32)내에서 발포되며 서로간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가스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가스발생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체물질(30)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 60 중량%, KBr 20 ~ 40 중량% 및 알루미나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고체 혼합물로서, 상부실(14)을 빠져나와 하부실(18)의 L-타르타르산(C4H6O6) 용액에 담겨지면 L-타르타르산 용액과 서로간에 화학적 반응을 함으로써 이산화탄소(CO2) 기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의 이산화탄소 가스의 발생 압력은 5-14PSI(0.35kg/㎠ - 0.97kg/㎠ )이고, 상기한 고체물질(30)과 및 액체물질(32)간의 화학반응을 보다 구체화하여 나타내면 다음 반응식 1과 같다.
2NaHCO3 + C4H6O6 → Na2C4H4O6 + 2H2O + 2CO2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발생된 이산화탄소 가스는 하부실(18)에 둘러싸여 있는 가스통과성 박막(28)으로 빠져나가고, 빠져나간 가스는 하부실(18) 바닥면에 형성된 제1가스배출구(16)를 통하여 가스경유실(26)의 압력조절밸브(24)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밸브(24)로 빠져나가는 이산화탄소가스의 배출 압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5 - 14PSI(0.35kg/㎠ - 0.97kg/㎠ )압력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0.35 - 0.97kg/㎠의 배출 압력을 갖는 이산화탄소 가스는 상기 압력조절밸브(24)를 빠져나와 가스경유실(26)의 바닥면에 연통되게 형성된 상기 제2가스배출구(22)를 경유하여 주사기 몸체(38)내로 빠져나가게 된다.
예를들어,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가 최대 0.97kg/㎠ 이상의 높은 압력으로 압력조절밸브로 유입되면 0.97kg/㎠의 압력만큼은 상기와 같이 제2가스배출구(22)를 통하여 빠져나가고, 나머지 초과 압력은 상기 압력조절밸브(24)에서 제어되어 외부로 방출되어진다.
이에따라, 상기 이산화탄소 가스는 압력조절밸브(24)를 경유함에 따라, 상기 제2가스배출구(22)를 통하여 주사기 몸체(38)내로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되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2가스배출구(22)를 통하여 주사기 몸체(38)로 빠져나간 이산화탄소 가스는 주사기 몸체(38)내의 피스톤(36)을 밑으로 밀게 되는 바, 이때 상기 피스톤(36)은 항상 일정한 가스압력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피스톤(36)이 밑으로 밀리면서 주사기 몸체(38) 내부의 주사액이 주사기 몸체(38)의 하단끝에 형성된 배출구(40)를 통하여 배출되는데, 이때 피스톤(36)의 일정한 이동량에 따라 주사액도 항상 정속/정량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주사기 몸체(38)의 배출구(40)를 통하여 배출된 주사액은 상기 튜브관(42)을 따라 튜브관(42) 끝에 부착된 주사바늘뭉치(50)의 주사바늘로 최종 배출되어 환자에게 공급된다.
이에따라, 환자에게 항상 일정한 시간동안 정속/정량의 주사액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튜브관(42)을 따라 흐르는 주사액을 일시적으로 차단하고자 할때에는 상기 클램프(46)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튜브관(42)을 조여줌으로써, 주사액의 흐름을 일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튜브관(42)상에 부착된 상기 필터(48)에서 혹시라도 섞여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게 된다.
또한, 환자는 주사액을 주입받으면서 주사기 몸체(38)의 표면에 새겨진 잔량 및 배출량 표시 눈금(34)을 통하여 주사액의 공급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사액 자동주입기에 의하면 고체물질과 액체물질간의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되는 가스의 압에 의하여 주사기 몸체의 피스톤이 일정한 속도로 전진되도록 함으로써, 주사기 몸체내의 주사액을 환자에게 일정 시간내에 항상 정속/정량으로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에게 항상 일정 시간동안 정속/정량의 주사액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주사액 자동공급기의 제품 신뢰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주사기몸체의 표면에 새겨진 눈금을 통하여 환자가 주사액의 정량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주사액의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궁금해하는 환자의 불안한 심정을 안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면에 가압판(12)이 누름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된 상부실(14)과, 바닥면에 제1가스배출구(16)가 형성된 하부실(18)과, 상기 상부실(14)과 하부실(18)을 나누어주는 격벽(20)과, 일측에는 상기 제1가스배출구와 연통되는 압력조절밸브(24)가 부착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압력조절밸브(24)와 연통되는 제2가스배출구(22)가 형성된 가스경유실(26)로 이루어진 하우징(10)과;
    상기 하부실(18)의 바닥면과 둘레면을 감싸며 부착된 기체통과성 박막(28)과;
    상기 상부실(14)에 내재되는 고체물질(30)과;
    상기 기체통과성 박막(28)에 의하여 밑으로 통과되지 않고 하부실(18)내에 채워지는 액체물질(32)과;
    상기 가스경유실(26)의 제2가스배출구(22)와 연통되며 일체로 형성되고, 피스톤(36)이 내설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주사액의 주입 및 배출량을 알려주도록 눈금(34)이 표시된 주사기몸체(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자동주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물질(30)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 20 ~ 60 중량%, KBr 20 ~ 40 중량% 및 알루미나 20 ~ 40 중량%로 이루어진 고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자동주입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물질(32)은 L-타르타르산(C4H6O6)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자동주입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36)의 하부 형상은 상기 주사기 몸체(38)의 하부 배출구쪽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자동 주입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물질과 액체물질의 화학적 반응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가스의 배출압력은 5 - 14PSI(0.35kg/㎠ - 0.97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액 자동 주입기.
KR2020000020932U 1999-08-31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05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932U KR200205619Y1 (ko) 1999-08-31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037 1999-08-31
KR2020000020932U KR200205619Y1 (ko) 1999-08-31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KR1020000042128A KR100365163B1 (ko) 2000-07-22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128A Division KR100365163B1 (ko) 1999-08-31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619Y1 true KR200205619Y1 (ko) 2000-12-01

Family

ID=27349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93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5619Y1 (ko) 1999-08-31 2000-07-22 주사액 자동 주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6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577B1 (ko) * 2001-11-02 2005-02-22 김용년 액체공급장치
US6964356B2 (en) 2000-07-22 2005-11-15 Yong-Nyun Kim Liquid supply apparatus
US7475797B2 (en) 2002-02-08 2009-01-13 E-Wha Fresenius Kabi Inc. Liquid supply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4356B2 (en) 2000-07-22 2005-11-15 Yong-Nyun Kim Liquid supply apparatus
KR100472577B1 (ko) * 2001-11-02 2005-02-22 김용년 액체공급장치
US7475797B2 (en) 2002-02-08 2009-01-13 E-Wha Fresenius Kabi Inc. Liquid suppl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9874A (en) Infusion device
KR900005691B1 (ko) 급속 탄산화장치 및 방법
RU2261700C2 (ru) Образование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го вспен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 микропузырьками газа
US5186805A (en) Electrolytic dispensing device
KR101554810B1 (ko) 삼투압 약물주입펌프
KR100365163B1 (ko) 주사액 자동 주입기
KR20060121915A (ko) 거품을 주입하기 위한 기구 및 방법
AU2007336023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apeutic foam
RU9512270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GB1602158A (en) Device for supplying a medicinal liquid to a human or animal body
DE3378494D1 (en) Method of for monitoring concentration of gas in a liquid
US20060255063A1 (en) Device for the dosed delivery of a fluid
IE811437L (en) Monitoring the concentration of gas in a liquid
KR200205619Y1 (ko) 주사액 자동 주입기
KR101051367B1 (ko) 미세폭기장치
KR101857730B1 (ko) 내부압력 조절이 가능한 약액주입장치
KR100472577B1 (ko) 액체공급장치
KR102284875B1 (ko) 오토 드립 챔버
KR100318135B1 (ko) 기압차에의한수액주입방법및그장치
WO2004089441A1 (en) A device, cartridge and method for solving powder in liquid, when manufacturing a dialysis fluid
JPH06154320A (ja) 薬液注入器具
JPH0194859A (ja) 液体を連続して微量注入する装置
KR102018909B1 (ko) 약액주입장치에 사용되는 기체포집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약액주입장치
KR100484527B1 (ko) 약품의 미세주입이 가능한 볼 진동형 약품주입장치 및이를 포함하는 간이상수도시설
SU961971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разовани полостей в издели х из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2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7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