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5437Y1 - 식기세척용 수세미 - Google Patents

식기세척용 수세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437Y1
KR200205437Y1 KR2020000015401U KR20000015401U KR200205437Y1 KR 200205437 Y1 KR200205437 Y1 KR 200205437Y1 KR 2020000015401 U KR2020000015401 U KR 2020000015401U KR 20000015401 U KR20000015401 U KR 20000015401U KR 200205437 Y1 KR200205437 Y1 KR 200205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sides
hole
sponge
dish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마미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마미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마미손
Priority to KR2020000015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를 스폰지와 합성수지 부직포로 접착하되, 수세미 중앙 양측으로 구멍을 형성하므로서 파지하기 편리함은 물론, 선별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식기세척후 건조시 구멍으로도 공기순환이 진행되어 빠르게 건조되므로 세균증식의 염려가 없으며, 씽크대의 고리에 걸어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서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의 상단에 스폰지, 하측에 합성수지 부직포를 접착시켜 일체로된 수세미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관통되게 구멍을 형성하여서 결합된 식기세척용 수세미로서,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하는 식기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인데,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의 상단은 스폰지를, 하단은 합성수직 부직포로 일체가 되도록 접착시키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구멍을 형성한 것으로서, 세척시 굴곡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형상이므로 파지하기가 편리함은 물론, 식기의 종류나 세척할 내용물에 따라 간편하게 스폰지나 합성수지 부직포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식기세척후 건조시 외부공기에 의해 수세미가 외부면으로부터 건조됨과 동시에 중앙에 형성된 양측 구멍 주위로부터도 건조가 신속히 되므로 세균증식의 염려가 없고, 씽크대의 받침대에 안착시키지 않고 고리에 수세미의 구멍을 이용하여 걸어 보관할 수 있어 매우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식기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용 수세미{SPONGE FOR WASHING DISHES}
본 고안은 식기 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의 상단에는 스폰지를, 하단은 합성수지 부직포를 일체로 접착 시키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구멍을 형성한 것으로서, 파지시 굴곡부를 잡고 세척 작업을 할 수 있어 편리하고, 세척후 건조시 수세미 외부면부터 건조되므로 중앙의 두개의 구멍 주위로도 건조가 되므로 빠른 건조로 인한 세균증식의 염려가 없으며, 씽크대 받침대에 안착시키지 않고 구멍을 이용하여 고리에 걸어 줄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식기세척용 수세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수세미는 여러 종류가 있었지만, 보통 내부에 스폰지나 솜등의 심재를 넣고 외부면에 2 장의 부직포지를 겹쳐서 그 주연단부를 봉착시켜서된 수세미를 사용하고 있으나, 사용중 봉착된 주연단부의 실이 손쉽게 파손되어 사용이 불편하여 못쓰게 되는 폐단이 있음은 물론, 식기의 종류나 세척할 내용물에 대한 구분이 없이 부직포로만 세척해야 하므로 식기에 흠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식기세척후 건조시 수세미의 물기를 대충 제거한 상태로 씽크대의 받침대에 안착시켜 건조시켰으나 외부의 공기만으로 건조되는 수세미의 경우 공기에 노출되는 외부면만 건조되는 실정이므로 내부의 스폰지나 솜등의 심재가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계속 세척 및 건조가 진행되어 세균증식의 원인이 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점등이 있었고, 특히 받침대에 안착되는 수세미의 바닥면은 항상 물기가 잔존하여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를 스폰지와 합성수지 부직포로 접착하되, 수세미 중앙 양측으로 구멍을 형성하므로서 파지하기 편리함은 물론, 선별하여 세척할 수 있으며, 세척후 건조시 구멍으로도 공기순환이 진행되어 빠르게 건조되므로 세균증식의 염려가 없으며, 씽크대의 고리에 걸어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서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양측으로 굴곡부가 형성된 수세미의 상단에는 부직포를, 하단은 합성수지 부직포를 일체로 접착시키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구멍을 형성하여서 결합된 식기세척용 수세미로서, 세척시 굴곡부가 양측으로 형성되어 파지하기 편리함은 물론, 식기의 종류나 세척할 내용물에 따라 스폰지와 합성수지 부직포 면을 선별하여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식기세척후 수세미의 건조시 씽크대의 받침대에 안착시켜놓으면 외부공기에 의해 수세미가 외부면으로 부터 건조됨과 동시에 중앙 양측의 구멍 주위로 부터도 건조가 진행되므로 신속하게 건조되어 세균증식을 막아줌은 물론, 씽크대의 고리에 수세미의 구멍을 이용하여 걸어서 보관 할 수 있어 신속한 건조와 위생적으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보관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폰지 2 : 합성수지 부직포 3, 3' : 구멍
10 : 수세미 11, 11' : 굴곡부
양측으로 굴곡부(11)(11')가 형성된 수세미(10)의 상단에는 스폰지(1)를, 하단에는 합성수지 부직포(2)를 일체로 접착하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구멍(3)(3')을 형성하여 결합된 식기세척용 수세미의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 100 ' 은 씽크대 이고, ' 110 ' 은 받침대 이며, ' 120 ' 은 고리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세미(10)의 양측면으로 각각 굴곡부(1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스폰지(1)를 하단에는 합성수지 부직포(2)를 일체로 접착하되, 중앙 양측으로 구멍(3)(3')을 각각 형성한 것인데, 식기세척시 수세미 (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굴곡부(11)(11')를 간편하게 파지한후, 스폰지(1)에 세제나 비누를 묻힌다음 사용하되, 식기의 종류나 세척할 내용물에 따라 스폰지(1)나 합성수지 부직포(2)면을 선택하여 식기를 세척해 주면 되는 것이다.
또, 세척후 보관시 씽크대(100)의 받침대(110)에 수세미(10)를 안착시켜 외부공기에 의해 수세미(10)의 외부면과 양측 구멍(3)(3')의 주위로 부터 건조시키는 것이고, 씽크대(100)의 고리(120)에 수세미(10)를 걸어줄 경우 수세미(10)의 양측 구멍(3)(3')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리(120)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건조가 편리한 것이다.
또한, 도 5 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상의 수세미(10') 상단에 스폰지(1)와 하단에 합성수지 부직포(2)를 결합하되, 중앙 양측에 구멍(3)(3')을 형성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사용하며, 고리(120)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식기세척용 수세미는 수세미(10) 양측에 굴곡부(11) (11')가 형성되어 세척작업시 수세미(10)를 파지하기 간편함은 물론, 세척후 씽크대(100)의 받침대(110)상에서 건조시 중앙 양측으로 구멍(3)(3')이 형성 되어 있으므로 외부공기에 의해 수세미(10) 외주면과 구멍(3)(3') 주변으로부터 신속히 건조가 되므로 세균증식의 염려가 없으며, 특히, 수세미(10) 중앙 양측에 형성된 구멍(3)(3')을 이용하여 씽크대(100)의 고리(120)에 걸어두면 건조 및 보관이 편리하여 매우 위생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식기의 종류나 세척할 내용물에 따라 스폰지(1)나 합성수지 부직포(2)를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는 고안인 것이다.
또, 도 5 에서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사각형상의 수세미(10') 상단에 스폰지(1)와 하단에 합성수지 부직포(2)를 결합하되, 중앙 양측에 구멍(3)(3')을 형성하므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가 신속히 되어 세균증식 염려가 없는 등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양측으로 굴곡부(11)(11')가 형성된 수세미(10)의 상단에는 스폰지(1)를, 하단에는 합성수지 부직포(2)를 일체로 접착하되, 중앙 양측으로 각각 구멍(3)(3')을 형성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용 수세미.
KR2020000015401U 2000-05-31 2000-05-31 식기세척용 수세미 KR200205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01U KR200205437Y1 (ko) 2000-05-31 2000-05-31 식기세척용 수세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01U KR200205437Y1 (ko) 2000-05-31 2000-05-31 식기세척용 수세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437Y1 true KR200205437Y1 (ko) 2000-12-01

Family

ID=1965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01U KR200205437Y1 (ko) 2000-05-31 2000-05-31 식기세척용 수세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4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43U (ko) * 2015-12-28 2017-07-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102575862B1 (ko) * 2023-04-13 2023-09-07 이재오 비누수세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443U (ko) * 2015-12-28 2017-07-0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200485317Y1 (ko) * 2015-12-28 2017-12-21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102575862B1 (ko) * 2023-04-13 2023-09-07 이재오 비누수세미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932119A (en) Utility holder
HU225180B1 (en) Mop wringing device
US8336156B1 (en) Baby bottle microfiber drying wand
US2931514A (en) Support for dish cloth
KR200205437Y1 (ko) 식기세척용 수세미
KR101802208B1 (ko) 발 세척 매트
CN220713183U (zh) 一种化妆刷清洁晾晒收纳盒
KR101620984B1 (ko) 다용도 목욕타올 겸용 수세미
KR101992684B1 (ko) 수세미 장갑
KR101983914B1 (ko) 드라이 수세미
KR200485317Y1 (ko) 수세미 걸이를 갖는 주방세제 용기
KR200463110Y1 (ko) 컵 닦이용 수세미
KR101342233B1 (ko) 용기 보관형 수세미 어셈블리
JPH0722201Y2 (ja) 食器乾燥機
CN204445563U (zh) 蔬菜水果滤篮
KR200479737Y1 (ko) 건조대
KR20120005103U (ko) 행주걸이가 부착된 식기건조대
KR200258670Y1 (ko) 위생컵
NL2002439C2 (nl) In vaatwasmachine te zetten schotelvormig object met vaatdoek.
JP3218158U (ja) 掴み具とそれを備えた洗浄乾燥具
JP2006087647A (ja) 脚付摺洗具
AU2001100472A4 (en) Sponge holder device
US20250075851A1 (en) Object Holding Device
KR200316714Y1 (ko) 흡착판을 이용, 보관하는 주방용 수세미
KR200351059Y1 (ko) 손가락 끼움부가 형성된 수세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7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1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