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5297Y1 - 집게형 클립 - Google Patents

집게형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297Y1
KR200205297Y1 KR2020000017802U KR20000017802U KR200205297Y1 KR 200205297 Y1 KR200205297 Y1 KR 200205297Y1 KR 2020000017802 U KR2020000017802 U KR 2020000017802U KR 20000017802 U KR20000017802 U KR 20000017802U KR 200205297 Y1 KR200205297 Y1 KR 200205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opening
present
tongs
elastic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봉
Original Assignee
안병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봉 filed Critical 안병봉
Priority to KR2020000017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2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29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8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with symmetrical generally U-shaped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42F1/04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 B42F1/06Paper-clips or like fasteners metallic of flat cross-section, e.g. made of a piece of metal sheet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개구부 또는 리브가 형성된 집게부를 구비한 집게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집게형 클립은 집게몸체(200)의 소정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부(210)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210)는 또한 전방 삽입구(206)측으로 개방되어져도 좋다. 또한, 이 집게형 클립은 집게몸체의 3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을 따라 보강용 리브(22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집게형 클립의 제공으로 집게형 클립의 제조시에 집게부의 탄력을 조절함이 용이해지고, 서류의 표리면을 변색시키는 몸체내부를 도장할 수 있으므로 몸체 내부의 부식을 방지하고, 보다 얇은 판재사용이 가능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게형 클립{Clip}
본 고안은 집게형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게몸체의 내부 도색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집게몸체의 모양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몸체의 일부를 여러가지로 개구시킨 집게형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는 집게형 클립(200)은 첨부 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체를 절곡하여 양측이 개방된 삼각단면의 집게몸체(200)을 이루고, 집게몸체(200)의 상하면에는 소정 형태로 절곡된 누름부재(100)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다.
누름부재(100)는 경질 와이어를 판면에 납작하게 부착가능하고, 손가락으로 누르기에 적당한 소정형태로 절곡되며, 그 양끝은 서로 반대로 벌려져 수평을 이룬다. 이 수평으로 벌려진 부분을 힌지핀(102)이라한다.
집게몸체(200)는 삼각단면중 상,하면을 이루면서 상기 누름부재(100)가 각각 고정되는 집게부(202)와, 이 집게부(202)에 소정의 탄력을 주기 위하여 상,하면과 연결되어 삼각단면중 한면을 형성하는 탄력발생부(204)로 이루어진다.
상,하 집게부(202)는 서류를 집기 위하여 열리는 경우 삽입구(206)를 형성한다. 이 삽입구(206)쪽은 둥글게 말아올려지고 중간부분이 절취된 힌지부(208)가 상,하 집게부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 상,하 힌지부(208)에는 상기 누름부재(100)의 힌지핀(102)이 끼워진다.
따라서 집게몸체(200)의 상,하 누름부재(100)를 집게부(202)면에 맞게 지지한 상태에서 두손가락으로 누르면 탄력발생부(204)는 안쪽으로 휘어지면서 삽입구(206)가 열린다. 집게부(202)의 벌림정도는 탄력발생부의 휨강도에 의하여 좌우된다.
이와같은 종래 일반적인 집게형 클립은 다음과 같은 점들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첫째, 집게몸체의 제조과정에서 삼각단면의 판체 절곡공정중 그 내부면의 도색이 어렵다.
즉, 내부면이 도색되지 않으면 서류를 집은 상태에서 집게몸체의 내부 부식가루가 묻어 집은 부분이 누렇게 변색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판체 절곡전에 도색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절곡과정에서 바이스에 의한 지지자국이 남아 재 도색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추가하게 되고, 원가상승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외부도색후에도 내부도색이 가능한 제조공정에 유리한 구조가 필요하다.
둘째, 상기와 같은 종래 집게형 클립은 다양한 사이즈별로 탄력이 대응하여야 한다. 탄력의 발생은 탄력발생부(204)의 내측 휨강도가 좌우하므로 집게몸체 설계시에는 삽입구 벌림압력과, 사이즈에 비례하는 적절한 판체의 두께와 탄력발생부의 폭등을 설계조건으로 고려하게 된다. 이와같은 설계조건을 갖추고도 집게형 클립의 제조단가를 낮추고 생산공정을 단순화함이 필요로 된다.
예를들면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집게몸체의 가공에 필요한 판체재료를 줄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이는 판체 재료를 보다 얇게 하거나 일부를 개구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러나 판체재료가 얇아지거나 일부를 개구하는 경우 약화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수단도 요구된다.
본 고안은 집게몸체 공정과정에서 일일이 내면부분의 도색을 하지 않고도 간단히 제조공정말기에 간단히 내부 도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집게몸체의 가공에 필요한 재료를 감소시켜 원가를 줄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외형적으로도 기존의 것에 비하여 개선된 디자인의 집게형 클립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알려진 집게형 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2,제 3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e들은 본 고안 상기 실시예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한 경우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누름부재 102:힌지핀
200:집게몸체 202:집게부
204:탄력발생부 206:삽입구
208:힌지부 210,212,214:개구부
220:리브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집게형 클립에 있어서, 집게몸체의 소정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구멍으로 하거나, 전방 삽입구측으로 개방되거나, 탄력발생부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개구부의 형성으로 집게몸체의 약회된 휨강도를 집게몸체의 3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을 따라 형성된 보강용 리브로서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개구부의 구성은 집게내면의 부식방지를 위한 도색시에 편리하며, 특히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판체를 사용하여 탄력이 누름부재의 누름력보다 강한 경우에 누름면 혹은 탄력발생면중 적당한 위치를 개구함에 의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200)은 판체를 절곡하여 양측이 개방된 삼각단면의 집게몸체(200)을 이루고, 집게몸체(200)의 상하면에는 소정 형태로 절곡된 누름부재(100)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누름부재(100)는 경질 와이어를 판면에 납작하게 부착가능하고, 손가락으로 누르기에 적당한 소정형태로 절곡되며, 그 양끝은 서로 반대로 벌려져 수평을 이룬힌지핀(102)을 형성한다.
집게몸체(200)는 삼각단면중 상,하면을 이루면서 상기 누름부재(100)가 각각 고정되는 집게부(202)와, 이 집게부(202)에 소정의 탄력을 주기 위하여 상,하면과 연결되어 삼각단면중 한면을 형성하는 탄력발생부(204)로 이루어진다.
상,하 집게부(202)는 서류를 집기 위하여 열리는 경우 삽입구(206)를 형성한다. 이 삽입구(206)쪽은 둥글게 말아올려지고 중간부분이 절취된 힌지부(208)가 상,하 집게부 선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 상,하 힌지부(208)에는 상기 누름부재(100)의 힌지핀(102)이 끼워진다.
또한 집게부(202)의 판면에는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구부(210)를 형성한다. 이 개구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형, 타원형 혹은 사각형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고, 도 5a 혹은 도 5b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두개의 원형공이 겹쳐진 형태 혹은 5개의 원형구멍이 겹쳐진 형태의 구멍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4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집게몸체(200)의 개구부(212)는 첨부 도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집게부(202)의 전방을 향하여 삽입구(206)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5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집게몸체(200)는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탄력발생부(204)의 탄력을 줄이기 위하여 개구부(214)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은 개구부(214)는 상기 개시하거나 후술하는 모든 형태의 집게몸체(200)의 탄력발생부(204)에 적용가능하다.
첨부 도면중 도 8은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제 6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집게형 클립의 집게몸체(200)는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하 집게부(202)와 탄력발생부(204)에 걸쳐 리브(220)를 실시한다. 이 리브(220)는 탄력발생부(204)의 휨(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집게몸체(200)에 적용된 리브는 첨부 도면 도 9a 내지 도 9e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모든 실시예들의 집게형 클립에 결합하여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9a 내지 도 9c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한개 혹은 한개 이상의 개구부(210)가 형성된 집게부(202)에 리브(220)를 결합하여 실시할 수 있고, 도 9d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개구부(212)가 형성된 집게부(202)에 실시 할 수 있고, 또한, 도 9e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214)가 형성된 탄력발생부(204)에 리브(220)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같은 개구부(210)(212)(214) 및 리브(220)의 실시형태는 본 고안이 개시하는 형태외에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가능하며 그것들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집게형 클립의 집게몸체를 통하여 집게부 혹은 탄력발생부에 각각 일부를 절취함으로써 재료를 절감함은 물론 그 내부면에 부식방지용의 도색이 가능하여 사용중 발생되는 부식가루로 인한 서류변색등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와같은 개구부의 형성은 제조공정중 혹은 그 후에 발생하는 집게부의 손가락 누름력에 대응하는 탄력의 조절이 가능한 효과도 얻는다.
또한 집게몸체 가공에 필요한 판체재료를 절감하여 제조단가를 낮추게 되는 효과도 있으며, 집게몸체의 일부를 개구하거나 판체를 얇게 함에 따라 판체의 강도가 낮은 경우 리브들을 형성함으로써 판체의 휨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집게부에 형성된 다양한 개구부로 인하여 종래 알려진 집게형 클립에 비하여 외관상의 개선된 디자인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5)

  1. 집게형 클립에 있어서,
    집게몸체의 소정위치에 개구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클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전방 삽입구측으로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클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탄력발생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클립.
  5. 제 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몸체의 3면중 적어도 어느 한면을 따라 보강용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클립.
KR2020000017802U 2000-06-22 2000-06-22 집게형 클립 Expired - Fee Related KR200205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02U KR200205297Y1 (ko) 2000-06-22 2000-06-22 집게형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802U KR200205297Y1 (ko) 2000-06-22 2000-06-22 집게형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297Y1 true KR200205297Y1 (ko) 2000-12-01

Family

ID=1966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80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5297Y1 (ko) 2000-06-22 2000-06-22 집게형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2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72U (ko) 2015-11-20 2017-05-30 윤범종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WO2017150880A1 (ko) * 2016-03-02 2017-09-08 최중경 사무용 클립
KR102222907B1 (ko) 2019-10-22 2021-03-03 김서진 서류 구분 고정 클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872U (ko) 2015-11-20 2017-05-30 윤범종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WO2017150880A1 (ko) * 2016-03-02 2017-09-08 최중경 사무용 클립
KR101841338B1 (ko) * 2016-03-02 2018-05-04 최중경 사무용 클립
KR102222907B1 (ko) 2019-10-22 2021-03-03 김서진 서류 구분 고정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676B2 (en) Buckle
US5625931A (en) Resilient clamp
DE69939946D1 (de) Gewebe-befestigungselement und dessen einsetzwerkzeug
DE2009714A1 (de) Aufgeschnittene Buchse für eine runde Wandöffnung
DE60129429T2 (de) Türgriff für ein Kraftfahrzeug
US10414198B2 (en) Double clip
US20010010791A1 (en) Nut assembly with pivotable nut
KR200205297Y1 (ko) 집게형 클립
DE10217333A1 (de) Flachmutteraufbau
US5930900A (en) Scissors
JP2003235971A (ja) チューブ開閉クランプ
US4569505A (en) Clip removing forceps
JPH05508094A (ja) 折り畳み式留め金
KR100510275B1 (ko) 커넥터 단자
USD429130S (en) Wire insertion impact tool
JPH0825866A (ja) バインダークリップ
HK1040892A1 (en) Articulated bracelet with limited bending
US20070074610A1 (en) Circlip pliers
KR920004129Y1 (ko) 주방용 집게
DE19745532A1 (de) Elektrischer Buchsenkontakt
JP2687272B2 (ja) 薄肉ヒンジの構造
US20050098193A1 (en) Hollow cylinder toothpick
KR100430963B1 (ko) 머리핀
KR920008289Y1 (ko) 카렌더홀더용 고리
KR200236155Y1 (ko) 금속제집게용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9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9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