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2760Y1 -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 Google Patents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760Y1
KR200202760Y1 KR2020000013343U KR20000013343U KR200202760Y1 KR 200202760 Y1 KR200202760 Y1 KR 200202760Y1 KR 2020000013343 U KR2020000013343 U KR 2020000013343U KR 20000013343 U KR20000013343 U KR 20000013343U KR 200202760 Y1 KR200202760 Y1 KR 200202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d
ornament
hair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3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김장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환 filed Critical 김장환
Priority to KR20200000133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76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장신구 패드에 클립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부착되어 지고, 머리카락을 보다 긴밀하게 고정하여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머리핀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을 표면으로 큐빅과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고, 배면에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는 장신구 패드와,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 일측으로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의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부착되는 힌지고정구와, 그 타측으로 상기 클립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부착되는 체결고정구로 구성된 통상적인 머리핀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구는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일단부가 개방된 끼움부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의 양측으로 각각의 유동방지편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고정구는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체결돌기와 다수의 지지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a fixer to couple a clip with a pad of the hair pin}
본 고안은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장신구 패드에 클립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부착되어 지고, 머리카락을 보다 긴밀하게 고정하여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머리핀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 중의 하나인 머리핀은 종래 그 착용자의 머리카락을 단정하게 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주된 목적과 함께 근래에 들어서는 그 착용자의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장신구로서 크게 각광을 받는 시점에 이르러 다양한 형태의 머리핀 등이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머리핀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머리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표면으로 큐빅과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고, 배면에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는 장신구 패드(50)와,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 일측으로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60)의 일측이 삽입고정되는 삽입홈(72)과 부착면(74)이 형성되어 부착되는 힌지고정구(70)와, 그 타측으로 상기 클립(60)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체결돌기(82)와 부착면(84)이 형성되어 부착되는 체결고정구(8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고정구(70)와 체결고정구(80) 사이에는 다수의 지지돌기(92)가 형성된 지지구(90)가 부착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머리핀(100)에 있어서는 첫째, 상기 힌지고정구(70)의 삽입홈(72)으로 클립(60)의 일측을 삽입한 후, 접착면(74)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부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착면(74)으로 도포된 접착제가 삽입홈(72)을 타고 그 삽입된 클립(60)의 일측을 삽입홈(72)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부착시킴에 따라 클립(60)이 유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여 제작상에 많은 손실을 발생시켰다.
또한, 상기 힌지고정구(70)를 상기 장신구 패드(50)에 접착하는 과정에서 힌지고정구(70)의 삽입홈(72)이 장신구 패드(50)의 배면과 직교되도록 부착되어 지는 관계로, 전술한 접착제의 인입에 따른 클립(6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하여 힌지고정구(70)의 높이를 높게 하게 되는 데, 이때 체결고정구(80)의 높이 또한 높아지게 되어 클립(60)과 장신구 패드(50)의 배면 간의 이격거리가 크게 형성되어 그 사이로 위치하는 머리카락이 긴밀하게 고정되지 않아 쉽게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힌지고정구(70)의 접착면(74)이 삽입홈(7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할되어 있는 관계로, 접착력이 저하됨은 물론 부착시 정확한 위치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또,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과 클립(60) 사이에 위치한 머리카락을 지지하는 것은 상기 힌지고정구(70)와 체결고정구(80) 사이 중간부분에 부착된 다수의 지지돌기(92)가 형성된 지지구(90)에 의해서만 지지됨에 따라 그 지지구(90)를 중심으로 머리핀(100)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편심되게 고정되어 착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장신구 패드에 클립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부착되어 지고, 머리카락을 보다 긴밀하게 고정하여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머리핀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표면으로 큐빅과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고, 배면에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는 장신구 패드와,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 일측으로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의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부착되는 힌지고정구와, 그 타측으로 상기 클립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부착되는 체결고정구로 구성된 통상적인 머리핀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구는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일단부가 개방된 끼움부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의 양측으로 각각의 유동방지편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고정구는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체결돌기와 다수의 지지돌기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 머리핀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힌지고정구
12,22 : 접착플랜지 14 : 끼움부
16 : 유동방지편
20 : 체결고정구
24 : 체결돌기 26,92 : 지지돌기
50 : 장신구 패드
60 : 클립
90 : 지지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으로 큐빅과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고, 배면에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는 장신구 패드(50)와,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 일측으로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60)의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부착되는 힌지고정구와, 그 타측으로 상기 클립(60)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부착되는 체결고정구로 구성된 통상적인 머리핀(100)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힌지고정구(10)를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12)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일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클립(60)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14)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14)의 양측으로 끼워진 클립(60)의 일측이 유동되지 않도록 각각의 유동방지편(16)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고정구(20)는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22)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상기 클립(60)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체결돌기(24)와 그 내측으로 머리카락을 지지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돌기(26)를 일체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에서, 끼움부(14)는 인입부 측이 좁고 내주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하여 클립(60)의 일측이 끼워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지나, 보다 큰 고정력을 갖도록 상기 끼움부(14)의 상단을 일반적인 가열수단에 의하여 끝단이 상호 융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고정구(10)와 체결고정구(20) 사이의 중간에는 일반적인 다수의 지지돌기(92)가 형성된 지지구(90)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구성에서 먼저, 장신구 패드(50)의 배면 일측으로 힌지고정구(10)의 접착플랜지(12)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고, 그 접착된 타측면으로 형성된 끼움부(14)에 클립(60)의 일측을 끼워 조립한 후,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갖도록 상기 끼움부(14)의 상단을 일반적인 가열수단을 사용하여 상호 융착시킨 다음 상기 힌지고정구(10)의 타측으로 체결고정구(20)의 접착플랜지(22)를 이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각 고정구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고정구(10)와 체결고정구(20) 사이의 중간 부분에는 다수의 지지돌기(92)가 형성된 지지구(90) 또한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각 접착플랜지(12)(22)의 두께를 최소화 함에 따라 장신구 패드(50)의 배면과 힌지고정구(10)와 체결고정구(20)로 체결되는 클립(60) 간의 이격거리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관계로, 각 접착플랜지(12)(22)를 최대한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머리핀(100)을 착용하게 되면 장신구 패드(50)의 배면과 클립(60) 사이의 최소화된 이격거리로 인하여 머리카락을 보다 긴밀하게 고정시킴과 아울러 힌지고정구(10)의 끼움부(14) 양측으로 형성된 유동방지편(16)으로 인해 클립(60)이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더욱더 긴밀한 고정이 이루어져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구(20)의 접착플랜지(22)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26)로 인하여 장신구 패드(50)의 중간 부분으로 부착된 지지구(90)와 같이 머리카락을 2개의 지점에서 고정시켜 줌으로써, 머리핀(100)의 착용 후에는 머리핀(100)이 일측으로 편심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더욱더 큰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갖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핀을 구성하는 장신구 패드에 클립이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부착되어 지고, 머리카락을 보다 긴밀하게 고정하여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머리핀이 편심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표면으로 큐빅과 같은 장식물이 부착되고, 배면에는 머리카락이 위치하는 장신구 패드와, 상기 장신구 패드의 배면 일측으로 머리카락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클립의 일측이 삽입고정되어 부착되는 힌지고정구와, 그 타측으로 상기 클립의 타측이 체결되도록 부착되는 체결고정구로 구성된 통상적인 머리핀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구(10)는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12)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일단부가 개방된 끼움부(14)를 형성하되, 상기 끼움부(14)의 양측으로 각각의 유동방지편(16)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고정구(20)는 상기 장신구 패드(50)의 배면으로 접착되는 접착플랜지(22)를 형성하고, 그 일면으로 체결돌기(24)와 다수의 지지돌기(26)를 일체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KR2020000013343U 2000-05-10 2000-05-10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202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43U KR200202760Y1 (ko) 2000-05-10 2000-05-10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343U KR200202760Y1 (ko) 2000-05-10 2000-05-10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760Y1 true KR200202760Y1 (ko) 2000-11-15

Family

ID=19655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3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2760Y1 (ko) 2000-05-10 2000-05-10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73B1 (ko) 2011-12-30 2014-01-06 윤민욱 머리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73B1 (ko) 2011-12-30 2014-01-06 윤민욱 머리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2218B1 (en) Headband assembly having an ornamental crown
EP0456381A1 (en) Hanging ornaments for spectacles
KR200347485Y1 (ko) 벨크로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JP3962419B2 (ja) 人工爪の取付器具
US5573018A (en) Hair barrette with replaceable ornaments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US5785065A (en) Hair barrette with replaceable ornaments
KR200375505Y1 (ko) 다양한 장식물을 교체하여 부착 가능한 액세서리
JP3477235B2 (ja) 眼 鏡
KR200312238Y1 (ko) 헤어핀 또는 반지의 악세서리 부착구조
KR101402004B1 (ko) 넥타이 고정구
KR200230111Y1 (ko) 머리핀
KR100289353B1 (ko) 헤어 클립
KR101974778B1 (ko) 착,탈식 장식물을 가진 안경다리
KR200287969Y1 (ko) 머리묶음용 고무줄 연결구
KR200212062Y1 (ko) 장탈착형 넥타이
KR200334360Y1 (ko) 클립형 머리카락장신구용 연결구
KR200255129Y1 (ko) 헤어클립
KR200209909Y1 (ko) 머리핀의 착탈구조
KR200181084Y1 (ko) 머리핀
KR200242625Y1 (ko) 장식이 탈부착되는 반지
KR100400994B1 (ko) 장탈착형 넥타이
KR200291900Y1 (ko) 장식용 옷핀
KR200242056Y1 (ko) 헤어클립
KR200255325Y1 (ko) 장식물 탈부착용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9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