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2227Y1 -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227Y1
KR200202227Y1 KR2020000015394U KR20000015394U KR200202227Y1 KR 200202227 Y1 KR200202227 Y1 KR 200202227Y1 KR 2020000015394 U KR2020000015394 U KR 2020000015394U KR 20000015394 U KR20000015394 U KR 20000015394U KR 200202227 Y1 KR200202227 Y1 KR 200202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wireless
incoming call
mobile pho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세
Original Assignee
박영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세 filed Critical 박영세
Priority to KR2020000015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2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6Portab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밧데리 팩(2)이 본체(1)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화가 걸려왔을시 해당 착신호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출시켜 주는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3)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와 별도로 사용자 휴대용 소형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4)를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3)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주변 생활환경에 무관하게 항상 휴대 전화기를 휴대해야만 전화를 즉시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또 휴대 전화기 자체를 휴대하고는 해당 일을 수행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도 착신호를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어 긴급전화를 받지 못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불이익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Device for confirmation of signal receiving for mobile telephone}
본 고안은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 전화기의 본체 내부 또는 와부에 착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송신기를 설치하고 사용자에게는 각종 착신호 발생기를 구비한 소형 수신기를 제공하여 해당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지 않고도 원격지에서 자신의 휴대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전화(Portable Telephone)라 함은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으로, 휴대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스캐닝 기능을 비롯한 총통화 시간표시, 자체고장점검, 통화중 기억장치, 부재중 수신표시, 수신거부, 통화중 경보음 발생, 자동 반복 다이얼, 자기전화번호표시, 비밀번호에 의한 잠금, 자동송신기능 등 각종 기능을 구사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차내, 사무실, 건설현장 등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는 가장 각광받는 이동통신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들어 차세대 휴대용 전화기인 PCN이 실용화되면서 PCN에 데이타 통신기능과 영상기능을 부가하여 종합정보통신망(ISDN) 기능의 일부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근래 휴대 전화기, PCS망의 서비스가 발전하여 휴대 통신기기 장치 관련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서비스 지역의 확장 및 통화수신율의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선전화 서비스는 공중전화망(PSTN)과 무선망을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호출신호와 음성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송,수신이 가능한 서비스이며, 송, 수신에 대한 가입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아날로그 방식의 가정용 무선전화가 진보되어 옥외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일명 휴대폰) 및 PCS 중심의 소형, 저출력 단말기를 이용한 대중적인 서비스가 출현하게 되었다.
공중용 휴대폰 PCS는 착 발신이 가능한 휴대전화 서비스로서 역, 상가, 공항, 버스터미널, 거리 등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건물 벽면이나 옥상 등에 기지국을 설치하고 그 기지국의 통화 반경내에서 등록된 단말기 가입자라면 누구나 통화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업무용과 가정용은 주로 건물내에 기지국을 설치한다.
이와같은 휴대 전화기는 대부분 그 자체를 직접 들고 무선통화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운전중 통화가 불편하고, 공공장소에서 통화 및 휴대가 불편하다는 점이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면서 이어폰과 같은 여러 가지 보완방법이 강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모든 휴대 전화기는 그 자체를 자신이 직접 휴대하거나 착신호를 들을 수 있는 근거리에 위치해야만 전화가 걸려왔을시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테니스 등과 같은 운동을 실시하거나 강의 등을 위해 휴대전화기를 특정 장소나 가방 또는 벋어놓은 옷의 안주머니 등에 놓고 해당 자리를 이탈한 경우 전화가 걸려와도 이를 알지 못하여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휴대 전화기 본체의 내부나 그 외부에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고(외부에 무선 송신기를 설치한 경우 신호선은 이어폰 짹이나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에 연결시킴), 상기 무선 송신기와 단방향 통신이 가능하게 형성시킨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는 뺏지형태나 넥타이핀 등과 같이 적게 형성시켜 사용자가 직접 휴대또는 주머니속 등에 지닐 수 있도록 하여 휴대 전화기를 직접 휴대하지 않고도 원거리에서 해당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는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착탈 가능한 밧데리 팩이 본체상에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를 상기 휴대 전화기 본체의 내부나 그 외부에 설치하고, 무선 수신 안테나와 고주파 증폭부, 디코더, 중앙처리부 및 착신호 발생부를 구비한 소형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를 별도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간단히 휴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 자체는 특정 장소에 설치하거나 재치 또는 보관한 상태에서 무선 수신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 자체를 휴대하고는 해당 일을 수행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도 착신호를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어 긴급전화를 받지 못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불이익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체 2 : 밧데리 팩
3 : 무선 송신기 4 : 무선 수신기
11 : 이어폰 짹 12 :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
31 : 착신호 입력용 신호선 41 : 무선 수신 안테나
42 : 고주파 증폭부 43 : 디코더
44 : 중앙처리부 45 : 착신호 발생기
46 : 스피커 47 : 진동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장치가 실시된 휴대 전화기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밧데리 팩(2)이 본체(1)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화가 걸려왔을시 해당 착신호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출시켜 주는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3)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와 별도로 사용자 휴대용 소형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4)를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3)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무선 수신기(4)는, 상기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하는 무선 수신 안테나(41)와; 상기 무선 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켜 주는 고주파 증폭부(42)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착신호 데이타만을 추출해 내는 디코더(4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수신한 착신호 데이타를 해석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착신호 발생기(45)로 출력하는 중앙처리부(44)와; 상기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호음을 스피커(46)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진동자(47)를 구동시키는 착신호 발생기(45)로 구성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무선 송신기(3)를 본체(1)의 외부에 설치한 경우 착신호 입력용 신호선(31)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설치된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또 다른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의 작동관계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은 기존의 휴대 전화기와 별도로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3)와, 소형 착신호 수신용 무선 수신기(4)를 형성시켜 무선 송신기(3)는 휴대 전화기의 제작시 그 내부에 직접 내장하거나, 이미 제작된 휴대 전화기 본체(1)의 외부에 장착시켜 전화가 걸려오면 해당 착신호음이 무선 송신기(3)를 통해 공중으로 송출되어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소형 무선 수신기(4)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해 놓은 착신호음 또는 진동으로 전화가 걸려온 상태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휴대 전화기의 가입자는 자신의 휴대 전화기를 직접 휴대하지 않고도 무선 수신기(4)만을 휴대하고 있다가 상기 무선 수신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인식하고 전화기가 있는 장소로 빨리 이동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 송신기(3)가 휴대 전화기 자체를 생산할 당시 본체(1) 내부에 내장된 본체(1)내의 메인회로기판상에 상기 무선 송신기(3)를 직접 설치하면 되므로 별도로 메인기판과 연결시키기 위한 작업이 필요가 없고, 기 제작된 휴대 전화기에 본 발명을 적용시키고자 외부에 설치하는 경우는 별도의 케이스내를 만들어 부착할 수도 있고 밧데리 팩(2)내에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각 상기 메인기판과 연결시켜 착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신호선(31)을 돌출시켜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의 일측면부에 기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이나, 본체(1) 저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무선 송신기(3)는 휴대 전화기에 일체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 반면, 무선 수신기(4)는 상기 휴대 전화기 본체와 별도로 형성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 무선 송신기(3)는 휴대 전화기 본체(1)와 무선 수신기(4) 사이에서 착신호만을 단방향으로 송출시켜 주는 간이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무선 수신기(4)는 단순히 착신호만을 수신하여 일정음으로 착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여러사람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타인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착신호음인지 자신의 휴대 전화기에 대한 착신호음인 인식할 수 없음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이를 구별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 수신기(4)를, 무선 수신 안테나(41)와, 고주파 증폭부(42), 디코더(43), 중앙처리부(44) 및 착신호 발생기(45)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특정인의 휴대 전화기로 전화가 걸려와 해당 전화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착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데이타가 공중으로 송출되어 오면 상기 무선 수신기(4)의 무선 수신 안테나(41)에서 이를 포착하여 고주파 증폭부(42)로 보내게 되고, 이를 입력받은 고주파 증폭부(42)에서는 상기 무선 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켜 주게 되고, 상기 고주파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를 입력받은 디코더(43)에서는 그 데이타내에서 원하는 착신호 데이타만을 추출하여 중앙처리부(44)로 입력시켜 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중앙처리부(44)에서는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수신한 착신호 데이타를 해석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착신호 발생기(45)로 출력하게 되어 상기 착신호 발생기(45)에서는 상기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호음을 스피커(46)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진동자(47)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각각 자신이 선택해 놓은 착신호음으로 전화가 걸려왔음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이 현재 위치한 곳과 비교적 원거리에 떨어져 해당 휴대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착신호음은 들을 수 없었어도 상기한 무선 수신기(4)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인식하고 휴대 전화기가 있는 장소로 빨리 이동하여 불특정인으로 부터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무선 수신기(4)의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지 본 고안에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말해서, 착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해당 찬신호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무선 수신기(4)는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4)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뺏지형태 또는 넥타이핀 형태와 같이 소형으로 제작하여 옷등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은데, 이 역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다른 형태로 제작하여 주머니 등에 간단히 넣고 다릴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 전화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무선 송신기를 설치하고 사용자는 소형 무선 수신기를 휴대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 전화기 자체를 특정 장소에 설치 및 재치 또는 보관한 상태에 전화가 걸려왔을시 상기 무선 수신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온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주변 생활환경에 무관하게 항상 휴대 전화기를 휴대해야만 전화를 즉시 받을 수 있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고, 또 휴대 전화기 자체를 휴대하고는 해당 일을 수행할 수 없는 조건하에서도 착신호를 인식하고 전화를 받을 수 있어 긴급전화를 받지 못하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불이익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밧데리 팩(2)이 본체(1)상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을 갖고 음성 및 영상신호를 무선방식을 통해 송수신하여 상대방과 무선통신을 실시할 있도록 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화가 걸려왔을시 해당 착신호 데이타를 무선으로 송출시켜 주는 착신호 송출용 무선 송신기(3)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1)와 별도로 사용자 휴대용 소형 착신호 발생용 무선 수신기(4)를 형성시켜 상기 휴대 전화기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 송신기(3)를 간이 중계기로 사용하여 원격지에서도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기(4)는, 상기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송출되어 오는 무선 통신데이타를 포착하는 무선 수신 안테나(41)와; 상기 무선 수신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는 RF 무선통신 데이타를 고주파 증폭시켜 주는 고주파 증폭부(42)와; 상기 고주파 증폭부(42)를 통해 증폭된 무선수신 데이터내에서 원하는 착신호 데이타만을 추출해 내는 디코더(43)와; 자체내에 기억된 소정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무선 송신기(3)로 부터 수신한 착신호 데이타를 해석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착신호 발생기(45)로 출력하는 중앙처리부(44)와; 상기 중앙처리부(44)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착신호음을 스피커(46)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진동자(47)를 구동시키는 착신호 발생기(45)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기(3)가 본체(1)의 외부에 설치된 경우 착신호 입력용 신호선(31)은 상기 휴대폰 전화기 본체(1) 자체에 기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짹(11) 또는 데이타 콘트롤용 콘넥터(12) 중 어느 하나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KR2020000015394U 2000-05-31 2000-05-31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KR200202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394U KR200202227Y1 (ko) 2000-05-31 2000-05-31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394U KR200202227Y1 (ko) 2000-05-31 2000-05-31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227Y1 true KR200202227Y1 (ko) 2000-11-15

Family

ID=1965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394U KR200202227Y1 (ko) 2000-05-31 2000-05-31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2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02760T3 (es) Teléfono celular con comunicación simultánea de radio y celular
KR100281184B1 (ko) 입호출 시스템
EP1681843B1 (en) Combined mobile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terminal
KR100297742B1 (ko) 이동통신시스템
US6792291B1 (en) Interface device for control of a cellular phone through voice commands
EP1521436A3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center apparatus
KR200202227Y1 (ko) 휴대 전화기의 착신호 무선 확인장치
KR200187431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188087Y1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JP3667087B2 (ja) 携帯電話端末の制御方法
JP3584248B2 (ja) 移動通信端末の受け台
KR20010077170A (ko) 휴대 전화기의 무선 송수신장치
KR200352454Y1 (ko) 휴대전화기의 원격지 착신 및 송수신시스템
KR20040082892A (ko) 사설 이동통신망에서 매너모드 전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0266275B1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핸드 프리 장치
KR101045358B1 (ko) 위치확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163209A (ja) 携帯無線装置
KR20040058655A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3296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수신제어장치
JP4126888B2 (ja) 近距離無線インタフェース内蔵時計
KR200202265Y1 (ko) 음성발신기능이 구비된 휴대폰용 이어폰
KR100335706B1 (ko) 전화장치
KR200292434Y1 (ko) 무선방식의 구내전화 시스템
KR20020045927A (ko) 데이터통신과 음성통신을 지원해주는 블루투스 방식의전화기 세트와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010063117A (ko) 모빌 베이스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무선통화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0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