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1649Y1 - 안경 경첩 - Google Patents

안경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649Y1
KR200201649Y1 KR2020000009688U KR20000009688U KR200201649Y1 KR 200201649 Y1 KR200201649 Y1 KR 200201649Y1 KR 2020000009688 U KR2020000009688 U KR 2020000009688U KR 20000009688 U KR20000009688 U KR 20000009688U KR 200201649 Y1 KR200201649 Y1 KR 200201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hinge
eyeglass
bracket
fema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문
Original Assignee
서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문 filed Critical 서재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64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26F2001/402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curvilinear cutting presses, i.e. the stroke comprising an overlay of a linear and a curved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경첩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안경테 연결부와 안경다리에 티탄 또는 티탄합금 등으로 절삭가공된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를 용접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또 고가의 합금을 절삭가공함에 따라 제조원가가 많이 들며, 중량 또한 많이 나가는 등의 폐단이 따랐다.
이에, 본 고안은 안경 경첩을 제조 구성함에 있어서, 얇은 스테인레스 철판(또는 얇은 티탄합금판을 비롯한 모든 금속판재를 사용 가능함)을 프레스가공하여 각각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를 형성하되, 암경첩 부재에는 나사구멍을 가진 브라켓이 형성되게 끔 철판을 성형 및 절첩하고 수경첩 부재에는 삽입편이 형성되게 끔 성형절첩하므로서, 안경의 무게를 크게 줄여 더욱 가벼운 안경을 제조 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더불어 원가절감효과가 극대화 되는 안경 경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 경첩{A HINGE OF GLASSES}
본 고안은 안경 경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얇은 스테인레스 철판(또는 얇은 티탄합금판을 비롯하여 모든 금속판재를 이용할 수 있음)을 프레스 가공하여 가볍고, 저렴한 안경 경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다리를 안경테와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경 경첩은 안경테에 용접고정되는 안경다리 연결구 내측에 암경첩부재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안경다리 선단부의 내측면에는 수경첩 부재를 용접하여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를 단차 (볼트 또는 나사)로 체결하여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하게 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경 경첩은 티탄 또는 티탄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를 절삭가공하여 형성하고, 이들중 암경첩 부재는 안경테에 용접되는 연결구에, 수경첩 부재는 안경다리 선단에 용접고정하여 단차볼트로서 체결고정 하면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경첩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를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를 일일히 공작기계로서 절삭가공한뒤, 각각의 경첩부재에 볼트체결을 위한 나사구멍과 볼트삽입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여야 함으로, 가공비가 과다소요되고, 재료 손실이 크며, 또 안경중량이 많이 나가는 등 문제점이 따르게 되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 상승을 유도하면서도 좀더 가벼운 안경을 만드는데 있어서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안경 경첩을 얇은 스테인레스 철판 (또는 티탄합금 판재를 비롯한 금속판재)으로 프레스 성형하되, 암경첩 부재와 수경첩 부재로 분리 성형하고, 이를 적절히 절곡한후 안경다리 연결구와 안경다리에 용접고정시킨 다음, 수경첩 부재와 암경첩부재를 결합시켜 단차볼트로 체결고정함으로써, 경첩의 무게를 더욱 가볍게 함과 동시에 제조 또한 간편하고, 작업성, 생산성 등을 극대화 시켜 품질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제조 원가도 크게 낮출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경첩의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암경첩부재의 전개도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수경첩부재의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경첩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경첩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4의 A-A′선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경첩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암경첩 부재의 전개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수경첩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안경 경첩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도 4의 A-A′ 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경첩(1)을 암경첩부재(10)과 수경첩부재 (20)으로 분리구성하되, 얇은 스테인레스 철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한다.
상기, 암경첩부재(10)은 먼저 스테인레스 철판을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하는데, 이는 수직 절곡면(12)을 기준으로 양측 상부에 각각 구멍(33')과 나사구멍(33')을 가진 브라켓(11a) 및 (11b)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11b)에 제 2브라켓(11c)을 연결 형성하되, 수직절곡면(12)을 기준으로 브라켓(11a)(11b)와 제 2브라켓(11c)를 절곡 및 절첩시킨뒤, 브라켓 (11b)와 제 2브라켓(11c)의 구멍(33')을 가공하여 암나사공이 되게 끔 하며, 상기 부라켓(11a)(11b)를 수직절곡면(12)을 기준으로 90°로 절곡시키면, 브라켓(11a) (11b)사이에 삽입공간(13)이 형성된다.
한편, 수경첩부재(20)은 프레스로 1차가공시 도 2b에서와 같이 암경첩(10)의 브라켓과 대응하는 원 형의 제 1삽입편(21a)과 제 2삽입편(21b)을 서로 연결되게 끔 형성하고,
대칭되는 제 1삽입편(21a)과 제 2삽입편(21b)에는 구멍(33′)를 형성하며, 제 1삽입편(21a)과 제 2삽입편(21b)의 양단부에 수직 절곡면(22)을 형성시킨뒤, 절첩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먼저, 안경경첩(1)의 암경첩부재(10)을 절첩구성하면, 수경첩부재(20)의 삽입편(21a).(2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삽입공간(1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간(13)을 중심으로 일측은 브라켓(11a)가 그리고 타측은 브라켓(11b)와 제 2브라켓(11c)가 절첩구성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간과해서 안될부분은 브라켓(11b)와 제 2브라켓(11c)을 절첩시킨 이유인데, 이는 경첩(1)을 구성하기 위해 단차볼트와 같은 나사(30)를 견고하게 체결고정 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본 고안은 얇은 스테인레스 판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나사구멍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두께가 필요하게 되고, 브라켓(11b)와 제 2브라켓(11c)을 절첩함으로써 소정의 두께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암경첩부재(10)을 안경테의 연결구 내측면에 수직절곡면(12) 부위를 대고 용접하여 연결고정시키면 된다.
또 수경첩부재(20)은 제 1삽입편(21a)과 제 2삽입편(21b)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이들 사이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절첩시킨뒤, 상기 제 1삽입편(21a)과 제 2삽입편(21b) 끝을 각각 외향절곡시켜 수직절곡면(22)을 형성한 다음, 이부분을 안경다리 선단에 대고 용접고정시키면 된다.
그리고 안경테와 연결된 암경첩부재(10)과 안경다리와 연결된 수경첩부재(20)은 일반 경첩부재 조립시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하여 단차볼트나 나사(30)를 체결고정시키면 조립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암·수경첩부재(10)과 (20)중 암경첩부재(10)만 통상의 것을 그대로 이용 할 수도 있고, 수경첩부재(20) 역시 통상의 것을 사용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안경 경첩을 암경첩부재와 수경첩부재로 형성하되, 얇은 스테인레스 철판을 암경첩부재와 수경첩부재의 형상에 따라 프레스 성형하고, 이들을 절곡 및 절첩하여 암경첩부재와 수경첩부재를 구성하므로서, 얇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사용으로 안경의 무게를 줄여 가볍게 사용할 수 있고, 제조공정이 더욱 간단하게 되며 상품성과 작업성, 생산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제조 원가 또한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따르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암경첩부재(10)과 수경첩부재(20)을 얇은 스테인레스 판재(또는 티탄판을 비롯한 모든 금속판재를 선택 사용할 수 있음)로 프레스 성형하되,
    암경첩부재(10)은 중앙부에 수직절곡면(12)을 가지고, 상기 수직절곡면(12) 양측 상부에 각각 구멍(33') 또는 나사구멍(33')를 가진 원형의 브라켓(11a) 및 (11b)를 형성하여, 수직절곡면(12)를 기준으로 브라켓(11a) 및 (11b)를 90°로 절곡형성시키고,
    상기의 프레스 성형된 수경첩부재(20)은 대칭 연결된 원형의 제 1 삽입편(21a) 및 제 2 삽입편(21b)에 각각 구멍(33')을 형성하여 연결부위를 절첩하고, 외측면 끝단부를 90°로 외향절곡시켜 수직절곡편(2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경첩.
  2. 1항기재에 있어서,
    암경첩부재(10)의 브라켓(11b)에 또 하나의 제 2브라켓(11c)를 연결형성시킨뒤, 브라켓(11b)와 (11c)를 절첩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경첩.
KR2020000009688U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64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846A KR20010094277A (ko)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846A Division KR20010094277A (ko)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649Y1 true KR200201649Y1 (ko) 2000-11-01

Family

ID=19662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688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649Y1 (ko)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KR1020000017846A Abandoned KR20010094277A (ko)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846A Abandoned KR20010094277A (ko) 2000-04-06 2000-04-06 안경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16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98A (ko) 2019-05-10 2020-11-18 박문하 안경용 힌지
KR102455587B1 (ko) 2021-09-15 2022-10-14 조성중 안경 다리 어셈블리
KR20230056957A (ko) 2021-10-21 2023-04-28 박문하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7627B (zh) * 2014-01-15 2019-08-02 维索蒂加工业股份公司 用于眼镜架的复合金属铰链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98A (ko) 2019-05-10 2020-11-18 박문하 안경용 힌지
KR102455587B1 (ko) 2021-09-15 2022-10-14 조성중 안경 다리 어셈블리
KR20230056957A (ko) 2021-10-21 2023-04-28 박문하 안경용 힌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277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9268A1 (en) Compact Elastic Hinge Element For A Spectacle Frame
CA2607220A1 (en) Hinge for spectacles
KR102274507B1 (ko) 상하 조립형 안경테
KR20060117306A (ko) 안경테용 탄성 힌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201649Y1 (ko) 안경 경첩
JP3058604U (ja) 薄型フロント枠を備えた眼鏡
CN213026536U (zh) 一种料厚分段式弹片
KR20110084612A (ko) 마그네슘 안경테
JP2009048091A (ja) 眼鏡フレーム
JP2006256546A (ja) 車両用ドアサ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296346B1 (ko) 안경용렌즈테
KR200255285Y1 (ko) 경첩이 일체된 안경다리
KR0180815B1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CN218993256U (zh) 一种灯框结构
KR200421954Y1 (ko) 금속판재 일체형 안경테
KR200172548Y1 (ko) 안경렌즈테와 연결구의 용접구조
KR102280483B1 (ko) 테이블 다리 조립구조
KR200244570Y1 (ko) 조립식 전기컨트롤박스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JP3004260U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20040014376A (ko) 안경테의 제조방법
JPS58179820A (ja) 眼鏡用割智の製造方法
JPH08131221A (ja) 時計バンド先カン駒構造
JP2002040371A (ja) メガネフレームの連結構造
KR200147797Y1 (ko) 천정 프레임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0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4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5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