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1613Y1 -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 Google Patents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613Y1
KR200201613Y1 KR2020000016751U KR20000016751U KR200201613Y1 KR 200201613 Y1 KR200201613 Y1 KR 200201613Y1 KR 2020000016751 U KR2020000016751 U KR 2020000016751U KR 20000016751 U KR20000016751 U KR 20000016751U KR 200201613 Y1 KR200201613 Y1 KR 200201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railing
wor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67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근
Original Assignee
박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근 filed Critical 박형근
Priority to KR20200000167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 둘레에 점거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대차에 탑재되어 교각측에 점검통로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로서, 상기 고소작업장치는, (A) 상기 이동대차(20)의 상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메인프레임(30)과; (B)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일단에 수직 하방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42)를 갖고 교각의 교좌대 근방까지 연장되는 고정축 프레임(40)과; (C) 상기 고정축 프레임(40)의 하단에 유압모터 (5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62)를 갖는 회전축 프레임(60)과; (D) 상기 회전축 프레임(60)의 하단에 횡설되고 교각의 단면 가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 (100)과;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는, (a) 작업자의 보행을 위한 발판 (110)과; (b)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입설되는 작업난간대(120)를 포함하고, (E)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의 양단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의 단면 양측 세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와; 상기 착탈수단은, (a)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에 설치된 힌지핀(152)과; (b)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 (130,140)측에 상기 힌지핀(152)을 삽탈시키기 위한 핀구멍(132,142)을 포함하고, (F)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 그리고 기타장비를 이동대차에서 하역시키고,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메인프레임(30)에 지지시켜 놓기 위한 하역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HIGHT PLACE WORKING DEVICE FOR MOUNT ING PIER CHECKING RAIL}
본 고안은 교량의 교각 둘레에 점거통로를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대차에 탑재되어 작업자가 교각에 접근하여 안전 신속히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각에 설치된 교좌를 점검하기 위해 교각에는 통상적으로 교각점검통로(Work Way)가 설치된다.
교각점검통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업자가 교각에 접근할 수 있는 고소작업장치가 필요하다.
교각점검통로의 설치에 필요한 고소작업장치는 작업자의 안정성과 고소작업대의 이동설치가 간편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고소작업장치로는 적어도 2대의 크레인 장비에다 윈치를 달아 놓고 설치장비를 하역시키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안전성이 떨어지고 교각점검통로의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별도의 하상평탄작업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성과 고소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교각점검통로 설치용 고소작업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이동대차에 탑재되어 교각측에 점검통로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로서, 상기 고소작업장치는,
(A) 상기 이동대차(20)의 상부에 선회 및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메인프레임(30)과;
(B)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일단에 수직 하방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42)를 갖고 교각의 교좌대 근방까지 연장되는 고정축 프레임(40)과;
(C) 상기 고정축 프레임(40)의 하단에 유압모터(5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62)를 갖는 회전축 프레임(60)과;
(D) 상기 회전축 프레임(60)의 하단에 횡설되고 교각의 단면 가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과;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는,
(a) 작업자의 보행을 위한 발판(110)과;
(b)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입설되는 작업난간대(120)를 포함하고,
(E)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의 양단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의 단면 양측 세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와; 상기 착탈수단은,
(a)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에 설치된 힌지핀(152)과;
(b)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측에 상기 힌지핀(152)을 삽탈시키기 위한 핀구멍(132,142)을 포함하고,
(F)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 그리고 기타장비를 이동대차에서 하역시키고,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메인프레임(30)에 지지시켜 놓기 위한 하역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보조작업대의 연결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장치의 상부에서 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이동대차 30 : 메인프레임
40 : 고정축 프레임 42 : 이동용 사다리
50 : 유압모터 60 : 회전축 프레임
62 : 이동용 사다리 100 : 주난간작업용 프레임
110 : 발판 120 : 작업난간대
130 : 제1보조작업대 132,142 : 핀구멍
140 : 제2보조작업대 152 : 힌지핀
210 : 제1아암 214 : 윈치
220 : 제2아암 222 : 체인블록
230 : 제3아암 232 : 체인블록
240 : 제4아암 242 : 윈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도면 부호 20은 이동대차이다.
상기 이동대차(20)의 상부에는 메인프레임(30)이 좌우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 메인프레임(30)은 이동대차(20)의 회전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10)에 연결되어 일정한 각도 내에서 선회하게 되어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30) 일측단에는 고정축 프레임(4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고정축 프레임(40)은 수직 하방으로 교각의 교좌대 근방까지 연장설치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고, 고정축 프레임(40)내에는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4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축 프레임(40)에는 회전축 프레임(60)이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축 프레임(60)은 고정축 프레임(40)의 하단에 장착된 유압모터(5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 프레임(60)내에는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6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50)와 유압실린더(10)는 도시안된 유압시스템에 연결되어 메인프레임(30)상에 장착된 해당 레버로 조작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 프레임(60)의 하단에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이 횡설 되어 있다.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은 교각의 단면에 대해 가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통로를 제공하여 주는 것으로, 상기 유압모터 (50)의 구동시 회전축 프레임(60)과 일체로 고정축 프레임(40)에 지지된 상태에서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이 회전되게 되어 있다.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는, 작업자의 안전 보행을 위한 발판(110)과,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한 작업난간대(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판(110)은 본 실시예에서 망형으로 구성하였으나, 작업자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강도의 평판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난간대(120)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각기 복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작업자는 작업난간대(120)를 이동중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허리에 연결된 안전고리를 작업난간대(120)에 걸어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한다.
작업난간대(120)는 작업자의 작업방향에 따라 작업난간대(120)를 입설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의 양단에는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의 단면 양측 세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가 설치된다.
상기 착탈수단은, 도 3에서와 같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설치된 힌지핀(152)과,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측에 상기 힌지핀(152)을 삽탈시키기 위한 핀구멍(132,142)이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 그리고 기타장비를 이동대차에서 하역시키고,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메인프레임(30)에 지지시켜 놓기 위한 하역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역 및 지지수단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일측 말단부 양측에 각기 힌지 연결된 제1아암(210) 및 제2아암(220)과,
상기 제1아암(210)의 말단에 연결되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체인블록(212) 및 제1아암(2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보조작업대(130) 및 기타 설치장비를 하역시키는 윈치(214)와, 상기 제2아암의 말단에 설치되어 제1보조작업대(130)를 지지하는 체인블록(222)과,
상기 메인프레임(30)의 타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제3아암(230) 및 제3아암 (2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제2보조작업대(140)를 지지하기 위한 체인블록(232) 그리고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대략 중앙에 힌지 연결된 제4아암(240) 및 제 4아암 (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보조작업대(140) 및 기타 설치장비를 하역시키기 위한 윈치(242)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3,5는 밸런스웨이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사용상태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도 4에서와 같이 교각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이동대차(5)를 교량에 정차시킨 상태에서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교량의 측방에 위치시킨 후 유압모터 (50)를 조작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교각의 단면에 대해 가로폭에 접근시켜 놓는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메인프레임(30)에 설치된 작업자이동용 사다리(42,62)를 타고 내려와서 주난간작업자용 프레임(100)에 도착한다.
다음, 교각측에 가까운 작업난간대(120)를 내려 난간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제1아암(210)측 체인블록(212)을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연결한다.
이렇게 되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은 균형있게 메인프레임(30)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아암(210)의 윈치(214)에 제1보조작업대(130)를 걸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측으로 하강시킨 후 작업자에 의해 제1보조작업대(130)를 도 3과 같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측 힌지핀(152)에 연결시키고 제2아암(220)측 체인블록(222)을 조작하여 수평상태로 맞춘다.(도1,2참조)
또한, 제4아암(240)의 윈치(242)에 제2보조작업대(140)를 걸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측으로 하강시킨 후 작업자에 의해 제2보조작업대(140)를 도 3과 같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측 힌지핀(152)에 연결시키고 제3아암(230)측 체인블록 (232)을 조작하여 수평상태로 맞춘다.
이렇게 되면 교각의 단면둘레를 'ㄷ'자로 에워싸는 작업자통로가 제공된다.
다음, 설치될 교각난간 및 기타장비를 제1아암(210)과 제4아암(240)측 윈치 (214,242)를 이용하여 주난간작업자용 프레임(100)측에 내려놓는다.(도 1,2 참조)
따라서 작업자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과 제1및제2보조작업대(130,140)상에 올라간 상태에서 안전하게 교각에 안전난간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교각에 'ㄷ'자로 안전난간 설치가 완료되면 교각의 나머지 한 변에 안전설치만하면 된다.
이를 위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과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를 연결하는 핀(152)을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로부터 탈거시킨후 윈치(214, 242)를 이용하여 교량으로 올려놓고, 체인블록(212)과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의 연결을 해제시켜 회전측 프레임(6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둔다.
다음, 유압모터(50)를 조작하여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교량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회전시켜 놓는다.(도 4 참조)
다음 이동대차(20)를 이동시킨 후 다시 유압모터(50)를 조작하여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안전난간이 설치되지 않은 교각 부분에 위치시켜 놓는다.
그리고 제1아암(210)측 체인블록(212)을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연결하여 메인프레임(3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다시 메인프레임(30)에 연결된 작업자이동용 사다리(42,62)를 통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으로 이동하고 윈치(214,242)를 통해 설치될 안전난간을 하역받아 교각 안전난간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교각의 한쪽면에 위치시켜 'ㄷ'자로 안전난간을 설치하고, 다시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교각의 다른 반대쪽면에 위치시켜 교각 나머지 부분에 안전난간을 설치시킬 수 있어 전체적으로 종래에 비해 작업공수가 단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교각 하나에 대한 안전난간 설치가 완료되면, 이동대차(50)를 다음번 교각으로 이동시켜 상기한 방법으로 또 다른 안전난간을 설치해 나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 및 보조작업대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되어 이동시나 작업중 안전이 보장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크레인 장비가 필요 없어져 작업비용을 저감되고, 작업공수가 간단하여 교각의 안전난간을 신속히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이동대차에 탑재되어 교각측에 점검통로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고소작업장치로서, 상기 고소작업장치는,
    (A) 상기 이동대차(20)의 상부에 선회 및 좌우이동가능하게 장착된 메인프레임(30)과;
    (B)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일단에 수직 하방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42)를 갖고 교각의 교좌대 근방까지 연장되는 고정축 프레임(40)과;
    (C) 상기 고정축 프레임(40)의 하단에 유압모터(50)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작업자 이동용 사다리(62)를 갖는 회전축 프레임(60)과;
    (D) 상기 회전축 프레임(60)의 하단에 횡설되고 교각의 단면 가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과;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는,
    (a) 작업자의 보행을 위한 발판(110)과;
    (b)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에 입설되는 작업난간대(120)를 포함하고,
    (E)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의 양단에 착탈수단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교각의 단면 양측 세로폭에 접근하여 난간 설치작업의 작업통로를 제공하는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와; 상기 착탈수단은,
    (a) 주난간작업용 프레임에 설치된 힌지핀(152)과;
    (b)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측에 상기 힌지핀(152)을 삽탈시키기 위한 핀구멍(132,142)을 포함하고,
    (F) 상기 제1 및 제2보조작업대(130,140) 그리고 기타장비를 이동대차에서 하역시키고, 상기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을 메인프레임(30)에 지지시켜 놓기 위한 하역 및 지지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 및 지지수단은,
    (A)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일측 말단부 양측에 각기 힌지 연결된 제1아암 (210) 및 제2아암(220)과;
    (B) 상기 제1아암(210)의 말단에 연결되어 주난간작업용 프레임(100)의 일단을 지지하는 체인블록(212) 및 제1아암(21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보조작업대(130) 및 기타 설치장비를 하역시키는 윈치(214)와;
    (C) 상기 제2아암(220)의 말단에 설치되어 제1보조작업대(130)를 지지하는 체인블록(222)과;
    (D) 상기 메인프레임(30)의 타측 말단부에 힌지 연결된 제3아암(230) 및 제3아암(230)의 단부에 연결되어 제2보조작업대(140)를 지지하기 위한 체인블록(232)과;
    (E) 상기 메인프레임(30)의 대략 중앙에 힌지 연결된 제4아암(240) 및 제 4아암(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보조작업대(140) 및 기타 설치장비를 하역시키기 위한 윈치(24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KR2020000016751U 2000-06-13 2000-06-13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KR200201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51U KR200201613Y1 (ko) 2000-06-13 2000-06-13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6751U KR200201613Y1 (ko) 2000-06-13 2000-06-13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613Y1 true KR200201613Y1 (ko) 2000-11-01

Family

ID=1966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6751U KR200201613Y1 (ko) 2000-06-13 2000-06-13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815B1 (ko) * 2012-10-30 2013-07-31 김노수 교량 점검 보수용 작업장치
KR102665719B1 (ko) * 2023-07-26 2024-05-10 김연화 교량점검차의 승하강 프레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815B1 (ko) * 2012-10-30 2013-07-31 김노수 교량 점검 보수용 작업장치
KR102665719B1 (ko) * 2023-07-26 2024-05-10 김연화 교량점검차의 승하강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89275B (zh) 电梯装置和方法
SG186043A1 (en) Mobile cantilever platform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of
US8360203B2 (en) Work platform for an overhead crane
KR20000049885A (ko) 교량 점검 및 보수작업용 이동식 작업차
KR101028631B1 (ko) 이동식 교량점검장치
KR200201613Y1 (ko)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US5074382A (en) Offshore access systems
KR100823859B1 (ko) 고가도로 하부 면 점검 및 보수작업 방법 및 그 점검 및보수장치
JP2005023623A (ja) 橋梁用吊り足場のための吊下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吊り足場の組立工法
JP4353343B2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JPH11147690A (ja) 低空頭鉄筋建込装置
CN110820556A (zh) 一种桥梁梁底检测、养护检查、养护维修的平台及其系统
KR100561709B1 (ko) 교량 상판 하부받침장치 안전점검시설
GB2552222B (en) Mobile suspended platform apparatus
CN211973103U (zh) 一种桥梁梁底检测、养护检查、养护维修的平台及其系统
JPH08319070A (ja) 保守点検作業台を備えたエレベータ
KR100530351B1 (ko)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US7849637B2 (en) Fold-up scaffold for semi-trailer shop
JP2004169475A (ja) 橋構造物用点検作業台
JP3387731B2 (ja) サイドステップを有する建設機械
JP7540649B2 (ja) 吊り足場
KR200219986Y1 (ko) 교량 점검로 출입용 사다리
JP4630701B2 (ja) 索道における支柱の可動式点検台
JP3922636B2 (ja) 作業足場付きプロテクタ
JP2005231870A (ja) エスカレータの設置工法及び設置用揚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14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8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