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1109Y1 - 교량용 난간지주 - Google Patents

교량용 난간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109Y1
KR200201109Y1 KR2020000014560U KR20000014560U KR200201109Y1 KR 200201109 Y1 KR200201109 Y1 KR 200201109Y1 KR 2020000014560 U KR2020000014560 U KR 2020000014560U KR 20000014560 U KR20000014560 U KR 20000014560U KR 200201109 Y1 KR200201109 Y1 KR 200201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ont plate
handrail
back plate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선
Original Assignee
미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4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1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1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잡한 형상의 난간지주를 일반 철판으로 분리 제작한 뒤 이들 철판을 용접으로 조립하여 난간지주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고 차량을 받쳐주는 힘이 보완됨으로 차량의 추락이 방지되고 또한 주물로 제작할 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난간지주를 제작할수 있는 교량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드레일이 끼워지는 레일끼움홈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정면판상단부와 정면판하단부를 갖는 정면판, 정면판상,하단부와 대응되는 배면판상단부 및 배면판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들 상단부와 하단부가 용접되면 정면판과 한몸체로 구성되는 배면판, 정면판과 배면판의 사이로 끼워져 이들의 경계면이 용접되도록 레일끼움홈과 대응되는 요홈이 구비된 측면판, 그리고 정면판하단부와 배면판하단부 및 측면판의 하단 사이로 끼워져 용접되고 앵커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난간지주{Rail support for a bridge}
본 고안은 교량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을 구성하는 정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을 철판으로 절곡 형성한 뒤 이들 정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을 용접하여 난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난간이 견고하게 구성되어 차량의 충돌시 난간의 파손이 방지되고 차량의 도로이탈이나 추락이 방지되도록한 교량용 난간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난간지주는 가드레일을 설치하기 위해 다리의 양측에 다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난간지주는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 가드레일에 충돌될 때 차량을 받쳐주어 추락되지 않도록 해준다.
대부분의 난간지주는 알루미늄 주물이나 일반주물로 제작되는데 이처럼 주물로 제작하면 복잡한 형상의 난간지주를 쉽게 만들 수 있는 반면에 주물의 특성상 취성이 약해 차량이 난간지주에 직접 충돌될 경우 난간지주가 파손되고 차량이 다리 아래로 추락될 위험성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한 형상의 난간지주를 일반 철판으로 분리 제작한 뒤 이들 철판을 용접으로 조립하여 난간지주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쉽게 파손되지 않고 차량을 받쳐주는 힘이 보완됨으로 차량의 추락이 방지되고 또한 주물로 제작할 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난간지주를 제작할수 있는 교량용 난간지주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 난간지주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난간지주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난간지주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정면판
11 : 레일끼움홈
12 : 정면판상단부
13 : 정면판하단부
14 : 볼트구멍
20 : 배면판
21 : 배면판상단부
22 : 배면판하단부
23 : 볼트구멍
30 : 측면판
31 : 요홈
40 : 바닥판
41 : 볼트구멍
50 : 가드레일
60 : 앵커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드레일이 끼워지는 레일끼움홈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정면판상단부와 정면판하단부를 갖는 정면판, 정면판상,하단부와 대응되는 배면판상단부 및 배면판하단부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들 상단부와 하단부가 용접되면 정면판과 한몸체로 구성되는 배면판, 정면판과 배면판의 사이로 끼워져 이들의 경계면이 용접되도록 레일끼움홈과 대응되는 요홈이 구비된 측면판, 그리고 정면판하단부와 배면판하단부 및 측면판의 하단 사이로 끼워져 용접되고 앵커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구멍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난간지주의 분리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 난간지주의 조립상태 단면도 로서, 본 고안의 난간지주는 정면판(10)과 배면판(20) 및 측면판(30)으로 분리 구성된다. 정면판(10)은 가드레일(50)을 받쳐주기 위한 레일끼움홈(11)이 다단으로 구비되고 정면판(10)의 상단과 하단에는 정면판상단부(12)와 정면판하단부(13)가 정면판(10)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배면판(20)은 정면판(10)의 후방으로 조립되도록 정면판상단부(12) 및 정면판하단부(13)와 대응되는 배면판상단부(21)와 배면판하단부(22)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측면판(30)은 정면판(10) 및 배면판(20)의 사이로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측면판(30)의 전방에는 정면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레일끼움홈(11)과 대응되는 요홈(31)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정면판(10)과 배면판(20)의 하단 사이로 끼워져 구비되는 바닥판(40)이 구비된다. 바닥판(40)은 앵커볼트(6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볼트구멍(41)이 구비되며 이 볼트구멍(41)과 대응되도록 정면판하단부(13)와 배면판하단부(22)에도 볼트구멍(14)(23)이 각각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은 정면판(10)과 배면판(20) 및 바닥판(40)과 측면판(30)을 서로 조합하여 난간지주의 형태가 되도록한 뒤 이들의 경계면을 따라 용접하면 이들 판들이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난간지주가 완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면판(10)과 배면판(20)을 서로 대응시킨 뒤 정면판상단부(12)와 배면판상단부(21)의 경계면을 용접하여 떨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정면판하단부(13)와 배면판하단부(22)의 경계면을 용접한 뒤 이들 정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로 측면판(30)을 끼워 넣는다. 이때 측면판(30)의 각 요홈(31)이 정면판(10)의 레일끼움홈(11)에 끼워지도록 그리고 측면판(30)이 이들 판(10)(20)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한 뒤 이들 정면판(10)과 측면판(30) 및 배면판(20)의 경계면을 용접하여 이들 판(10)(20)(30)이 한몸체를 이루도록 해준다.
정면판(10)과 배면판(20) 및 측면판(30)이 조립되면 측면판(30)의 하단과 정면판하단부(12) 및 배면판하단부(21)의 사이로 바닥판(40)을 끼워 넣은 뒤 이들의 경계면을 용접한다. 이때 각 볼트구멍(14)(23)(41)이 일치되도록 해주면 난간지주가 완성된다. 또한 난간지주를 불소수지로 도장하면 부식이 방지됨으로 난간지주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난간지주를 구성하는 정면판과 배면판 및 측면판과 바닥판이 일반 철판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취성에 강하고 잘 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난간지주로 차량이 충돌되더라도 파손되지 않음으로 차량의 추락을 방지할수 있으며 철판이 주물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난간지주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가드레일(50)이 끼워지는 레일끼움홈(11)이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정면판상단부(12)와 정면판하단부(13)를 갖는 정면판(10),
    정면판상,하단부(12)(13)와 대응되는 배면판상단부(21) 및 배면판하단부(22)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이들 상단부(12)(21)와 하단부(13)(22)가 용접되면 정면판(10)과 한몸체로 구성되는 배면판(20),
    정면판(10)과 배면판(20)의 사이로 끼워져 이들의 경계면이 용접되도록 레일끼움홈(11)과 대응되는 요홈(31)이 구비된 측면판(30), 그리고
    정면판하단부(13)와 배면판하단부(22) 및 측면판(30)의 하단 사이로 끼워져 용접되고 앵커볼트(60)가 체결되는 볼트구멍(41)이 다수개 형성된 바닥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교량용 난간지주.
KR2020000014560U 2000-05-23 2000-05-23 교량용 난간지주 KR200201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560U KR200201109Y1 (ko) 2000-05-23 2000-05-23 교량용 난간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560U KR200201109Y1 (ko) 2000-05-23 2000-05-23 교량용 난간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109Y1 true KR200201109Y1 (ko) 2000-11-01

Family

ID=1965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560U KR200201109Y1 (ko) 2000-05-23 2000-05-23 교량용 난간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40B1 (ko) * 2005-01-20 2007-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량 방호 울타리 지주
KR101603568B1 (ko) * 2014-10-10 2016-03-15 박주효 충격 흡수겸용 지주 및 그것을 구비한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440B1 (ko) * 2005-01-20 2007-03-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차량 방호 울타리 지주
KR101603568B1 (ko) * 2014-10-10 2016-03-15 박주효 충격 흡수겸용 지주 및 그것을 구비한 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2549B1 (en) Running board for three wheel motorcycles
KR101787663B1 (ko) 데크로드 난간
KR200201109Y1 (ko) 교량용 난간지주
KR20200041715A (ko) 데크조립체
JP2002155608A (ja) ユニット階段
KR101946494B1 (ko) 데크로드 난간
KR200347048Y1 (ko) 충격완화 기능을 구비한 교량용 방호울타리
JP5750180B2 (ja) 防護柵
JP5593408B1 (ja) 船舶居住区階段構造
KR102669776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JP4058430B2 (ja) 構造材連結用くさび
KR101798585B1 (ko) 핸드레일 난간지주
KR100644971B1 (ko) 에스알씨 디딤판 적용 철골계단
JP2998001B2 (ja) 組立式階段
KR100669814B1 (ko) 난간의 결합 구조
JP4783690B2 (ja) 防護柵の横桟支持具
JP3116067U (ja) ガードレール
GB2388151A (en) Connection device including a plate support and clamp for attachment to a barrier post
KR200259035Y1 (ko) 계단 난간기둥과 가이드레일 연결구
US3942817A (en) Extension for car frame
JP3218387B2 (ja) 擬木製手すりの接続部の構造
JP4153135B2 (ja) 階段構造
JP4046460B2 (ja) 防護柵の横梁の継手構造
JP2003041729A (ja) 階段構造
KR100663870B1 (ko) 난간의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2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24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