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1081Y1 -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 Google Patents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81Y1
KR200201081Y1 KR2020000013865U KR20000013865U KR200201081Y1 KR 200201081 Y1 KR200201081 Y1 KR 200201081Y1 KR 2020000013865 U KR2020000013865 U KR 2020000013865U KR 20000013865 U KR20000013865 U KR 20000013865U KR 200201081 Y1 KR200201081 Y1 KR 200201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rminal
charger
contact
contact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곤
강현찬
Original Assignee
김서곤
강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곤, 강현찬 filed Critical 김서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8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가 개시된다. 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를 갖는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지지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휴대폰을 중앙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측면플레이트, 지지부의 후면에서 휴대폰을 전방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후면플레이트,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결합되는 접촉단자부, 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충전기의 전면하부에서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켜지는 램프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여러종류의 휴대폰 배터리를 한개의 충전기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 공공장소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ellular-Phone Battery Charger}
본 고안은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종류의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가능하게 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휴대가 용이하고 어디에서나 통화가 가능하다는 편리성으로 인해 수요가 급중하고 있으며 현대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을 더욱 편리하고 미적감각의 형태로 디자인함에 따라 회사별로 또는 모텔마다 크기가 차이가 있어 휴대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 또한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이에따라, 외출중에 휴대폰에 맞는 충전기가 없으면 충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크기나 형태가 다양한 휴대폰을 한개의 충전기로 충전시킬 수 있는 목적은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11: 지지부
13: 측면 플레이트 14: 후면 플레이트
17: 가이드 핀 20: 압축 스프링
30: 가변이송부 35: 양극접지바
39: 음극접지바 40: 피니언
42: 조정다이알 50: 접촉단자부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를 갖는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지지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휴대폰을 중앙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측면플레이트, 지지부의 후면에서 휴대폰을 전방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후면플레이트,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결합되는 접촉단자부, 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충전기의 전면하부에서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켜지는 램프로 구성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변이송부는 접촉단자부의 양극접촉단자와 음극접촉단자를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는 조정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조정수단은 상기 양극접촉단자의 하부에 양극단자와 연결되고 하면에 기어가 형성된 양극접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접촉단자의 하부에는 음극단자와 연결되고 상면에 기어가 형성된 음극접지바가 형성되어 상기 양극접지바의 기어와 음극접지바의 기어사이에 피니언이 치합된다.
또한, 조정수단은 상기 피니언 전면에 연결되고 끝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과 상기 축의 끝단에 결합된 조정다이알을 더 구비한다.
또, 상기 접촉단자부는 상기 휴대폰과 결합된 배터리 후면단자와 접촉되도록 탄력적인 'ㅅ'형상을 갖으며, 접촉부위에 슬라이더 볼을 장착하여 상기 접촉단자부의 가변시 부드러운 슬라이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접촉단자부는 상기 휴대폰과 분리된 배터리의 전면과 하단부 단자와 결합되도록 탄력적인 후크형상을 갖으며, 상기 단자와의 접촉부위는 슬라이더 볼을 장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는 전면에 휴대폰(1)을 삽입, 고정할 수 있는 지지부(11)와 지지부(11)의 하단에 위치하여 휴대폰(1) 배터리(2)의 단자(3)와 접촉하는 접촉단자부(50)로 구성된다.
또한,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10)는 지지부(11)의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플레이트(13), 지지부(11)의 후면에 형성된 후면플레이트(14), 및 접촉단자부(50)를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30)로 구성된다.
후면플레이트(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상하로 끝단에 걸림턱(16)을 갖는 돌기바(15)가 돌출되고, 충전기(10)의 후면에는 돌기바(15)와 일치되게 가이드핀(17)이 압입된다. 이 가이드핀(17)에는 중앙에 홀(19)이 형성되고 이 홀(19)의 입구부에 걸림턱(18)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바(15)가 가이드핀(17)에 삽입되면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걸림턱(16,18)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가이드핀(17)과 돌기바(15) 사이에는 탄성부재인 압축스프링(20)이 장착되어 휴대폰(1)이 충전기(10)의 지지부(11)에 삽입되면, 휴대폰(1)의 두께에 따라 후면플레이트(14)가 후방으로 이동되고 후면플레이트(14)는 압축스프링(20)의 복원력으로 인해 휴대폰(1)을 전방으로 밀어주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한다.
측면플레이트(13)도 후면플레이트(14)와 동일하게 상하로 돌기바와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휴대폰(1)을 중앙으로 밀어준다.
접촉단자부(50)는 충전기 지지부(11)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양측 사각홀(51)에서 돌출되어 휴대폰(1) 배터리(2)의 후면 하부에 있는 단자(3)와 접촉된다. 이 접촉단자부(50)는 탄력성을 갖으며 배터리(2) 단자(3)와의 접촉부위에는 슬라이더 볼(54)이 장착되어 단자의 접촉을 위한 이동시 슬라이드가 원활히 되게 한다.
가변이송부(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에 쇄기홈(33)을 갖는 양극단자(31)와 음극단자(32)가 상하로 회로기판(미도시)에서 연장되 나오고, 이 쇄기홈(33)에 이탈방지되면서 좌우로 슬라이더 가능하게 걸림턱(34)을 갖는 양극접지바(35)와 음극접지바(38)가 상하로 각각 결합된다.
양극접지바(35)의 일단 상면에는 양극접촉단자(52) 두개가 상향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기어(36)가 형성된다.
음극접지바(38)는 일단에는 양극접지바(35)와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턱(37)이 형성되고 이 턱(37)위에 두개의 음극접촉단자(53)가 형성된다. 상면에는 양극접지바(35)와 동일한 기어(39)가 형성된다.
양극접지바(35)의 하면기어(36)과 음극접지바(38)의 상면기어(39) 사이에는 피니언(40)이 치합되고, 이 피니언(40)의 전면에는 축(41)이 형성되어 충전기(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축(41)의 끝단에는 접촉단자(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다이알(42)이 결합된다.
따라서, 조정다이알(42)을 시계방향으로 돌기면 피니언(40)이 회전하게 되고 연동하여 피니언(40)의 상부와 하부에 치합된 기어(36,39)가 움직이면서 양극접촉단자(52)와 음극접촉단자(53)의 거리가 멀어진다. 반대로, 조정다이알(42)을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양극접촉단자(52)와 음극접촉단자(53)의 거리가 가까워 진다.
충전기(10)의 전면 하부에는 램프(55)가 형성되어 배터리(2)의 단자(3)에 접촉단자(50)가 접촉되면 램프(55)가 켜지게 하여 조정다이알(42)로 접촉단자(50)의 이동시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동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의 가변이송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의 지지부(11)에 휴대폰(1)을 삽입하면 후면플레이트(14)와 측면플레이트(13)가 휴대폰(1)을 중앙 전면으로 밀어주어 항상 일정한 위치에 휴대폰(1)이 놓이게 한다.
그리고, 충전기(10)의 전면에 있는 조정다이알(42)을 돌리면서 접촉단자부(50)가 배터리(2)의 단자(3)와 접촉되게 한다. 접촉단자부(50)의 접촉부위에 슬라이더 볼(54)이 삽입되어 배터리(2)면에 부드럽게 슬라이드되고 단자(3)와 접촉이 되면 램프(55)가 켜지게 된다.
이에따라, 휴대폰(1)의 크기와 형상에 관계없이 휴대폰(1)이 충전기(10)의 지지부(11)에 삽입되고, 접촉단자부(50)와 접촉되면서 충전이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70)는 배터리(2)만 삽입, 고정되게 좁은 지지부(65)를 갖으며 지지부(65)의 하단에 접촉단자부(60)가 형성된다.
측면플레이트(13), 후면플레이트(14), 및 가변이송부(30)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접촉단자부(60)는 배터리(3)의 전면단자(4)와 후면하단(3)와 접촉되도록 후크형상을 갖으며, 단자(3,4)와 접촉되는 부위는 상술바와 동일하게 슬라이더 볼(61,62)이 장착되어 조정다이알(42)을 돌리면 부드러운 이동이 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는 여러종류의 휴대폰 배터리를 한개의 충전기로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어 공공장소나 사무실에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휴대폰을 충전하기 위하여 전면에 삽입 고정되는 지지부를 갖는 휴대폰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휴대폰을 중앙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측면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후면에서 상기 휴대폰을 전방으로 몰아주기 위해 탄성부재를 갖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결합되는 접촉단자부;
    상기 접촉단자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가변이송부; 및,
    상기 충전기의 전면하부에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의 단자와 상기 접촉단자부가 접촉되었을때 켜지는 램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이송부는 상기 접촉단자부의 양극접촉단자와 음극접촉단자를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깝게 하는 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양극접촉단자의 하부에 양극단자와 연결되고 하면에 기어가 형성된 양극접지바가 형성되고, 상기 음극접촉단자의 하부에는 음극단자와 연결되고 상면에 기어가 형성된 음극접지바가 형성되어 상기 양극접지바의 기어와 음극접지바의 기어사이에 피니언이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피니언 전면에 연결되고 끝단은 외부로 돌출된 축과 상기 축의 끝단에 결합된 조정다이알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는 상기 휴대폰과 결합된 배터리 후면단자와 접촉되도록 탄력적인 'ㅅ'형상을 갖으며, 접촉부위에 슬라이더 볼을 장착하여 상기 접촉단자부의 가변시 부드러운 슬라이드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자부는 상기 휴대폰과 분리된 배터리의 전면과 하단부 단자와 결합되도록 탄력적인 후크형상을 갖으며, 상기 단자와의 접촉부위는 슬라이더 볼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20000013865U 2000-05-16 2000-05-16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0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201 2000-05-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201 Division 2000-05-16 2000-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81Y1 true KR200201081Y1 (ko) 2000-11-01

Family

ID=196687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865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1081Y1 (ko) 2000-05-16 2000-05-16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10-2000-0040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176B1 (ko) 2000-05-16 2000-07-18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85176B1 (ko) 2000-05-16 2000-07-18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10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8803A1 (en) * 2004-03-18 2005-09-22 Alpha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KR100673577B1 (ko)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265A (ko) * 2002-01-08 2003-07-16 주식회사 에스제이이테크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KR100517997B1 (ko) * 2003-05-12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용 충전기
KR101101062B1 (ko) 2010-08-19 2011-12-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 장치
KR101041187B1 (ko) * 2011-03-03 2011-06-13 주식회사 알파트로닉스 다기종 배터리 충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6954A (en) * 1992-07-09 1993-10-26 Jeff Chen Battery pack charging device
KR19990039777U (ko) * 1998-04-18 1999-11-15 김종배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88803A1 (en) * 2004-03-18 2005-09-22 Alphatronics Co., Ltd. Battery charging device for various types of mobile phone
KR100673577B1 (ko) * 2006-03-02 2007-01-24 주성표 다기능을 갖는 크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65A (ko) 2001-11-29
KR100385176B1 (ko)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51554Y (zh) 动力工具
US20020063550A1 (en) Battery charger capable of charging different size of batteries
US6975842B2 (en) Mobile phone with battery latch
US20010008373A1 (en) Flexible battery charger adaptable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JP5011915B2 (ja) 充電台
CN1170412C (zh) 无绳电话机用充电装置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CN215497430U (zh) 一种充电结构
US20050225285A1 (en) Charging base for batteries of different specifications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219393945U (zh) 多功能拖线板
JPH08130038A (ja) 異なる形状のパック電池を充電できる充電器
JP3458061B2 (ja) 充電器
CN219419741U (zh) 兼具手机支架功能的插线板
KR200230903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JP2003158826A5 (ko)
KR100539016B1 (ko) 이동통신기기용 전지 장착부를 갖는 작동기기 및 전지수납장치
CN218102617U (zh) 一种防过充手机充电器
CN2373937Y (zh) 多功能电池充电卡座
CN218101032U (zh) 一种一位单极开关
KR100355823B1 (ko) 가변형 휴대폰 충전기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20020043560A (ko)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CN2646931Y (zh) 通用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1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709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3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