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628A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96628A KR20020096628A KR1020010035326A KR20010035326A KR20020096628A KR 20020096628 A KR20020096628 A KR 20020096628A KR 1020010035326 A KR1020010035326 A KR 1020010035326A KR 20010035326 A KR20010035326 A KR 20010035326A KR 20020096628 A KR20020096628 A KR 200200966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ation area
- mobile communication
- specific
- location
- area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영역을 셀 영역 단위에 국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하여, 이 영역 내부로 이동한 단말기 및 이 영역에서 외부로 이동한 단말기를 구분함으로써 이 영역 내부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은 다수의 이동 통신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다. 교환국은 다수의 기지국들에 연결되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호 처리를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는 교환국들을 관리한다. 위치 측정 장치는 다수의 이동전화 단말기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한다. 정보 입출력부는 특정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위치 영역 및 상기 특정 위치 영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정보를 입력 및 갱신한다. 데이터베이스부는 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위치 영역 및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한다. 제어부는 위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 단말기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 내부 혹은 외부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및 출력한다. 메시지 발생부는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발생 및 전송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freely sets a specific location area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not limited to a cell area unit, and distinguishes between a terminal moved into this area and a terminal moved out of this area in real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In the apparatus, the base station wirelessly connects with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o send and receive signals. The switching center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o perform call processing of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e home location register manages the exchanges.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precisely measures the real time position of a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terminals.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inputs and updates a specific location area where a specific location based service is provided and information on a member who subscribes to the specific location area based service. The database unit stores and outputs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area and a member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The controller determines and outputs whether the terminal has moved into or out of the specific location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The message generator generates and transmits a specific message to the subscriber by using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장치 및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위치 영역을 정의하여 그 영역에 위치한 가입자에게 특정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그 영역에 새로 들어온 가입자 및 그 영역에서 이탈한 가입자를 구분하여, 실시간으로 그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가입자를 관리하고 해당 가입자에게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location are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 defining a specific location area and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to a subscriber located in the area, the new subscriber in the area and the subscri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distinguishing a subscriber who has deviated from an area, managing a subscriber existing in the area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subscrib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는 대용량 통신 처리 시스템으로서 대량의 통화를 처리하기 위해 셀 방식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단말기는 현재 자신이 속해 있는 셀(10)로부터 서비스를 받게 된다. 상기 셀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는 호출자의 요청으로 인하여 단말기를 호출할 때, 단말기의 찾는 범위를 줄이고, 그 과정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계속해서 추적하는 위치관리(Location Management)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위치관리는 단말기가 셀과 셀 사이를 이동할 때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말하며, 셀이 많아짐으로 인해 자료 갱신이 잦아지므로 여러 개의 셀을 하나로 묶은 위치영역(Location Area, 20, 30)이 위치관리의 기본 단위로 사용된다.As shown in FIG. 1, the currently provid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is a large-capacity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which provides a service based on a cellular structure to process a large number of calls, and the terminal currently includes a cell to which it belongs. You will receive service from (10). The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has a location management function that continuously tracks the location of the current terminal to reduce the search range of the terminal and simplify the process when calling the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caller. have. The location management refers to a function of automatically updating the data of the database when the terminal moves between cells, and since the data is frequently upd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ells, a location area that combines several cells into one (Location Area, 20, 30) ) Is used as the basic unit of location management.
현행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상기 위치영역을 기본으로 특정 위치영역을 정의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 SK Telecomm의 TTL Zone 서비스 등을 들 수 있다.Current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by defining a specific location area based on the location area. For example, SK Telecomm's TTL Zone service.
그러나, 상기 위치기반 서비스는 특정 위치영역을 정의할 때 여러 개의 셀을 하나로 묶은 위치영역을 사용함으로써, 특정 위치영역을 기지국 단위로 구성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의 생활영역과 무관한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셀 영역) 단위로 특정 위치영역을 정의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위치영역과 시스템에서 설정할 수 있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을 일치시키기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더 이상 셀 영역 단위에 국한되지 않고 특정 위치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location-based service has a problem in that a specific location area can be configured in units of base stations by using a location area in which several cells are combined when defining a specific location area. That is, since the specific location area should be defined in units of service area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irrelevant to the user's living area, the location area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user and the specific location area that can be set in the system match It is difficult to mak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provide a location-based service by freely setting a specific location area, which is no longer limited to a cell area unit.
한 편, 이동전화 위치측정 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기존의 위치관리 단위인 셀 단위보다 정밀한 위치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정밀한 위치측정이란, GPS 위성을 이용하거나 이동전화 네트워크에 특정한 설비를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실시간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이동전화 단말기나 이동전화 네트워크에 추가되어,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계산하는 장치를 위치 측정 장치라 한다. 이 때, 이동전화 단말기의 위치는 위도-경도(x, y) 혹은 위도-경도-고도(x, y, z)의 형태로 출력된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phone positioning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more precisely than the cell unit which is the existing location management unit. The precise position measurement refers to a technology capable of precisely measuring the real-tim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using GPS satellites or by adding specific equipment to the mobile telephone network. A device that is added to a mobile phone terminal or a mobile phone network using this technique and measures and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n real time is called a location measurement device.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mobile phone terminal is output in the form of latitude-longitude (x, y) or latitude-longitude-altitude (x, y, z).
그러므로, 상기 위치측정장치를 이용하면 셀 영역 단위에 국한되지 않고 특정 위치영역(40)을 자유롭게 설정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location measuring apparatus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by freely setting a specific location area 40 without being limited to cell area units.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영역을 셀 영역 단위에 국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하여, 이 영역 내부로 이동한 단말기 및 이 영역에서 외부로 이동한 단말기를 구분함으로써 이 영역 내부에 위치한 단말기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reely sets a specific location area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not limited to a cell area unit, and distinguishes between a terminal moved into this area and a terminal moved out of this area in real tim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무선으로 연결하여 신호를 주고 받는 기지국; 다수의 기지국들에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의 호 처리를 수행하는 교환국;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by wirelessly connecting to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 exchange station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to perform call processing of the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다수의 상기 교환국들을 관리하는 홈 위치 등록기;A home location register for managing a plurality of said switching stations;
상기 다수의 이동전화 단말기들의 실시간 위치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위치 측정 장치;A position measuring device for precisely measuring a real tim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terminals;
특정 위치 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특정 위치 영역 및 상기 특정 위치 영역 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의 정보를 입력 및 갱신하는 정보 입출력부;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for inputting and updating information on a specific location area where a specific location based service is provided and information on a member subscribed to the specific location area based service;
상기 정보 입출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기 특정 위치 영역 및 상기 회원의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데이터베이스부;A database unit which store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location area and the member inputted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상기 위치 측정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 내부 혹은 외부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및 출력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which determines and outputs whether the terminal has moved into or out of the specific location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received from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에게 특정 메시지를 발생 및 전송시키는 메시지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And a mess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subscriber by using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본 발명은 또한The invention also
a)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a) detecting a change in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추적영역 내부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determin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moved into a preset location tracking area;
c) 단계 b)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위치추적영역 내부로 이동한 경우, 특정 위치영역을 기반으로 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가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c)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b), if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ves into the location tracking area,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subscribed to a service provided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area; step;
d) 단계 c)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추적 위치영역 내부에 있다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d)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 a tracking location area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subscribed to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c);
e) 단계 d)에 의하여 관리되는 단말기들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단계;e) periodically measuring positions of terminals managed by step d);
f) 단계 e)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 내부에 위치하는지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f)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step e);
g) 단계 f)의 판단 결과에 따라 특정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g) sending a specific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f).
도 1은 셀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에서 셀과 기존의 위치 영역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cell and an existing location area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위치 영역과 추적 위치 영역 및 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specific location area, a tracking location area, and a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장치의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location area management apparatu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형태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form stored in the database unit shown in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location area management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 위치 영역 내부로 이동한 가입자 및 상기 추적 위치 영역 외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tinguishing and managing a subscriber who has moved into the tracking location area and a subscriber who has moved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위치 영역으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who have moved to a specific lo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정 위치 영역에 있다가 상기 특정 위치 영역 외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who are in a specific location area and moved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principal part of drawing>
10: 셀 20: 셀 방식의 제1 위치 영역10: cell 20: cellular first location region
30: 셀 방식의 제2 위치 영역 40: 특정 위치 영역30: cellular second location area 40: specific location area
50: 추적 위치 영역 100: 단말기50: tracking location area 100: terminal
200: 기지국 300: 교환기200: base station 300: exchanger
400: 홈 위치 등록기 500: 위치 정보 시스템400: home location register 500: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1: 정보 입출력부 502: 데이터베이스부501: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unit 502: database unit
503: 제어부 600: 위치 측정 장치503: control unit 600: position measuring device
700: 메시지 발생부700: message genera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에는 특정 위치영역(40)과 셀과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특정 위치영역(40)을 포함하는 모든 셀들로 이루어진 위치영역을 추적 위치영역(50)이라 하고, 별도로 관리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빈번한 위치측정에 따른 위치측정장치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In Fig.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position area 40 and the cell is shown. At this time, the location area composed of all cells including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is referred to as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and is separately managed. By doing so, the burden on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due to the frequent position measurement can be reduced.
도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을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을 관리하는 장치는 단말기(100), 기지국(200), 교환기(300), 홈 위치 등록기(400), 위치측정장치(600), 위치정보시스템(500), 메시지 발생부(700)를 포함한다.3 shows a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a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includes a terminal 100, a base station 200, an exchange 300, a home location register 400, a location measuring device 600, a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and a message generation. A portion 700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시스템(500)은 정보 입출력부(501), 데이터베이스부(502) 및 제어부(503)를 포함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includes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a database unit 502, and a control unit 503.
교환기(300)는 기지국들을 몇 개씩 묶어서 위치 영역을 만들 수 있다. 단말기(100)가 현재 교신하고 있는 기지국이 속해 있는 위치영역1(20)에서 위치영역2(30)에 속한 기지국으로 위치 변경시, 상기 단말기(100) 상기 위치영역2(30)에 속한 기지국을 거쳐서 교환기(300)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한다. 상기 교환기(300)는 단말기가 추적 위치영역(50)에 새로 등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 exchange 300 may bundle several base stations to form a location area. When the terminal 100 changes its position from the location area 1 (20) to which the base station with which the base station currently communicates belongs to the base station belonging to the location area 2 (30), the terminal 100 changes the base station belonging to the location area 2 (30). It registers its position in the exchange 300 via. The exchange 30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newly registers in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홈 위치 등록기(400)는 상기 교환기(300)로부터 단말기의 추적 위치영역 등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 받아서, 상기 정보를 위치정보시스템(500)의 제어부(503)로 전송한다.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receiv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terminal registers the tracking location area from the switch 300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503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상기 위치정보시스템(500)의 상기 정보 입출력부(501)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되는 위치영역 및 이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정보 등을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입력한다. 상기 정보 입출력부(501)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및 가입자의 정보의 변경이 필요할 때,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된 위치영역 및 가입자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된 상기 위치영역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확인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inputs a location area where a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is provided and information on a subscriber who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to the database unit 502.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is provided to update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rea and the subscriber stored in the database unit 502 when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and the subscriber is required. Information of the location area and subscriber stored in 502 may be confirmed or output.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 위치측정 장치(600)에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측정을 의뢰한다.The controller 503 queries the database unit 502 whether the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and if the terminal 100 is subscribed to the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location measurement. The device 600 requests the position measurement of the terminal 100.
상기 위치측정장치(600)는 기지국(200) 및 교환기(300)와 연동하여, 단말기(1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이를 위치정보시스템(500)의 제어부(503)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측정장치(600)는 글로벌 위치 설정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을 응용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측정장치(600)는 도달각(Angle Of Arrival: AOA) 기술, 도달 시간차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기술 및 개선된 시간차 관측(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E-OTD) 기술을 이용하거나, 이들 기술을 복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interlocks with the base station 200 and the switch 300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position to the control unit 503 of the position information system 500. 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may use a technology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600 uses an Angle of Arrival (AOA) technology, a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 technology, and an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E-OTD) technology, These techniques can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상기 위치측정장치(600)에서 전송한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적당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시지 발생부(700)에 메시지 전송을 의뢰한다.The controller 503 queries the database unit 502 for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600 is i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It determines whether it is outside, generates an appropriate message, and requests the message generator 700 to transmit the message.
상기 메시지 발생부(700)는 상기 제어부(503)가 의뢰한 메시지를 만들어 교환기(300) 및 기지국(200)을 경유하여 가입자의 단말기(100)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단문메시지를 이용하거나 무선데이터 혹은 무선인터넷의 푸시(Push) 기능을 이용하여 전송한다.The message generator 700 creates a message requested by the controller 503 and transmits a message to the terminal 100 of the subscriber via the exchang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At this time, a method of transmitting a message may be transmitted by using a short message or by using a push function of wireless data or wireless Internet.
도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을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하는 형태의 일례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이 N(여기서 N은 정수)개의 꼭지점을 가진 다각형의 모양이라면,그 꼭지점들의 위도-경도(x, y) 혹은 위도-경도-높이(x, y, z)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시스템 운영자는 이 꼭지점들의 좌표를 각각 측정 및 결정하고, 이 좌표값들을 정보 입출력부(501)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시킨다. 제어부(503)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을 재구성하여 이를 위치측정장치(600)가 측정한 단말기(100)의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4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xample of storing a specific location area 40 in the database unit 50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particular location area 40 is in the shape of a polygon with N vertices, where N is an integer, the latitude-longitude (x, y) or latitude-longitude-height (x, y, z) of the vertices, respectively It can be measured. The system operator measures and determines the coordinates of these vertices, and stores these coordinate values in the database unit 502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The control unit 503 reconstructs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using the coordinate values stored in the database unit 502 and compares it wit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measured by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600, thereby,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100 is inside or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stored in other forms.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영역 설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will be described the location area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정보 입출력부(501)를 통하여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 즉, 상기 도4의 설명에서 언급된 좌표값 등을 입력하면, 상기 정보 입출력부(501)는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저장한다(S100, S110). 이 때, 설정하는 위치영역은 여러 셀 영역에 걸쳐서 이루어질 수 도 있고, 하나의 셀 영역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When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at is, the coordinate values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of FIG. 4, is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the information input / output unit 501 sends this information to the database unit 502. Store in (S100, S110). In this case, the position area to be set may be formed over several cell areas or may be included in one cell area.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는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가 갱신되었음을 제어부(503)에 알린다(S120).The database unit 502 notifies the controller 503 that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has been updated (S120).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에서 제공하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들의 정보를 얻은 후, 홈위치등록기(400)에 상기 단말기(100)들이 위치등록되어 있는위치영역(20, 30)에 대한 정보를 의뢰한다(S122, S124).The controller 503 inquires the database unit 502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terminals 100 subscribed to a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d by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and then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receives the information. The terminal 100 requests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areas 20 and 30 where the locations are registered (S122 and S124).
교환기(300)는 상기 위치영역(20, 30)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데이터에는 특정필드, 예를들어 특정영역 필드가 있어, 만일 위치영역1이 추적 위치영역(50)이면 상기 특정영역 필드의 값이 "1"이며, 위치영역2가 추적 위치영역(50)이 아니면 상기 특정영역 필드의 값이 "0"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교환기(300)는 이 정보를 주기적 혹은 비주기적으로 상기 홈위치등록기(400)에 보고하므로, 상기 홈위치등록기(400)는 상기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위치영역(20, 30)의 특정영역 필드의 값을 단말기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홈위치등록기(400)는 상기 제어부(503)에서 의뢰한 단말기(100)가 위치등록한 위치영역(20, 30)의 특정영역 필드의 값을 상기 제어부(503)로 전송한다(S126).The exchange 300 stores data for the location area 20, 30, and the data has a specific field, for example, a specific area field, if the location area 1 is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If the value of the area field is "1" and the location area 2 is not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field is displayed as "0".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ndicated in other ways. Since the switch 300 reports this information periodically or aperiodically to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specifies the location area 20, 30 where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located. The value of the area field can be stored and managed for each terminal.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transmits a value of a specific area field of the location areas 20 and 30 registered by the terminal 100 requested by the controller 503 to the controller 503 (S126).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특정영역 필드의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들이 추적 위치영역(50)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8).The controller 503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s 100 are located in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by using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field (S128).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는 상기 단말기(100)들이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특정 데이터 필드, 즉 위치추적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추적 필드의 값이 "1"이며,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외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추적 필드의 값이 "0"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계 S160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들의 위치추적 필드의 값을 갱신한다(S130,S132`).The database unit 502 stores a specific data field, ie, a location tracking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s 100 are inside or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e terminal 100 stores the tracking location.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is "1" if it is inside the area 50, and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is "0" if the terminal 100 is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ndicated in other ways. The controller 503 updates the values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s of the terminals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60 (S130 and S132 ′).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계 S160의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는경우, 위치측정장치(600)에 상기 단말기(100)들의 위치측정을 의뢰한다(S140).If the terminal 100 is in the tracking position area 5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S160, the controller 503 requests 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100 (S140). .
상기 위치 측정 장치(600)는 상기 제어부(503)에서 의뢰한 단말기(100)들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3)로 전송한다(S150).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measures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s 100 requested by the controller 503 and transmits the position to the controller 503 (S150).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상기 위치측정장치(600)에서 전송한 상기 단말기(100)들의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160, S17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는 상기 단말기(100)들이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특정 데이터 필드, 즉 위치서비스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이 "1"이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외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이 "0"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503 inquires the database unit 502 of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100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600 is the specific location area ( 40)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inside or outside (S160, S170). The database unit 502 stores a specific data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s 100 are inside or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at is, a location service field, and the terminal 100 stores the specific location. The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is "1" if it is inside the area 40, and the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is "0" if the terminal 100 is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ndicated in other ways.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계 S160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들의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을 갱신한다(S180, S190).The controller 503 updates the values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s of the terminals 10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step S160 (S180 and S190).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적 위치영역(50) 내부로 이동한 가입자 및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외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1과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적위치영역(50)으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tinguish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ing into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and subscribers moving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1, 2 and 3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ed to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100)가 위치영역1(20) 및 위치영역2(30) 사이를 이동할 때, 이 영역의 기지국을 관리하는 교환기(300)는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한다(S200).When the terminal 100 moves between the location area 1 20 and the location area 2 30, the switch 300 managing the base station in this area detects a change i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S200).
상기 교환기(200)는 감지된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내부로 이동하였는지,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다가 외부로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The exchange 2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terminal 100 has moved into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or moved in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o the outside (S210).
상기 단계 S210의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된 것이라면,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영역 필드의 값이 "0"인 위치 영역에서 "1"인 위치 영역으로 단말기가 이동하였다면, 상기 교환기(3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내부로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400)를 거쳐서 위치정보시스템(500)의 제어부(503)에 보고한다(S22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0, if the terminal 100 is 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o the inside,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field is "1" in the location area "1". If the terminal has moved to the in-location area, the switch 300 controls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via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to inform that the terminal 100 has moved into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Report to step 503 (S220).
상기 단계 S210의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된 것이라면,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영역 필드의 값이 "1"인 위치 영역에서 "0"인 위치 영역으로 이동하였다면, 상기 교환기(300)는 상기 단말기(100)가 추적 위치영역(50) 외부로 이동하였다는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400)를 거쳐서 위치정보시스템(500)의 제어부(503)에 보고한다(S23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0, if the terminal 100 is moved out of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0" in the location area where the value of the specific area field is "1". If the mobile station has moved to the in-location area, the switch 300 controls the controller 503 of the location information system 500 via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to inform that the terminal 100 has moved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 To report (S230).
상기 제어부(503)는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특정 위치영역(40)에서 제공하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하였는지의 여부를판단한다(S240).The controller 503 queries the database unit 502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100 subscribes to a specific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ed by a specific location area 40 (S240).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는 상기 단말기(100)들이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특정 데이터 필드, 즉 위치추적 필드를 저장하고 있는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내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추적 필드의 값이 "1"이며,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추적 위치영역(50) 외부에 있다면 상기 위치추적 필드의 값이 "0"으로 표시된다. 이는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른 방법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The database unit 502 stores a specific data field, ie, a location tracking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terminals 100 are inside or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e terminal 100 stores the tracking location.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is "1" if it is inside the area 50, and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is "0" if the terminal 100 is outside the tracking location area 50.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may be indicated in other ways.
상기 단계 S230의 판단결과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503)는 상기 단계S220 및 S230에서 교환기(300)가 홈위치 등록기(400)를 거쳐서 보고한 내용에 따라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추적 필드의 값을 "0"에서 "1"로 혹은 "1"에서 "0"으로 변경한다(S25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30, when the terminal 100 subscribes to the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the controller 503 reports the contents of the switch 300 through the home location register 400 in steps S220 and S230. As a result,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of the terminal 100 is changed from "0" to "1" or from "1" to "0" (S250).
도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 내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으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ing into a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ing to a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어부(503)는 미리 정해놓은 시간주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여 특정 위치영역(40)에서 제공하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중 위치추적 필드의 값이 "1"이고,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이 "0"인 단말기(100)의 정보(전화번호 등)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측정을 위치측정장치(600)에 의뢰한다(S300, S310).The control unit 503 inquires the database unit 50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period, and the value of the location tracking field of the terminal 100 subscribing to the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provided by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is "1". , And obtains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etc.) of the terminal 100 having a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0", and requests 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using the information (S300). , S310).
상기 위치측정장치(600)는 상기 제어부(503)가 의뢰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3)로 전송한다(S320).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600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requested by the controller 503 and transmits the position to the controller 503 (S320).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고 이를 상기 위치측정장치(600)에서 전송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330, S340).The controller 503 inqui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o the database unit 502 and compares it with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transmitted from the location measuring device 600,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100 is inside or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S330, S340).
상기 단계 S240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100)의 현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다면,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을 "1"로 갱신하고, "고객님께서는 ○○○ 영역에 들어오셨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메시지 발생부(700)에서 작성 및 전송하도록 지시한다(S350, S3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40,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i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e controller 503 updates the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of the terminal 100 to "1". In addition, the message "customer has entered the area ○○○" and instructs the message generator 700 to create and transmit (S350, S360).
상기 메시지 발생부(700)는 상기 제어부(503)에서 전달받은 내용의 메시지를 만들어, 교환기(300) 및 기지국(200)을 거쳐서 해당 단말기(100)에 이를 전송한다(S370).The message generator 700 creates a message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503 and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0 through the exchang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S370).
도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 내에서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외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기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특정 위치영역(40) 외부로 이동한 가입자를 구분하고 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ing out of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i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a process of identifying and managing subscribers moved to a specific location area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어부(503)는 미리 정해놓은 시간주기(이 시간주기의 값은 상기 도7의 설명에서 시간주기의 값과 다를 수 있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부(502)를 조회하여 특정 위치영역(40)에서 제공하는 특정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중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이 "1"인 단말기(100)의 정보(전화번호 등)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측정을 위치측정장치(500)에 의뢰한다(S400, S410).The control unit 503 inquires the database unit 502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e value of this time period may be different from the value of the time period in the description of FIG. 7) and provides the data in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Obtain information (telephone number, etc.) of the terminal 100 whose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is “1” among the terminal 100 subscribed to a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and measure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by using the same. Request to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500 (S400, S410).
상기 위치측정장치(500)는 상기 제어부(503)가 의뢰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3)로 전송한다(S420).The position measuring apparatus 500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requested by the controller 503 and transmits the position to the controller 503 (S420).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특정 위치영역(40)에 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502)에 조회하고 이를 상기 위치측정장치(500)에서 전송한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기(100)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430, S440).The control unit 503 inqui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o the database unit 502 and compares it with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transmitted from the position measuring device 500, the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100 is inside or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S430, S440).
상기 단계 S340의 판단 결과, 상기 단말기(100)의 현 위치가 상기 특정 위치영역(40) 외부에 있다면, 상기 제어부(503)는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서비스 필드의 값을 "0"으로 변경하고, "고객님께서는 이제 ○○○ 영역에서 나오셨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메시지 발생부(700)에서 작성 및 전송하도록 지시한다(S450, S460).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40, if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40, the controller 503 changes the value of the location service field of the terminal 100 to "0". And, instructs to create and send a message, such as "You are now out of the ○○○ area" in the message generator 700 (S450, S460).
상기 메시지 발생부(700)는 상기 제어부(503)에서 전달받은 내용의 메시지를 만들어, 교환기(300) 및 기지국(200)을 거쳐서 해당 단말기(100)에 이를 전송한다(S470).The message generating unit 700 creates a message of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503 and transmits it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 100 via the exchange 300 and the base station 200 (S47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위치영역을 셀 영역 단위에 국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하여, 이 영역 내부에 존재하는 단말기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특정 위치 영역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실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위치영역(예를 들면, 특정 대학 캠퍼스 내, 혹은 특정 놀이동산 내)을 특정 위치영역으로 설정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위치영역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때와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할 때 이 사실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줌으로써, 가입자 자신이 특정 서비스 제공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모호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freely setting a specific location area for providing a specific service, not limited to a cell area unit, and providing a method for distinguishing terminals existing in the area, thereby providing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Encourage the delivery. Since the specific location area can be freely set, a variety of services can be provided by setting a location area (for example, on a specific university campus or a specific amusement park) that may be of interest to a specific location area. There are advantages to it. In addition, by notifying the user in real time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outside the specific location area,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ambiguity as to whether the subscriber is located in the specific service area.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one embodimen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326A KR100421311B1 (en) | 2001-06-21 | 2001-06-2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35326A KR100421311B1 (en) | 2001-06-21 | 2001-06-2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6628A true KR20020096628A (en) | 2002-12-31 |
KR100421311B1 KR100421311B1 (en) | 2004-03-09 |
Family
ID=2771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35326A KR100421311B1 (en) | 2001-06-21 | 2001-06-21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21311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08885A (en) * | 2002-07-19 | 2004-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ing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ubscriber |
KR100438553B1 (en) * | 2001-11-24 | 200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plementation method for similar blue tooth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KR20040069444A (en) * | 2003-01-29 | 2004-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e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of |
KR100910300B1 (en) * | 2007-09-18 | 2009-08-0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ubscriber-based z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
KR100918259B1 (en) * | 2008-02-27 | 2009-09-18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service using base station cell identifier |
KR101493066B1 (en) * | 2011-06-30 | 2015-02-16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Method for Processing Program for Location Based Service |
KR20150041921A (en) * | 2013-10-10 | 2015-04-2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mand response serv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57337B2 (en) * | 1993-02-10 | 2002-12-16 |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 Integrated circuit |
KR100623116B1 (en) * | 1999-09-16 | 2006-09-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Notification System for Rate Discount Are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Notification of Rate Discount Area Using the Same |
KR100367832B1 (en) * | 2000-06-22 | 2003-01-10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Method for processing call capable of home-zone additi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KR100405282B1 (en) * | 2001-03-30 | 2003-11-12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Apparatus for inform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its position and method thereof |
-
2001
- 2001-06-21 KR KR10-2001-0035326A patent/KR10042131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8553B1 (en) * | 2001-11-24 | 2004-07-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mplementation method for similar blue tooth of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
KR20040008885A (en) * | 2002-07-19 | 2004-01-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controling service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subscriber |
KR20040069444A (en) * | 2003-01-29 | 2004-08-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ge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of |
KR100910300B1 (en) * | 2007-09-18 | 2009-08-03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Subscriber-based z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
KR100918259B1 (en) * | 2008-02-27 | 2009-09-18 | 주식회사 케이티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route information service using base station cell identifier |
KR101493066B1 (en) * | 2011-06-30 | 2015-02-16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Method for Processing Program for Location Based Service |
KR20150041921A (en) * | 2013-10-10 | 2015-04-2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Demand response serv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21311B1 (en) | 2004-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5650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il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7072667B2 (en) |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for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 |
JP500644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mpleting a zone related call | |
KR20080057222A (en) | How to find the physical location of a mobile phone at a given time | |
AU2990799A (en) |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network of terminal-based positioning method capabilities | |
WO2003045100A1 (en) | Provision of location information | |
CN101895865A (en) | The method of the trigger position information of target terminal is provided | |
KR10042131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ocation area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WO2007096713A1 (en) | Supporting a positioning of a mobile terminal | |
JP3820981B2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IME OF DESTINATION PORTABLE TERMINAL IN SOURCE PORTABLE TERMINAL | |
CN100579300C (en) | Method for realizing burst mode positioning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775755B1 (en) | Local advertisement RBT (Ring Back Ton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 |
US2004020388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unit | |
KR100405282B1 (en) | Apparatus for inform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its posi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0791765B1 (en) | Location based group call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ed to the system | |
KR100618403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notification service | |
KR100335145B1 (en) | Call Setup Method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 |
KR20030013669A (en) |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using wireless mobile terminal | |
KR100910300B1 (en) | Subscriber-based zone service system and method | |
KR2005008616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all of a mobile terminal to an agent nearest to the terminal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 |
JP2002259383A (en) | Portable telephone set,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position | |
JPH11164366A (en) | Navigation system utilizing mobile object communication network | |
KR101217807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telligent network call having customer division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020026049A (en) | Method for connecting a group of mobile telephones using position-based and apparatus therefor | |
CN100450290C (en) | A Method of Realizing Positioning Entity Switching in Trusted Mo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2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4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