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96483A -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483A
KR20020096483A KR1020010035027A KR20010035027A KR20020096483A KR 20020096483 A KR20020096483 A KR 20020096483A KR 1020010035027 A KR1020010035027 A KR 1020010035027A KR 20010035027 A KR20010035027 A KR 20010035027A KR 20020096483 A KR20020096483 A KR 20020096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washing machine
clothes
dryer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덕
장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3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483A/ko
Publication of KR20020096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48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에서 이용되는 포량 및 포질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그 포량 및 포질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기와 별개로 설치하여 세탁이 끝난 젖은 의류를 자동으로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기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그 세탁기에서 자동으로 감지한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하거나 차단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건조제어부와; 상기 건조제어부의 건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CLOTHES DRYER AND CLOTHES DRY METHOD}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시 감지된 세탁량과 세탁물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한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탁기는 세정도 향상,소음저감,에너지 저감등을 위하여 모터의 속도를 자유롭게 가변 제어하는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와같은 세탁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기는 세탁/행굼행정을, 세정력 대비 소비되는 전기에너지 및 물의 양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세탁량의 무게, 즉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해야 한다.
상기 포량 감지에는, 일정시간 동안 소정 속도로 가속한후 전원을 차단하여 감속되는 시간, 즉 포량에 따른 관성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과 일정한 속도까지 가속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펄세이터가 클러치와 기어에 의해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 또는 방향전환을 하는 시스템에서는 포량에 따른 관성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한편, 펄세이터 또는 세탁통에 모터가 직결되어 구동되는 직접 구동방식에서는 일정한 속도까지 가속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포량을 감지하는데, 초기에는 모터를 일정 위치에 정열시킨후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일정하게 증가시킨다.
만약, 기준 세탁량에 비해 세탁량이 많은 경우, 일정한 기준속도 또는 기준위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모터가 더 많은 토크를 발생해야 하므로 기준시간에 비해 더 오랜시간이 걸리게 된다.
반대로, 기준 세탁량에 비해 세탁량이 적은 경우, 기준 세탁량을 일정시간 또는 일정 위치까지 도달하는데 더 적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므로 기준시간 보다 더 짧은 시간에 기준속도 또는 기준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즉, 세탁기는 의류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한후, 세탁→헹굼→탈수의 과정으로 세탁을 수행한다.
이때, 의류건조기는 세탁기와 별개로 설치하여 세탁이 끝낸 젖은 상태의 의류를 자동으로 건조하도록 하는 것으로, 건조 방식에 따라 제습식과 배기식으로 구분한다.
상기 제습식은, 내부에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공기가 건조기안에서 순환되어 습기를 응축시킴으로써 물은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는 다시 히터로 가열하여 드럼 내부로 공급하면서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식은 건조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로 가열한 다음에 드럼으로 유도하였다가 다시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드럼안의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다.
도1은 일반적인 의류건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로서, 이에도시한 바와같이 전면에 투입구(1a)를 구비한 케이싱(1)과, 케이싱(1)의 투입구 (1a)를 개폐하는 도어(2)와, 케이싱(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여 의류를 수납하고 내측 둘레면에 복수개의 교반편(미도시)을 일체로 형성하는 드럼(3)과, 드럼(3)의 하측에 장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4)와, 구동모터(4)의 회전력을 드럼(3)에 전달하는 전동수단(5)과, 구동모터(4)의 일측에 장착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6)와, 케이싱(1)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히터(6)로 유도하고 여기서 가열된 공기를 드럼(3)으로 유도하였다가 그 드럼(3)을 통과한 공기를 다시 케이싱(1)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순환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드럼(3)은 상기한 전동수단(5)에 의해 구동모터(4)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통체(3A)와, 통체(3A)의 양측에 실링 결합하도록 고정 설치하는 측면판(3B),(3C)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체(3A)는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 둘레면에 상기한 복수개의 교반편(미도시)을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측면판(3B)(3C)들은 모두 원판형으로 형성하여 그 중 후방측에 위치한 후면판(3B)에는 상기한 공기순환장치(7)의 흡입덕트(7A)와 연통하도록 공기흡입구 (3b)를 형성하고, 전방측에 위치한 전면판(3C)에는 공기순환장치(7)의 배출덕트 (7B)와 연통하도록 공기배출구(3c)를 형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동수단(5)은 구동모터(4)의 일측 회전축에 결합한 풀리(5a)와, 그 풀리(5a)와 함께 드럼(3)의 통체(3A)를 감아 구동모터(4)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통체 (3A)를 회전시키는 벨트(5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순환장치(7)는 케이싱(1) 내부의 공기를 드럼(3)으로 유도하는 흡입 덕트(7A)와, 드럼(3) 내부의 공기를 케이싱(1)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덕트(7B)와, 배출 덕트(7B)의 중간에 장착하여 공기를 유통시키는 송풍팬(7C)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의류건조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구동모터(4)에 전원을 인가하면 드럼(3)이 벨트(5b)에 의해 회전하면서 드럼(3) 안쪽의 의류를 뒤섞게 되고, 이와함께 송풍팬(7C)이 회전하면서 더운 공기를 드럼(3)의 안쪽으로 공급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하게 된다.
즉, 송풍팬(7C)이 회전하여 외부의 공기를 케이싱(1)의 안쪽으로 흡입하고, 이 흡입한 공기는 히터(6)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흡입 덕트(7A)와 공기흡입구(3b)를통해 드럼(3)의 안쪽으로 유입되며, 다시 공기배출구(3c)쪽으로 이동하면서 젖은 의류들을 건조한후에 공기배출구(3c)와 배출 덕트(7B)를 통해 케이싱(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세탁기와 의류 건조기는 각각 설치되어 동작되는데, 세탁기의 세탁정보를 건조기에 전달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건조기는, 세탁기에서 이용되는 포량 및 포질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의류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탁기에서 이용되는 포량 및 포질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그 포량 및 포질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한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세탁 건조기의 모습을 보인 개략도.
도2는 본 발명 의류 건조기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인터페이스부20:건조제어부
30:플래시롬40:구동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탁기와 별개로 설치하여 세탁이 끝난 젖은 의류를 자동으로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기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그 세탁기에서 자동으로 감지한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하거나 차단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건조제어부와; 상기 건조제어부의 건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 포량 및 포질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소정 신호선을 통해 건조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건조기에서, 상기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른 건조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 건조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의류 건조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세탁기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그 세탁기에서 자동으로 감지한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하거나 차단하는 인터페이스부(1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0)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건조제어부(20)와; 상기 건조제어부(20)의 건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40)와; 세탁기에서 입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플래시롬(30)을 구비하며,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세탁기는 의류의 포량 및 포질을 감지한후, 세탁→헹굼→탈수의 과정으로 세탁을 수행하는데, 이때 건조기 내부에 장착된 인터페이스부(10)는 상기 의류의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세탁기로부터 신호선을 통하여 입력받아 이를 건조제어부(20)에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은 RS232-C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건조제어부(20)는 상기 의류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부(10)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건조제어신호를 구동부(40)에 인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건조제어부(20)의 건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모터는 회전하는데, 즉 드럼(3)이 벨트(5b)에 의해 회전하면서 드럼(3) 안쪽의 의류를 뒤섞게 되고, 이와함께 송풍팬(7C)이 회전하면서 더운 공기를 드럼(3)의 안쪽으로 공급하여 젖은 의류를 건조하게 된다.
즉, 송풍팬(7C)이 회전하여 외부의 공기를 케이싱(1)의 안쪽으로 흡입하고,이 흡입한 공기는 히터(6)를 거치면서 가열되어 흡입 덕트(7A)와 공기흡입구(3b)를통해 드럼(3)의 안쪽으로 유입되며, 다시 공기배출구(3c)쪽으로 이동하면서 젖은 의류들을 건조한후에 공기배출구(3c)와 배출 덕트(7B)를 통해 케이싱(1)의 외부로 배출한다.
만약, 사용자에 의해 건조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세탁기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무관하게 건조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의류 세탁을 위하여, 세탁기에서 감지한 포량 및 포질 데이터를 신호선을 통해 입력받아 그 포량 및 포질 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를 선택하고, 그 건조프로그램에 의해 세탁기에서 세탁된 세탁물의 건조를 수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세탁기에서 이용되는 포량 및 포질 측정 데이터를 전달받아 그 포량 및 포질 데이터에 따른 건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세탁물을 효율적으로 건조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세탁기와 별개로 설치하여 세탁이 끝난 젖은 의류를 자동으로 건조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세탁기와 신호선으로 연결되어, 그 세탁기에서 자동으로 감지한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상기 신호선을 통해 입력받아 이를 인터페이스하거나 차단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라, 건조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에 따른 건조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건조제어부와;
    상기 건조제어부의 건조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의류 건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세탁기에서 입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플래시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신호선은 RS232-C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세탁기에서, 포량 및 포질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제1 과정과;
    상기 포량 및 포질 감지 데이터를 소정 신호선을 통해 건조기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건조기에서, 상기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따른 건조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그 건조프로그램에 따라 세탁물을 건조하는 제3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는 건조기에 전송되면, 일시적으로 플래시롬에 저장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건조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세탁기에서 출력되는 포량 및 포질 감지데이터에 무관하게 건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방법.
KR1020010035027A 2001-06-20 2001-06-20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KR20020096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027A KR20020096483A (ko) 2001-06-20 2001-06-20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027A KR20020096483A (ko) 2001-06-20 2001-06-20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483A true KR20020096483A (ko) 2002-12-31

Family

ID=27710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027A KR20020096483A (ko) 2001-06-20 2001-06-20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68B1 (ko) * 2003-07-25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간이 건조 제어 방법
KR101100303B1 (ko) * 2004-06-01 201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화 감지장치 및 동작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1097A (ja) * 1992-02-28 1994-04-05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H07100298A (ja) * 1993-10-04 1995-04-18 Hitachi Ltd 衣類乾燥機
JPH07323195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洗濯機乾燥機組合せ装置
KR0149033B1 (ko) * 1991-02-25 1998-10-15 가나이 쓰도무 의류건조기의 제어장치
JP2000279683A (ja) * 1999-03-31 2000-10-10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20060354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의류 건조기의 의류 종류에 따른 회전속도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033B1 (ko) * 1991-02-25 1998-10-15 가나이 쓰도무 의류건조기의 제어장치
JPH0691097A (ja) * 1992-02-28 1994-04-05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JPH07100298A (ja) * 1993-10-04 1995-04-18 Hitachi Ltd 衣類乾燥機
JPH07323195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洗濯機乾燥機組合せ装置
JP2000279683A (ja) * 1999-03-31 2000-10-10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運転制御方法
KR20020060354A (ko) * 2001-01-10 2002-07-18 구자홍 의류 건조기의 의류 종류에 따른 회전속도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568B1 (ko) * 2003-07-25 2010-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간이 건조 제어 방법
KR101100303B1 (ko) * 2004-06-01 2011-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점화 감지장치 및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060B1 (ko) 의류 건조기의 송풍 장치
KR10125364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102909A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3572566A (zh) 一种悬浮式衣物烘干机
CN102061598A (zh) 衣物干燥机
KR970001018B1 (ko) 의류 건조기
CN101858024B (zh) 洗涤干燥机以及干燥机
US6928749B2 (en) Laundry dryer
CN202265726U (zh) 衣物烘干机及洗涤烘干机
KR100487345B1 (ko) 건조기 및 그의 쿨링 시간제어 방법
KR20020096483A (ko) 의류 건조기 및 의류 건조방법
CN101086133A (zh) 衣物烘干机的检测衣物干燥度的方法
KR20030033900A (ko) 건조기의 건조도측정장치
KR100519328B1 (ko) 통신이 가능한 건조기 및 세탁기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62761B1 (ko) 의류 건조량에 따른 회전속도 제어 방법
KR100446763B1 (ko) 의류 건조기의 포 가열장치
KR100474328B1 (ko) 드럼형 세탁 및 건조장치
KR100430215B1 (ko) 인터넷용 세탁 건조기
KR100762333B1 (ko) 공기순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와 그 제어방법
KR20020048525A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100879768B1 (ko) 건조량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건조기와 그 제어방법
KR100751783B1 (ko) 세탁기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0671933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제어 방법
KR100662762B1 (ko) 의류 건조기의 의류 종류에 따른 회전속도 제어 방법
KR0179108B1 (ko) 건조 세탁기의 수동 건조선택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3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