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96223A -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223A
KR20020096223A KR1020010034546A KR20010034546A KR20020096223A KR 20020096223 A KR20020096223 A KR 20020096223A KR 1020010034546 A KR1020010034546 A KR 1020010034546A KR 20010034546 A KR20010034546 A KR 20010034546A KR 20020096223 A KR20020096223 A KR 20020096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asing
fluid
discharge passage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재
Original Assignee
김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재 filed Critical 김인재
Priority to KR102001003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223A/ko
Publication of KR2002009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22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측면이 거름망(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캡부재(20)가 결합된 케이싱(10)을 상기 케이싱(10)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가 배출통로(13)로 관통되어 뚫린 결합부(12)를 통하여 맨홀(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3)에 결합시키고, 이 결합부(12)의 배출통로(13) 상부에는 상기 캡부재(20)의 하부면에 장착된 안내바(21)에 관통되어 결합되어 케이싱(1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통로(13)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를 위치시키고, 배출통로 내부에는 유체가 배출통로(13)로 유입될 경우 회동되어 맨홀(1)의 배수구(3)로 유체를 흐르도록 하는 가로판(40)으로 구성되어 맨홀(1)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거름망(11)을 통하여 1차적으로 걸러져, 각종 이물질이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맨홀(1)의 배수구(3)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름망(11)에 걸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0) 내부로 유체가 흘러들어오지 않을 경우에 부구(30)와 가로판(40)에 의해 맨홀(1)의 배수구(3)와 연결된 배출통로(13)가 차단되므로 배수구(3)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각종 해충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위 환경을 쾌적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강과 바다의 환경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rain outlet of manhole}
본 발명은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도의 배수구에 악취발생 및 해충의 유입을 방지하며, 이물질이 하수도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의 맨홀은 주택단지나 상가 등의 도로변의 일정구간 마다 설치되어 빗물이나 생활오수를 모아 하수처리장등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통상적인 맨홀은 상부에 배수구멍이 뚫려있는 맨홀뚜껑이 안착되며, 맨홀의 하부에는 상기한 맨홀뚜껑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도로변의 빗물이나 오수등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로변에 발생되는 빗물이나 오수등이 맨홀내로 유입되어 이 맨홀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도로 배출하여 하수처리장 등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맨홀은 도로변에 설치되어있어 이 도로변에 버려진 쓰레기나 오물등이 빗물과 오수등에 섞여 하수도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빗물이나 오수등이 하수도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흘러들어갈 경우 쓰레기나 오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배수구가 상기한 쓰레기나 오물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가 막혀 우천시 배수가 되지 않아, 장마철과 같은 시기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맨홀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는 개구되어 있어, 하수도 내부에 남은 쓰레기나 오물등이 부패하여 발생되는 악취가 역류하여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 쓰레기나, 오수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하수도 등에 서식하는 모기등의 해충들이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이나 오수등이 배수구로 배출될 경우 쓰레기나 오물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등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이나 오수등이 배수구로 배출될 경우에만 배수구가 개구되도록 하여 하수도 내부에 서식하는 모기등과 같은 각종해충등이 배수구를 통하여 나오지 않도록 하며, 배수구로 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의 (a), (b)는 본 발명이 맨홀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맨홀의 하수구에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분해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맨홀2 - 맨홀뚜껑
3 - 배수구4 - 배수구멍
10 - 케이싱11 - 거름망
12 - 결합부13 - 배출통로
14 - 걸림편15 - 삽입홈
16 - 가로홈17 - 숫나사홈
18 - 암나사홈20 - 캡부재
21 - 안내바22 - 지지바
23 - 고정수단30 - 부구
40 - 가로판50 - 패킹링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측면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맨홀(1)의 배수구(3)에 결합되고, 내부에 배출통로(13)가 관통되어 형성된 결합부(12)가 구비된 케이싱과;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안내바(21)가 장착된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에 장착된 안내바(21)에 관통되어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배출통로(13) 상부에 위치되며, 케이싱(1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통로(13)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와;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12) 내부의 배출통로(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가 배출통로(13)로 유입될 경우 회동되어 맨홀(1)의 배수구(3)로 유체를 흐르도록 하는 가로판(40)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유체가 케이싱(10) 내부로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부구(30)와 가로판(40)이 배출통로(13)를 차단하여 하수도 내부에 서식하는 모기등과 같은 각종해충등이 배수구(3)를 통하여 나오지 않도록 하며, 배수구(3)로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싱(10)의 외측면이 거름망(11)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될 경우 상기 거름망(11)이 쓰레기나 오물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캡부재는 케이싱의 상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싱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오일링이 장착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케이싱 내부에 유체가 유입될 경우 부구가 유체의 수면위로 상승하여 배출통로로 유체가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케이싱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의 외주면에 패킹링이 장착되어 맨홀의 배수구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 (b)는 본 발명이 맨홀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도 4(a)는 케이싱의 결합부 외주면에 걸림편을 구비하고, 맨홀의 배수구에는 상기 걸림편이 끼워고정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 (b)는 케이싱의 결합부와 맨홀의 배수구를 나사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맨홀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로서, 도 4(a)에서 도시한 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맨홀의 배수구에는 케이싱의 결합부 외주면이 끼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 ∼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는 맨홀(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3)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맨홀(1)의 상부에는 배수구멍(4)이 뚫려있는 맨홀(1)뚜껑이 안착되어 빗물이나 오수등의 유체가 상기 맨홀뚜껑(2)의 배수구멍(4)을 통하여 맨홀(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인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의 케이싱(10)은 외측면이 거름망(11)으로 형성되어 맨홀(1)내로 유입된 유체가 케이싱(10) 내로 흘러 들어갈 경우 상기 유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1차적으로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캡부재(20)가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바(22)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캡부재(20)는 상기 지지바(22)의 상단에 볼트등과 같이 체결, 해제가 가능한 고정수단(23)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캡은 최소한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의 넓이보다 넓게 형성하여 유체가 케이싱(10) 측면에 형성된 거름망(11)을 거치지 않고 직접 케이싱(10) 내부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캡부재(20)의 상면에 위치된 맨홀뚜껑(2)의 배수구멍(4)을 통하여 유체가 유입될 경우 이 유체는 캡부재(20)의 상면을 따라 흘러 케이싱(10)의 외부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맨홀(1)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케이싱(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거름망(11)을 통하여 1차적으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는 맨홀(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3)에 결합되는 결합부(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의 내부는 유체가 배수구(3)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되어 뚫린 배출통로(13)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통로(13)에는 유체가 배출통로(13)로 유입될 경우 회동되어 맨홀(1)의 배수구(3)로 유체를 흐르도록 하는 가로판(40)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패킹링(50)을 장착하여 상기 결합부(12)를 맨홀(1)의 배수구(3)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부(12)와 상기 배수구(3)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결합부(12)와 배수구(3) 사이에 간격이 발생될 경우 유체가 상기 케이싱(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거름망(11)을 통하지 않고 배수구(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통로(13)의 상부에는 케이싱(1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통로(13)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구(30)는 상기한 캡부재(20)의 하부면에 장착된 안내바(21)에 관통되어 결합된다.
즉, 맨홀(1)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케이싱(10) 외측면에 형성된 거름망(11)을통과하여 상기 케이싱(10) 내부로 흘러 들어오며, 이 유체에 의해 상기 부구(30)가 안내바(21)를 따라 상승하여 배출통로(13)가 개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부구(30)가 안내바(21)를 따라 상, 하로 이동하게 되어 수위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부구(30)가 이탈되지 않고 배출구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구(30)가 상승하여 배출통로(13)가 개구되어, 유체가 배출통로(13) 내부로 배출되어 가로판(40)을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로판(40)이 회동되어 배출통로(13)로 배출된 유체가 배수구(3)를 통하여 하수처리장등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구(30)와 가로판(40)은 케이싱(10) 내부로 유체가 흘러들어오지 않으면, 맨홀(1)의 배수구(3)와 연결된 배출통로(13)를 차단하고 있으므로 하수도 내부에 서식하는 모기등과 같은 각종해충등이 배수구(3)를 통하여 나오지 않도록 하며, 배수구(3)로 부터 악취가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인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맨홀(1)의 하부면에 형성된 배수구(3)에 케이싱(10)의 하부면에 구비된 결합부(12)를 결합시키므로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는 배수구(3)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으나,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도 4의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2)의 외주면에 걸림편(14)을 구비하여 결합하거나, 도 4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결합시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걸림편(14)을 구비하고, 맨홀(1)의 배수구(3)에는 상기 걸림편(14)이 끼워지는 삽입홈(15)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5) 하단에 가로홈(16)을 연장하여, 상기 걸림편(14)을 상기 삽입홈(15)에 삽입한 후 케이싱(10)을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걸림편(14)이 가로홈(16) 내부로 위치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결합부(12) 외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걸림편(14)은 한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결합부(12)를 맨홀(1)의 배수구(3)에 견고히 결합시키기 위하여 다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12)의 외주면에 숫나사홈(16)을 형성하고, 맨홀(1)의 배수구(3) 내측면에 상기 숫나사홈(17)에 대응되는 암나사홈(18)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12)를 맨홀(1)의 배수구(3)에 나사결합시키므로서 견고히 고정 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맨홀내부로 유입된 유체가 거름망을 통하여 1차적으로 걸러져, 각종 이물질이 배수구를 통하여 하수처리장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종 이물질에 의해 맨홀의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거름망에 걸린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흘러들어오지 않을 경우에 부구와 가로판에의해 맨홀의 배수구와 연결된 배출통로가 차단되므로 배수구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각종 해충이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 주위 환경을 쾌적하게 할 뿐 아니라 강과 바다의 환경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외측면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거름망(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맨홀(1)의 배수구(3)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출통로(13)가 관통되어 형성된 결합부(12)가 구비된 케이싱(10)과;
    소정의 넓이를 가지고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에 일정길이를 가지는 안내바(21)가 장착된 캡부재(20)와;
    상기 캡부재(20)에 장착된 안내바(21)에 관통되어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10)의 배출통로(13) 상부에 위치되며, 케이싱(10)내에 유체가 유입되면 부력에 의해 유체의 수위와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 상기 배출통로(13)로 유체를 배출시키는 부구(30)와;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부(12) 내부의 배출통로(1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체가 배출통로(13)로 유입될 경우 회동되어 맨홀(1)의 배수구(3)로 유체를 흐르도록 하는 가로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20)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바(22)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패킹링(50)을 장착하여 상기 결합부(12)를 맨홀(1)의 배수구(3)에 결합시킬 경우 결합부(12)와 상기 배수구(3)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의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걸림편(14)을 구비하고, 맨홀(1)의 배수구(3)에는 상기 걸림편(14)이 끼워지는 삽입홈(15)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15) 하단에 가로홈(16)을 연장하여, 상기 걸림편(14)을 상기 삽입홈(15)에 삽입한 후 케이싱(10)을 일정각도로 회전하면 걸림편(14)이 가로홈(16) 내부로 위치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5.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부(12)의 외주면에 숫나사홈(17)을 형성하고, 맨홀(1)의 배수구(3) 내측면에 상기 숫나사홈(17)에 대응되는 암나사홈(18)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12)를 맨홀(1)의 배수구(3)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6.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재(20)는 상기 지지바(22)의 상단에 볼트등과 같이 체결, 해제가 가능한 고정수단(23)에 의해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1020010034546A 2001-06-19 2001-06-19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200200962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546A KR20020096223A (ko) 2001-06-19 2001-06-19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546A KR20020096223A (ko) 2001-06-19 2001-06-19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223A true KR20020096223A (ko) 2002-12-31

Family

ID=2770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546A KR20020096223A (ko) 2001-06-19 2001-06-19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22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874B1 (ko) * 2006-12-28 2007-07-16 (주)한신엔지니어링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KR100783747B1 (ko) * 2007-08-08 2007-12-10 (주)해석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KR100846420B1 (ko) * 2006-07-13 2008-07-16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0449090Y1 (ko) * 2007-12-12 2010-06-17 김동학 하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0983466B1 (ko) * 2007-05-08 2010-10-11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1047010B1 (ko) * 2009-07-10 2011-07-06 최영란 빗물 배수구 덮개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KR20230021330A (ko) 2021-08-05 2023-02-14 김영대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37U (ko) * 1990-09-11 1992-04-21 이수원 하수배수관용 거름망판
JPH06306908A (ja) * 1993-04-28 1994-11-01 Buido:Kk 排水トラップ
JPH1143976A (ja) * 1997-07-25 1999-02-16 Tsutomu Takano 排水トラップ
JP2000213033A (ja) * 1999-01-22 2000-08-02 Hironobu Kondo 床排水トラップ
KR200224137Y1 (ko) * 2000-10-26 2001-05-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37U (ko) * 1990-09-11 1992-04-21 이수원 하수배수관용 거름망판
JPH06306908A (ja) * 1993-04-28 1994-11-01 Buido:Kk 排水トラップ
JPH1143976A (ja) * 1997-07-25 1999-02-16 Tsutomu Takano 排水トラップ
JP2000213033A (ja) * 1999-01-22 2000-08-02 Hironobu Kondo 床排水トラップ
KR200224137Y1 (ko) * 2000-10-26 2001-05-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이물질제거용 배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420B1 (ko) * 2006-07-13 2008-07-16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739874B1 (ko) * 2006-12-28 2007-07-16 (주)한신엔지니어링 매설하수관의 설치구조
KR100983466B1 (ko) * 2007-05-08 2010-10-11 민승기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783747B1 (ko) * 2007-08-08 2007-12-10 (주)해석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KR200449090Y1 (ko) * 2007-12-12 2010-06-17 김동학 하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1047010B1 (ko) * 2009-07-10 2011-07-06 최영란 빗물 배수구 덮개
KR101689857B1 (ko) * 2015-12-01 2016-12-26 명성테크 주식회사 우수 저수 및 활용장치
KR20230021330A (ko) 2021-08-05 2023-02-14 김영대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6223A (ko) 하수도 맨홀용 배수구 자동개폐장치
KR100714488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20110029658A (ko) 오수받이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100332276B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KR101283922B1 (ko) 악취 차단부가 구비된 빗물받이
KR20035647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405829Y1 (ko) 악취 방지용 맨홀뚜껑
KR101729772B1 (ko) 공동주택용 하수구 역류방지장치
KR200192988Y1 (ko) 세면기의배수막힘방지장치
JP5213413B2 (ja) ます内に配置されるフィルター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フィルターます
KR930004979Y1 (ko) 배수전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930003788Y1 (ko) 침사조가 형성된 맨홀
KR102548347B1 (ko) 맨홀의 역류 방지 시스템
KR0117655Y1 (ko) 3단 여과판과 2개의 쓰레기집수통이 달린 하수구마개
KR200294876Y1 (ko) 맨홀
KR200318246Y1 (ko) 걸름망을 갖춘 배수구
KR960005431Y1 (ko) 맨 홀
KR100725484B1 (ko) 오수받이의 착탈식 악취차단장치
KR200294874Y1 (ko) 맨홀
KR0139488Y1 (ko) 하수구 악취방출 차단용 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7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