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94126A -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 Google Patents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126A
KR20020094126A KR1020010032398A KR20010032398A KR20020094126A KR 20020094126 A KR20020094126 A KR 20020094126A KR 1020010032398 A KR1020010032398 A KR 1020010032398A KR 20010032398 A KR20010032398 A KR 20010032398A KR 20020094126 A KR20020094126 A KR 20020094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muffler
flow
case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4126A/ko
Publication of KR20020094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1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16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 F01N1/165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movable parts for adjusting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30/00Selection of materials for tubes, chambers or housings
    • F01N2530/22Flexible elastomer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머플러는 케이스의 일측면에 대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된 완충부로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입관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완충부에 부딪히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가 어느정도 감쇄된다고는 하나 상기 완충부 또한 케이스의 일부분이므로 배기가스의 진동을 확실하게 상쇄시킬 수 없게되고, 이에의해 배기가스의 난류소음과 진동에 의한 방사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관의 출구측에 대향되도록 케이스의 일측면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 내부에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머플러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강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가 전환되도록 하여 머플러의 진동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Moving energy decentralization device of muffler}
본 발명은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플러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강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가 전환되도록 하여 머플러의 진동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재된 엔진은 연료를 연소하면서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게되고,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촉매, 배기파이프, 머플러 등을 거치면서 유해성분이 정화되고 소음 및 배기압이 감쇄된 상태로 대기중에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배기압을 감쇄시키면서 배기소음 또한 감쇄시켜 대기중에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이 작아지도록 하는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머플러를 도시한 것으로서,
케이스(1)의 내부에 복수의 격판(2)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여 케이스(1) 내부가 제 1 영역(3), 공명실(4), 제 2 영역(5)으로 구획되도록 하고, 케이스(1)의 중앙 일측에 배기파이프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제 2 영역(5)으로 안내하는 유입관(6)이 형성되고, 케이스(1)의 하단에는 제 1 영역(3)과 제 2 영역(5)을 서로 연결하는 유동관(7)이 형성되며, 케이스(1)의 상단에는 제 1 영역(3)으로 이동한 배기가스를 케이스(1) 밖으로 안내하는 배출관(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1)의 일측면에는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을 조금이라도 약하게 받도록 하기위한 완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머플러는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가 제 2 영역(5)으로 공급되고, 제 2 영역(5)으로 공급된 배기가스가 다시 유동관(7)을 통해 제 1 영역(3)으로 이동한 후 배출관(8)을 따라 케이스(1)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케이스(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있는 완충부(9)는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된 고압의 배기가스를 완충하는 역할을 하게되는데, 이 완충부(9)를 형성함에 따라 유입관(6)으로 유입되는 고압의 배기가스에 케이스(1)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게되어 난류소음 및 케이스의 진동에 의핸 방사소음을 감소시키게되는 것이 다.
그러나, 종래의 머플러는 케이스의 일측면에 대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된 완충부로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를 분산시키고 있기 때문에 유입관(6)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완충부(9)에 부딪히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가 어느정도 감쇄된다고는 하나 상기 완충부(9) 또한 케이스(1)의 일부분이므로 배기가스의 진동을 확실하게 상쇄시킬 수 없게되고, 이에의해 배기가스의 난류소음과 진동에 의한 방사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관의 출구측에 대향되도록 케이스의 일측면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 내부에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머플러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강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가 전환되도록 하여 머플러의 진동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의 중앙 일측에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공급받아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이 형성된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출구측과 대향되는 케이스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요입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입구측을 부분적으로 막아주는 스톱퍼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탄설된 탄성체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스톱퍼에 밀착되어 존재하고, 유입관으로부터 배기가스가 공급될때 그 배기가스압에 의해 후단으로 밀리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가 분산되도록 하는 유동판;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판 상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머플러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가 적용된 머플러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를 상세히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격판
6 : 유입관 20 : 하우징
21 : 스톱퍼 22 : 유동판
23 : 홀 24 : 탄성체
이하,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처리하여 중복설명을 피했다.
도면부호 20은 케이스(1)의 일측에 요입 형성되는 하우징을 나타낸다.
상기 하우징(20)은 유입관(6)의 출구측과 대향되는 케이스(1)의 일측면에 요입형성하였고, 이 하우징(20)의 입구측에는 스톱퍼(21)를 형성하여 이 스톱퍼(21)에 의해 하우징(20)의 입구측이 부분적으로 차단되도록 하였다.
상기 하우징(20)의 입구측에는 유입관(6)으로부터 공급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를 분산시키기 위한 유동판(22)을 형성한다.
유동판(22)의 일측은 하우징(20)에 탄설되어있는 탄성체(24)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체(24)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판(22)이 스톱퍼(21)에 밀착된 상태로 존재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유동판(22)에는 복수개의 홀(23)을 형성하여 유입관(6)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홀(23)을 통과하면서 직접적인 진동을 상쇄하게되므로 배기가스의 방사음을 감쇄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 탄성체(24)는 코일 형태로 형성된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유입관(6)을 통해 유입되면, 이 유입관(6)을 통해 공급된 고압의 배기가스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톱퍼(21)에 밀착된 상태로 존재하는 유동판(22)에 부딪히게된다.
이때, 상기 유동판(22)은 배기가스의 배기압에 의해 도 4 와같이 탄성체(24)의 탄성력을 이기고 도면상의 우측으로 밀리게되고, 이과정에서 배기가스가 가지고 있는 유동 에너지가 1차적으로 분산되게되며, 또 유입관(6)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유동판(22)에 형성된 홀(23)을 통과하게되면서 케이스(1)에 가해지게되는 배기가스의 직접적인 진동을 상쇄하게되므로 방사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키게 된다.
또한, 하우징(20)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하우징(20)의 양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하우징(20)의 출구측으로 순환하여 배출되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가 재분산되므로서 그만큼 머플러의 방사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는 케이스(1)의 일측에 하우징(20)과 유동판(22)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현이 가능할 정도로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머플러의 방사소음을 감쇠시킬뿐만 아니라 난류소음 또한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유입관의 출구측에 대향되도록 케이스의 일측면에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 내부에 유입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압을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수단을 형성하므로서, 머플러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강한 유동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배기가스의 유동경로가 전환되도록 하여 머플러의 진동을 감쇄시킴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케이스(1)가 구비되고, 이 케이스(1)의 중앙 일측에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공급받아 케이스(1)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관(6)이 형성된 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6)의 출구측과 대향되는 케이스(1)의 일측에 일정공간을 가지도록 요입형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입구측을 부분적으로 막아주는 스톱퍼(21)와;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에 탄설된 탄성체(24)에 의해 탄지된 상태로 스톱퍼 (21)에 밀착되어 존재하고, 유입관(6)으로부터 배기가스가 공급될때 그 배기가스압에 의해 후단으로 밀리면서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가 분산되도록 하는 유동판(2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22) 상에는 복수의 홀(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KR1020010032398A 2001-06-11 2001-06-11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Ceased KR20020094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98A KR20020094126A (ko) 2001-06-11 2001-06-11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398A KR20020094126A (ko) 2001-06-11 2001-06-11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126A true KR20020094126A (ko) 2002-12-18

Family

ID=2770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398A Ceased KR20020094126A (ko) 2001-06-11 2001-06-11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41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18B1 (ko) * 2002-11-13 2005-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100767139B1 (ko) * 2005-01-31 2007-10-1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머플러
KR20200099862A (ko) * 2019-02-15 202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구조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18B1 (ko) * 2002-11-13 2005-07-1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100767139B1 (ko) * 2005-01-31 2007-10-1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머플러
KR20200099862A (ko) * 2019-02-15 202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저감구조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570B1 (en) Spark arrester with spark filter
KR102184253B1 (ko) 체크 밸브 유닛 또는 진공 생성 장치의 소음 감쇄기
AU5241498A (en) Improved muffler with partition array
KR101946323B1 (ko) 가스계 소화 설비용의 소음 기능을 갖는 분사 헤드
US5574264A (en) Active exhaust-noise attenuation muffler
JP4708402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KR20150102723A (ko) 그레이징 유동을 갖는 챔버들을 위한 음향 감쇠 장치
KR20020094126A (ko) 머플러의 유동에너지 분산장치
US7503427B2 (en) Muffler
CN118273792A (zh) 消声系统和车辆
US4359135A (en) Muffler assembly
US3679024A (en) Muffler
JPH02169915A (ja) 強制給気式給湯器
KR19990083561A (ko) 리프팅피스톤의내연기관
KR101910435B1 (ko) 내연기관용 저배압 소음기
KR100398155B1 (ko) 머플러의 소음 감쇄장치
TWI659148B (zh) silencer
JP2020125729A (ja) 排気浄化装置
CN109630238B (zh) 燃油喷射雾化装置
KR100501567B1 (ko) 압축기용 소음기
KR200311997Y1 (ko) 압축기용 소음기
JPS63129112A (ja) 消音器
KR19990039683U (ko) 중장비용 머플러
KR20190027588A (ko) 소음장치
KR100632419B1 (ko) 흡음공명형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9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6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