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9179A -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 Google Patents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179A
KR20020089179A KR1020020027823A KR20020027823A KR20020089179A KR 20020089179 A KR20020089179 A KR 20020089179A KR 1020020027823 A KR1020020027823 A KR 1020020027823A KR 20020027823 A KR20020027823 A KR 20020027823A KR 20020089179 A KR20020089179 A KR 20020089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channel
logical
packet units
transport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헤르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68573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008917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2008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7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송 채널은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되고,
복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전송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합은 각 전송 채널 상의 송신을 위해 제공된 상기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각 논리 채널에 적용가능한 최소 비트율을 유지시킨다.

Description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NETWORK WITH LOGIC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본 발명은 제 2의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송 채널은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의 송신을 위해 설계된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라디오 네트워크의 MAC(MAC: 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기능을 설명하는, 제 3세대 협력 사업(3GPP: 3rd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 규격반(TSG: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N, 작업반 2(WG2: Working Group 2); 라디오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 TS 25.302(V3.6.0)로부터 알려져 있다. 물리적 계층은 전송 채널 즉 전송 링크를 MAC 계층에 제공한다. MAC 계층은 논리 채널 즉 논리 링크를 RLC(Radio Link Control:라디오 링크 제어) 계층에 이용가능하게 만든다. RLC 계층에서 형성된 패킷 유닛은 MAC 계층에서의 전송 블록내에서 패킹(packed)되는데, 상기 블록은 물리적 채널을 통해 물리적 계층으로부터 단말기로 송신되거나, 반대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송신된다. 그러한 멀티플렉스 또는 디멀티플렉스 기능과 별도로, MAC 계층은 적합한 전송 포맷 조합(TFC)을 선택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다. 전송 포맷 조합은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전송 포맷의 조합을 나타낸다. 전송 포맷 조합은, 특히 전송 채널이 물리적 계층에서의 물리적 채널로 어떻게 멀티플렉싱되는 지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합한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최적화된 선택 과정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목적은,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전송 채널은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되며,
여기서 복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전송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합은 각 전송 채널 상의 송신을 위해 제공되는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전송 포맷 조합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각 논리 채널에 적용가능한 최소 비트율을 유지시키게 된다.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신호 발신(signaled)될 수 있는 조합인 것으로 이해된다. 전송 포맷 조합의 신호 발신은, 어느 전송 포맷 조합이 송신에 사용되었는지를 관련 수신측에 나타내는 신호 발신 비트에 의해 발생한다. 신호 발신에 이용가능한 신호 발신 비트의 수는 특히 무선 네트워크에 한정된다. 이러한 결과, 가능한 전송 포맷 조합이 모두 신호 발신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정의에 따라 모두 유효한 것이 아니다.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의 수는 이용가능한 신호 발신 비트의 수에 의해 대신 한정된다.
본 발명은, 최소 비트율이 각 논리 채널에 적합한 것으로 보장될 수 있는 조건을 적합하거나 최적의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알고리즘으로 통합하는 생각에 기초한다. 그러한 최소 비트율은 종종 관련 응용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음성 연결은 일정한 비트율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상기 일정한 비트율은 여기서 일정한 최소 비트율과 일치할 것이다. 논리 채널에서 응용에 의해 요구되는 서비스 품질의 특성과 같은 그러한 최소 비트율은, 예를 들어, 규격: 제 3세대 협력 사업; 기술 규격반 서비스 및 시스템 애스펙트(Aspects); QoS 개념 및 구조" TS23.107v350에서 정의되어 있다.
최소 비트율 필요 조건을 TFC 선택 알고리즘으로 통합하는 장점은 특히 2개의 기능(TFT 선택, 및 최소 비트율 필요 조건과의 순응성)이 이동 지국(mobile station) 또는 네트워크의 공통 유닛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구현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양쪽 모두에서 가능하다.
최소 비트율에 따르는 필요 조건은, TFC의 선택시 일정한 측정 간격에 관해 최소 비트율을 유지하기 위해 TFC의 선택시 가능한 한 많이 시도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이해될 것이다. 각각의 논리 채널에 이용가능한 패킷 유닛 때문에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최소 비트율 아래로 떨어지는 TFC가 대안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최소 비트율을 고려하고 최소 비트율에 따르는 보안 기능을 구현하는 유리한 가능성은, 예를 들어 5개의 송신 시간 간격(TTI)의 이동 측정 윈도우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하나의 송신 시간 간격(TTI)은 다수의 라디오 프레임(RF)에 대응하고,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과 동일하다. 이것은 인터리빙(interleaving)이 확장하는 라디오 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인터리빙은, 연속적인 라디오 프레임으로부터의 정보 유닛(심볼)이 송신기 단부에서 시간적으로 섞어지는(interwoven in time) 조합 절차이다. MAC 계층은 각 송신 시간 간격에서 복수의 전송 블록을 물리적 계층에 공급한다. 송신 시간 간격은 전송 채널에 특유하고, 전송 포맷의 반 정적(semi-static) 부분에 속한다. 물리적 계층이 n개의 라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의 시작에서 전송 채널을 통하는 송신을 위해 설계된 복수의 전송 블록을 수신할 때, 이러한 복수의 전송 블록의 각각의 전송 블록은 n개의 세그먼트(segment)로세분된다{전송 블록의 분할(segmentation)}. 각 전송 블록의 n개의 세그먼트는 송신 시간 간격의 n개의 연속 라디오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그 다음에, 송신 시간 간격의 n개의 라디오 프레임 모두 세그먼트의 동일한 시퀀스를 보여줄 것이다.
그 다음에, 비트율을 측정하기 위한 이동 측정 윈도우는 매번 슬라이딩(sliding) 방식으로 하나의 TTI만큼 이동되어, 최종 4개의 TTI의 비트율은 매번 측정된다. 따라서, 현재 5번째 TTI에서 송신될 전송 블록의 수는 최종 4개의 TTI의 측정된 비트율로부터 결정되어, 최소 비트율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최소 비트율의 결정이 슬라이딩 측정 윈도우의 구현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과, 최소 비트율과의 순응성이 MAC 계층의 레벨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응용 레벨에서 비트율과의 순응성을 감시하기 위한 기능의 개별적인 구현을 통해, MAC 계층 및 RLC 계층(예를 들어 MAC 및 RLC 헤더)에 추가된 제어 정보가 전송 블록에 포함되기 때문에 측정에 직접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MAC 계층 레벨에서의 측정이 더 정확해진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적합하거나 최적의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알고리즘은, 논리 채널에 제공되는 최대 비트율이 유지되는 조건을 고려하고, 통합한다. 할당 알고리즘에서 연속적으로 주사되는 것이 바람직한 각각의 개별적인 논리 채널에 대해 그러한 최대 비트율을 유지시키는 것은, 더 높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의 대기 라인(waiting lines)이 많은 패킷 유닛을 포함하여, 최대 비트율이 고려되지 않으면 더 낮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이어떠한 패킷 유닛도 송신할 수 없을 때, 더 낮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이 패킷 유닛을 여전히 송신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최대 비트율의 제공은 각 최대 비트율에 따라 이용가능한 송신 용량의 분배를 보장한다. 응용에 대해 원하는 서비스 품질에 특징적인 특성으로서 논리 채널에 대한 그러한 최대 비트율은, 예를 들어 규격, 즉 제 3 세대 협력 사업; 기술 규격반 서비스 및 시스템 애스펙트; "QoS 개념 및 구조" TS23.107v350에 정의되어 있다.
최대 비트율은 총 선택 알고리즘에서 절대 상한선(absolute upper limit)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은, 마지막으로 선택된 TFC에서 최대 비트율이 초과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대 비트율은, 예를 들어 선택시 알고리즘의 일부 또는 부분적인 단계 동안에만 단지 일시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선택 알고리즘의 종료시 초과되지 않을 최대 비트율의 조건을 리프팅(lifted)시키고, 여전히 남아있는 패킷 유닛을 최대한(to the highest possible extent)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3의 유리한 선택 알고리즘에서, 선택 알고리즘은 제 1 할당 시퀀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할당 시퀀스에서, 논리 채널은 차례로 사용되고, 논리 채널의 저장 유닛에서 대기하는 패킷 유닛은 매번 2가지 기준에 기초하여 각 전송 채널에 할당된다. 이러한 제 1 할당 시퀀스에서의 송신을 위해 전송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은 모든 경우에(in each and every case) 선택 알고리즘의 종료시, 고려될 것이며, 즉 송신될 것이다. 이것은, 각 순간까지 할당된 패킷 유닛의 송신, 및 새롭게 할당된 패킷 유닛의 송신을 허용하는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의 수가 패킷 유닛을 각각 할당할 때 연속적으로 더 작아지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논리 채널의 이용은 이 채널들의 우선 순위, 즉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이 먼저 사용되고, 그 후에 그 다음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이 사용되고, 나머지도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특성에 따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려된 제 1 기준은, 각 경우에, 현재 순간까지 각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과 이러한 전송 채널에 새롭게 할당된 패킷 유닛의 합이 유효 전송 포맷 조합에 포함되는 전송 포맷에 대응하도록, 단지 동일한 수의 패킷 유닛만이 할당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떠한 추가 패킷 유닛도 그 후에 더 이상 전송 채널에 할당되지 않을 지라도, 비어있는 패킷 유닛은 결코 송신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어있는 패킷 유닛으로의 대체는 종종 용어 "페딩(padding)"으로 또한 표현된다.
그러나, 제 1 기준이 우선하는 고려된 제 2 기준은, 각 경우에 각 논리 채널에 제공되는 최소 비트율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되도록 할당된 패킷 유닛의 수가 선택된다는 것이다. 최소 비트율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적은 패킷 유닛이 논리 채널에 이용가능하면, 존재하는 모든 패킷 유닛은, 이것이 유효 TFC가 되는 한 이에 따라 할당된다. 최소 비트율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패킷 유닛이 논리 채널에 존재하면, 최소 비트율에 대응하는 많은 패킷 유닛은, 이것인 유효 TFC가 되는 한 가능한 한 멀리 할당된다.
제 1 할당 시퀀스 이후에, 아직 남아있는 패킷 유닛의 추가 할당이 발생하는 추가 할당 시퀀스가 제공된다. 논리 채널은 순차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우선 순위순으로 한번 더 사용된다.
그러한 2 단계의 할당은, 준수될 최소 비트율에 관한 조건은 제 1 할당 시퀀스에서 선택 알고리즘으로 통합되고, 이에 따라 최소 비트율이 모든 논리 채널에 대해 가능한 한 많이 보장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것으로 인해, 할당시 모든 논리 채널이 적합하게 처리된다.
청구항 4는 제 2 할당 시퀀스의 유리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비어있는 패킷 유닛의 송신(페딩)이 허용되지 않는 것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기준으로서 여기에 다시 제공된다.
가능한 한 많은 패킷 유닛을 논리 채널에 할당하면서, 각 논리 채널 각각에 대해 취해지는 최대 비트율이 초과하지 않는 것이 이 기준에 따라 시도된다.
이것으로 인해, 할당시 모든 논리 채널에 맞게 되는 것이(tailoring) 개선된다.
제 2 할당 시퀀스에 후속하는 제 3 할당 시퀀스는, 최대 비트율에 관한 조건이 더 이상 준수되지 않는 다는 점만이 청구항 5에 따라 제 1 할당 시퀀스와 구별된다. 제 3 시퀀스에서의 이러한 조건의 리프팅은, 패킷 유닛의 총 수가 가능한 한 많이 송신되는 경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이러한 리프팅은 제 2 할당 시퀀스에서 아직 발생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 경우에 낮은 우선 순위의 논리 채널이 최대 비트율의 필요 조건으로 인해 할당에서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제 2 할당 시퀀스 이후에 선택 알고리즘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총 비트율이 더 낮아지고, 이에 따라 필요한 송신 전력이 더낮아지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그 결과로서 생기는 인접한 라디오 셀에 대한 간섭은 또한 이를 통해 감소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송 채널과 연관되는 적어도 최종 논리 채널에 대해서만, 준수된 최대 비트율에 관한 조건은 제 2 할당 시퀀스에서 이미 리프팅되고 더 이상 고려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준수될 최대 비트율에 관한 조건는, 예를 들어 전송 채널과 연관되는 페널티메이트(penultimate) 논리 채널에 대해 더 먼저 리프팅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최대 비트율 조건이 리프팅되는 최종 논리 채널은, 대응하는 적합한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이 여전히 이용가능하는 한, 가능한 한 많은 패킷 유닛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 및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단말기 뿐 아니라,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도 1 및 도 2를 포함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부 및 수 개의 단말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단말기 또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부의 다양한 기능을 명백하게 설명하기 위한 계층 모델을 도시한 도면.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제어 라인 12: 전송 채널
13: 논리 채널 14: 액세스 포인트
PHY: 물리적 계층
도 1은, 예를 들어 하나의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Radio Network Controller)(1) 및 복수의 단말기(2 내지 9)를 갖는 라디오 네트워크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예를 들어 단말기(2 내지 9)와 같은 라디오 트래픽(traffic)에 참가하는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할 책임이 있다. 제어 및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의 교환은 적어도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단말기(2 내지 9) 사이에서 발생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페이로드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각 링크를 구축한다.
일반적으로, 단말기(2 내지 9)는 이동 지국인 한편,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는 특정한 경우에 옮겨질 수 있거나(displaceable) 이동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x Access),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x Access) 방법에 의해, 또는 이러한 방법의 조합에 따라 라디오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특수한 코드 확장 방법인 CDMA 방법에서, 사용자로부터 발생하는 2진 정보(데이터 신호)는 매번 상이한 코드 시퀀스로 변조된다. 그러한 코드 시퀀스는, 칩 속도(chip rate)로 지칭되는 속도가 일반적으로 2진 정보의 속도보다 훨씬 더 높은 의사-랜덤(pseudo-random) 구형파 신호(의사 잡음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의 구형파 펄스의 지속 기간(duration)은 칩 간격(TC)으로 표시된다. 1/TC는 칩 속도이다. 데이터 신호를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에 곱하는 것, 또는 의사-랜덤 구형파 신호에 의해 데이터 신호를 변조하는 것은, T가 데이터 신호의 하나의 구형파 펄스의 지속 기간인, 확장 인자(NC=T/TC) 주위의 스펙트럼을 확장하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2 내지 9)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페이로드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에 의해 지정된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채널은, 주파수 범위, 시간 범위에 의해 한정되고, 예를 들어 CDMA 방법에서는 확장 코드에 의해 한정된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단말기(2 내지 9) 사이의 라디오 링크는 다운링크, 및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로 표시된다. 따라서, 데이터는 다운링크 채널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송신되고, 업링크 채널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연결 링크가 구축(built up)되기 전에 제어 데이터를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로부터 모든 단말기(2 내지 9)로 분배하는데 사용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채널은 다운링크 분배 제어 채널로 표시되거나, 방송 제어 채널로 표시된다. 단말기(2 내지 9)로부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로의 연결을 구축하기 전에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예를 들어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에 의해 지정된(appointed) 업링크 제어 채널이 사용될 수 있지만, 다른 단말기(2 내지 9)도 또한 상기 업링크 제어 채널에 액세스할 수 있다. 몇몇 또는 모든 단말기(2 내지 9)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업링크 채널은 공통 업링크 채널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단말기(2 내지 9)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연결이 구축된 이후에, 페이로드 데이터는 다운링크 및 업링크 페이로드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하나의 송신기와 하나의 수신기 사이에서만 구축되는 채널은 전용 채널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페이로드 채널은, 링크-특정 제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전용 제어 채널에 의해 수반될 수 있는 전용 채널이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단말기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는 상기 페이로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단말기(2 내지 9)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동기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정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적합한 주파수 범위를 먼저 결정하고, 그 다음에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시퀀스가 얻어지는 프레임의 시간 위치(temporal position)(프레임 동기화)를 결정하기 위해, FDMA 및 TDMA 방법의 조합이 사용되는 GSM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러한 프레임은, TDMA, FDMA, 및 CDMA 방법으로 단말기 및 기지국의 데이터 동기화에 항상 필요하다. 그러한 프레임은 몇몇 서브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연속적인 프레임과 함께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형성할 수 있다.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와 단말기(2 내지 9) 사이에서 라디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및 페이로드 데이터의 교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층 모델 또는 프로토콜 구조의 예{예를 들어, 제 3세대 협력 사업(3GPP); 기술 규격반(TSG) RAN; 작업반 2(WG2); 라디오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구조; TS 25.301 V3.6.0}를 참조하여 명백해질 수 있다. 상기 계층 모델은 3개의 프로토콜 계층, 즉 물리적 계층(PHY)과, 서브 계층(MAC 및 RLC){도 2는 서브 계층(RLC)의 복수의 유닛을 도시한다}을 갖는 데이터 연결 계층과, 계층(RRC)을 포함한다. 서브 계층(MAC)은 매체 액세스 제어할 책임이 있고, 서브 계층(RLC)은 라디오 링크 제어할 책임이 있고, 계층(RRC)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할 책임이 있다. 계층(RRC)은 단말기(2 내지 9)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에서 신호 발신할 책임이 있다. 서브 계층(RLC)은 단말기(2 내지 9)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1) 사이의 라디오 링크를 제어하는데 도움이 된다. 계층(RRC)은 제어 라인(10 및 11)을 통해 계층(MAC 및 PHY)을 제어한다. 계층(RRC)은 이러한 방식으로 계층(MAC 및 PHY)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물리적 계층(PHY)은 전송 채널 즉 전송 링크(12)를 MAC 계층에 제공한다. MAC 계층은 논리 채널 즉 논리 링크(13)를 RLC 계층에 이용가능하게 만든다. RLC 계층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s)(14)를 통해 응용에 액세스가능하다.
패킷 유닛은 RLC 계층에 형성되고, MAC 계층에서의 전송 블록에 패킹(packed)되는데, 상기 블록은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단말기로 송신되거나, 물리적 채널을 통해 반대로 송신된다. 그러한 멀티플렉스 및 디멀티플렉스 기능과 별도로, MAC 계층은 적합한 전송 포맷 조합(TFC)을 선택하는 기능을 또한 갖는다. 전송 포맷 조합은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전송 포맷의 조합을 나타낸다. 전송 포맷 조합은, 특히 전송 채널이 물리적 계층에서의 물리적 채널로 어떻게 멀티플렉싱(시간 멀티플렉스)되는지 설명한다.
각 전송 포맷은 동적 및 반-정적 부분을 포함한다. 동적 부분은, 전송 시간 간격(TTI) 동안 전송 채널에서 송신되는 전송 블록 세트(TBS)를 설명하고, 반-정적 부분은 예를 들어 에러 정정 코딩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반-정적 부분은 물리적 채널의 재구성을 통해서만 변할 것이다. 전송 블록 세트는 물리적 계층과 MAC 계층 사이에서 교환되는 복수의 전송 블록으로 정의된다. 전송 블록의 크기는, RLC 계층의 하나의 패킷 유닛의 비트 수, 및 MAC 계층의 추가된 제어 정보(헤더)의 비트 수에 의해 한정된다.
이후의 설명에서 용어 "전송 포맷"이 전송 포맷의 동적 부분만을 나타내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송신 시간 간격은 다수의 라디오 프레임(RF)에 대응하고,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이다. 이것은 인터리빙이 확장하는 라디오 프레임의 수를 나타낸다. 인터리빙은 송신기 단부에 연속적인 라디오 프레임으로부터 정보 유닛(심볼)의 시간에서의 조합이다. MAC 계층은 각 송신 시간 간격 동안 전송 블록 세트를 물리적 계층에 공급한다. 송신 시간 간격은 전송 채널에 특유하고, 전송 포맷의 반-정적 부분에 속해 있다. 물리적 계층이, n개의 라디오 프레임을 포함하는 송신 시간 간격의 시작시 MAC 계층으로부터 전송 채널을 통하는 송신을 위해 설계된 전송 블록 세트를 수신할 때, 이 세트의 각 전송 블록은 n개의 세그먼트로 세분될 것이다(전송 블록의 분할). 각 전송 블록의 n개의 세그먼트는 송신 시간 간격의 n개의 연속적인 라디오 프레임에서 송신된다. 송신 시간 간격의 n개의 라디오 프레임 모두 그 다음에 단편(fragments)의 동일한 시퀀스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적합한 전송 포맷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선택에서, 이후에 MAC 논리 우선 순위(MLP)로 표시되는, RLC와 MAC 계층 사이의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와, RLC 계층에서의 대기 라인의 점유(버퍼 점유:BO)와, 논리 채널과 연관된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TTI)과, 전송 포맷 조합의 서브셋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RLC 계층에서의 대기 라인은, RLC 계층으로부터 MAC 계층을 통해 물리적 계층으로 송신될 패킷 유닛을 포함한다. 전송 포맷 조합의 서브셋은 전송 포맷 조합의 가능한 총 세트의 일부분이다. 서브셋은 가능한 전송 포맷 조합의 수를 제한하는데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어느 전송 포맷 조합이 송신에 사용되었는지를 수신측으로 신호 발신하기 위한 비트의 수가 또한 제한되기때문이다.
전송 채널{또는 이미징된 논리 채널(들)}은/들은, 라디오 프레임의 시작이 전송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의 시작과 동시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라디오 프레임에서 비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반대의 경우에 활성화인 것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10ms인,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최단 송신 시간 간격의 경우에, 연관된 전송 채널은, 전송 블록이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적어도 이러한 최단 송신 시간 간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결코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전송 채널은 더 긴 송신 시간 간격(예를 들어 20ms)의 경우에 이러한 의미에서 실제로 비활성화될 수 있다.
최적의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알고리즘은 라디오 프레임의 각 시작시 MAC 계층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이동 지국 또는 네트워크에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몇몇 파라미터 및 변수는 선택 알고리즘의 표현 및 설명을 위해 정의된다.
심볼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S2: 이동 지국의 현존하는 최대 송신 전력을 가정하여 지원될 수 있는 모든 전송 포맷 조합의 세트(TFCS) 내에 있는 모든 전송 포맷 조합(TFC)의 수.
TF(t): 전송 채널(TCt)을 통해 송신되는 일정한 크기의 전송 블록의 수로서, 여기서 t=1, ...,NTC이고, NTC는 전송 채널의 수이다.
전송 포맷 조합(TFC)은 여기서 TFC={TF(1), TF(2), ..., TF(NTC)}로 정의되는데, 이것에 대해 더욱이 전송 포맷이 예를 들어 에러 정정 코딩 방법인 반-정적 속성을 포함하는 것을 무시한다.
BO(L): L=1, ..., NLC인 논리 채널(LCL)의 버퍼 점유(BO)로서, 여기서 NLC는 논리 채널의 수를 나타낸다.
논리 채널은 여기서 우선 순위가 감소하는 순서로 번호가 매겨지는데(numbered), 즉 LC 1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고, LC NLC는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갖고, 번호가 낮아질수록, 우선 순위는 더 높아진다.
다르지만 인접한 번호를 갖는 논리 채널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동일한 우선 순위(즉 인접한 번호)의 논리 채널이 존재하고, 동일한 시간에 활성화되는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되면, 할당의 공평함(fairness)은, 논리 채널이 하나의 TTI로부터 그 다음 TTI로 위치에서 순환식으로 이동(shifted)되는데, 즉 LC 3, 4, 및 5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다면, 제 1 TTI의 시작에서의 시퀀스는 그 다음 TTI 3*=4, 4*=5, 5*=3에서 3, 4, 5이고, 나머지도 이와 같이 되는 점에서 최적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러한 우선 순위의 레벨에서 동일한 논리 채널이 TTI의 시작에서 반드시 먼저 주사되는 것은 아닌 것이 달성된다.
심볼의 추가 의미:
S LogCh (t): 동일한 전송 채널(TCt)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논리 채널의 수(번호에 의해 식별됨).
S LogCh (t, L): LC 1로 시작하여 LC L까지 번호가 증가하지만 이것을 포함하지 않을 때 동일한 전송 채널(TCt)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논리 채널의 목록(그 번호에 의해 식별됨).
t(L): LC L이 이미지화되는 전송 채널(TCt).
N(L): 하나의 TFC에서 TF{t(L)}의 부분으로서 LC L에 할당된 전송 블록의 수.
전송 블록은 전송 블록 크기에 의해 한정된 다수의 비트를 포함한다.
minBrmaxBr은 일정하게 준수된 시간 기간에 관해 각각 최소 및 최대로 허용가능한 비트율을 나타낸다. minBr 및 maxBr은 이후에 정의되는 추가 양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평균 비트율(R 평균)은 크기(W)를 갖는 "윈도우"에 기초하여 정의된다:
여기서 sBits(ℓ, W, L)는, 송신이 LC L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ℓ번째 TTI로부터 계수하여 최종 W개의 TTI 동안 LC L에 의해 송신되는 비트의 수를 나타낸다. N(k,L)은 여기서 TTI k에서의 송신에 할당되는 LC L의 전송 블록의 수를 나타낸다(ℓ<W이면, 즉 송신의 시작시, 시청 간격은 명백하게 단지 ℓ개의 TTI이다).
Nmin(ℓ, L)은, ℓ번째 TTI까지의 W 이전의 TTI에 관한 평균비트율{}이 값(minBr)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ℓ번째 TTI에서의 송신을 위해 LC L에 할당될 수 있는 전송 블록의 가장 작은 수를 나타낸다.
Nmax(ℓ, L)은, ℓ번째 TTI까지의 W 이전의 TTI에 관한 평균 비트율{}이 값(maxBr)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ℓ번째 TTI에서의 송신을 위해 LC L에 할당될 수 있는 전송 블록의 가장 큰 수를 나타낸다.
minBr 및 maxBr에 대한 특정한 값이 주어지면, 이러한 정의는 Nmin(ℓ, L) 및 Nmax(ℓ, L)에 대한 다음의 조건을 초래한다:
여기서,는 x보다 더 작거나 동일한 가장 높은 정수이고,는 x보다 더 크거나 동일한 가장 낮은 정수이다.
선택 알고리즘은 이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채널(LC L)에 대해 최소 비트율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도 현재 TTI에서{W 최종 TTI 위로 이동합(moving sum)을 형성하는 동안} 전송될 수 있는 블록{Nmin(L)}의 가장 낮은 수를 각 논리 채널(LC L)에 대해 결정.
채널(LC L)에 대한 최대 비트율에 초과되지 않고도 현재 TTI에서{W 최종 TTI 위로 이동합을 형성하는 동안} 전송될 수 있는 블록{Nmax(L)}의 가장 큰 수를 각 논리 채널(LC L)에 대해 결정.
2.1에 대해 반복 변수(ITER)를 설정.
이제, 다음 루프가 진행된다.
3.L:=1로 설정.
4.S1:=S2(S2는 위에서 정의됨)로 설정.
5.ITER==1이면(minBr 조건):
S1에서의 전송 포맷 조합(TFC)의 수로서 S2를 형성하는데, 상기 조합은 LC L의 대기 라인에서 대기하고 값{Nmin(L)}에 가장 가까워지는 다수의 전송 블록을 포함하거나, (페딩 블록을 사용하여)이 수보다 많은 조합을 포함하는 한편-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이미 검사된 논리 채널의 모든 할당된 전송 블록{즉 SLogCh(t(L), L)에 포함된}을 고려한다. 형식상, S2(L에 의존하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N1(L)은,
BO(L)<Nmin(L)에 대해: 가장 높은 수{≤min(BO(L), Nmin(L))},
BO(L)≥Nmin(L)에 대해: Nmin(L)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LC L의 대기 라인에 존재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작은 수{<Nmax(L)}가 되어, θ가 TFC에 포함된 TCt(L)에 대해 전송 포맷{TF(t(L))}이 되는데, 즉 어떠한 페딩 전송 블록도 필요하지 않다.}
N1(L)은 변수([L])에 저장된다.
ITER==2이면(maxBr 조건):
S1에서의 전송 포맷 조합(TFC)의 수로서 S2를 형성하는데, 상기 조합은 LC L의 대기 라인에서 대기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min(BO(L), Nmax(L)-N1(L)}를 포함하거나, (페딩 블록이 추가되면) 이러한 수보다 많이 포함하는 한편-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이미 검사된 논리 채널의 모든 할당된 전송 블록{즉 SLogCh(t(L), L)에 포함된}뿐 아니라 제 1 반복에서 할당된 모든 전송 블록을 고려한다. 형식상, S2(L에 의존하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N2(L)는, LC L의 대기 라인에 대기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min(BO(L), Nmax(L))-N1(L)}가 되어, θ가 TFC에 포함된 TCt(L)에 대해 전송 포맷{TF(t(L))}이 되는데, 즉 어떠한 페딩 전송 블록도 필요하지 않다.}
△N2(L)는 변수([L])에 저장된다.
조건{△N2(L)≤min(BO(L), Nmax(L))-N1(L)}은, 이러한 조건이 또한△N2(L)+N1(L)≤min(BO(L), Nmax(L))이 되기 때문에, 추가 △N2(L) 전송 블록이 할당될 때, LC L에 대한 최대 데이터 속도가 초과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ITER==3이면(선택적: maxBr 조건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생략될 수 있음):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논리 채널에 대해 L*이 N[L*]<BO(L*)"
그리고 "S1은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면,
S1에서의 전송 포맷 조합(TFC)의 수로서 S2를 형성하는데, 상기 조합은 LC L의 대기 라인에서 대기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BO(L)-(N1(L)+△N2(L))}를 포함하거나, (페딩 블록이 추가되면) 이러한 수보다 많이 포함하는 한편-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이미 검사된 논리 채널의 모든 할당된 전송 블록{즉 SLogCh(t(L), L)에 포함된}뿐 아니라 제 1 반복 및 제 2 반복에서 할당된 모든 전송 블록을 고려한다. 형식상, S2(L에 의존하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N3(L)은, LC L의 대기 라인에 대기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BO(L)-(N1(L)+△N2(L))}이므로, 즉 어떠한 페딩 전송 블록의 삽입 없이도, θ가 TFC에 포함된 TCt(L)에 대해 전송 포맷{TF(t(L))}이 된다.
△N3(L)는 변수([L])에 추가된다.
6.L:=L+1로 설정.
7.L>NLC및 ITER>3이면,
S2에서 전송 포맷 조합(TFC)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가장 낮은 가능한 비트율이 이를 통해 달성되고, 절차를 종료시킨다.
선택된 전송 포맷 조합이 또한 다음과 같은 형태가 되는 것을 주의하자:
L>NLC및 ITER≤3이면,
ITER:=ITER+1을 설정함.
알고리즘을 단계 3으로 진행.
L≤NLC및 ITER≤3이면,
알고리즘을 단계 4로 진행.
일반적으로 "최상의 노력(best effort)"의 트래픽이, 초과되어서는 안 되는 최대 비트율을 특징으로 하지 않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에 따라, 최상의 노력의 트래픽은 (비트율의 제한 없이) 가장 낮은 우선 순위가 주어져야 한다. 그 다음에, TFC에서의 잔여 공간은 이러한 종류의 트래픽에 사용되어, 제 3 반복은 필요가 없다.
전술한 선택 알고리즘에 후속하는 절차는 이제 일례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상이한 전송 채널(TC1 내지 TC3) 상에서 이미지화되는 6개의 논리 채널(LC1내지 LC6)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다음의 표는, LC와 TC 사이의 할당뿐 아니라, 송신 시간 간격(TTI)의 시작시 버퍼 점유(BO)와, 전술한 수학식에 따라 고려된 송신 시간 간격에 대해 결정된 최소 비트율(Nmin)과 최대 비트율(Nmax)에 대한 값(B)을 보여준다. 더욱이, min(BO, Nmin), min(BO, Nmax)은 수반되는 계산에 필요하기 때문에 기재된다.
LC TC BO Nmin Nmax min(BO, Nmin) min(BO, Nmax)
1 1 4 2 3 2 3
2 1 2 3 4 2 2
3 2 3 1 2 1 2
4 3 8 2 4 2 4
5 2 5 2 2 2 2
6 3 9 6 8 6 8
3개의 전송 채널 상의 일정한 송신 전력에서 지원될 수 있는 전송 포맷 조합의 세트는, S1={0, 1, 2, 3, 5, 6, 7}×{0, 1, 2, 3, 4, 5, 6, 7}×{0, 4, 6, 8, 10, 11, 12, 13}과 같이 기재된다:
반복 1(minBr 조건만을 고려)은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한 다음 설명을 초래하는 한편, 실행될 조건{B(L)}은, "N1(L)이 min(BO(L), Nmin(L))에 가능한 한 가까워지는 LC L에 존재하는 전송 블록의 수이어서, θ는 TCt(L)에 대해 유효 전송 포맷(여기서 반-정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도)에 대응한다"로 주어진다.
L=1에 대해, S2={TFC∈S1│TF(1)≥N1(1)=: θ, B(L=1) 실행}={2, 3, 5, 6, 7}×{0, 1, 2, 3, 4, 5, 6, 7}×{0, 4, 6, 8, 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BO(1)≥Nmin(1), N1(1)≥Nmin(1)=2 및 θ=N(1)=2가 유효 전송 포맷{TF(1)∈{2, 3,5, 6, 7}을 산출해서, N1(1)=2가 되기 때문이다.
[1]=N1(1)=2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2에 대해, S2={TFC∈S1│TF(1)≥N1(2)+N1(1)=: θ, B(L=2) 실행}={3, 5, 6, 7}×{0, 1, 2, 3, 4, 5, 6, 7}×{0, 4, 6, 8, 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고려될 BO(2)<Nmin(2)때문인데, 즉 N1(2)<min(BO(2), Nmin(2))=2 및 θ=N1(2)+N1(1)=1+2가 유효 전송 포맷{TF(1)∈{2, 3, 5, 6, 7}}을 산출해서, N1(2)=1이 되기 때문이다.
[2]=N1(2)=1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3에 대해, S2={TFC∈S1│TF(2)≥N1(3)=: θ, B(L=3) 실행}={3, 5, 6, 7}×{1, 2, 3, 4, 5, 6, 7}×{0, 4, 6, 8, 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BO(3)≥Nmin(3), N1(3)≥Nmin(3)=1 및 θ=N1(3)=1이 유효 전송 포맷{TF(2)∈{0, 1, 2, 2, 3, 4, 5, 6, 7}}을 산출해서, N1(3)=1이 되기 때문이다.
[3]=N1(3)=1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4에 대해, S2={TFC∈S1│TF(2)≥N1(4)=: θ, B(L=4) 실행}={3, 5, 6, 7}×{1, 2, 3, 4, 5, 6, 7}×{4, 6, 8, 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BO(4)≥Nmin(4), N1(4)≥Nmin(4)=2 및 θ=N1(4)=4가 유효 전송 포맷{TF(3)∈{0, 4, 6, 8, 10, 11, 12, 13}}을 산출해서, N1(4)=4가 되기 때문이다.
[4]=N1(4)=4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5에 대해, S2={TFC∈S1│TF(2)≥N1(5)+N1(3)=: θ, B(L=5) 실행}={3, 5, 6, 7}×{3, 4, 5, 6, 7}×{4, 6, 8, 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BO(5)≥Nmin(5), N1(5)≥Nmin(5)=2 및 θ=N1(5)+N1(3)=2+1이 유효 전송 포맷{TF(2)∈{1, 2, 3, 4, 5, 6, 7}}을 산출해서, N1(5)=2가 되기 때문이다.
[5]=N1(5)=2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6에 대해, S2={TFC∈S1│TF(3)≥N1(6)+N1(4)=: θ, B(L=6) 실행}={3, 5, 6, 7}×{3, 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BO(6)≥Nmin(6), N1(6)≥Nmin(6)=6 및 θ=N1(6)+N1(4)=6+4가 유효 전송 포맷{TF(3)∈{4, 6, 8, 10, 11, 12, 13}}을 산출해서, N1(6)=6이 되기 때문이다.
[6]=N1(6)=6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따라서, N1(1)+N1(2)=2+1=3 전송 블록은 TC 1에 할당되고, N1(3)+N1(5)=1+2=3 전송 블록은 TC 2에 할당되고, N1(4)+N1(6)=4+6=10 전송 블록은 TC 3에 할당되는데, 즉 제 1 반복에서 결정된 전송 포맷 조합은, 가장 적은 비트율을 생성하는 S2에 포함된 전송 포맷 조합에 따라 (3, 3, 10)이 된다. LC 2에서 부족한 버퍼 점유 때문에, (5, 3, 10)는 얻어지지 않는다.
maxBr 조건은 그 다음 반복을 고려하는데, 여기서 이제 실행될 조건{B(L)}은, "△N2(L)는 min{BO(L), Nmax(L)}-N1(L)을 초과하지 않는 LC L의 존재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이므로, θ는 TCt(L)에 대해 유효 전송 포맷(여기서 반-정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도)에 대응한다"라는 것이다.
L=1에 대해, S2={TFC∈S1│TF(1)≥△N2(1)+N1(1)+N1(2)=: θ, B(L=1) 실행}={3, 5, 6, 7}×{3, 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1)≤min{BO(1), Nmax(1)}-N1(1)=3-2=1 및 θ=△N2(1)+N1(1)+N1(2)=1+2+1이 어떠한 유효 전송 포맷{TF(1)∈{3, 5, 6, 7}}도 산출하지 않아서, △N2(1)=0이 되기 때문이다.
[1]=N1(1)+△N2(1)=2+0=2가 저장된다(불변).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2에 대해, S2={TFC∈S1│TF(1)≥△N2(2)+△N2(1)+N1(1)+N1(2)=: θ, B(L=2) 실행}={3, 5, 6, 7}×{3, 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2)≤min{BO(2), Nmax(2)}-N1(2)=2-1=1 및 θ=△N2(2)+△N2(1)+N1(1)+N1(2)=1+2+1이 어떠한 유효 전송 포맷{TF(1)∈{3, 5, 6, 7}}도 산출하지 않아서, △N2(2)=0이 되기 때문이다.
[2]=N1(2)+△N2(2)=1+0=1이 저장된다(불변).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3에 대해, S2={TFC∈S1│TF(2)≥△N2(3)+N1(3)+N1(5)=: θ, B(L=3) 실행}={3, 5, 6, 7}×{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3)≤min{BO(3), Nmax(3)}-N1(3)=2-1=1 및 θ=△N2(3)+N1(3)+N1(5)=1+1+2=4가 유효 전송 포맷{TF(1)∈{3, 4, 5, 6, 7}}을 산출해서, △N2(3)=1이 되기 때문이다.
[3]=N1(3)+△N2(3)=1+1=2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4에 대해, S2={TFC∈S1│TF(3)≥△N2(4)+N1(4)+N1(6)=: θ, B(L=4) 실행}={3, 5, 6, 7}×{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4)≤min{BO(4), Nmax(4)}-N1(4)=4-4=0이 되어, △N2(4)=0이 되기 때문이다.
[4]=N1(4)+△N2(4)=4+0=4가 저장된다(불변).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5에 대해, S2={TFC∈S1│TF(2)≥△N2(5)+△N2(3)+N1(3)+N1(5)=: θ, B(L=5) 실행}={3, 5, 6, 7}×{4, 5, 6, 7}×{10, 11, 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5)≤min{BO(5), Nmax(5)}-N1(5)=2-2=0, 즉 △N2(5)=0이 되기 때문이다.
[5]=N1(5)+△N2(5)=2+0=2가 저장된다(불변).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6에 대해, S2={TFC∈S1│TF(3)≥△N2(6)+△N2(4)+N1(4)+N1(6)=: θ, B(L=6) 실행}={3, 5, 6, 7}×{4, 5, 6, 7}×{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2(6)≤min{BO(6), Nmax(6)}-N1(6)=8-6=2 및 θ=△N2(6)+△N2(4)+N1(4)+N1(6)=2+0+4+6=12가 유효 전송 포맷{TF(3)∈{10, 11, 12, 13}}을 산출하기 때문이다.
[6]=N1(6)+△N2(6)=6+2=8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따라서, N1(1)+△N2(1)+N1(2)+△N2(2)=2+0+1+0=3 전송 블록은 TC 1에 할당되고, N1(3)+△N2(3)+N1(5)+△N2(5)=1+1+2+0=4 전송 블록은 TC 2에 할당되고, N1(4)+△N2(4)+N1(6)+△N2(6)=4+0+6+2=12 전송 블록은 TC 3에 할당되는데, 즉 제 2 반복에서 결정된 전송 포맷 조합은 가장 작은 비트율을 생성하는 S2에 포함된 전송포맷 조합에 따라 (3, 4, 12)가 된다. 제 2 반복은 (4, 4, 12)을 초래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TC 1이 전송 포맷 "4 블록"을 포함하지 않는 한편, Nmax(1)=3이 4개의 할당된 블록의 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3 반복에서 maxBr 조건을 초과하여 전송 블록을 할당하려고 시도된다. 이제 실행될 조건{B(L)}은, "△N3(L)은 BO(L)-{N1(L)+△N2(L)}을 초과하지 않는 LC L에 존재하는 전송 블록의 가장 높은 수이므로, θ는 TCt(L)에 대해 유효 전송 포맷(여기서 반-정적 속성을 고려하지 않고도)에 대응한다"라는 것이다.
L=1에 대해, S2={TFC∈S1│TF(1)≥△N3(1)+△N2(1)+△N2(2)+N1(1)+N1(2)=: θ, B(L=1) 실행}={5, 6, 7}×{4, 5, 6, 7}×{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1)≤BO(1)-{N1(1)+△N2(1)}=4-2=2 및 θ=△N3(1)+△N2(1)+△N2(1)+N1(1)+N1(2)=2+0+0+2+1=5가 유효 전송 포맷{TF(1)∈{3, 5, 6, 7}}을 산출해서, △N3(1)=2가 되기 때문이다.
[1]=N1(1)+△N2(1)+△N3(1)=2+0+2=4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2에 대해, S2={TFC∈S1│TF(1)≥△N3(2)+△N3(1)+△N2(1)+△N2(2)+N1(1)+N1(2)=: θ, B(L=2) 실행}={6, 7}×{4, 5, 6, 7}×{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2)≤BO(2)-{N1(2)+△N2(2)}=2-1=1 및 θ=△N3(2)+△N3(1)+△N2(1)+△N2(2)+N1(1)+N1(2)=1+2+0+0+2+1=6이 유효 전송 포맷{TF(1)∈{5, 6, 7}}을 산출해서, △N3(2)=1이 되기 때문이다.
[2]=N1(2)+△N2(2)+△N3(2)=1+0+1=2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3에 대해, S2={TFC∈S1│TF(2)≥△N3(3)+△N2(3)+△N2(5)+N1(3)+N1(5)=: θ, B(L=3) 실행}={6, 7}×{5, 6, 7}×{12, 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3)≤BO(3)-{N1(3)+△N2(3)}=3-(1+1)=1 및 θ=△N3(3)+△N2(3)+△N2(5)+N1(3)+N1(5)=1+1+0+1+2=5가 유효 전송 포맷{TF(1)∈{4, 5, 6, 7}}을 산출해서, △N3(3)=1이 되기 때문이다.
[3]=N1(3)+△N2(3)+△N3(3)=1+1+1=3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4에 대해, S2={TFC∈S1│TF(3)≥△N3(4)+△N2(4)+N1(4)+△N2(6)+N1(6)=: θ, B(L=4) 실행}={6, 7}×{5, 6, 7}×{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4)≤BO(4)-{N1(4)+△N2(4)}=8-(4+0)=4 및 θ=△N3(4)+△N2(4)+N1(4)+△N2(6)+N1(6)=1+0+4+2+6=13이 유효 전송 포맷{TF(1)∈{12, 13}}을 산출하는데, 즉 △N3(4)=1이 되기 때문이다.
[4]=N1(4)+△N2(4)+△N3(4)=4+0+1=5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5에 대해, S2={TFC∈S1│TF(2)≥△N3(5)+△N3(3)+△N2(3)+△N2(5)+N1(3)+N1(5)=: θ, B(L=5) 실행}={6, 7}×{7}×{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5)≤BO(5)-{N1(5)+△N2(5)}=5-(2+0)=3 및 θ=△N3(5)+△N3(3)+△N2(3)+△N2(5)+N1(3)+N1(5)=2+1+1+0+1+2=7이 유효 전송 포맷{TF(1)∈{5, 6, 7}}을 산출해서, 즉 △N3(5)=2가 되기 때문이다.
[5]=N1(5)+△N2(5)+△N3(5)=2+0+2=4가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L=6에 대해, S2={TFC∈S1│TF(3)≥△N3(6)+△N3(4)+△N2(4)+N1(4)+△N2(6)+N1(6)=: θ, B(L=6) 실행}={6, 7}×{7}×{13}이 되는데, 그 이유는, △N3(6)≤BO(6)-{N1(6)+△N2(6)}=9-(6+2)=1 및 θ=△N3(6)+△N3(4)+△N2(4)+N1(4)+△N2(6)+N1(6)=1+1+0+4+2+6=14가 어떠한 유효 전송 포맷{TF(1)∈{13}}도 산출하지 않아서, 즉 △N3(6)=0이 되기 때문이다.
[6]=N1(6)+△N2(6)+△N3(6)=6+2+0=8이 저장된다.
그 다음 단계에 대해 S1:=S2로 설정된다.
따라서, TC1은 N1(1)+△N2(1)+△N3(1)+N1(2)+△N2(2)+△N3(2)=2+0+2+1+0+1=6 전송 블록이 되고, TC2는N1(3)+△N2(3)+△N3(3)+N1(5)+△N2(5)+△N3(5)=1+1+1+2+0+2=7 전송 블록이 되고, TC3은 N1(4)+△N2(4)+△N3(4)+N1(6)+△N2(6)+△N3(6)=4+0+1+6+2+0=13 전송 블록이 되는데, 즉 제 3 반복에서 결정된 전송 포맷 조합은 가장 작은 비트율을 생성하는 S2에 포함된 전송 조합에 따라 (6, 7, 13)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의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등에 효과적이다.

Claims (13)

  1. 전송 채널이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되고,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로서,
    복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상기 전송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합은 각 전송 채널 상의 송신을 위해 제공되는 상기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상기 각 논리 채널에 이용가능한 최소 비트율을 유지하는, 네트워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을 수행하는 한편, 상기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대 비트율을 고려하는 것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할당 시퀀스가 상기 선택 알고리즘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기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이 상기 전송 채널에 할당되며,
    상기 할당은 각각의 논리 채널에 대한 다음의 기준에 따라 발생하는데:
    a) 이미 고려되고,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imaged)된 논리 채널을 또한 고려하여, 상기 각 전송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의 총 수의 합이 유효 전송 포맷 조합에 속한 전송 포맷에 대응할 때마다, 단지 동일한 수의 패킷 유닛만이 할당되고,
    b) 상기 할당된 패킷 유닛의 수가,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소 비트율에 가능한 한 근접하게 될 때마다 선택되고,
    기준 a)가 기준 b)에 우선하며,
    제 2 할당 시퀀스는 추가 패킷 유닛을 할당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4. 제 3항에 있어서, 추가 패킷 유닛을 할당하기 위해 상기 제 2 할당 시퀀스는 다음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데:
    a) 이미 고려되고,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된 논리 채널을 또한 고려하여, 상기 각 전송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의 총 수의 합이 유효 전송 포맷 조합에 속한 전송 포맷에 대응할 때마다, 단지 동일한 수의 패킷 유닛만이 할당되고,
    c) 상기 할당된 패킷 유닛의 수가,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대 비트율을 초과하지 않을 때마다 선택되고,
    d) 가능한 한 많은 패킷 유닛이 각 경우에 할당되며,
    기준 a)는 기준 c) 및 d)에 우선하며, 기준 c)는 기준 d)에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5. 제 4항에 있어서, 추가 패킷 유닛을 할당하기 위한 제 3 할당 시퀀스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제공되는데:
    a) 이미 고려되고,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된 논리 채널을 또한 고려하여, 상기 각 전송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의 총 수의 합이 유효 전송 포맷 조합에 속한 전송 포맷에 대응할 때마다, 단지 동일한 수의 패킷 유닛만이 할당되고,
    d) 가능한 한 많은 패킷 유닛이 각 경우에 할당되며,
    기준 a)는 기준 d)에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6. 제 3항에 있어서, 추가 패킷 유닛을 할당하기 위한 제 2 할당 시퀀스는 다음 기준에 따라 수행되는데:
    a) 이미 고려되고, 동일한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된 논리 채널을 또한 고려하여, 상기 각 전송 채널에 할당된 패킷 유닛의 총 수의 합이 유효 전송 포맷 조합에 속한 전송 포맷에 대응할 때마다, 단지 동일한 수의 패킷 유닛만이 할당되고,
    c)상기 할당된 패킷 유닛의 수가,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대 비트율을 초과하지 않을 때마다 선택되고,
    d) 가능한 한 많은 패킷 유닛이 각 경우에 할당되며,
    기준 a)가 기준 c) 및 d)에 우선하고, 기준 c)는 기준 d)에 우선하며,
    기준 c)는 전송 채널에 할당된 최종 논리 채널(들)에 대해 매번리프팅(lift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7. 제 1항에 있어서, 상이한 우선 순위를 갖는 논리 채널이 각각 정확히 하나의 전송 채널 상에서 이미지화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논리 채널의 우선 순위 순으로 상기 패킷 유닛의 할당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하나의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및 복수의 연관된 단말기를 갖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데,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라디오 프레임의 송신 시간 간격을 갖고, 송신 시간 간격의 시작이 라디오 프레임의 송신 시간 간격의 시작과 동시에 발생할 때 활성화되는 전송 채널을 통해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각각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단말기의 MAC(Medium Access Control: 매체 액세스 제어) 계층은 각 전송 포맷을 선택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또는 단말기의 RLC(Radio Link Control: 라디오 링크 제어) 계층은 송신을 위해 제공되는 패킷 유닛을 저장하기 위해 설계되고, MAC 계층은 논리 채널을 통해 공급되는 패킷 유닛으로부터 전송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11.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용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로서,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는, 상기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전송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전송 채널을 통해 상기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설계되고,
    다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이 상기 전송 채널에 할당되는데, 상기 조합은 각 전송 채널에 대한 송신을 위해 설계된 상기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에 제공되고,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상기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소 비트율을 고려하는,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
  12.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용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설계되고,
    다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상기 전송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합은 각전송 채널에 대한 송신을 위해 설계된 상기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상기 각 논리 채널에 대해 얻어지는 최소 비트율을 고려하는, 단말기.
  13. 전송 채널이 논리 채널의 패킷 유닛으로부터 형성된 전송 블록을 송신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 2 복수의 전송 채널이 연관되는 제 1 복수의 논리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유효 전송 포맷 조합은 상기 전송 채널에 할당되고, 상기 조합은 각 전송 채널 상의 송신을 위해 제공된 상기 전송 블록을 나타내고,
    선택 알고리즘은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을 선택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전송 포맷 조합의 선택이 수행되는 한편, 상기 각 논리 채널에 적용가능한 최소 비트율을 유지시키는, 네트워크 제어 방법.
KR1020020027823A 2001-05-21 2002-05-20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KR200200891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24940.3 2001-05-21
DE10124940A DE10124940A1 (de) 2001-05-21 2001-05-21 Netzwerk mit logischen Kanälen und Transportkanäl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79A true KR20020089179A (ko) 2002-11-29

Family

ID=768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23A KR20020089179A (ko) 2001-05-21 2002-05-20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67487B2 (ko)
EP (1) EP1261229A3 (ko)
JP (1) JP3920146B2 (ko)
KR (1) KR20020089179A (ko)
CN (1) CN1284390C (ko)
AR (1) AR033906A1 (ko)
BR (1) BR0201898A (ko)
DE (1) DE10124940A1 (ko)
MX (1) MXPA020050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737B1 (ko) * 2002-1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계층 레이어 상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0876730B1 (ko) * 2002-07-08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초기전송 포맷 결합 인자 설정 방법
KR100942796B1 (ko) * 2007-12-1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81149B1 (en) 1987-02-12 2000-05-03 Genentech Inc Methods and deoxyribonucleic acid for the preparation of tissue factor protein
US8064325B1 (en) * 2002-10-23 2011-11-2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Concurrent frequency-sharing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with rate allocation approach
KR100772470B1 (ko) 2002-12-20 2007-11-0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모바일 네트워크의 mac 계층에 의한 데이터 전송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BRPI0318155B1 (pt) * 2003-03-03 2017-05-02 Nokia Corp método para transmitir uma transmissão debanda larga digital, método para receber uma transmissão de banda larga digital, sistema para prover uma transmissão de banda larga digital, transmissor para transmitir uma transmissão de banda larga digital, receptor para receber uma transmissão de banda larga digital"
KR100678182B1 (ko) * 2003-08-20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7525925B2 (en) * 2003-12-31 2009-04-28 Stmicroelectronics Asia 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 optimal transport format combination using progressive set reduction
DE102004021070B4 (de) * 2004-04-29 2006-07-13 Infineon Technologies Ag Kommunikationssystem mit einem Kommunikationsnetzwerk, Basisstation, Teilnehmergerät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Daten
US7499424B2 (en) * 2004-05-06 2009-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transmission status information and buffer state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uplink packet service
KR101059876B1 (ko) 2004-06-16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데이터전송량 선택 방법
US7885245B2 (en) * 2004-07-19 2011-02-0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uplink multiplexing
US8830945B2 (en) * 2005-10-31 2014-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305970B2 (en) * 2005-10-31 2012-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2007052916A1 (en) 2005-10-31 2007-05-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7052921A1 (en) * 2005-10-31 2007-05-10 Lg Electronics Inc. Data recei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602005019434D1 (de) 2005-12-13 2010-04-01 Panasonic Corp Zuordnung von Broadcast System Informationen zu Transportkanälen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CN100488252C (zh) * 2007-03-03 2009-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业务指南的数据信息的传输方法
CN101162938B (zh) * 2007-10-25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mac层的传输格式组合的选择方法及其装置
US8917598B2 (en) * 2007-12-21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flow control
US8699487B2 (en) * 2008-02-04 2014-04-1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delay budget feedback
US8656239B2 (en) * 2008-02-12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of data transmission based on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16749B2 (en) 2008-09-08 2012-02-14 Proctor Jr James Arthur Protocol for anonymous wireless communication
CN107438280B (zh) * 2016-05-28 2022-05-1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Zigbee设备节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0540B1 (en) * 1999-10-28 2005-02-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cket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s system
CA2285168A1 (en) * 1998-10-09 2000-04-09 Chris Frank Howard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I107220B (fi) * 1998-11-06 2001-06-15 Nokia Networks Oy Menetelmä kantajien ominaisuuksien hallitsemiseksi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730B1 (ko) * 2002-07-08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초기전송 포맷 결합 인자 설정 방법
KR100524737B1 (ko) * 2002-11-22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계층 레이어 상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0942796B1 (ko) * 2007-12-17 2010-0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정보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390C (zh) 2006-11-08
AR033906A1 (es) 2004-01-07
MXPA02005076A (es) 2005-09-01
BR0201898A (pt) 2003-04-22
EP1261229A3 (de) 2004-01-21
EP1261229A2 (de) 2002-11-27
JP2003018202A (ja) 2003-01-17
JP3920146B2 (ja) 2007-05-30
US20030053344A1 (en) 2003-03-20
CN1407821A (zh) 2003-04-02
DE10124940A1 (de) 2002-11-28
US7167487B2 (en)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9179A (ko) 논리 채널 및 전송 채널을 갖는 네트워크
US7050415B2 (en) Wireless network with a selection of transport format combinations
US100282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JP6162279B2 (ja)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使用可能送信電力情報を構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6967940B2 (en) Dynamic forward error correction in UTRA systems
KR101061323B1 (ko) 통신망 액세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285294B2 (en) Technique for perform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over a radio interface
KR10174036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최대 전송 전력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19037B2 (en) Terminal device,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s for resource selection and updating of access class information
JP6553121B2 (ja) キャリア集約のための移動通信システムでキャリア別最大送信電力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7941168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to control uplink and downlink channel for synchronization
EP1588579B1 (en) Tfc selection in the uplink
KR20020061512A (ko) 전송포맷 조합의 선택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
Kim et al. Rate-adaptive MAC protocol in high-rate personal area networks
WO1996008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a radio channel
CN112995961B (zh) 基于宽带技术的终端直通通信的终端接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