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8990A -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 Google Patents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990A
KR20020088990A KR1020010028100A KR20010028100A KR20020088990A KR 20020088990 A KR20020088990 A KR 20020088990A KR 1020010028100 A KR1020010028100 A KR 1020010028100A KR 20010028100 A KR20010028100 A KR 20010028100A KR 20020088990 A KR20020088990 A KR 2002008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tennis
pair
wheels
housing
drive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1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승표
Original Assignee
서승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승표 filed Critical 서승표
Priority to KR1020010028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8990A/en
Publication of KR2002008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990A/en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6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rotating discs, wheels or pulleys gripping and propelling the balls or bodies by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구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휠(10,20)과; 상기 회전휠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복수개의 탁구공을 저장하는 공수납박스; 그리고 상기 공수납박스에서의 상기 회전휠 사이로 탁구공을 공급하는 공급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탁구공이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회전력을 받아서 전방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휠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전방을 기준으로 틸팅 가능하고, 더욱이 좌우각도 변환도 가능하다. 따라서 토출되는 탁구공은 스핀의 양 및 방향을 여러가지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탁구연습이 가능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wheels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 air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ble tennis balls; And a supply pipe for supplying a table tennis ball between the rotary wheels in the air storage box; Ping-pong ball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means are discharged for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In addition, the pair of wheels ar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and can also be tilted ba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left and right angles can also be converted. Accordingly, the discharged table tennis ball can control the amount and direction of the spin in various ways, thereby enabling more efficient table tennis practice.

Description

탁구연습장치{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본 발명은 탁구 연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탁구공이 배급되면서, 공의 구질을 자유자재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탁구연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ng pong exerci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ng pong exerciser configured to change the pitch of the ball freely while automatically distributing the ping pong ball.

종래에는 탁구공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기계장치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탁구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형태의 볼의 회전(스핀)과 여러가지 형태의 구질에 대하여 충분한 연습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어떠한 방향으로 스핀이 걸린 상태로 공이 공급되거나, 회전 없이 속도가 빠른 형태의 공을 공급하는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공을 배급함으로써, 혼자서도 충분히 연습할 수 있는 탁구연습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In the past, there was no mechanism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able tennis balls. However, ping pong requires a lot of practice for the various types of ball rotation and spin. Therefore, by distributing various types of balls, such as supplying balls in a state in which the spin is held in any direction, or supplying balls of high speed without rotation, a ping-pong practice device that can be practiced alone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 배급할 수 있는 탁구연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tennis exerciser that can be supplied and distributed in various form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탁구연습기는, 실질적으로 여러가지 형태로 공급공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 이용하면 충분한 형태의 다양한 연습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Such a table tennis exerci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it can be supplied and supplied in substantially various forms, and this means that various exercises in a sufficient form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보이는 정면 개략도.1 is a front schematic view showing a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휠의 단면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rotary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휘전휠의 로테이션 동작을 보이는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rotation operation of th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휠의 틸팅 동작을 보이는 예시도.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ilting operation of the rotary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좌우회전 동작을 보이는 예시도.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장치의 상부의 개략적인 단면도.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의 상부의 정면도.7 is a front view of the top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탁구공의 공급부분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upply portion of the table tennis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공공급부의 구조를 보인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ublic benefi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략도.10 is a schematic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좌우이송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left and right transfer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높이조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Figure 12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operation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좌우이송시 안내를 위한 개략도.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for guiding during left and right transfer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 ..... 회전휠30 ..... 하우징10, 20 ..... Rotary wheel 30 ..... Housing

40 ..... 조정축50 ..... 공수납박스40 ..... Adjustment shaft 50 ..... Air storage box

52 ..... 공급관60 ..... 프레임52 ..... Supply pipe 60 ..... Frame

70 ..... 수평프레임70 ..... Horizontal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탁구연습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휠과; 상기 회전휠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복수개의 탁구공을 저장하는 공수납박스; 그리고 상기 공수납박스에서의 상기 회전휠 사이로 탁구공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탁구공이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회전력을 받아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pair of rotary wheel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wheels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 air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ble tennis balls; And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table tennis ball between the rotary wheels in the air storage box; Table tennis ball supplied through the suppl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charged forwar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이와 같이 회전휠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출되는 탁구공에 걸리는 스핀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In this way, the rotation wheels ar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independent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spins applied to the ping-pong balls discharged.

그리고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회전시킬 수 있는 로테이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테이션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지지되는 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서의 회전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A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it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ry wheels.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rotary wheel and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in one housing; The rotation means is composed of a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e motor, a shaft supported on the rear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in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그리고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틸팅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되고 있다.And til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with respect to the fro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rotary wheels and the driving means are installed in one housing; The tilting means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haft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좌우각도를변환시키는 좌우각도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각도 변환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정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조정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left and right angle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of the pair of rotating wheels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the pair of rotating wheels and the driving means are in one housing.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is composed of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 adjustment shaf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adjustment shaft.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상부에 올려놓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rotating wheels and the driving means is installed in a single housing,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 horizontal frame for placing the housing on the top, and a chai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nd a weigh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a sprocket for driving the chain,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procket.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좌우각도 변환수단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가 올려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rotating whee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ight adjusting means includes a horizontal frame on which the base forming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is raised, a chai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weigh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It comprises a sprocket for driving the chain,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sprocket.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좌우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pair of rotary wheels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front.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ir of rotary wheel and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in one housing; The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one side is composed of a chain connected to the housing, a pair of sprockets for rotating the chain,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prockets.

그리고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에 대한 실시예에 의하면, 공수납박스에서의 공을 한쌍의 회전휠까지 공급하는 플렉시블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을 상기 회전휠 사이로 이송하도록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로 구성되고 있다.An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upply means, a flexible supply pipe for supplying a ball in the air storage box to a pair of rotating wheels,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ipe between the ball between the rotating wheels It consists of a belt which rotates by a drive motor so as to convey.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개념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동모터(A)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휠(10)과, 제2구동모터(B)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휠(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은, 탁구공의 지름과 동일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휠(10,20) 사이에는 탁구공(Ba)이 공급된다.First, the basic concep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ront view in FIG. As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wheel 10 rotated by the first drive motor A and the rotary wheel 20 rotated by the second drive motor B are provided.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table tennis ball, and the table tennis balls Ba are supplied between the rotary wheels 10 and 20.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로 공급되는 탁구공(Ba)은, 회전휠(10,20)의 회전력에 의하여 전방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출력축이 삽입되는 구멍이 성형된 보스부(10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스부(10a)에 삽입되는 모터의 출력축은 체결공(10b)을 통하여 세트스크류로 고정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휠(10,20)의 원주면에는 고무 등과 같이 일정한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커버부(10c)가 구비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탁구공이 전방으로 튀어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Table tennis ball (Ba) supplied between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20),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front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wheels (10,20).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includes a boss portion 10a in which a hole into which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is inserted is formed. The output shaft of the motor inserted into the boss portion 10a will be fixed to the set screw through the fastening hole 10b.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wheel (10, 20) is provided with a cover portion (10c)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nstant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rubber,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ping pong ball can jump forward by the rotation.

그리고 여기서 상기 제1구동모터(A)와 제2구동모터(B)는 각각 상이한 회전수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동모터는 DC모터로서 컨트롤러에 의하여 속도 및 정역회전이 제어될 수 있는 모터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모터(A)가 고속이고 제2구동모터(B)가 저속이면, 토출되는 탁구공은 상방에서 하방을 향하는 스핀이 걸리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구동모터(A,B)의 속도가 같으면 공의 회전은 없으나 공의 토출속도가 상당히 빨라지게 된다. 또한 제1구동모터(A)가 저속이고 제2구동모터(B)가 고속이면, 토출되는 탁구공은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는 스핀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쌍의 구동모터(A,B)의 회전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토출되는 탁구공에 걸리는 스핀의 형태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driving motor A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B may have different rotation speed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driving moto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DC motor, the speed and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Therefore, for example, when the first driving motor A is a high speed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B is a low speed, the discharged ping-pong ball is subjected to a spin from above to downward. And if the speed of the pair of drive motors (A, B) is the same, there is no rotation of the ball, but the discharge speed of the ball is significantly faster. If the first driving motor A is at a low speed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B is at a high speed, the discharged ping-pong ball is forced to spin upward from below. By adjusting the number of rotation of the pair of drive motors (A, B) in this way, the shape of the spin applied to the ping-pong ball discharged substantially changes.

또한 상기 한쌍의 구동모터(A,B) 중의 어느 하나는 선택적으로 역회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모터가 역회전하게 되면, 토출되는 탁구공에 걸리는 스핀이 매우 크게 될 것이다.In addition, any one of the pair of driving motors (A, B) can be selectively rotated reversely, if any one of the motor is rotated in reverse, the spin applied to the ping-pong ball discharged will be very large.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와 같이 한쌍의 회전휠(10,20)을 가지는 장치 자체는 도면 상에서 Da로 도시한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방향을 로테이션운동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Da방향으로 장치가 회전하게 되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토출되는 탁구공은 경사진 각도에 대응하는 형태의 스핀이 걸리게 된다.Referring to FIG. 1 again,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itself having a pair of rotating wheels 10 and 2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Da in the drawing. Hereinafter, such a direc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rotation motion. In this manner, when the device rotates in the Da direction, the state shown in FIGS. 3A and 3B is obtained. In this state, the discharged ping-pong ball takes a spi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angle.

그리고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장치가 90도 회전하여 상기 구동모터(A,B)가 수평상태로 되어, 한쌍의 회전휠(10,20)이 수평상태가 되면, 토출되는 탁구공은 좌우방향으로의 스핀이 걸리게 될 것이다.And as shown in Figure 3c, whe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is rotated 90 degrees and the drive motors (A, B) are in a horizontal state, when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20) is in a horizontal state, discharged table tennis balls Will spi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장치의 로테이션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일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n embodiment for enabling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device as described above.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한쌍의 회전휠(10,20) 및 모터(A,B)는 하나의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의 후단부에는 일정한 축을 통하여 워엄휠(Wab)가 연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워엄휠(Wab)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30)도 회전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로테이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엄휠(Wab)는 워엄기어(Waa)와 맞물려 있어서, 워엄기어(Waa)의 회전에 의하여 저속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워엄기어(Waa)는 구동모터(M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a)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하여, 그 회전동력이 워엄기어(Waa) 및 워엄휠(Wab)를 통하여 하우징에 전달되게 되고, 이러한 것은 실질적으로 도 1의 Da방향으로 상기 하우징(30)을 회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Ma)의 정역회전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30)의 로테이션운동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6 is a side view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and the motors A and B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one housing 30. And the rear end of the housing 30 is connected so that the worm wheel (Wab) is interlocked through a certain axis. Therefore, when the worm wheel (Wab) is rotated, the housing 30 also rotates, it is possible to rotate as described above. And the worm wheel (Wab) is engaged with the worm gear (Waa), it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t a low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worm gear (Waa). The worm gear Waa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so that the worm gear Wa can rotate by forward rotation or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Ma. Therefore, by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Ma, the rotational power is transmitted to the housing through the worm gear (Waa) and the worm wheel (Wab), which is substantially in the Da direction of FIG. It means that the housing 30 can be rotated.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housing 30 by controlling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Ma).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은, 전방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전방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이하에서는 틸팅(tilting)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로테이션 운동을 위한 기구와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틸팅이라는 것은, 상기 하우징(30)을 전방에 대하여 기울이는 것을 의미하고, 이렇게 틸팅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탁구에 있어서의 스매싱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housing 30 may adjust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the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will be referred to as tilting hereinafter. Such a structure can be comprised substantially similarly to the mechanism for rotational motion as mentioned above.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4, tilting means to tilt the housing 30 relative to the front, by adjusting the tilting in this way, it will be able to produce the same effect as smashing in table tennis .

이러한 틸팅조절을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은 축(3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축(32)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하우징(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A detailed embodiment for such tilt adjust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s shown, the housing 30 is supported by the shaft 32, and by rotating the shaft 32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housing 30.

상기 축(32)의 단부에는 워엄휠(Wbb)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워엄휠(Wbb)은 워엄기어(Wba)가 서로 맞물려 있으며, 이러한 워엄기어(Wba)는 구동모터(Mb)의 출력축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b)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상기 워엄기어(Wba) 및 워엄휠(Wbb)를 통하여 축(32)이 회전하게 되면서, 하우징(30)의 틸팅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worm wheel Wbb is fixed to the end of the shaft 32. And the worm wheel (Wbb) is a worm gear (Wba) is meshed with each other, the worm gear (Wba) is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e motor (Mb). Therefore, the shaft 32 is rotated through the worm gear Wba and the worm wheel Wbb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motor Mb, thereby controlling the tilting of the housing 30.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좌우각도 조절을 통하여, 탁구연습시 볼이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And the housing 30 by this invention is comprised so that the angle of a left-right direction can be adjusted as shown in FIG. By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allow the ball to be discharged in the desired direction during table tennis practice.

이러한 좌우방향은, 상기 하우징(30)과 연결되어 있는 조정축(40)을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정축(40)의 회전은, 별도의 구동모터(Mc)(도 6 참조)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구동모터에서의 출력을, 워엄기어를 통하여 상기 조정축(40)에 고정된 워엄휘일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워엄기어 및 워엄휘일을 이용하는 것은,상술한 틸팅조정 및 로테이션을 위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어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is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be achieved by rotating the adjusting shaft 40 connected to the housing 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Rotation of the adjustment shaft 40, a separate drive motor Mc (see Fig. 6) may be used, and the output from the drive motor is fixed to the adjustment shaft 40 through the worm gear It would be quite possible to have it delivered on a date. The use of such worm gears and worm wheels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or tilting adjustment and rotation, and thus detaile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틸팅, 로테이션, 그리고 좌우각도변환을 위한 기구적 구성에 있어서는, 구동모터(Ma,Mb,Mc)에서의 회전동력을 이용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모터(Ma,Mb,Mc)에서의 회전동력을 워엄기어 및 워엄휘일을 통하여 틸팅, 로테이션, 그리고 좌우각도변화을 위한 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구동모터에서 상기 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외에에도, 구동모터에서 상기 축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것은, 복수개의 기어를 이용하는 치차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한 동력전달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정역회전이 가능한 어떠한 동력전달도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motors Ma, Mb, and Mc is used in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tilting, rotation, and left-right angle convers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motors Ma, Mb, and Mc is transmitted to the shaft for tilting, rotation, and left and right angle changes through the worm gear and the worm wheel. However, the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power from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can be performed using a gear train using a plurality of gears, power transmission by a belt or chain, as well as any power transmission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t is natural that possible.

다음에는 도 6, 도 7,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로 탁구공을 공급하는 기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상단부에는 공수납박스(5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속에는 복수개의 탁구공이 수납되어 있다.Next, referring to Figures 6, 7, and 8, the mechanism for supplying a table tennis ball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wheels (10, 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the air storage box 50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urality of table tennis balls are housed therein.

그리고 상기 공수납박스(50)에서,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의 공공급부(54)로 공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5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52)는 공이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air storage box 50, a supply pipe 52 for supplying a ball to the public pay portion 54 between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is installed. The supply pipe 52 has a diameter such that the balls can be sequentially supplied one by one, it is preferable to be molded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공급관(52)을 통하여 공급되는 탁구공은, 공공급부(54)에 의하여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로 공급된다. 도 9a에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로 탁구공을 공급하기 위한 공공급부(54)의 구성이 정면도로, 그리고 도 9b에는 도 9a의 A방향에서 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공급부(54)는, 공급관(52)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관(52)의 일측을 절개한 후에 설치된 벨트(5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54a)는, 한쌍의 풀리(54b,54c)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벨트(54a)의 이러한 회전이, 공급되는 탁구공과 접촉하게 되어 탁구공을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벨트(54a)는 탁구공과 충분한 마찰을 일으킬 수 있는 고무재질로 성형하거나,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풀리(54b,54c) 중의 어느 하나는 회전수 제어가능한 구동모터(Me)(예를 들면 DC모터)(도 8 참조)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토출되는 탁구공의 간격이 결정될 것이다.The ping pong ball supplied through the supply pipe 52 is supplied between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by the public pay 54. FIG. 9A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ir supply 54 for supplying a table tennis ball between the pair of rotating wheels 10 and 20, and FIG. 9B is a plan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 of FIG. 9A.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supply part 5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ipe 52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belt 54a provided after cutting one side of the supply pipe 52. The belt 54a is rotated by a pair of pulleys 54b and 54c, and this rotation of the belt 54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pplied table tennis ball, thereby bringing the table tennis ball to the pair of rotating wheels 10 and 20. It will supply between. In addition, the belt 54a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capable of causing sufficient friction with the table tennis ball, or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pable of obtaining sufficient friction. One of the pair of pulleys 54b and 54c is connected to a drive motor Me (for example, a DC motor) (see FIG. 8)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and discharg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The spacing of the ping pong balls will be determined.

그리고 상기 회전휠(10,20) 직전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센서(Sa)와 수광센서(Sb)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정지시 공이 회전휠(10,20) 사이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수납박스(50)의 직하에서 공급관(52)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발광센서(Sc)와 수광센서(Sd)는 공급되는 공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써, 공급되는 공이 없어지게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일정한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nd the light emitting sensor Sa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Sb installed just before the rotary wheels 10 and 20 are for preventing the ball from being supplied between the rotary wheels 10 and 20 whe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pped. .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sensor Sc and the light receiving sensor Sd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upply pipe 52 directly under the air storage box 50 are sensor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upplied ball. In order to inform the user of this, a certain signal is generated.

다음에는 본 발명 장치의 높이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높이조절장치는,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에 의항 토출되는 공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것으로,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휠(10,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높이조절장치는, 토출되는 탁구공의 종류(드라이브, 커트, 스매싱, 서브 등)에 따라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해야 할 필요에 의하여 제안되는 것이다.Next, the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height adjusting device i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ll discharged by the pair of rotating wheels 10 and 20, and is a portion that substanti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rotating wheels 10 and 20. This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posed by the need to adjust the overall height according to the type of table tennis ball discharged (drive, cut, smashing, sub, etc.).

도 10에 도시한 높이조절장치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30), 또는 하우징(30)의 상부에 공수납박스(50)를 지지하는 프레임(60)을 상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ure 10, the height of the housing 30, or by moving the frame 60 for supporting the air storage box 5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30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adjust.

높이조절을 위한 일실시예를 보면, 구동모터(Mg)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크류(62)가 회전하도록 직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62)에는 그것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블럭(66)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볼스크류(62)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블럭(66)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나사블럭(66)는, 실질적으로 상하이동아암(64)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하이동아암(64)은, 상술한 하우징(30) 또는 프레임(60)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블럭(66)의 상하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하우징(30) 또는 프레임(60)이 상하 이동하게 되어, 토출되는 공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Looking at one embodiment for height adjustment, the ball screw 62 is upright to rotate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Mg). In addition, the ball screw 62 is provided with a screw block 66 for screwing therewith, so that the screw block 66 is raised or lowered by the rotation of the ball screw 62. The screw block 66 is substantially connected to the shanghai east arm 64, the shanghai east arm 64 is connected to the housing 30 or the frame 60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housing 30 or the frame 6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crew block 66,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discharged ball.

다음에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한 높이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탁구공을 토출하기 위한 한쌍의 회전휠(10,20)이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30) 또는 프레임(60)(도 8에 도시)은, 수평프레임(7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의 편의상 이를 생략하고 있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S. 12 and 14 will be described. Here, the housing 30 or the frame 60 (shown in FIG. 8) in which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and 20 for discharging the ping pong ball is installed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70. This is omitted for convenience.

상기 수평프레임(70)은, X자형상으로 서로 교차하고 있는 한쌍의 힌지링크(72,7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70)이 상승하게 되면,도 12 및 도 14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링크(72,74)가 상방으로 신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한쌍의 힌지링크(72,74)가 교차하는 중심점에서 회동가능하게 핀연결되어 있고, 힌지링크(72,74)의 어느 일측(도면상에서는 좌측단부)이 베이스(75) 또는 수평프레임(70)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 점에 기인한다.The horizontal frame 70 is supported by a pair of hinge links 72 and 74 that cross each other in an X shape. When the horizontal frame 70 is raised, as shown by the dashed lines in FIGS. 12 and 14, the hinge links 72 and 74 are configured to extend upward. It is pivotally connected at a center point where the pair of hinge links 72 and 74 intersect, and either side of the hinge links 72 and 74 (the left end in the drawing) is the base 75 or the horizontal frame 70.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configured to flow at regular intervals relative to.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70)의 양측에는 체인(79)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79)는 스프라켓(76)에 감긴 상태에서 타측에는 웨이트(78)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웨이트(78)는 상하이동하는 수평프레임(70)과의 무게 균형을 잡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Mf)을 구동하게 되면, 상기 스프라켓(76)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체인(79)이 수평프레임(70)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거나 하방으로 내리게 된다. 이 때 상기 체인(79)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웨이트(79)는 수평프레임(70)의 상하 이동시 무게 균형을 잡아주게 된다.And the chain 79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70, the chain 79 is connected to the weight 78 on the other side in the state wound around the sprocket 76. The weight 78 is for balancing the weight with the horizontal frame 70 moving in Shanghai. When driving the driving motor (Mf) in this state, the sprocket 76 is rotated in any one direction, the chain 79 is to raise the horizontal frame 70 upwards or downwards. At this time, the weight 79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79 balances the weight when the horizontal frame 70 moves up and down.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장치는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left and right.

이러한 좌우이동을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0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높이조절을 위한 기구[볼스크류(62), 나사블럭(66), 구동모터(Mg) 등]이 내장되어 있는 이동프레임(80)의 하단부에는 좌우이송을 위한 구동모터(Mh)에는 이송로프(82) 또는 벨트가 설치되어 있고, 그 벨트의 일부분에는 상기 이동프레임(80)을이송로프(82)와 연결하는 연결부(67)가 설치되어 있다.An embodiment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rs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moving frame 80, the mechanism for adjusting the height (ball screw 62, screw block 66, drive motor (Mg), etc.) is built in the drive motor for left and right feed ( Mh)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rope 82 or a belt, and a portion of the belt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67 for connecting the moving frame 80 to the conveying rope 82.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h)에 의하여 이송로프(82)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프레임(80)이 좌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veying rope 82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drive motor (Mh), the moving frame 80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left and right. By this configuratio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left and right.

다음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좌우이동을 위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60)의 하단부에는 좌우각도 변환을 위한 조정축(40)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조정축(40)은 실질적으로 좌우각도 변환지지부(43)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각도 변환지지부(43)에는 실질적으로 좌우각도변환을 위한 구동모터(Mc)(도 4 참조)와, 구동모터에서 상기 조정축(40)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워엄 및 워엄휘일 등이 설치되어 있을 것이다.Next, another embodiment for horizontal movement shown in FIGS. 11 and 12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the figure, the lower end of the frame 60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shaft 40 for conver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and this adjustment shaft 40 is substantially supported by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support 43.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support 43 has substantially a drive motor Mc (see FIG. 4) for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and a worm and a worm wheel for transmitting power from the drive motor to the adjustment shaft 40. It will be installed.

그리고 이러한 좌우각도 변환지지부(43)는 베이스(90)(도 6 및 도 12 참조)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90)는 체인(83)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체인(83)의 구동에 의하여 베이스(90)가 좌우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인 프레임(60) 등이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우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nd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support 43 is supported by the base 90 (see Figs. 6 and 12). And since the base 90 is connected to the chain 83, the base 90 is moved left and right by the drive of the chain 83, and thus the frame 60 is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The back is moved left and right while moving left and right.

그리고 도 11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체인(83)은 구동모터(Mi)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스프라켓(85a)와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85b)에 감겨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i)의 구동에 의하여, 체인(83)이 돌아가면,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chain 83 is wound around a drive sprocket 85a that is rotated by a drive motor Mi and a driven sprocket 85b that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Therefore, when the chain 83 is rotated by the drive of the drive motor Mi, it is possible to substantially mov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러한 베이스(90)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수평프레임(70)의 상방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8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84)는 단면이 원형을 가지도록 성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3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90)의 하단부에는 한쌍의 가이드롤러(9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91)는 베이스(90)가 좌우로 이동할 때, 상기 한쌍의 가이드레일(84)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구름운동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좌우 이동하는 베이스(90)를 안정적인 상태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guide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ase 90, a pair of guide rails 84 are provided above the horizontal frame 70. The guide rail 84 is most preferably mold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As can be clearly seen in FIG. 13, a pair of guide rollers 91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90. The guide roller 91 performs a rolling mo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guide rails 84, respectively, when the base 90 moves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substantially maintaining the base 90 to move left and right substantially. To support the fun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탁구연습장치는, 한쌍의 회전휠(10,20) 사이를 통하여 탁구공을 토출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한쌍의 회전휠(10,20)은 하우징(30)을 통하여 로테이션, 틸팅, 좌우각도변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휠(10,20)을 통하여 토출되는 탁구공은 여러가지 방향으로 스핀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table tennis ball through a pair of rotary wheels (10, 20), the pair of rotary wheels (10, 20) is the housing 30 Rotation, tilting,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is possible through.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ing pong balls discharged through the rotary wheels 10 and 20 can be spun in various directions.

그리고 장치 전체의 프레임을 상하의 높이조절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음도 알 수 있다.And it can also be seen that by configuring the frame of the entire device to be a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p and bottom and to move left and right, more convenient us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Other modific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idea as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탁구공을 토출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습할 때, 공에 걸리는 스핀의 정도는 물론이고, 그 방향 및 토출방향 등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direction, the discharge direction, and the like, as well as the degree of spin applied to the ball when practicing, by discharging the table tennis ball.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possible.

Claims (17)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한쌍의 회전휠과;A pair of rotating wheel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상기 회전휠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수 제어가 가능하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wheels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rotation speed; 복수개의 탁구공을 저장하는 공수납박스; 그리고An air storage box for storing a plurality of table tennis balls; And 상기 공수납박스에서의 상기 회전휠 사이로 탁구공을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It comprises a supply means for supplying a table tennis ball between the rotating wheel in the air storage box; 상기 공급수단을 통하여 공급되는 탁구공이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회전력을 받아서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Table tennis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able tennis ball supplied through the supply means is discharged to the front und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제1항에 있어서, 전방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회전시킬 수 있는 로테이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wheels when viewed from the fro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air of rotary wheels and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in one housing; 상기 로테이션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지지되는 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서의 회전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The rotation means is a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haft suppor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able tennis practi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tilt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pair of rotating wheels to the fron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ir of rotary wheels and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in a single housing; 상기 틸팅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는 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The tilting means is a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 shaft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좌우각도를 변환시키는 좌우각도 변환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left and right angles to the front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ir of rotary wheels and the drive means is installed in one housing; 상기 좌우각도 변환수단은, 정역회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정축,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조정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the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comprising a drive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an adjustment shaf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adjustment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able tennis practi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rotating wheel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상부에 올려놓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 연습장치.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air of rotating wheels and the driving means is installed in a single housing,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 horizontal frame for placing the housing on top, and the chai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weight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a sprocket for driving the chain, and a driving motor for rotating the sprocket.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6 or 7,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heigh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air of rotary whee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좌우각도 변환수단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가 올려지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웨이트, 상기 체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means comprises: a horizontal frame on which a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is mounted, a chain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and a weigh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in; Table tennis practice device comprising a sprocket for driving the chain, and a drive motor for rotating the spr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좌우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able tennis train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pair of rotary wheels to the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fron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 및 구동수단은 하나의 하우징 내부에설치되고;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pair of rotating wheels and the driving means are installed in one housing; The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one side is composed of a chain connected to the housing, a pair of sprockets for rotating the chain,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prockets Ping-pong practice device.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휠을 전방에 대하여 좌우 이송시키는 좌우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8. The table tennis tr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or 7, further comprising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pair of rotary wheels left and right relative to the fron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수단은, 좌우각도 변환수단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의 하방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회전시키기 한쌍의 스프라켓, 그리고 상기 스프라켓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left and right conveying means, a chai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se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left and right angle conversion means is install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elow the base, a pair of sprockets for rotating the chain, and 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comprising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sprock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은, 공수납박스에서의 공을 한쌍의 회전휠까지 공급하는 플렉시블한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을 상기 회전휠 사이로 이송하도록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supply means, a flexible supply pipe for supplying a ball in the air storage box to a pair of rotating wheels,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ly pipe is rotated by a drive motor to transfer the ball between the rotating wheels 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comprising a belt to. 제3항,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워엄휠로구성되고, 상기 워어휠이 축과 연결되어 축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구연습장치.The worm wheel according to claim 3, 5 or 7, wherein the transmission means comprises a worm gear that rotates by a drive motor and a worm wheel that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worm gear. Table tennis practice apparatus is connected to the shaft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shaft.
KR1020010028100A 2001-05-22 2001-05-22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Abandoned KR2002008899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100A KR20020088990A (en) 2001-05-22 2001-05-22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100A KR20020088990A (en) 2001-05-22 2001-05-22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990A true KR20020088990A (en) 2002-11-29

Family

ID=2770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100A Abandoned KR20020088990A (en) 2001-05-22 2001-05-22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8990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42Y1 (en) * 2011-09-14 2012-01-20 한상일 Table Tennis Smashing Game Machine
KR101114595B1 (en)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Table tennis game robot
KR101332581B1 (en) * 2011-11-30 2013-11-25 (주)텍큐브스포츠 Apparatus for shooting a ping―pong ball
KR102025241B1 (en) * 2019-04-04 2019-09-25 최유식 Ball Launch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430A (en) * 1975-09-20 1977-03-26 Toyoji Nakajima Pingpong ball shooting device in a pingpong traing machine
JPH02109582A (en) * 1988-10-20 1990-04-23 Tokico Ltd batting practice machine
JPH05208059A (en) * 1992-01-30 1993-08-20 Kinki Kuresuko:Kk Ball throwing machine
JPH07213673A (en) * 1994-01-28 1995-08-15 Nisshin S P M:Kk Pitching machine
JPH09262331A (en) * 1996-03-28 1997-10-07 Kawasaki Corp Kk Ball shooting device
JPH1189985A (en) * 1997-09-17 1999-04-06 Konami Co Ltd Table tennis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430A (en) * 1975-09-20 1977-03-26 Toyoji Nakajima Pingpong ball shooting device in a pingpong traing machine
JPH02109582A (en) * 1988-10-20 1990-04-23 Tokico Ltd batting practice machine
JPH05208059A (en) * 1992-01-30 1993-08-20 Kinki Kuresuko:Kk Ball throwing machine
JPH07213673A (en) * 1994-01-28 1995-08-15 Nisshin S P M:Kk Pitching machine
JPH09262331A (en) * 1996-03-28 1997-10-07 Kawasaki Corp Kk Ball shooting device
JPH1189985A (en) * 1997-09-17 1999-04-06 Konami Co Ltd Table tennis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95B1 (en) * 2009-07-24 2012-02-20 이종택 Table tennis game robot
KR200458142Y1 (en) * 2011-09-14 2012-01-20 한상일 Table Tennis Smashing Game Machine
KR101332581B1 (en) * 2011-11-30 2013-11-25 (주)텍큐브스포츠 Apparatus for shooting a ping―pong ball
KR102025241B1 (en) * 2019-04-04 2019-09-25 최유식 Ball Launc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9562A (en) Mechanical surfing apparatus
US5599262A (en) Shake and twist exerciser
US20030195061A1 (en) Pitching machine
US5649523A (en) Ball throwing apparatus
US4372284A (en) Baseball-pitching machine
KR20020088990A (en) Training machine for table tennis
US5882270A (en) Baseball batting practice device
KR100778920B1 (en) Automatic thrower
CN1200664C (en) Swinging bed
KR102082432B1 (en) Golf ball tie-up device
KR200170819Y1 (en) Pitching device for swing exercise
CN117188994A (en) Drill rod storage and conveying device
WO2011128958A1 (en) Rotation device for amusement units and amusement device using same
JPH0654936A (en) Golf trainer
KR100570179B1 (en) Rotator of Ice Cream Container
CN220909628U (en) Drill rod storage and conveying device
CN219545785U (en) Jacking roller chain machine is transplanted in rotation
KR200250182Y1 (en) Rock climbers
CN218619395U (en) Novel broad width rolling device
CN223130363U (en) Grinding machine loading attachment for processing of sphere in bearing
CN220723113U (en) Wire feeding device
CN209522189U (en) Field monorail conveyer
JPH11347147A (en) Walk training machine
CN218950178U (en) Conveying device used in kiwi fruit plantation
CN109292708B (en) Continuous material receiving and conve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