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7612A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87612A KR20020087612A KR1020010026381A KR20010026381A KR20020087612A KR 20020087612 A KR20020087612 A KR 20020087612A KR 1020010026381 A KR1020010026381 A KR 1020010026381A KR 20010026381 A KR20010026381 A KR 20010026381A KR 20020087612 A KR20020087612 A KR 200200876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nowledge
- customer
- database
- field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418 data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1 base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2 data 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31—Awarding of a frequent usage incentive independent of the monetary value of a good or service purchased, or distance travelled
Landscapes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 관계 관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객의 신상 정보 및 물품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들의 신상 정보와 성향간의 관계를 고려한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이하, 'CRM-DB'라 함)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객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객별 신상 정보 및 성향간의 관계를 도출하고, 그 중 유용성이 높은 지식(knowledge)을 자동으로 생성하며, 그 지식 및 외부에서 입력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지식 베이스에 근거한 CRM-DB를 구축함으로써, CRM-DB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CRM-DB 구축을 위해 대용량의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CRM-DB를 구축할 수 있으며, 비용 및 저장 공간의 절약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atabase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of customers using information of a customer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and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reating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M-DB').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contents of the customer database to de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of each customer, and automatically generates a high-use knowledge among them,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ternally input knowledge. By building a knowledge base and building a CRM-DB based on that knowledge base, you can operate a CRM-DB more efficiently, which eliminates the need to refer to a large customer database to build a CRM-DB. You can quickly and easily build a CRM-DB and save money and storage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객 관계 관리를 위한 고객 데이터 베이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객 데이터 베이스 분석 결과 도출된 고객별 신상 정보 및 성향간의 관계에 의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지식 베이스에 근거하여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계 관리를 위한 고객 데이터 베이스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er database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construct a knowledge bas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of each customer derived from a customer database analysi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ustomer database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haracterized by building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atabase based thereon.
고객 관계 관리(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란 기업이 잘 정리된 방법으로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지칭하는 정보 산업계 용어로서, 대개 인터넷 서비스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고객의 신상 정보 및 물품 구매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고객 데이터 베이스의 정보를이용하여, 고객들의 신상 정보와 성향간의 관계를 고려한 고객 관계를 파악한 후, 이를 기업 마케팅이나 캠페인에 응용하기 위한 것이다.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CRM) is an information industry term that refers to the methodologies and software that companies need to manage customer relationships in a well-organized way. They usually have Internet service capabilities. In other words,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database that stores and manage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goods purchas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to grasp the customer relationship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opensity of the customer, it is applied to the corporate marketing or campaign.
이는 기업의 마케팅 부서에서, 자신들의 최고 고객을 식별해내고,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그들을 겨냥한 마케팅 캠페인을 추진할 수 있게 하며, 판매팀을 이끌기 위한 품질을 만들어내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고객 관계 관리(이하, 'CRM'이라 함)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우편이나, 상품 홍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객 관계 관리 서비스(이하, 'CRM 서비스'라 함)라 한다.This helps the company's marketing department identify their top customers, drive marketing campaigns targeted at them with clear goals, and create quality to drive sales teams. Providing services such as e-mail or product promotion by using such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M") information is called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RM service").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CRM 서비스 제공 장치의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CRM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CRM ser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and FIG.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providing a CRM ser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CRM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들의 신상 정보, 물품 구매 정보 등을 관리하는 고객 DB(10)와, 고객 관계 관리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CRM-DB(20)와, 고객 DB(10)를 분석하여 CRM-DB(20)를 생성하는 CRM-DB 생성부(40)와, CRM-DB(20)를 분석해서 고객의 신상 정보와 성향간의 관계인 지식을 추출하는 DB분석부(50)와, 그 지식들을 총괄하는 지식 베이스(30)와, 지식 베이스(30) 및 CRM-DB(20)의 내용을 참조하여 고객들에게 CRM 서비스를 제공하는 CRM 서비스 제공부(60)와, I/F 부(80)를 통해 입력되는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CRM-DB 생성부(40), DB 분석부(50) 및 CRM 서비스 제공부(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CR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customer DB 10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of a customer, purchase information of a customer, a CRM-DB 20 storing and manag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customer DB. (10) analyzing the CRM-DB generation unit 40 to generate the CRM-DB (20), and the DB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CRM-DB (20) to extract the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ropensity of the customer ( 50), a knowledge base 30 that oversees the knowledge, a CRM service provider 60 for providing CRM services to customers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of the knowledge base 30 and the CRM-DB 20, and I Including the control unit 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RM-DB generation unit 40, DB analysis unit 50 and CRM service provider 60 by the request of the administrator input through the / F unit 80 It is composed.
고객 DB(10)는 고객들의 신상 정보, 물품 구매 정보 등을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로서, 자체적으로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외부로부터 제공받을 경우 여러 종류의 고객 데이터 베이스 원천으로부터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다.The customer DB 10 is a database that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tc. of customers, and can be generated by itself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source. When provided from the outside, the customer DB 10 is provided from various types of customer database sources. It is possible to receive.
한편, DB 분석부(50)는 지식 추출을 위해 통계 분석 도구, 올랩(OLAP: Online Analytic Processing) 도구,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도구 등을 이용하며, CRM-DB(20)에 저장된 고객들의 구매 유형에 연관 규칙, 분류 규칙 및 예측 모델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지식을 추출한다.Meanwhile, the DB analysis unit 50 uses statistical analysis tools, OLAP (Online Analytic Processing) tools, data mining tools, etc. to extract knowledge, and purchases of customers stored in the CRM-DB 20. The knowledge is extracted by applying techniques such as association rules, classification rules, and prediction models to types.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CRM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CRM 서비스 제공 방법은 먼저, 상품 마케팅 및 캠페인을 기획하는 사람으로부터 발생된 요구 사항들을 수렴하여(s10), 외부의 고객 DB로부터 이들과 관련된 CRM-DB를 구축한다(s20). 이 때, 요구되는 사항으로는 고객의 신상 명세 정보, 구매 이력 정보, 제품 정보, 판매 지역 정보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구축된 CRM-DB를 분석하여 고객의 신상별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구매 성향 등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을 추출하여(s30), 이들로 구성된 지식 베이스를 구축한다(s40). 상기 지식 베이스를 참조하여 CRM 서비스를 제공한다(s50).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RM ser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Referring to Figure 2,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a CRM servi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first gathers the requirements generated from the person who is planning the product marketing and campaign (s10), CRM-DB associated with them from an external customer DB To build (s20). At this time, the required information may include customer's personal specification information, purchase history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sales region information, and the like. And, by analyzing the built CRM-DB to extract the knowledge based on the purchasing tendency, etc. that appear in common for each customer's personality (s30), to build a knowledge base consisting of these (s40). The CRM service is provided with reference to the knowledge base (S50).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This conventional techniqu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CRM 서비스를 위해 최종적으로 구성되는 지식 베이스의 경우 일반적인 방법론에 바탕을 두어 필요할 것이라 예상되는 데이터들을 미리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에 의해 생성되는 자료이므로, 이를 위해 외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고객 DB를 제공받아야 하며, 이러한 대용량의 DB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자원의 낭비가 극심하다.First, the knowledge base that is finally configured for CRM service is generated by the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data that is expected to be needed based on the general methodology. Therefore, various types of customer DB are provided from outside. There is a great waste of resource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such large databases.
둘째,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DB들을 가지고 하나의 CRM-DB를 구축하기 위해 서로 다른 형태의 DB들을 일관된 포맷으로 변환하고, 누락된 값을 보정하고, 데이터 유효성 검사를 통해 잘못된 값을 고치는 등의 사전 작업을 통해 정제되고 통합된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Second, in order to build a CRM-DB with these various types of large-scale DBs, dictionaries such as converting different DBs to a consistent format, correcting missing values, and correcting wrong values through data validation The work requires the generation of refined and consolidated data, which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셋째, 종래의 경우 CRM-DB로부터 지식을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도구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데이터 마이닝 도구의 경우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상식 수준의 지식을 주로 추출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추출된 지식들 중 의미성과 유용성이 있는 지식을 식별하여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기 위해 지식 분석가가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Third, in the conventional case, data mining tools are mainly used to extract knowledge from CRM-DB, and since these data mining tools mainly extract common knowledge level knowledge that we already know, The disadvantage is that knowledge analysts have to spend a lot of time to identify semantic and useful knowledge and register it in the knowledge bas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지식을 중심으로 고객 DB를 분석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지식 베이스에 근거하여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CRM-DB)를 자동으로 구축함으로써, CRM-DB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비용, 저장 공간 및 작업 시간들을 절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관계 관리를 위한 데이터 베이스(CRM-DB)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uild a knowledge base by analyzing the customer DB centered on the user knowledge, based on the knowledge base customer relationship By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management database (CRM-DB), it is possible to operate CRM-DB more efficiently and to save the cost, storage space and working time for building it. A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atabase (CRM-DB) are provided.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CRM 서비스 제공 장치의개략적인 블록도,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R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CRM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RM servic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RM-DB 생성 장치가 적용된 CRM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R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o which a CRM-DB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가이드부의 개략적인 블록도,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knowledge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RM-DB를 생성한 후, CRM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RM service after generating a CRM-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RM-DB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DB 스키마에 대한 예시도,5A to 5D are exemplary diagrams of a DB schema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reating a CRM-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 도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knowledge deriva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도,6A to 6H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식 도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도.7A to 7G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 : 고객 DB 120 : 지식 베이스110: customer DB 120: knowledge base
130 : CRM-DB 140 : 지식 가이드부130: CRM-DB 140: knowledge guide
141 : 클러스터링부 142 : 표시부141: clustering unit 142: display unit
143 : 통계적 의미 분석부 150 : 지식 등록부143: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unit 150: knowledge register
160 : 지식 매칭부 170 : CRM-DB 생성부160: knowledge matching unit 170: CRM-DB generation unit
180 : CRM 서비스 제공부 190 : 제어부180: CRM service provider 190: control unit
200 : I/F 부200: I / F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CRM-DB 생성 장치는 고객들의 신상 정보와 성향간의 관계인 지식을 저장 관리하는 지식 베이스와, 관리자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고객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식을 도출하는 지식 가이드부와, 상기 지식 가이드부에서 도출된 지식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을 상기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는 지식 등록부와, 상기 지식 베이스에 등록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상기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고, 각 지식별로 해당되는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추출하는 지식 매칭부와, 상기 지식 매칭부에서 추출된 지식별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가지고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CRM-DB)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RM-DB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wledge base for storing and managing knowledge t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of customers, an interface unit for providing an interface with managers, and an interface unit. Knowledge guide unit for deriving knowledge by analyzing contents of the customer database at the request of a manager; knowledge for registering knowledge directly inputted by the manag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knowledge derived from the knowledge guide unit in the knowledge base. A knowledge matching unit for analyzing the customer database based on a registration unit, knowledg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and extracting a database item corresponding to each knowledge; and a database item for each knowledge extracted from the knowledge matching unit. To build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atabase with Generating management database (DB-CRM)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CRM-DB 생성 방법은 사용자 지식에 의해 고객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객별 신상 정보 및 성향간의 관계인 지식을 도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도출된 지식 및 외부에서 입력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축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의 지식 베이스에 등록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상기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분석하고, 각 지식별로 해당되는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추출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추출된 지식별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가지고 고객 관계 관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CRM-DB generation method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first process of deriving the knowledge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ropensity for each customer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ustomer database by the user knowledge, A second process of constructing a knowledge base based on knowledge derived in step 1 and externally input knowledges, and analyzing the customer database based on knowledg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of the second process; And a fourth process of extracting a database item corresponding to knowledge, and a fourth process of constructing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database using the extracted knowledge-based database i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CRM-DB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CRM-D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RM-DB 생성 장치가 적용된 CRM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CR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o which a CRM-DB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CRM-DB 생성 장치가 적용된 CRM 서비스 제공 장치는 고객 DB(110), 지식 베이스(120), CRM-DB(130), 지식 가이드(knowledge guide)부(140), 지식 등록부(150), 지식 매칭부(160), CRM-DB 생성부(170), CRM 서비스 제공부(180), 제어부(190), I/F 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중 CRM 서비스 제공부(180)를 제외하면 본 발명의 CRM-DB 생성 장치의 구성이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CRM service providing apparatus to which the CRM-DB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customer DB 110, a knowledge base 120, a CRM-DB 130, and a knowledge guide unit 140. , The knowledge register 150, the knowledge matcher 160, the CRM-DB generator 170, the CRM service provider 180, the controller 190, and the I / F unit 200. Except for the dual CRM service provider 180 is a configuration of the CRM-DB gene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고객 DB(110)는 고객들의 신상 정보, 물품 구매 정보 등을 관리하며, 자체적으로 생성하거나 외부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ustomer DB 110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product purchase information, etc. of the customers, and can be used by itself or by being provided from the outside.
지식 베이스(120)는 고객의 물품 구매 정보에 의해 유추된 고객의 성향과, 그 고객의 신상 정보간의 관계를 정형화하여 표시한 지식을 저장 관리한다.The knowledge base 120 stores and manages knowledge displayed by form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stomer's disposition inferred by the customer's purchase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ustomer.
CRM-DB(130)는 지식 베이스(120)에 등록된 지식을 고객 DB(110)에 적용시켜 추출된 데이터 항목들에 의해 구축되며, 지식별 고객 정보를 관리하게 된다.The CRM-DB 130 is constructed by data items extracted by applying the knowledg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120 to the customer DB 110 and manages customer information for each knowledge.
지식 가이드부(140)는 I/F 부(200)를 통한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고객 DB(110)의 내용을 분석하여 지식을 도출한다.The knowledge guide unit 140 derives knowledge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ustomer DB 110 at the request of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 / F unit 200.
지식 등록부(150)는 지식 가이드부(140)에서 도출된 지식 및 I/F 부(200)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을 지식 베이스(120)에 등록한다.The knowledge registration unit 150 registers the knowledge derived from the knowledge guide unit 140 and the knowledg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 / F unit 200 to the knowledge base 120.
이 때, 지식 등록부(150)는 I/F 부(200)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들의 경우, 고객 DB(110)에 의거한 통계적 의미를 계산하여 그 지식들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한 후, 유효성이 검증된 지식만을 선별하여 지식 베이스에 등록한다. 즉,고객 DB(110)에 해당 지식(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을 적용시켜, 그 지식을 만족하는 고객의 수가 일정 비율(예컨대, 전체 고객의 70%) 이상인 경우 이를 유효한 지식으로 인정한다.At this time, the knowledge registration unit 150 determines the validity of the knowledge by calculating the statistical meaning based on the customer DB 110 in the case of knowledg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 / F unit 200, Only valid knowledge is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That is, by applying the corresponding knowledge (the knowledg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to the customer DB 110, if the number of customers satisfying the knowledge is a certain ratio (for example, 70% of the total customer) is recognized as valid knowledge.
또한, 지식 등록부(150)는 지식 베이스(120)에 등록하고자 하는 새로운 지식(k1)이 그 지식 베이스에 기 등록된 기존의 지식(k2) 및 상기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고자 하는 다른 새로운 지식(k3)과 상반되는 의미를 가지는 경우, 그 상반되는 의미의 지식들 중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식만을 지식 베이스에 등록한다. 즉, 지식 베이스(120)에 등록될 지식들간에 상반되는 의미를 포함하는 경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관리자가 관여한다.In addition, the knowledge registration unit 150 is a new knowledge (k1) to register in the knowledge base 120, the existing knowledge (k2) already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and other new knowledge (k3) to register in the knowledge base In the case of having the opposite meaning, only one of the knowledge of the opposite meaning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is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That is, the manager is involved to solve the case where the conflicting meaning between the knowledge to b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120.
한편, 지식 등록부(150)는 새롭게 등록된 지식이 기 등록된 지식과 호환되는 내용이 있는 경우 이들을 자동으로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knowledge registration unit 150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mbining the newly registered knowledge when there are contents compatible with the previously registered knowledge.
지식 매칭부(160)는 지식 베이스(120)에 등록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고객 DB(110)를 분석하고, 각 지식별로 해당되는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추출한다.The knowledge matching unit 160 analyzes the customer DB 110 based on the knowledg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120, and extracts a database item corresponding to each knowledge.
CRM-DB 생성부(170)는 지식 매칭부(160)에서 추출된 지식별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가지고 CRM-DB(130)를 구축한다.The CRM-DB generating unit 170 constructs the CRM-DB 130 with the knowledge-based database items extracted by the knowledge matching unit 160.
한편, CRM 서비스 제공부(180)는 CRM-DB(130)를 이용하여 고객들에게 CRM 서비스를 제공한다.Meanwhile, the CRM service provider 180 provides a CRM service to customers using the CRM-DB 13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식 가이드부(140)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지식 가이드부(140)는 클러스터링부(141), 표시부(142), 통계적 의미 분석부(143)를 포함한다.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knowledge guide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the knowledge guide unit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ustering unit 141, a display unit 142, Statistical meaning analysis unit 143 is included.
클러스터링부(141)는 관리자가 지정한 필드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 DB(110)를 클러스터링하여 필드들간의 관계를 도출한 후, 이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객 DB(110)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 하나의 필드를 지식 도출 대상 필드로 선택하고, 그 대상 필드의 필드 값과 고객의 성향간 관계 분석을 위한 소정개의 기준 필드를 선택한다. 그리고,대상 필드의 필드값과 기준 필드의 필드값의 관계를 도출하여 그 관계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표시한다. 이 때 정형화된 형식이란 일반적으로 대상 필드의 필드값과 기준 필드의 필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조건문 형태의 구문을 말한다.The clustering unit 141 clusters the customer DB 110 based on the field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administrator to de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s, and then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in a standardized form. In more detail, one field among the fields constituting the customer DB 110 is selected as a field for knowledge derivation,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field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value of the target field and the propensity of the customer is selected. Choose.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value of the target field and the field value of the reference field is derived and the relationship is displayed in a standardized form. In this case, the formalized form generally refers to a conditional sentence syntax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value of the target field and the field value of the reference field.
표시부(142)는 클러스터링부(141)의 클러스터링 결과를 표시하는 장치로, 3차원 그래프 또는 트리 구조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display unit 142 is a device for displaying the clustering result of the clustering unit 141 and may be displayed in a 3D graph or a tree structure.
통계적 의미 분석부(143)는 클러스터링부(141)에서 정형화된 형식의 통계적 의미를 계산하여, 그 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 이를 지식으로 도출한다. 이는 지식 등록부(150)에서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들에 대한 유효성 여부를 검증하는 동작과 유사하다. 즉, 클러스터링부(141)에서 정형화된 형식을 고객 DB(110)에 적용시켜, 그 지식을 만족하는 고객의 수가 일정 비율(예컨대, 전체 고객의 70%) 이상인 경우 이를 지식으로 도출한다.The statistical meaning analysis unit 143 calculates the statistical meaning of the standardized form in the clustering unit 141, and derives it as knowledge when the value becomes more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is is similar to the operation of verifying validity of knowledg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in the knowledge register 150. That is, the clustering unit 141 applies the formalized format to the customer DB 110, and when the number of customers satisfying the knowled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for example, 70% of all customers), it is derived as knowledg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RM-DB를 생성한 후, CRM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CRM-DB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CRM-DB를 생성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CRM service after generating a CRM-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a process of generating a CRM-DB using the CRM-DB generating apparatus is as follows.
먼저, 사용자 지식에 의해 고객 DB의 내용을 분석하여 고객별 신상 정보 및성향간의 관계인 지식을 자동으로 도출한다(s100). 이 때, '사용자 지식'이란 고객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들의 경험에 의해 얻어진 일종의 규칙을 말하며, 이러한 '사용자 지식'에 의해 CRM-DB를 구성하기 위한 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지식 가이드부(140)가 이용된다.First,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customer DB based on user knowledge, knowledge t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personality of each customer is automatically derived (s100). At this time, the 'user knowledge' refers to a kind of rule obtained by the experience of the managers in charge of managing the customer, and in order to derive the knowledge for configuring the CRM-DB based on the 'user knowledge' as illustrated in FIGS. 3 and 4. Knowledge guide section 140 is used.
그리고, 그 지식 및 외부에서 입력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축한다(s200). 이 때, 외부에서 입력된 지식들의 경우 그 지식들의 유효성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임의의 한 고객 DB를 가지고 그 지식들의 통계적 의미를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도 3의 지식 등록부(150)에서 I/F 부(200)를 통해 관리자가 직접 입력한 지식들에 대한 유효성 검증 과정과 유사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과정은 생략한다.Then, a knowledge base is constructed based on the knowledge and knowledge input from the outside (s200). At this time, in the case of knowledge input from the outsid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knowledge is valid,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statistical meaning of the knowledge with any one customer DB is performed.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validating the knowledge directly input by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I / F unit 200 in the knowledge register 150 of FIG. 3. Therefore, the specific process is omitted.
한편, 상기 구축된 지식 베이스에 새로운 지식(k1)을 추가하고자 할 때, 새로운 지식(k1)이 그 지식 베이스에 기 등록된 기존의 지식(k2) 및 상기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고자 하는 다른 새로운 지식(k3)과 상반되는 의미를 가지는 내용이 있는 경우, 지식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식 베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관여한다. 이 때, 그 상반되는 의미의 지식들 중 어느 하나의 지식만을 선택하여 지식 베이스에 등록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new knowledge (k1) is to be added to the established knowledge base, the new knowledge (k1)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k2) and the other new knowledge to b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 If there is a content that is contrary to k3), the manager who manages the knowledge base is involved to maintain the credibility of the knowledge. At this time, only one of the knowledge of the opposite meaning is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이와 같이 지식 베이스가 구축되었으면 그 지식 베이스에 등록된 지식들에 의거하여 고객 DB를 분석하고, 각 지식별로 해당되는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추출하는 지식 매칭 과정을 수행한(s300) 후, 이 때 추출된 지식별 데이터 베이스 항목을 가지고 CRM-DB를 구축(s400)한다.When the knowledge base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fter analyzing the customer DB based on the knowledge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and performing a knowledge matching process for extracting a database item corresponding to each knowledge (s300), the extracted information is then extracted. Build a CRM-DB with knowledge-based database items (s400).
한편, 이러한 CRM-DB를 이용하여 특정 고객군에게 메일(direct mail) 발송, 고객 이탈 방지, 잠재 고객 포착, 크로스-셀링(cross-selling)과 같은 CRM 서비스를 제공(s500)한다.On the other hand, by using the CRM-DB (S500) to provide a specific customer group (S500) such as sending mail (direct mail), customer churn prevention, prospective customer capture, cross-selling (cross-selling).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CRM-DB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DB 스키마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5에 나타난 일련의 과정들을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A through 5D are exemplary diagrams of a DB schema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reating a CRM-D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processes illustrated in FIG.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hrough 5D. As follows.
도 5a는 고객(Customer) 관리 DB에 대한 예시도로서, 고객고유번호(Cid)/고객이름(Name)/주소(Address)/전화번호(Phone)/나이(Age)/직업(Job)/성별(Sex) 필드를 포함한다. 도 5b는 상품(Product) 관리 DB에 대한 예시도로서, 상품고유번호(Pid)/생산자명(Producer)/상품분류(Category)/크기(Size)/색상(Color)/가격(Price)/제조년(Pyear)/제조월(Pmonth)/제조일(Pday) 필드를 포함한다. 도 5c는 매매(Sales) 관리 DB에 대한 예시도로서, 매매번호(Sid)/고객고유번호(Cid)/상품고유번호(Pid)/소매가격(retail-price)/날짜(date)/할인(discount)/매매년(Syear)/매매월(Smonth)/매매일(Sday) 필드를 포함한다.FIG. 5A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ustomer management DB, wherein a customer unique number (Cid) / customer name (Name) / address (Address) / phone number (age) / age / job / gender / gender (Sex) field. FIG. 5B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roduct management DB. The product unique number (Pid) / producer name (Producer) / product classification (Size) / size (Color) / price (Price) / year of manufacture It includes the (Pyear) / Pmonth / Pday field. FIG. 5C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ales management DB. The sales number (Sid) / customer unique number (Cid) / product unique number (Pid) / retail-price / date (discount) / discount ( discount / Syear / Smonth / Sday fields.
한편, 도 5d는 새로나온 음반 판매 목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와 같은 외부 고객 DB를 참조하여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고객군에게 DM을 발송하기 위해 생성된 CRM-DB의 예를 나타낸다.Meanwhile, FIG. 5D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RM-DB generated for sending a DM to a customer group having the highest preference for the record with reference to an external customer DB as shown in FIGS. 5A to 5C for a new record sales purpose.
이 때, 도 5d와 같은 CRM-DB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고객군을 추출하기 위해 외부 고객 DB를 분석하여,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고객군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추출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generate a CRM-DB as shown in FIG. 5D, first, an external customer DB is analyzed to extract a customer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the record, and a feature that is commonly displayed for the customer group with high preference for the record is extracted. do.
예를 들어, 그 분석 결과 "서울에 사는 20대 이하의 사람 중 지난달 구입액이 5만원 이상이고, 월평균 구매 회수는 6회 미만인 사람들이 음반을 선호 한다."는 특성을 추출하였다면, 이를 지식으로 도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건을 생성한다.For example, if the analysis shows that "People in their 20s or younger in Seoul who bought more than 50,000 won last month and those who bought less than six times a month prefer the record," it is derived from knowledge. To do this, create the following conditions:
<조건 1><Condition 1>
Customer.연령층 = Customer.age - (Customer.age mod 10)Customer.age = Customer.age-(Customer.age mod 10)
<조건 2><Condition 2>
Customer.지난달구입액 = SUM(retail_price) WHERE smonth = last_monthCustomer.Last Month Purchase = SUM (retail_price) WHERE smonth = last_month
<조건 3><Condition 3>
Customer.월평균구매회수 = AVG(COUNT(*)GROUPBY smonth)Customer average monthly purchases = AVG (COUNT (*) GROUPBY smonth)
<조건 1>은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연령층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고객의 연령(Customer.age)을 10으로 나눈 나머지 값을 그 고객의 연령(Customer.age)에서 빼준 값을 계산하여, 음반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고객의 연령층을 10대, 20대, 30대와 같은 값으로 추출하기 위한 조건식이다.<Condition 1> is a condition to identify the age group who has high preference for record. The preference for record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ustomer's age (Customer.age) from the customer's age (Customer.age). It is a conditional expression for extracting the age group of customers who have high preference for records by calculating values, such as teenagers, 20s, and 30s.
<조건 2>는 각 고객들의 지난달 구입총액을 산출하기 위해, 도 5c와 같은 매매 관리 DB의 매매월(Smonth) 필드 값이 '지난달(last_month)'인 모든 레코드의 소매가격(retail_price) 필드의 값들을 합한 값을 계산하기 위한 조건식이다.<Condition 2> is the value of the retail_price field of all records for which the month value of the last month field of the transaction management DB as shown in FIG. Conditional expression to calculate the sum of these values.
<조건 3>은 각 고객들의 월평균 구매회수를 산출하기 위해, 도 5c와 같은 매매 관리 DB의 매매월(Smonth) 필드 값이 동일한 모든 레코드들의 수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하기 위한 조건식이다.<Condition 3> is a conditional expression fo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of all records having the same Smonth field value of the sales management DB as shown in FIG. 5C, in order to calculate the average number of purchases of each customer.
이와 같이 원하는 고객군들에 대한 특성에 의거한 지식을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조건식을 생성하였으면, 그 조건식들의 조합에 의한 지식을 도출한다.When the conditional expression necessary to derive the knowledg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red customer groups is generated, knowledge is derived from the combination of the conditional expressions.
상기 예의 경우, "Customer.연령층 < '20대' and Customer.지난달구입액 > '50,000' and Customer.주소 = '서울' and Customer.월평균구매회수 < '6회' →음반선호"라는 지식이 도출된다. 이는 도 5의 지식 도출 과정(s100)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지식 가이드(knowledge guide)부(140)를 통해 자동으로 도출될 수도 있고, 관리자의 입력에 의해 수동으로 도출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knowledge of "Customer age group <'20s' and Customer. Last month purchase amount> '50, 000' and Customer.Address =" Seoul "and Customer. Average monthly purchase number <'6 times' → Music preference is derived. . This is generated by the knowledge derivation process s100 of FIG. 5, and may be automatically derived through the knowledge guide unit 140 shown in FIGS. 3 and 4, or manually by an administrator's input. May be derived.
그리고, 이러한 지식을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는 지식 베이스 구축 과정(s200)과, 그 지식 베이스에 등록된 지식들과 각 고객들의 정보를 매칭하는 지식 매칭 과정(s300)을 거쳐 CRM-DB를 구축하는 과정(s400)을 수행하는데, 상기 지식 조건에 의해 형성된 CRM-DB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지식 조건에 의해 형성된 CRM-DB는 고객고유번호(Cid)/연령층/지난달구입액/주소(Address)/월평균구매회수 필드를 포함하며, 각 필드 값이 상기 지식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고객 정보들을 추출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a process of building a CRM-DB through a knowledge base construction process (s200) for registering such knowledge in a knowledge base and a knowledge matching process (s300) for matching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knowledge base with information of each customer. At step S400, the CRM-DB formed by the knowledge condition is as shown in FIG. 5D. That is, referring to Figure 5d, the CRM-DB formed by the knowledge condition includes a customer unique number (Cid) / age group / last month purchase amount / Address (Address) / average monthly purchase count field, each field value is the knowledge condition Extract and store customer information that satisfies al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식 도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로서,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고객군에 대한 지식을 도출하기 위한 처리 과정이 나타나 있고,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for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for deriving knowledge about a specific customer group selected by a manager is shown, and FIGS. 6A to 6H illustra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pecific illustrative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 example.
도 6 및 도 6a 내지 도 6h를 참조하여, 특정 고객군에 대한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6 and 6A to 6H,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bout a specific customer group is as follows.
먼저, 특정 고객군 식별을 위한 조건을 선택한다(s105). 이 때, 선택되는 조건은 특정 고객군을 식별하기 위한 필드명과 그 필드의 필드값이 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식을 도출하고자 하는 특정 고객군으로 '만화를 사보는 사람들'을 선택한 경우, 특정 고객군을 식별하기 위한 조건은 '구입잡지'라는 필드명의 필드값이 '만화'인 고객이 된다.First, a condition for identifying a specific customer group is selected (s105). At this time, the selected condition is a field name for identifying a specific customer group and a field value of the field. Referring to FIG. 6A, when 'people who buy a cartoon' is selected as a specific customer group for which knowledge is to be derived, the condition for identifying a specific customer group is a customer whose field value of the 'buying magazine' field name is 'cartoon'. .
이와 같이 조건을 선택하였으면, 전체 고객 DB 중에서 그 조건을 만족하는 고객 정보만을 추출한다(s110).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의 예에서 전체 5명의 고객 DB 중 '구입잡지'필드의 필드값이 '만화'인 고객 3명만을 추출하였다.When the condition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only the customer information satisfying the condition is extracted from the entire customer DB (S110). 6B, in the example of FIG. 6A, only three customers having a field value of 'cartoon' are extracted from the total five customer DBs.
그리고, 추출된 고객 정보들의 필드별 필드값의 돗수분포를 확인하여 그 돗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는 필드값을 갖는 필드들을 기준 필드로 설정한다(s115).The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field value of each field of the extracted customer information is checked, and fields having a field value whose numbe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are set as reference fields (S115).
즉, 도 6c 또는 도 6d의 예에서와 같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고객의 수가 그렇지 않은 고객의 수보다 현저하게 큰 값을 가질 경우, 그 조건에 대한 필드를 기준 필드로 설정한다. 도 6c는 '수입(income)' 필드의 필드값들에 대한 돗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수입이 '30'인 고객의 수(70)가 그렇지 않은 고객들의 수(3, 15, 15)에 비해 현저하게 큰 값을 갖는다. 한편, 도 6d는 차량 소유 여부를 나타내는 '차(car)' 필드의 필드값들에 대한 돗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차를 가진 고객의 수(80)가 그렇지 않은 고객의 수(12)보다 현저하게 큰 값을 가진다.That is, as in the example of FIG. 6C or FIG. 6D, when the number of customers satisfying the condition has a valu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e number of customers who do not, the field for the condition is set as the reference field. FIG. 6C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hecking the numbers of field values of the 'income' field, wherein the number of customers whose income is '30' (70) is not the number of customers (3, 15, 15). Has a significantly larger value than. 6D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 of checking the number of field values of the 'car' field indicating whether the vehicle is owned or not, and the number of customers having a car (80) is not the number of customers (12). Has a significantly greater value.
이와 같이 각 필드들에 대해 해당 필드값들에 대한 돗수를 확인하여 임의의한 값이 다른 값들에 비해 큰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필드를 기준 필드로 설정한다. 도 6e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설정된 기준 필드가 '수입(income)' 필드와, '차(car)'필드와, '주소(address)'필드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As such, if the random number has a larger value than other values by checking the number of the field values for each field, the field is set as the reference field. 6E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at the reference field set through such a process is an 'income' field, a 'car' field, and an 'address' field.
한편, 상기 기준 필드를 기반으로 상기 과정(s110)에서 추출된 고객 정보들을 클러스터링하여, 특정 고객군 식별을 위해 관리자가 선택한 조건과 기준 필드의 필드값들과의 관계를 도출한다(s120). 그리고, 그 관계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표시한(s125) 후, 그 정형화된 형식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계산하여(s130), 그 결과값을 가지고 정형화된 형식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는데(s135), 이 때 유효성이 검증된 형식만을 지식으로 도출한다(s140).On the other hand, by clustering the customer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step (s110) based on the reference field, to derive a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 selected by the administrator for the specific customer group identification and the field values of the reference field (S120). After displaying the relationship in a formal form (s125), the statistical meaning of the formal form is calculated (s130), and the validity of the formalized form is verified with the result (s135). When only validated form is derived as knowledge (s140).
도 6f와 도 6g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표시하는 형태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6f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이고, 도 6g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낸 예이다.6F and 6G illustrate examples of displaying clustering results. FIG. 6F illustrates clustering results in a tree structure, and FIG. 6G illustrates clustering results in a three-dimensional graph.
도 6f의 경우 각 노드들은 각 기준 필드들의 필드값을 조합하여 나타날 수 있는 경우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조합의 형태는「'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경우」와 같은데, 참조 번호 '61'의 경우 이러한 조합의 형태를 만족시키는 고객이 전체 대상 고객의 75%인 경우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62'는 이러한 조합의 형태를 만족시키는 고객이 전체 대상 고객의 22%인 경우, 참조 번호 '63'은 이러한 조합의 형태를 만족시키는 고객이 전체 대상 고객의 2%인 경우, 참조 번호 '64'는 이러한 조합의 형태를 만족시키는 고객이 전체 대항 고객의 1%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In the case of FIG. 6F, each node represents a statistical meaning of a case in which field values of respective reference fields may be combined, and the form of the combination is “income” of “30” and “car”. ) ", And the reference number" 61 "indicates that 75% of the total target customers satisfy this type of combination, and the reference number" 62 "indicates a customer satisfying this type of combination. For 22% of these total target customers, the reference number '63' indicates that 2% of the total target customers satisfy this form of the combination. Each case represents 1% of the counter customers.
참조 번호 '65~67'은 참조 번호 '61'의 경우로부터 파생된 조합의 형태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참조 번호 '65'는 「'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경우」이면서, '주소'가 '관악구'인 고객의 비율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66'은 「'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경우」이면서, '주소'가 '강남구'인 고객의 비율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67'은 「'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경우」이면서, '주소'가 '서초구'인 고객의 비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Reference numerals '65 -67 'indicate the statistical meaning of the form of the combination derived from the case of reference numeral' 61 '. For example, reference numeral' 65 'means that' income 'is' 30' , Where 'car' is present, 'and' address' is' Gwanak-gu ', the reference number' 66 'means' income' is' 30 ', and' car ' ) "And" address "is" Gangnam-gu ", and the reference number" 67 "is" income "is" 30 "and" car "is present. And the percentage of customers whose address is Seocho-gu.
이 때, 그 비율이 지식 도출을 위해 기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경우 이를 지식으로 도출한다. 즉, 그 설정값이 70%라면, 참조번호 '61'에 해당되는 조합의 형태가 지식이 된다. 만약, 참조번호 '61'에 해당되는 조합이 「'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경우」라면, 「'수입(income)'이 '30'이고, '차(car)'가 있는 사람이 '만화'를 좋아한다.」라는 지식이 도출될 것이다.At this time, if the ratio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set value for deriving knowledge, it is derived as knowledge. That is, if the set value is 70%, the form of the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eral '61' becomes knowledge. If the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number '61' is' income 'is' 30' and 'car' is present ',' income 'is' 30', People with 'car' like 'cartoon' will be derived.
도 6g의 경우 이러한 각 조합의 형태를 만족시키는 고객의 수를 3차원 그래프에 표시한 경우로서, 이 때는 그 분포가 밀집된 영역에 해당되는 조합의 형태를 지식으로 도출한다. 도 6h에서와 같이 그 분포가 밀집된 영역에 해당되는 조합의 형태가 「IF(CAR=Y) AND (15,000<INCOME<16,000) THEN "만화"」라면, 이를 통해 「IF(CAR=Y) AND (15,000<INCOME<16,000) THEN "만화애호"」라는 지식이 도출된다.In the case of FIG. 6G, the number of customers satisfying each type of combination is displayed on a three-dimensional graph. In this case, the type of the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distribution is dense is derived with knowledge. As shown in FIG. 6H, if the type of the combina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distribution is dense is "IF (CAR = Y) AND (15,000 <INCOME <16,000) THEN" cartoon "", the result is "IF (CAR = Y) AND ( 15,000 <INCOME <16,000) THEN "Manga Love" knowledge is derived.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식 도출 과정에 대한 처리 흐름도로서, 관리자가 지식 도출을 위한 특정 고객군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고객 DB 로부터 지식을 도출하기 위한 처리 과정이 나타나 있고, 도 7a 내지 도 7g는그 경우에 따라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dministrator does not input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customer group for deriving knowledge,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from a customer DB is shown. 7A to 7G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according to the case.
도 7 및 도 7a 내지 도 7g를 참조하여, 특정 고객군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지식을 도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7 and 7A to 7G, a process of deriving knowledge when a specific customer group is not specified will be described below.
먼저, 고객 DB를 구성하는 필드들 중에 임의의 한 필드를 선택하여 지식 도출을 위한 대상 필드로 설정한다(s155). 도 7a의 예에서는 지식 도출을 위해 '구입 잡지'라는 필드를 대상 필드로 설정하였다.First, any one of the fields constituting the customer DB is selected and set as a target field for deriving knowledge (s155). In the example of FIG. 7A, a field called 'purchase magazine' is set as a target field to derive knowledge.
그리고, 그 대상 필드의 필드값을 기준으로 상기 고객 데이터 베이스를 그룹핑하는데(s160), 도 7b에서는 이를 위해 '구입잡지'라는 필드의 필드값에 의해 고객 DB를 재정렬하였으며, 이 때, '구입잡지'가 '자동차'인 그룹과, '구입잡지'가 '음악'인 그룹과, '구입잡지'가 '만화'인 그룹 등 3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이를 편의상 '자동차 그룹', '음악 그룹', '만화 그룹'이라 칭한다.Then, the customer database is grouped based on the field value of the target field (s160). In FIG. 7B, for this purpose, the customer DB is rearranged by the field value of the field 'purchase magazine'. The group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car', 'purchase magazine' 'music', and 'purchase magazine' 'cartoon'. This is referred to as 'car group', 'music group' and 'cartoon group' for convenience.
이와 같이 대상 필드의 필드값에 의해 고객들을 그룹핑하였으면, 그 그룹별 고객 정보들의 필드별로 필드값의 돗수분포를 확인하여 그 돗수가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이 되는 필드값을 갖는 필드들을 기준 필드로 설정한다(s165).When the customers are grouped by the field value of the target field as described above, the field distribution of the field value is checked for each field of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group, and the fields having the field value whose number is more than the preset threshold are set as the reference fields. (S165).
즉, 도 7c에서는 상기 그룹별로 '수입(income)'필드의 필드값에 대한 돗수 분포를 나타내었는데, 도 7c를 참조하면 '자동차 그룹'에서 '수입(income)'이 30인 고객의 수(70)가 그렇지 않은 고객의 수보다 현저하게 많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자동차 그룹' 중에서는 차를 가진 고객의 수(45)가 그렇지 않은 고객의 수(25)보다 많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에 의해 '수입(income)'필드와, '차(car)'필드가 기준 필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d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설정된 기준 필드가'수입(income)'필드와, '차(car)'필드와, '주소(address)'필드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That is, FIG. 7C illustrates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field values of the 'income' field for each group. Referring to FIG. 7C, the number of customers having 'income' of 30 in the 'car group' (70 )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umber of customers that do not. On the other hand, in the 'car group', the number of customers with cars (45)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ustomers (25) without them. Therefore, the 'income' field and the 'car' field may be set as reference fields by this process. FIG. 7D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at the reference field set through such a process is an 'income' field, a 'car' field, and an 'address' field.
한편, 상기 기준 필드를 기반으로 그룹별 고객 정보들을 클러스터링하여 그 필드값들과, 상기 과정(s155)에서 선택한 필드의 필드값들과의 관계를 도출하고(s170), 이를 정형화된 형식으로 표시한(s175) 후, 그 정형화된 형식에 대한 통계적 의미를 계산한다(s180). 그리고, 그 결과값을 가지고 정형화된 형식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여(s185), 유효성이 검증된 형식만을 지식으로 도출한다(s190).On the other hand, by clustering the customer information for each group based on the reference field to der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values and the field values of the field selected in the step (s155) (s170), and displays them in a formal form After that, the statistical meaning of the formalized form is calculated (s180). Then, the validity of the formalized form is verified with the result (s185), and only the validated form is derived as knowledge (s190).
도 7e와 도 7f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표시하는 형식에 대한 예시도로서, 도 7e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트리 구조로 나타낸 예이고, 도 7f는 클러스터링 결과를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낸 예이다. 이 때,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클러스터링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은 도 6f와 도 6g의 클러스터링 결과 분석 방법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7E and 7F are exemplary diagrams for displaying a clustering result, and FIG. 7E i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in a tree structure, and FIG. 7F is an example of a clustering result in a three-dimensional graph. In this case, the method of analyzing the clustering result shown in FIGS. 7E and 7F is similar to the method of analyzing the clustering result of FIGS. 6F and 6G,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도 7g는 도 7f에 도시된 3차원 그래프에서 그 분포가 밀집된 영역에 해당되는 조합의 형태가 「IF(CAR=Y) AND (15,000<INCOME<16,000) THEN "음악"」인 경우, 이를 통해 「IF(CAR=Y) AND (15,000<INCOME<16,000) THEN "음악애호"」라는 지식이 도출되는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FIG. 7G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mbination of the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distribution is dense in the three-dimensional graph shown in FIG. 7F is "IF (CAR = Y) AND (15,000 <INCOME <16,000) THEN" music "". This is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knowledge of "IF (CAR = Y) AND (15,000 <INCOME <16,000) THEN" music lover "" is derived.
이상의 설명은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an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For example, the shape and structure of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CRM-DB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RM-DB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ve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방대한 양의 고객 DB를 분석하여 CRM-DB를 생성하고, 그 CRM-DB를 참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성하던 종래의 방식과는 달리, 임의의 고객 DB 분석 결과 자동으로 도출된 지식 및 관리자가 관여하여 구성된 지식에 근거하여 지식 베이스를 구성한 후, 그 지식 베이스에 의거하여 CRM-DB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대용량의 DB들을 수집하고 분석하기 위해 소요되던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CRM-DB를 구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DB를 참조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이들 다양한 형태의 대용량 DB를 일관된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 지식의 통계적 의미를 분석하여 검증된 지식만을 지식 베이스에 등록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데이터 마이닝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된 모든 지식들을 CRM 서비스를 위한 지식으로 등록하기 위한 지식 분석가의 수고를 덜 수 있다.First,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analyzing a large amount of customer DB to create a CRM-DB and constructing a knowledge base with reference to the CRM-DB, the knowledge and managers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rbitrary customer DB analysis By constructing the knowledge base based on the knowledge that is involved and then configuring the CRM-DB based on the knowledge bas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waste of resources required to collect and analyze large databases.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refer to various types of large-capacity DB in order to configure CRM-DB, thereby saving time and effort for converting these various forms of large-capacity DB into a consistent format. Finally, it analyzes the statistical meaning of each knowledge and registers only the verified knowledge in the knowledge base, thereby reducing the effort of knowledge analysts to register all the knowledge extracted using data mining tools as knowledge for CRM services. Can be.
즉, CRM-DB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비용, 저장 공간 및 작업 시간들을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소용량의 DB를 가지고도 고객 관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량 고객 관계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In other words, it can operate CRM-DB more efficiently and save cost, storage space and working time to build it. Thus, it is suitable to apply to a lightweight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that provides a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ervice even with a small DB.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6381A KR20020087612A (en) | 2001-05-15 | 2001-05-15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6381A KR20020087612A (en) | 2001-05-15 | 2001-05-15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7612A true KR20020087612A (en) | 2002-11-23 |
Family
ID=2770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6381A Ceased KR20020087612A (en) | 2001-05-15 | 2001-05-15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8761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1940B1 (en) * | 2001-09-26 | 2004-10-08 | (주)프리즘엠아이텍 | Data Analysi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naging Customer Relations |
KR20050038786A (en) * | 2003-10-23 | 2005-04-29 | 조이원(주) | Compress and operation technique of large database using data trans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5341A (en) * | 1995-05-08 | 1997-03-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ining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in databases |
JPH09251467A (en) * | 1996-03-15 | 1997-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Data mining system and method |
JPH09297686A (en) * | 1996-05-07 | 1997-1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Data mining device |
KR20010004460A (en) * | 1999-06-29 | 2001-01-15 | 정선종 | Method of personalized marketing using knowledge discovery method |
KR20010084166A (en) * | 2000-02-24 | 2001-09-06 | 이태균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olution based on internet |
-
2001
- 2001-05-15 KR KR1020010026381A patent/KR20020087612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15341A (en) * | 1995-05-08 | 1997-03-2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mining generalized association rules in databases |
JPH09251467A (en) * | 1996-03-15 | 1997-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Data mining system and method |
JPH09297686A (en) * | 1996-05-07 | 1997-11-18 | Mitsubishi Electric Corp | Data mining device |
KR20010004460A (en) * | 1999-06-29 | 2001-01-15 | 정선종 | Method of personalized marketing using knowledge discovery method |
KR20010084166A (en) * | 2000-02-24 | 2001-09-06 | 이태균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olution based on interne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1940B1 (en) * | 2001-09-26 | 2004-10-08 | (주)프리즘엠아이텍 | Data Analysis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anaging Customer Relations |
KR20050038786A (en) * | 2003-10-23 | 2005-04-29 | 조이원(주) | Compress and operation technique of large database using data transformation for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915366B (en) | User portrait construction metho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Ifekanandu et al. | Influ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on customer experience and loyalty: Mediating role of personalization | |
Khan et al. | Brand experience anatomy in retailing: An interpretive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 |
US10565602B1 (en) |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leads based on data derived from a variety of sources | |
US8306845B2 (en) | Consumer and shopper analysis system | |
Hill et al. | Network-based marketing: Identifying likely adopters via consumer networks | |
US6976000B1 (en) | Method and system for researching product dynamics in market baskets in conjunction with aggregate market basket properties | |
JP436075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investigating advertising sales effects using correlation analysis | |
US9824367B2 (en) | Measuring effectiveness of marketing campaigns across multiple channels | |
US20180300748A1 (en) | Technologies for granular attribution of value to conversion events in multistage conversion processes | |
Tsai et al. | Customer segmentation issues and strategies for an automobile dealership with two clustering techniques | |
Baardman et al. | Detecting customer trends for optimal promotion targeting | |
US20020128910A1 (en) | Business supporting system and business supporting method | |
US20040193503A1 (en) | Interactive sale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 |
US2012029037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eting-based dynamic attribution | |
US20110106581A1 (en) | Method for visualizing customer insights | |
US20130268395A1 (en) | Automated product sel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 |
JP2004538535A (en) | Automatically generate survey questions based on analysis of answers to previous survey questions | |
US20040243455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a selling environment | |
Ullah et al. | The influe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impulse buying | |
Rahmaty et al. | The effect of the retail store manager on creating customer loyalty about the role of brand name in handwoven carpet stores | |
US9390195B2 (en) | Using a graph database to match entities by evaluating boolean expressions | |
CV et al. | Developing customer convenience and experience through increased competency and efficiency: A strategic approach to retail operations mastery | |
US20130159066A1 (en) | Programmatic sales execution | |
KR2002008761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4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