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4837A - 접착심지 - Google Patents
접착심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84837A KR20020084837A KR1020020024604A KR20020024604A KR20020084837A KR 20020084837 A KR20020084837 A KR 20020084837A KR 1020020024604 A KR1020020024604 A KR 1020020024604A KR 20020024604 A KR20020024604 A KR 20020024604A KR 20020084837 A KR20020084837 A KR 200200848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hesive
- spot
- wick
- web
- adhesive spo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6—Stiffening-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물 스폿으로 한 면이 도포되어 있는 접착심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접착물 스폿(2)은 가교 개시제를 함유하는 부분 가교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접착물 스폿으로 한 면이 도포되어 있는 섬유 웨브로 이루어진 접착심지에 관한 것이다.
문서 DE-A 22 14 236, DE-A 22 31 723, DE-A 25 36 911, 그리고 DE-A 32 30 579에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접착물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들에서 비교적가벼운 부직포, 즉 표면 중량이 작은 부직포가 사용됨으로써 매우 부드러운 적층물이 얻어지는데, 이때 물론 부직포는 용융 접착제의 반격 접착(Rueckvernietung)에 대해 민감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여기서, 반격 접착이란 접착물 스폿으로 도포된 웨브-하기 텍스트에서는 접착심지로 표기됨-가 샌드위치식 접착 방법으로 외부 직물에 접착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두 심지 재료 간의 원치않은 접착을 말한다. 여기서, 샌드위치 내부는 외부 직물, 도포된 웨브 및 도포된 웨브, 그리고 외부 직물로 이루어진 연속층으로 형성되는데, 즉 상기 웨브의 도포되지 않은 측면이 연속으로 놓이게 된다. 사실 m2당 웨브에 제공되는 도포량은 처음의 18-25 g/m2에서 7-15g/m2로 감소되었고 섬유 적층물의 통기 능력을 고려한다면 더욱 감소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동시에 적층물의 접착성 및 내구성에 대한 요구도 증가한다. 특히 섬유 적층물의 관리 특성상 이러한 적층물은 60℃ 미만의 세척 온도에서 여러번 세척해도 견뎌내야 된다는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하부 스폿에 대한 상부 스폿의 접착은 두 층 사이(interphase)에서 항상 어려움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는 통상적으로 상부 스폿 및 하부 스폿에서 상이한 등급의 중합체가 사용됨으로써 야기된다. 사실, 매우 높은 소결 온도에 의해, 또는 상용화제(compatibilizer)의 첨가에 의해 접착력을 높이려고 하지만, 이러한 두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물리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서만 확실한 개선이 달성된다. 또한 공지된 이중 스폿 접착제에서, 상부 스폿을 형성하는 용융 접착제는 프로세스에 의해 제한되어, 단지 수직 방향으로만 상부 스폿에 접착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하부 스폿에 접착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부 스폿의 바닥면이 상부 스폿의 확산부 보다 작기 때문에, 심지 재료의 표면 중량이 낮을 때 반격(backstroke)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접착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웨브(1) 위에 접착물 스폿(2)이 존재하며, 상기 접착물 스폿(2)은 상기 웨브에 인접한 면에서 적어도 부분 가교되도록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웨브(1) 위에 하부 스폿(3) 및 상기 하부 스폿(3)에서 소결된 상부 스폿(4)이 존재하도록 형성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접착심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웨브2: 접착물 스폿
3: 하부 스폿4: 상부 스폿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목적은 접착물 스폿이 가교 개시제(crosslinking initiator)를 함유하는 부분 가교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접착물 스폿으로 한 측면이 도포되어 있는 섬유 웨브로 이루어진 접착심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에 의해, 50%의 분리력, 또는 특히 60℃의 온도에서 세척된 이후에는 공지된 이중층 접착 스폿 재료로 제조된 접착심지 보다 100% 이상의 분리력이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웨브 쪽으로 향한 면에서 합성 수지의 가교가 나타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으로 합성 수지가 가교됨으로써 매우 개선된 반격 차단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물 스폿이 UV-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가교 개시제를 함유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UV-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가교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접착물 스폿의 간단하고 소정의 부분 가교가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물 스폿이 합성 수지로서 에폭사이드 그룹(epoxide group)을 함유한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제공된다. 상기 에폭사이드 그룹을 함유한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는 매우 양호하게 가공되고 소정의 접착력을 달성하는 물질로서 판명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물 스폿이 첨가제를 함유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재료 사용이 가능해지고 접착물의 용융 거동(melting behaviour)이 가공 조건, 특히 도포 조건에 더욱 정확하게 매칭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물 스폿이 첨가제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도 아민(polyamido amine),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비닐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에폭시화물은 실온에서는 고체 에폭시 수지이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A)을 포함하는 에피클로르하이드린(epichlorhydrin)의 반응 생성물(reaction product) 및/또는 비스페놀(F)을 포함하는 에피클로르하이드린의 반응 생성물을 나타낸다. 또한 에폭시 수지로는 다가(polyfunctional) 에폭시화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는 예컨대 에폭시화된 노볼랙도 속한다.
사용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또는 카르복실-, 안히드로-,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도-사이드기를 함유하는 비닐공중합체는 낮게 용융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또한 저용융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또는 카르복실-, 안히드로-, 히드록시- 및/또는 아미도-사이드기를 포함하는 비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 혼합물(polymer blend)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선형 모노머 또는 분지상 모노머로 형성된다. 폴리아미드는 하기 모노머로 형성된다:
- 적어도 하나의 이작용성(difunctional) 카르복실산 및
- 적어도 하나의 이작용성 아민 및/또는
- ω-아미노산 및/또는
- 락탐.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는 하기의 모노머로 이루어진다:
- 적어도 하나의 이작용성 카르복실산 및
- 적어도 하나의 이작용성 알코올 및/또는
- ω-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또는
- 락톤.
폴리우레탄은 다이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폴리올 및 디올로 조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 웨브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비스코스, 면직, 폴리아크릴니트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fiber),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를 기본으로 하는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로 조성되도록 형성된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는, 접착물 스폿이 웨브 위에 공간적으로 분리된 지점 마다 제공되고, 그것의 용융 온도로 가열되며, 상기 접착물 스폿이 제공되지 않은 웨브의 면은 UV-광을 방사함으로써 부분 가교를 위해 활성화되어 냉각에 의해 조종가능하고 수송가능하게 만들어지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에폭시 수지로는 70 내지 130℃의 연화점,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연화점을 가지고 500 내지 4000mVal/kg의 에폭시 당량(Epoxy equivalent)을 갖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는, 접착물 스폿을 웨브 위에 제공하는 것은 열회전(Rototherm), 용융 인쇄(Meltprint) 또는 회전 스크린 인쇄와 같은 고온 용융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는 바람직하게는, 접착물 스폿이 부분 가교를 활성화하기 위해 IR-방열기에 의해 그것의 용융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은 2개의 도면과 2개의 예에 의해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웨브(1) 위에 상기 웨브에 인접한 면에서 적어도 부분 가교되는 접착물 스폿(2)이 존재하도록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웨브(1) 위에 하부 스폿(3) 및 상기 하부 스폿(3)에서 소결된 상부 스폿(4)이 존재하도록 형성된, 종래 기술에 공지된 접착심지를 도시한 것이다.
예 1
100 중량 % 폴리아미드6(PA6)로 이루어지고 스폿 캘린더(spot calender)에의해 열고정된 웨브(1)로서 제공된 35g/m2중량의 부직포의 한 면 위에, 스크린 인쇄 방법에 따라 UV-광으로 가교될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와 열가소성 중합체로 조성된 10g/m2의 혼합물이 CP52 템플레이트(52 스폿/cm2)를 이용한 스크린 날염(screen printing)으로 120℃에서 가압된다. 바로 이어서 접착물 스폿(2)은 IR-방열기에 의해 거의 이 온도를 유지하고 접착물 스폿이 제공되지 않은 웨브(1)의 면에 UV-광이 방사되고 웨브(1) 쪽으로 향한 접착물 스폿(2)의 면에 대한 부분 가교 반응이 초기화된다. 이어서, 접착심지가 냉각되고 롤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는 대략 120℃의 순환 압착기에서 외부 직물로 적층될 수 있다.
예 2
85 중량 % 폴리에스테르(PES) 및 15 중량 % 폴리아미드(PA)로 이루어지고 고압-워터제트-처리에 의해 고정된 웨브(1)로서 제공된 35g/m2중량의 부직포의 일면에 CP37의 그라비어롤러(37 스폿/cm2)에 의한 열회전 방법에 따라 에폭시수지 및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UV-광에 의해 가교될 수 있는 12g/m2의 혼합물이 90℃에서 가압된다. 바로 이어서 접착물 스폿(2)은 IR-방열기에 의해 거의 이 온도를 유지하고 접착물 스폿이 제공되지 않은 웨브(1)의 면에는 UV-광이 방사되고 상기 접착물 스폿(2)의 웨브(1)로 향한 면에 대한 부분 가교 반응이 초기화된다. 이어서, 접착심지가 냉각되고 롤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심지는 100 내지 120℃의 순환 압착기에서 외부 직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접착심지가 제공된다.
Claims (10)
- 접착물 스폿으로 한 면이 도포되어 있는 섬유 웨브(1)로 이루어진 접착심지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은 가교 개시제를 함유하는 부분 가교된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합성 수지의 가교는 상기 섬유 웨브(1) 쪽으로 향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은 UV-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가교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은 합성 수지로서 에폭사이드 그룹을 함유하는 중합체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은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은 첨가제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도 아민,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비닐공중합체와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섬유 웨브(1)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비스코스, 면직, 폴리아크릴니트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섬유(fiber), 실(thread) 또는 필라멘트를 기본으로 하는 부직포, 직물 또는 편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
-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을 웨브 위에 공간적으로 분리된 지점 마다 제공하고, 그것의 용융 온도로 가열시키며, 상기 접착물 스폿이 제공되지 않은 웨브의 면을 UV-광의 방사에 의해 부분 가교를 위해 활성화시켜서 냉각에 의해 조종가능하고 수송가능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심지의 제조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을 열회전, 용융 인쇄 또는 회전 스크린 인쇄와 같은 고온 용융 방법에 의해 상기 웨브(1) 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상기 접착물 스폿(2)을 부분 가교의 활성화를 위해 IR-방열기 의해 그것의 용융 온도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121843.5 | 2001-05-04 | ||
DE10121843 | 2001-05-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4837A true KR20020084837A (ko) | 2002-11-11 |
Family
ID=768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4604A KR20020084837A (ko) | 2001-05-04 | 2002-05-04 | 접착심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EP (1) | EP1254608A3 (ko) |
KR (1) | KR2002008483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0796A1 (ko) * | 2016-12-15 | 2018-06-21 | (주)제이제이통상 | 열고정 변부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환편 접착심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착심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12160B3 (de) * | 2008-03-01 | 2009-10-08 | Hänsel Textil GmbH | Leichter textiler Einlagestoff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614034B1 (fr) * | 1987-04-17 | 1992-06-26 | Picardie Lainiere | Adhesif pour textile. procede de fabrication de renfort textile et tissu obtenu |
FR2636986B1 (fr) * | 1988-09-28 | 1991-03-01 | Picardie Lainier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produit textile thermocollant bireactif et produit resultant |
EP0775773A4 (en) * | 1994-08-09 | 1998-08-26 | Asahi Chemical Ind | ADHESIVE UPHOLSTERY MATERIAL,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BINDING AGENT FOR UPHOLSTERY |
-
2002
- 2002-01-17 EP EP02000989A patent/EP1254608A3/de not_active Withdrawn
- 2002-05-04 KR KR1020020024604A patent/KR200200848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0796A1 (ko) * | 2016-12-15 | 2018-06-21 | (주)제이제이통상 | 열고정 변부 형성 공정을 사용하는 환편 접착심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접착심지 |
US10718078B2 (en) | 2016-12-15 | 2020-07-21 | Jj Trading Co., Ltd. | Method for manufacturing circular knitting fusible interlining having outer edge forming process by thermal fixing, and the fusible interlining manufactured by th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54608A2 (de) | 2002-11-06 |
EP1254608A3 (de) | 2003-07-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6150B1 (ko) | 열고정성 인터라이닝 부직포, 인터라이닝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인터라이닝 부직포의 용도 | |
JP3255615B2 (ja) |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不織布を使用した合成皮革 | |
US4673616A (en) | Moldable latex impregnated textile material | |
KR100424966B1 (ko) | 시트상 구조물을 피복 및/또는 적층시키기 위한 가교결합성 열용융형 접착 조성물 | |
TWI415996B (zh) | 人造皮革用基材及其製法、及粒面狀人造皮革 | |
KR102376440B1 (ko) | 열 가용성 시트 재료 | |
KR101068048B1 (ko) | 전기방사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 |
WO2018148988A1 (zh) | 衬衣复合材料 | |
CN107107546A (zh) | 透湿防水面料及其制造方法 | |
US5290594A (en) | Method for production of thermoadhesive fabric coverings, thermoadhesive fabric covering | |
CN1081693C (zh) | 热融衬的制造方法 | |
RU2415208C1 (ru) | Высокопрочное легкое нетканое полотно из фильерного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 |
KR100587172B1 (ko) | 고정용 삽입물 | |
KR100393664B1 (ko) | 세팅 라이닝 | |
JP4939399B2 (ja) | 製紙機械用プレスフェルト、および前記フェルトの製造方法ならびに製造装置 | |
KR20020084837A (ko) | 접착심지 | |
KR100332004B1 (ko) | 폴리우레탄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 |
KR20020003511A (ko) | 수용성 엠브로이더리 세팅 라이닝 | |
JP2016531220A (ja) | ビニル床材用の担体材料 | |
KR102289605B1 (ko) | 파열강도가 우수한 신발 측포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JP3973783B2 (ja) | 皮革様シート | |
CN111041854A (zh) | 一种服装粘合衬布及其生产方法 | |
JPH0735631B2 (ja) | 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 |
KR101167757B1 (ko) | 스펀 본디드 부직포로 가공된 고강도 경량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
WO2020255738A1 (ja) | 成型用シート、及び成型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