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3268A -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3268A
KR20020083268A KR1020010022694A KR20010022694A KR20020083268A KR 20020083268 A KR20020083268 A KR 20020083268A KR 1020010022694 A KR1020010022694 A KR 1020010022694A KR 20010022694 A KR20010022694 A KR 20010022694A KR 20020083268 A KR20020083268 A KR 20020083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ata
character
data inpu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803B1 (ko
Inventor
강윤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803B1/ko
Priority to US10/131,044 priority patent/US7168046B2/en
Priority to CNB021186707A priority patent/CN1174309C/zh
Publication of KR20020083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3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803B1/ko
Priority to US14/815,476 priority patent/USRE47442E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PDA 등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보다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은,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항목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소록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특정항목(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자동으로 화면출력하여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간단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한번의 키입력에 의해 간단히 다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 상에 제공하여 데이터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소록 입력과정이 번거로움 및 시간낭비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data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PDA 등의 휴대용 정보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소프트키보드를 이용하여 주소록을 보다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은 기존 통신서비스에 이동성(mobility)을 추가하는 형태로 볼 수 있는데, 이동성의 종류로는 단말기가 가입자 선에서 풀려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단말기 이동성(terminal mobility),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임의의 단말기로 통신할 수 있는 이용자 이동성(user mobility), 이용 주파수 대역을 높여서 무선 채널을 광대역화 함으로써 음성뿐만 아니라 데이터와 영상까지 제한없이 수용할 수 있는 서비스 이동성(service mobility) 등이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전화 단말기의 소형/경량화가 이루어지면서 개인 휴대형 이동 전화(셀룰러 폰, PCS폰; 핸드폰이라 함)로 급격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핸드폰의 등장으로 인해 그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형 기기가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라고 일컬어지는 문자인식 가능한 휴대형 정보단말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PDA는 컴퓨터의 기본이 되는 CPU, 메모리, OS, OS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주변기기를 갖추며, 정보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다양한 응용(Application)들을 펜을 통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DA는 펜을 사용해서 입력하는 소형 컴퓨터를 가리키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용어들로 쓰이고 있다. 예를 들어 팜 컴퓨팅(Palm Computing) 사(社)의 팜(Palm)을 비롯한 여타 비슷한 형태의 개인 휴대용 디지털 장치가 PDA라고 불리고, 마이크로소프트 사(社)의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제품중에 키보드 없이 펜을 사용하는 기기는 PPC(Palm-Sizes PC), 같은 윈도CE 운영체제를 사용하지만 키보드를 사용하는 제품은 HPC(Handheld PC)라고 불린다. 현재는 이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PDA라는 말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PDA 등의 정보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및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성명)을 저장해 두고서 필요할 때마다 이름 및 전화번호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소록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자의 주소록 입력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주소록 입력을 요청하게 되면, PDA는 주소록 입력화면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서 원하는 항목(필드)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데, 만약 사용자가 '이름'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PDA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화면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면출력되는 한글 소프트키보드 상에서 원하는 키를 펜을 이용하여 터치함으로써, 이름 항목에 이름을 입력할 수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핸드폰' 항목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숫자 소프트키보드를, '이메일' 항목에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영문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한 뒤 이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주소록 입력방법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주소록의 해당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단계의 클릭과정을 거쳐 해당 소프트키보드를 직접 선택하여야 하였다. 즉 '이름', '주소'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 소프트키보드를, '핸드폰', '전화', '팩스'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 소프트키보드를, 그리고 '이메일' 등의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영문 소프트키보드를 일일이 선택하여야 하므로, 주소록 입력과정이 매우 번거로우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사용자가 주소록 입력을 위해 해당 항목(이름, 주소, 전화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부합되는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간단한 키입력에 의해 주소록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현된 휴대용 정보단말기(PDA)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의 필기문자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도3a ∼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4는 도1의 메모리의 프로그램 저장영역 및 데이터 저장영역과, 각 영역의 저장내역을 도시한 것이고,
도5는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6은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7은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9는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제공된 주소록 입력화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11은 도3a ∼ 도3c의 과정에 의한 주소록 입력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터치 스크린11 : 터치 패드
12 : 표시부20 : 터치신호 수신부
30 : 제어부31 : 메모리
40 : 필기문자 인식부41 : 필기문자 DB
50, 51, 52 : 문자세트 DB60 : 주소록 DB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는,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다수의 입력항목의 각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항목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과,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한글, 숫자, 영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 저장수단; 및 상기 문자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항목과 연계하여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은,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항목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과,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항목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전체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확인된 속성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한정선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장치가 구현된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주소록 등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11)와 주소록 입력화면, 입력된 주소록 등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부(12)로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10); 상기 터치 스크린(10)을 통한 문자 입력시, 터치 스크린(10)의 출력 좌표값 및 획수값(아날로그 신호)을 수신하여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터치신호 수신부(20); 주소록의 각 항목(필드)의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해당 문자세트(소프트 키군) 종류에 대한 정보 및 이 정보를 관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31);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상기 좌표 및 획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등록되어 있는 필기문자 데이터베이스(DB)(41);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필기체 문자인 경우에는 해당 문자의 터치신호에 근거한 좌표값들의 집합으로 그에 상응하는 문자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필기문자 인식부(40); 한글, 영문, 숫자 등의 각 문자세트에 연관된 데이터 및 각 문자세트의 좌표에 대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각각 저장되어 있는 제1, 제2, 제3 문자세트 DB(50, 51, 52); 다수의 이름 데이터 및 그 각각의 이름 데이터에 연관된 전화번호와 주소 등의 주소록 정보가 저장되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DB)(60); 및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록 정보를 주소록 DB(60)에 저장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시 상기 주소록 DB(60)를 검색하여 해당 주소록 정보를 상기 터치 스크린(10) 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기문자 DB(41)에 저장된 문자들 각각의 고유 좌표 및 획 데이터들은 실험치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들이다.
상기 터치 패드(11) 및 표시부(12)가 위치하게 되는 터치 스크린(10)은 문자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장치로서,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저항판 방식이 사용되거나 혹은 캐패시터의 전하량값 변화에 따라 좌표값 신호와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캐패시터판 방식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터치 스크린(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문자들을 압력에 따른 압점(pressing point)들로 인식하여 이를 X/Y좌표값 신호와 획수를 나타내는 획수값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좌표값 및 획수값 신호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10)을 통해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압력점의 이동상태 및 압력 여부 상태를 X축 및 Y축 좌표값의 변화에 따른 좌표 데이터와, 연속적인 압력이 몇번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근거하여 입력되는 문자가 어떠한 문자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 데이터의 자원이 된다.
상기 필기문자 DB(4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문자군 별로 그 저장영역이 구획되어져 있는데, 즉 제 1군인 한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한글 DB영역과제 2군인 숫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숫자 DB영역과, 제 3군인 영문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문 DB영역 등으로 구분되어져 있으며, 각 DB에는 해당 문자 각각에 해당하는 고유의 좌표 데이터와 획 데이터 및 상기 좌표 및 획 데이터에 대응되는 문자코드 등이 등록되어 있다.
도3a ∼ 도3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1의 정보단말기의 동작과 병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3a ∼ 도3c의 데이터 입력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메모리(31)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저장영역 및 데이터 저장영역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데이터 영역에는 주소록의 각 항목의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종류(한글 키세트, 숫자 키세트, 영문 키세트)에 대한 정보가, 그리고 프로그램 저장영역에는 상기 정보를 관리하는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어 있어, 만약 사용자가 주소록 입력을 위해 특정항목(예를 들어, 이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선택된 항목의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예를 들어, 한글 문자세트)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문자세트에 연관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세트 DB로 부터 데이터가 독출되어,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 상에 화면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소록 DB(60)는 이름 저장영역 및 정보 저장영역으로 구획된 메모리 테이블을 갖는데, 상기 이름 저장영역에는 이름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되고,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는 각 이름 데이터와 일대일로 연계된 집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이 데이터화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10)을 통해 주소록 입력을 요청하게 되면(S10), 상기 제어부(30)는 다수의 입력항목(이름, 핸드폰, 이메일, 주소, 직위, 전화, 팩스 등)을 갖는 주소록 입력화면을 상기 터치 스크린(10) 상에 출력표시하게 되는데(S11), 이와 같이 화면출력되는 주소록 입력화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맨처음 항목, 즉 '이름'항목에 커서(cursor)가 위치하고 있어(S20),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선택된 '이름'항목의 속성(A)에 상응하는 해당 종류의 문자세트, 즉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도5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6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함께 제공하게 된다(S21).
이와 같이 한글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가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 상기 화면출력된 소프트키보드에서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이름'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강선주'라는 이름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서, ㄱ→ㅏ→ㅇ→ㅅ→ㅓ→ㄴ→ㅈ→ㅜ와 같은 순서로 해당 문자키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된다.
만약 이때, 사용자가 '이름'항목에 한글이름이 아닌 영문이름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기 소프트키보드에서 제공하는 특정 기능키, 즉 키보드 전환키(←)를 선택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환키의 입력시마다(S30)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 즉 한글 문자세트→숫자 문자세트→영문 문자세트의 순으로 해당 문자세트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해당 DB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 출력하게 되는데(S31), 즉 현재 한글 문자세트가 활성화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30)는 전환키(←)가 한번 입력되면 다음 순서의 문자세트인 숫자 문자세트를, 전환키(←)가 한번 더 입력되면 다음 순서인 영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를 통해 화면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간단한 키입력에 의해서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선택된 영문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의 키터치에 의해 '이름'항목에 대한 영문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이름'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면, 키터치에 의해 생성되는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의 디지털 형태의 좌표값 신호가 상기 제어부(3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이름'항목에 상응하는 상기 제1 문자세트 DB(50)를 검색하여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 수신한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문자를 확인하게 된다(S41).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확인된 문자, 즉 이름을 상기 주소록 DB(60)의 이름 저장영역에 저장하고(S42), 이어서 입력되는 상기 이름데이터에 연계된 데이터(집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는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항목과 연계하여 저장하게 된다. 즉 '전화' 항목이 선택된 상태에서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전화'항목과 연계하여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이름입력후 또는 이름입력 전에 상기 화면출력된 주소록 화면에서 다른 항목, 예를 들어 '핸드폰'항목을 선택하게 되면(S40),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메모리(31)의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저장영역을 이용하여 관리하고 있는 정보로 부터 상기 선택된 항목의 속성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종류를 숫자 문자세트로 확인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확인된 문자세트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해당 문자세트 DB(51)로 부터 독출하여 도7과 같은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8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함께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숫자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의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핸드폰' 항목에 원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화면출력된 주소록 화면에서 다른 항목, 예를 들어 이메일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모리(31)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이메일' 항목에 상응하는 문자세트가 영문 문자세트임을 확인하고, 이에 연관된 키데이터를 상기 제3 문자세트 DB(52)로 부터 독출하여 도9와 같은 형태의 소프트키보드를, 도10에서와 같이 상기 주소록 입력화면 상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영문 소프트키보드의 해당 키를 터치함으로써, '이메일' 항목에 원하는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도11에서와 같이 주소록의 모든 항목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되며(S50), 상기 제어부(30)는 이와 같이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주소록 DB(60)의 이름 저장영역에 저장된 이름 데이터에 연계하여 상기 정보 저장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주소록 정보가 상기 주소록 DB(6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주소록 정보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주소록 DB(60)의 저장내용에 근거하여 해당 주소록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출력하게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약 사용자가 주소록 데이터의 입력시 상기에서와 같이 소프트키보드의 키터치에 의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해 직접 필기체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터치 패드(11)를 통한 데이터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신호 수신부(20)로 부터 수신되는 특징데이터, 즉 좌표 및 획데이터를 상기 필기문자 인식부(40)에 전달하여 이에 상응하는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필기문자 인식부(40)는 상기 필기문자 DB(41)의 모든 저장영역을 검색하여 문자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주소록 화면상에서 현재 선택된 특정항목(예를 들어, '이름'항목)에 상응하는 저장영역(예를 들어, '한글 DB')만을 한정하여 검색함으로써 해당 문자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해당 DB만을 한정하여 검색함으로써 검색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빠른시간 내에 문자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검색확인된 문자와 주소록의 해당 항목을 연계하여 상기 주소록 DB(60)에 저장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은, 주소록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특정항목(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항목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소프트키보드를 자동으로 화면출력하여 사용자가 키터치에 의해 간단히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의 한번의 키입력에 의해 간단히 다른 문자세트를 소프트키보드 상에 제공하여 데이터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소록 입력과정이 번거로움 및 시간낭비 없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5)

  1.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항목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표시된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입력항목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전환키가 구비되어 있어, 전환키의 입력시 마다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가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가능 문자세트는, 한글, 숫자 또는 영문키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단계는, 주소록 항목 입력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7.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요청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화면출력하는 제 1단계;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데이터 입력을 위해 선택된 항목의 속성을 확인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전체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확인된 속성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한정선택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데이터의 입력시, 상기 한정선택된 문자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입력 데이터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문자코드를, 상기 선택된 입력항목의 입력데이터화하는 제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9.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상기 다수의 입력항목의 각 속성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및
    상기 저장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항목의 속성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속성에 따라 해당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선택하여 이를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출력표시된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입력항목과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소프트키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키보드 상에는 입력가능 문자세트의 전환키가 구비되어 있어, 전환키의 입력시 마다 상기 제어수단은 예정된 다음순서의 입력가능 문자세트를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가능 문자세트는, 한글, 숫자 또는 영문키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4.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입력항목을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화면을 출력표시하는 표시수단;
    한글, 숫자, 영문자를 포함하는 문자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문자 저장수단; 및
    상기 문자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입력장치용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문자를 상기 데이터 입력화면 상에서 선택된 입력항목과 연계하여 화면상에 출력표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저장수단은, 한글, 숫자, 영문자별로 그 저장영역이 구분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문자 저장수단 검색시 상기 입력장치용 화면상에 현재 출력표시된 입력가능 문자세트에 상응하는 저장영역만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10022694A 2001-04-26 2001-04-26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00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ko) 2001-04-26 2001-04-26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10/131,044 US7168046B2 (en) 2001-04-26 2002-04-25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B021186707A CN1174309C (zh) 2001-04-26 2002-04-26 辅助向便携式信息终端输入数据的方法和装置
US14/815,476 USRE47442E1 (en) 2001-04-26 2015-07-31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ko) 2001-04-26 2001-04-26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3268A true KR20020083268A (ko) 2002-11-02
KR100700803B1 KR100700803B1 (ko) 2007-03-27

Family

ID=277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694A KR100700803B1 (ko) 2001-04-26 2001-04-26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08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147B1 (ko) * 2007-09-06 2015-07-3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가상 입력 디바이스 구성
KR20150098139A (ko) * 2014-02-19 2015-08-27 양용철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CN106066706A (zh) * 2016-05-26 2016-11-0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以及智能终端
WO2022255502A1 (ko) * 2021-05-3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8763B (zh) * 2013-06-20 2018-01-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输入框的信息输入控制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839A (ko) * 1994-12-29 1996-07-20 김광호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정보 입력방법
KR20000056153A (ko) * 1999-02-13 2000-09-15 윤종용 터치스크린패널 입력을 통해 전화번호 검색을 수행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표시 상태 제어 방법
KR100318924B1 (ko) * 1999-03-19 2001-12-29 윤종용 터치스크린패널을 문자 입력수단으로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방법
KR100343950B1 (ko) * 2000-02-16 2002-07-24 주식회사 디오텍 필기인식을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및 펜입력에 의한 필기 인식방법
KR100371869B1 (ko) * 2000-08-09 2003-02-11 황삼청 문자확장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147B1 (ko) * 2007-09-06 2015-07-31 구글 인코포레이티드 동적 가상 입력 디바이스 구성
KR20150098139A (ko) * 2014-02-19 2015-08-27 양용철 이동단말에서의 한영 2개의 메시지 입력창을 구비한 문자 메시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CN106066706A (zh) * 2016-05-26 2016-11-02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以及智能终端
CN106066706B (zh) * 2016-05-26 2019-01-11 珠海市魅族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以及智能终端
WO2022255502A1 (ko) * 2021-05-31 2022-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0803B1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5039B2 (en) Text input
US71680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US7681145B1 (en) Dynamic key assignment in key pad
US7873903B2 (en) Method for entering text
US8001488B1 (en) User interface dial with display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8908973B2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nterface
US6766179B1 (en) Cross-shape layout of chinese stroke labels with lyric
JP2000278391A (ja) 背面手書き入力機能を有する携帯電話機
KR20100013539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패턴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방법
MXPA06003062A (es) Prediccion contextual de palabras de usuario y acciones de usuario.
JP2004213269A (ja) 文字入力装置
US74146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US201103100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adaptive data arrangement/classification in portable terminal
US20040179041A1 (en) Method for defining functions of keys of a keypad of an electronic device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US200400467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keyboard entry using a handheld input device
KR100700803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20040246228A1 (en) Editing character strings with touchscreen
KR100700804B1 (ko)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데이터 입력방법
USRE47442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data input to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640504B1 (ko) 휴대장치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100386944B1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US20030221877A1 (en) Configurable keys for pen-based devices
KR20020087667A (ko) 휴대형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2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8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4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4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