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2600A -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600A
KR20020082600A KR1020010022170A KR20010022170A KR20020082600A KR 20020082600 A KR20020082600 A KR 20020082600A KR 1020010022170 A KR1020010022170 A KR 1020010022170A KR 20010022170 A KR20010022170 A KR 20010022170A KR 20020082600 A KR20020082600 A KR 20020082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ndow glass
guider
bracket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3826B1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826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8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의 이탈과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일정한 하중이 걸릴 경우 모터를 자동으로 스톱시켜 모터의 손상 및 탑승객에게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W)를 승강시키도록 도어에 고정된 도어 채널(10)과; 도어 채널(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윈도우 글래스(W)의 중심 하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더(20)와; 도어 채널(10)과 인접된 도어(D)상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30)과; 브래킷(30)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래킷(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M)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이더(40)와; 슬라이더(20)의 상,하면에 결합된채 가이더(40)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모터(M)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20)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와이어(50)와; 와이어(50)가 권선되는 가이더(40)와 인접된 브래킷(30)상에 위치되며, 와이어(50)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수단(6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APPARATUS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A WINDOW GLASS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는, 승용차의 경우 통상 일체형 프레임에 도어, 트렁크 리드, 후드 등을 부착하여 구성되고, 도어에는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 시키기 위한 승강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장치로는 핸들(handle)을 회전시키는 것을 통해 윈도우 글래스를 승,하강시키는 수동식과, 모터에 의해 승,하강시키는 전동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와서는 자동차의 고급화 및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전동식이 널리 적용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5에는 이러한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전동식 승강장치를 나타내 보였다.
이는, 도어(D)의 내측에는 도어 가이드(1)이 대략 직립하도록 설치되고, 윈도우 글래스(W)는 도어 채널(1)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D)의 내부에는 윈도우 글래스(W)의 저면에 결합되어 이를 승,하강 시키는 레귤레이터(regulator;2)가 위치된다.
이러한 레귤레이터(2)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도어(D)에 고정된 도어 채널(door channel;2a)과, 이 도어 채널(2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윈도우 글래스(W)와 결합된 슬라이더(2b)와, 이 슬라이더(2b)에 와이어(2c)로 연결되며, 모터(2d)에 의해 회전되는 가이더(guider;2e) 및 가이더(2e)와 모터(2d)를 도어(D)상에 위치 고정시키기 위한 브래킷(bracket;2f)로 구성된다.
이러한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윈도우 글래스 스위치를 동작시킴에 따라 레귤레이터 모터(2d)가 정,역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2c)가 가이더(2e)의 외주면에 정,역 방향으로 감김으로써 슬라이더(2b)를 승강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윈도우 글래스(W)가 승강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첫째, 도 5의 A부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이더(2e)를 중심으로 와이어(2c)의 풀림과 감김이 상호 인접된 부분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이 부분에 집중적인 피로가 발생되어 와이어(2c)의 단락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와이어(2c)의 반복적인 감김과 풀림 동작에 의해 와이어(2c)의 인장력이 느슨하게 될 경우, 가이더(2e)의 표면으로 부터 이탈되어 윈도우 글래스(W)의 승강동작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윈도우 글래스(W)가 상승하는 동작과정에서 도어(D) 사이에 탑승객의 손등이 끼일 경우 계속해서 모터(2d)가 작동함으로써 탑승객에게 상해를 가하는 문제점이 야기되는등 많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와이어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함으로써 와이어의 이탈과 단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어느 일정한 하중이 걸릴 경우 모터를 자동으로 스톱시켜 모터의 손상 및 탑승객에게 상해가 가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시키도록 도어에 고정된 도어 채널과; 상기 도어 채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윈도우 글래스의 중심 하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도어 채널과 인접된 도어상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래킷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면에 결합된채 가이더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모터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가이더와 인접된 브래킷상에 위치되며, 와이어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발췌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4는 리미트 스위치와 모터간이 연결 상태를 보인 회로도.
도 5는 종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도어 채널 20 : 슬라이더 30 : 브래킷
31 : 플랜지 40 : 가이더 50 : 와이어
60 : 탄력 지지수단 61,62 : 제 1, 2 아암
63 : 롤러 64 : 스프링
70 : 리미트 스위치 71 : 릴레이 D : 도어
M : 모터 W : 윈도우 글래스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W)를 승강시키도록 도어(D)에 고정된 도어 채널(door chnnel;10)을 구비한다.
이 도어 채널(10)상에는 슬라이더(slider;20)가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이 슬라이더(20)는 윈도우 글래스(W)의 하부 중심면과 결합된다.
한편, 도어 채널(10)과 인접된 도어(D)상에는 브래킷(bracket;30)이 고정 설치된다.
이 브래킷(30)에는 외주면에 와이어 권선홈(미도시)이 형성된채 모터(M)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이더(guider;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이 가이더(40)의 외주면으로는 와이어(wire;50)가 권선되는 바, 이와이어(50)의 양단은 슬라이더(20)의 상,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와이어(50)가 가이더(40)의 외주면에 감기는 방향에 따라 슬라이더(20)가 도어 채널(10)을 따라 이동되고 이를 통해 윈도우 글래스(W)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와이어(50)가 권선되는 가이더(40)와 인접된 브래킷(30) 상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를 갖는 것으로서, 와이어(50)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수단(60)이 마련된다.
이러한 탄력 지지수단(6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제 1, 2 아암(arm;61,62)과 롤러(roller;63) 그리고 스프링(64)으로 대별된다.
제 1, 2 아암(61,62)은 브래킷(30)상에 상호간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으로서, 타단은 가이더(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와같이 제 1, 2 아암(61,62)을 브래킷(30)상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브래킷(30)의 일측면을 절개하여 바닥면과의 사이에 삽입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플랜지(flange;31)을 절곡 형성하고, 이 플랜지(31)와 바닥면 사이에 제 1, 2 아암(61,62)의 단부를 각각 개재시킨 상태에서 핀(pin;P)을 관통체결함으로써 브래킷(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롤러(63)는, 전술한 가이더(40)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 제 1, 2 아암(61,62)의 타단에 역시 회전 가능하게 핀(P)을 통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와이어(50)를 가이더(40)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링(64)은 제 1, 2 아암(61,62)의 대응되는 내측면에 양단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제 1, 2 아암(61,62)을 가이더(40)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이때 스프링(64)을 탄성력은, 와이어(50)가 이송될 때 발생되는 장력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야 와이어(50)에 항상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2 아암(61,62)중 어느 일측의 아암 외면과 대응되는 브래킷(30)상에는 모터(M)와 회로적으로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70)가 더 마련되는 바, 이 리미트 스위치(70)는 윈도우 글래스(W)가 상승할 때 발생되는 긴장력에 의해 아암이 외측으로 회동할 때 이와 접촉되어 모터(M)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70)를 모터(M)에 상시 온상태인 릴레이(71)를 개재하여 연결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모터(M)를 통해 윈도우 글래스(W)를 상승시킬 때 발생되는 탑승객의 상해 및 모터(M)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W)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면, 모터(M)의 정,역 구동에 의해 브래킷(30)상에 위치된 가이더(40)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50)가 풀림 및 감김방향으로 되고, 이에따라 와이어(50)가 결합된 슬라이더(20)가 도어 채널(10)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따라서 윈도우 글래스(W)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50)가 가이더(40)의 외주면에서 감김 및 풀림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더(40)와 인접된 위치에 마련된 탄력 지지수단(60)에 의해 와이어(50)가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받은채 이동됨으로써 가이더(40)의 외주면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50)는 가이더(40)의 외주면으로 안내될 때 제 1, 2 아암(61,62)의 외측단에 마련된 롤러(63)를 통해 안내된다.
이때 제 1, 2 아암(61,62)은 스프링(64)에 의해 가이더(40)의 외측면을 향해 탄성지지되어 있고, 와이어(50)의 이송시 발생되는 장력에 비하여 큰 탄성력을 부여받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송되는 와이어(50)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50)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장시간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와이어(50)가 인장되어도 제 1, 2 아암(61,62)이 회동되면서 항상 일정한 텐션력을 와이어(50)에게 부여함으로써 와이어(50)의 이탈등이 원활하게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와이어(50)가 가이더(40)의 외주면을 안내될 때 와이어(50)의 감김 및 풀림 방향이 분산된 구조이다. 즉, 종래와 같이 감김 및 풀림방향이 교차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어느 일부분에 집중적인 피로하중이 가해짐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와이어(50)의 단락이 방지된다.
한편, 윈도우 글래스(W)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와이어(50)는 윈도우 글래스(W)의 자중에 의해 점차적으로 큰 긴장력을 부여받은채 제 1 아암(61)의 롤러(63)를 통해 가이더(40)로 안내된다.
이와같이 와이어(50)가 큰 긴장력을 부여받은채 안내됨에 의해서는, 제 1 아암(61)이 점차적으로 외측방향으로 회전되고, 어느 시점에서 리미트 스위치(70)와 접촉된다.
이에따라 모터(M)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모터(M)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탑승객의 손등이 끼일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리미트 스위치(70)와 제 1 아암(61)간의 접촉 위치를 적정하게 조절하게 되면, 윈도우 글래스(W)의 상승 완료시점에서 모터(M)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되고, 이에따라 상승 완료시 발생될 수 있는 충격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시킴에 있어서, 가이더의 외주면을 따라 감김 및 풀림 방향으로 안내되는 와이어에 탄력 지지수단을 통해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여 와이어가 가이더의 외주면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 방향이 분산됨으로써 즉, 피로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이 분산된 것이어서, 와이어의 단락을 방지한 이점이 있다.
이외에도 와이어상에 큰 긴장력이 부여될 때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게되어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탑승객의 손등이 끼일 경우 발생되는 상해를 미연에 방지한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윈도우 글래스를 승강시키도록 도어에 고정된 도어 채널과;
    상기 도어 채널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윈도우 글래스의 중심 하단부가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도어 채널과 인접된 도어상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래킷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상,하면에 결합된채 가이더의 외주면에 권선되어 모터의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권선되는 가이더와 인접된 브래킷상에 위치되며, 와이어에 일정한 텐션력을 부여하는 탄력 지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지지수단은, 브래킷상에 각각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가이더를 감싸는 형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제 1, 2 아암과;
    상기 제 1, 2 아암의 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가이더를 향해 와이어를 안내하는 롤러와;
    상기 제 1, 2 아암의 각 내측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상호간을 내측방향으로탄성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은 와이어가 이송되는 장력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아암중 어느 하나의 아암의 외면과 대응되는 브래킷상에는 윈도우 글래스의 상승시 발생되는 와이어의 긴장력에 따라 외측으로 회동하는 아암과 접촉되어 모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리미트 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2001-0022170A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70A KR100423826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70A KR100423826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00A true KR20020082600A (ko) 2002-10-31
KR100423826B1 KR100423826B1 (ko) 2004-03-24

Family

ID=2770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1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423826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63B1 (ko)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의 처짐 방지장치
KR101991780B1 (ko) * 2017-12-27 2019-06-2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631A (ko) * 2002-11-04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759A (ja) * 1995-05-24 1996-12-03 Isuzu Motors Ltd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ワイヤ弛み防止装置
US5623785A (en) * 1995-09-29 1997-04-29 Excel Industries, Inc. Window regulator with torsion spring actuated direct cable tensioning
JP3334474B2 (ja) * 1996-01-25 2002-10-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ワイヤ式ウインドウレギュレータ装置
KR19980033002U (ko) * 1996-12-05 1998-09-05 박병재 자동차 도어 레귤레이터의 케이블 텐셔너
KR20000012749A (ko) * 1999-12-22 2000-03-06 권영직 윈도우레귤레이터의 케이블텐션유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763B1 (ko) 2006-12-14 2008-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도우 레귤레이터용 와이어의 처짐 방지장치
KR101991780B1 (ko) * 2017-12-27 2019-06-25 주식회사 광진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3826B1 (ko) 200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180282A (ja) サンルーフ
KR100423826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JP2013233619A (ja) 放電加工機の加工槽の2段式連動スライドドア
US5390760A (en) Safety guard for scissor lift
JP3778059B2 (ja) 挟み込み防止機構付き昇降窓
KR100419512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승강장치
KR100373119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JPH0142634Y2 (ko)
KR100419511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래스 유동 방지장치
JP3781359B2 (ja) 車両用ドア
JP3644213B2 (ja) 電動天井収納梯子
JP3626039B2 (ja) ドアガラス昇降装置
KR200167156Y1 (ko) 도어 글래스 승,하강용 레귤레이터 모터 어셈블리
KR0156477B1 (ko) 차량 파워 윈도우용 리프터
JP3473382B2 (ja) 窓ガラス昇降装置
KR100980948B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승하강 장치
KR19990001674U (ko) 자동차용 윈도우 글래스 승강장치
KR0134645Y1 (ko) 자동차의 도아글라스 유동방지구조
KR0158233B1 (ko) 이동식 고소 작업대
JP3281558B2 (ja) 巻取式スクリーン装置
KR0131892Y1 (ko)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JP2709224B2 (ja) 昇降装置
KR0136952Y1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승강 장치의 와이어 지지 구조
JP3658535B2 (ja) 車両用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703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703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