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82041A - 전자렌지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2041A
KR20020082041A KR1020010021794A KR20010021794A KR20020082041A KR 20020082041 A KR20020082041 A KR 20020082041A KR 1020010021794 A KR1020010021794 A KR 1020010021794A KR 20010021794 A KR20010021794 A KR 20010021794A KR 20020082041 A KR20020082041 A KR 2002008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tray
food
cooking chamber
wave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전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82041A/ko
Publication of KR2002008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04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 H05B6/681Circuits comprising an inverter, a boost transformer and a magnetr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적은 양과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또는 그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적은 양의 음식물은 자동으로, 그리고 많은 양의 음식물은 수동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실과 전장품실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 도파관, 전장품실에 설치된 마그네트론과 냉각팬, 조리실을 향해 개방되도록 도파관에 마련된 개구부, 조리실의 바닥에 마련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한다. 복수의 트레이는 전장품실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보다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1 트레이와, 제 1 트레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2 트레이로 이루어진다. 이 제 1 및 제 2 트레이는 이들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며 도파관의 개구부를 양분하는 격벽에 의해 격리된다. 격벽에 의해 양분되는 개구부의 제 1 트레이와 대향하는 구역에는 조리센서가 마련되어서, 냉각팬에 의해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트레이에 올려진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조리센서로 보내져서 음식물의 조리완료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렌지{Microwave Range}
본 발명은 전자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조리실에 복수의 트레이를 설치하여 복수개의 음식물을 동시에, 또는 적은 양과 많은 양의 조리물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방사된 고주파를 이용하여 조리를 행하는 조리기구이다. 즉, 전자렌지는 고주파를 조리실의 내부로 방사하여 조리실에 놓여진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적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분자들 사이의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렌지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의 내부 구조를,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에 대하여 설명하면,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의 내부에 조리실(2)과 전장품실(3)이 구획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체(1)의 전면에는 조리실(2)을 개폐하는 도어와, 조리종류와 조리시간 등을 선택하기 위한 컨트롤패널이 설치된다.
전장품실(3)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받은 전압을 고압으로 승압하는 고압트랜스(4)와, 이 고압트랜스(4)에서 승압된 고전압을 이용하여 고주파를 생성하여 조리실(2)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5)과 같은 전장품들이 설치된다. 이 전장품실(3)에는 또한 전장품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외부공기를 전장품실(3)의 내부로 강제 흡입시키는 냉각팬(6)이 설치되어 있다.
조리실(2)에는 음식물이 놓여지는 단일의 트레이(8)와, 이 트레이(8)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9)와 복수개의 롤러(1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고주파가 마그네트론(5)에서 조리실(2)로 방사된다. 이와 동시에, 음식물이 올려져 있는 트레이(8)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고주파가 음식물에 조사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진다. 조리의 완료는 컨트롤패널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조리시간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또는 트레이(8)의 하부에 마련된 무게센서(11)에 의해 감지된 음식물의 중량과 종류를 기초로 하여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스터러(stirrer) 방식의 전자렌지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이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는 스터러, 즉 고주파 분산장치를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와 거의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스터러를 중심으로 하여 기술할 것이다.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는 전장품실(3)과 조리실(2)의 상부에 설치된 도파관(20)을 구비한다. 전장품실(3)에 위치한 이 도파관(20)의 입구에는 마그네트론(5)이 설치되고, 조리실(2)의 상부에 위치한 도파관(20)의 출구에는 구동모터(22)에 의해 회전되는 스터러(21)가 설치된다. 스터러(21)가 위치한 도파관(20)의 측면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되어서, 이 개구부(23)를 통하여 고주파가 조리실(2)로 조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를 작동시키면 고주파가 마그네트론(5)에서 방사되어 도파관(20)을 따라 안내되고, 도파관(20)의 출구에 위치한 스터러(21)에 의해 난반사되면서 오프닝(23)을 통해 조리실(2)로 분산된다. 이와 동시에, 음식물이 올려져 있는 트레이(8)가 저속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고주파가 음식물에 골고루 조사됨으로써 조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는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에 비해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익힐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같은 종래의 전자렌지는 조리실에 오직 하나의 트레이만을 구비하여서 한 번에 하나의 음식물만을 조리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전자렌지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많을 경우 이들을 한 번에 하나씩만 조리하게 되므로, 조리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전력소비도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하여서 복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양과 많은 양의 조리물을 동시에, 또는 그들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양의 음식물은 자동으로, 그리고 많은 양의 음식물은 수동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전자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턴테이블 방식의 전자렌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터러 방식의 전자렌지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트레이를 구비한 전자렌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2개의 트레이에서 동시에 조리를 수행할 때, 또는 적은 양의 조리를 위해 하나의 트레이에서만 조리를 수행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많은 양의 조리를 위해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서만 조리를 수행할 때의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전장품실 42: 마그네트론
44:도파관 46: 스터러(stirrer)
48:조리센서 50: 조리실
51:제1트레이 55: 제 2 트레이
70:격벽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본체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마련된 조리실과 전장품실, 상기 조리실과 전장품실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 도파관, 상기 전장품실에서 상기 도파관에 결합된 마그네트론, 상기 조리실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파관에 마련된 개구부,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 마련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트레이는 상기 전장품실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보다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2 트레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도파관의 개구부를 양분하는 격벽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격벽에 의해 양분되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트레이와 대향하는 구역에는 조리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전장품실에는 냉각팬이 설치되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해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트레이에 올려진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상기 조리센서로 보내져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완료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의 바닥과 상부벽에는 상기 격벽을 착탈이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가 마련되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그루브들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격벽은 고주파를 통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파관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스터러가 설치되어서, 도파관으로 유도된 고주파를 조리실의 전체 공간을 향해 분산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트레이를 구비한 전자렌지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의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마련된 전장품실(40)과 조리실(50)을 구비한다.
전장품실(40)에는 고압트랜스(41)와 마그네트론(42)과 같은 전장품들과, 이 전장품들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팬(4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팬(43)에 의해 전장품실(40)로 유입되어 전장품들을 냉각시킨 공기는 조리실(50)로 보내져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와 냄새를 전자렌지의 외부로 방출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조리실(50)의 측벽들에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통기공(60)(61)들이 천공되어 있다.
마그네트론(42)으로부터 방사된 고주파를 조리실(50)로 유도하기 위해 전장품실(40)과 조리실(50)의 상부에 걸쳐서 도파관(44)이 배치되어 있는데, 마그네트론(42)은 이 도파관(44)의 입구부에 결합되어 있다. 도파관(44)의 출구부에는 도파관(44)을 따라 안내된 고주파가 조리실(50)로 조사되도록 하기 위한 개구부(45)가 조리실(50)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파관(44)의 이 개구부(45)가 형성된 지역에는 고주파를 조리실(50)의 전체 공간으로 분산시키기 위한 스터러(46)와, 음식물의 조리완료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조리센서(48)가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날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스터러(46)는 구동모터(47)에 의해 회전되어서 고주파를 조리실(50)을 향해 난반사시키게 된다.
조리실(50)의 바닥에는 전장품실(40)과 인접하여 마련된 제 1 트레이(51)와, 이 제 1 트레이(51)와 일정간격 이격된 채 병렬로 배치된 제 2 트레이(55)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트레이(51)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음식물, 또는 짧은 시간에 조리될 수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제 2 트레이(55)에 비해 크기가 작게 만들어지며, 제 2 트레이(55)는 많은 양의 음식물, 또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제 1 트레이(51)에 비해 크기가 크게 만들어진다.
상기 트레이(51)(55)들은 음식물에 고주파를 균일하게 조사시키기 위해 그 하부에 설치된 각각의 구동모터(52)(56)와 복수의 롤러(53)(57)들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 1 트레이(51)에 올려져서 조리되는 음식물(F1)의 조리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조리센서(48)로 음식물(F1)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를 안내하기 위해 제 1 트레이(51)와 제 2 트레이(55) 사이에는 고주파를 통과시키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질을 가진 격벽(70)이 설치된다. 이 격벽(70)은 도파관(44)의 개구부(45)를 제 1 트레이(51)를 향해 열려진 제 1 개구부(45a)와, 제 2 트레이(55)를 향해 열려진 제 2 개구부(45b)로 양분하도록 배치된다. 이 격벽(70)은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조리실(50)의 바닥과 상부벽에는 이 격벽(70)을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고 분리하기 위한 그루브(59)가 마련된다. 이 그루브(59)들은 그 내부에 격벽(70)의 상단과 하단을 수용하기 위해 조리실(50)의 상부벽과 바닥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리센서(48)는 격벽(70)을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형성된 도파관(44)의 개구부(45)에서 제 1 트레이(51) 쪽으로 열려진 제 1 개구부(45a)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트레이(5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F1)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는 제 1 통기공(60)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함께 상기 격벽(70)에 의해 제 1 개구부(45a)로 안내된 후, 조리센서(48)를 거쳐서 제 2 트레이(55) 쪽으로 열려진 제 2 개구부(45b)를 통해서 제 2 트레이(55)를 향해 보내지게 된다. 제 2 트레이(55) 쪽으로 보내진 공기는 다시 제 2 트레이(55)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와 함께 제 2 통기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트레이(51)(55)에서 동시에 조리를 수행하거나, 또는 제 1 트레이(51)에서만 조리를 수행하게 된다.
먼저 동시 조리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 1 트레이(51)에는 상대적으로 조리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적은 양의 음식물(F1)을 안치시키고, 제 2 트레이(55)에는 상대적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많은 양의 음식물(F2)을 안치시킨 후에, 콘트롤패널(80)(도 3 참조)의 조작을 통해서 제 2 트레이(55)에 얹혀진 음식물(F2)에 대한 조리시간을 입력시킨다. 제 1 트레이(51)를 통한 조리는 본 발명에 따른 격벽(70)과 조리센서(48)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리완료가 감지되므로, 별도로 조리시간을 입력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는 제 1 트레이(51)에 올려진 음식물(F1)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시간을 입력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콘트롤패널(80)의 조리시작 버튼(81)을 누르면, 고압트랜스(41)와 마그네트론(42)이 작동되어 도파관(44)으로 고주파를 방사하게 되며, 제 1 및 제 2 트레이(51)(55)는 구동모터(52)(56)들과 롤러(53)(57)들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냉각팬(43)이 작동하여 외부로부터 전장품실(40)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고압트랜스(41)와 마그네트론(42)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파관(44)으로 방사된 고주파는 스터러(46)에 의해 분산되어 도파관(44)의 개구부(45)를 통해 조리실(40)의 전체 공간으로 조사됨으로써 제 1 트레이(51)와 제 2 트레이(55)에 올려진 음식물(F1)(F2)들을 균일하게 조리하게 된다.
이 때, 격벽(70)은 고주파를 통과시키는 재질로 만들어져서 양 트레이(51)(55)로 고주파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한편, 냉각팬(43)에 의해 전장품실(40)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제 1 통기공(60)들을 통해 조리실(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1 트레이(5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F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와 함께 격벽(70)에 의해 도파관(44)의 제 1 개구부(45a)로 안내되어 조리센서(48)를 통과하게 된다. 제 1 개구부(45a)를 통과한 공기는 다시 제 2 개구부(45b)를 통하여 격벽(70)에 의해 제 1 트레이(51)와 격리된 제 2 트레이(55)로 보내져서 음식물(F2)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와 냄새를 제 2 통기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조리과정 중에 조리센서(48)는 제 1 트레이(51)에 올려진 음식물(F1)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가스 등을 감지하여 조리완료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도 4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음식물(F1)의 조리가 완료되면 콘트롤패널(80)로부터 버저가 울려서 사용자에게 조리의 완료를 알리게 되며, 이 때 사용자는 제 1 트레이(51)로부터 음식물(F1)을 꺼내고 나서 다시 시작버튼(81)을 누르면 제 2 트레이(55)에 올려진 음식물(F2)을 계속해서 조리하게 된다.
제 2 트레이(55)에 올려진 음식물(F2)을 위한 일정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조리가 완료되면 또다시 조리완료를 알리는 버저가 울려서 사용자는 음식물(F2)을 꺼내어 조리를 완료하게 된다.
한편,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제 1 트레이(51)에서만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제 2 트레이(55)와 구동모터(56)는 작동시키지 않은 채, 제 1 트레이(51)에만 음식물(F1)을 올려놓고서 조리하면 된다. 이 때에는 상기에 기술한 조리과정 중에서 제 2 트레이(55)에 올려진 음식물(F2)을 조리하는 과정만 생략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음식물의 조리를 위해 제 1 트레이(51)는 작동하지 않은 채, 제 2 트레이(55)에서만 조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냉각팬(43)에 의해 제 1 통기공(60)으로 유입된 공기가 원활하게 제 2 트레이(55)로 흐르게 하기 위해 격벽(70)을 그루브(59)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빼내어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트레이(55)에음식물(F2)을 올려놓고 톤트롤패널(80)을 통하여 음식물(F2)에 대한 조리시간을 입력시킨다. 이는 음식물(F2)의 종류 또는 무게에 따라 이미 프로그램된 조리시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트레이(55)에는 무게센서(58)가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콘트롤패널(80)의 조리시작 버튼(81)을 누르면, 고압트랜스(41)와 마그네트론(42)이 작동되어 도파관(44)으로 고주파를 방사하게 되며, 제 2 트레이(55)는 구동모터(56)와 롤러(57)에 의해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냉각팬(43)이 작동하여 외부로부터 전장품실(40)로 공기를 유입시켜서 고압트랜스(41)와 마그네트론(42)을 냉각시키게 된다. 도파관(44)으로 방사된 고주파는 스터러(46)에 의해 분산되어 도파관(44)의 개구부(45)를 통해 조리실(40)의 전체 공간으로 조사됨으로써 제 2 트레이(55)에 올려진 음식물(F2)을 균일하게 조리하게 된다.
한편, 냉각팬(43)에 의해 전장품실(40)로 유입된 공기는 다수의 제 1 통기공(60)들을 통해 조리실(5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직접 제 2 트레이(55)를 향해 유동하여 음식물(F2)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와 냄새를 제 2 통기공(6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음식물(F2)의 조리가 완료되면 콘트롤패널(80)로부터 버저가 울려서 사용자에게 조리의 완료를 알리게 되며, 사용자는 음식물(F2)을 꺼내어 조리를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적은 양의 음식물과 많은 양의 음식물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마그네트론을 고출력과 중출력, 그리고 저출력 등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타입으로 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조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조리실에 복수의 트레이를 설치하여 복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전력소비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하나의 트레이에는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트레이에는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하여서, 음식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서 적합한 크기의 트레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력소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트레이에서는 음식물을 자동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트레이에서는 음식물을 수동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서, 하나의 조리실에서 복수의 음식물을 효과적 조리할 수 있는 이점 있다.

Claims (9)

  1. 본체 내부에 서로 구획되어 마련된 조리실과 전장품실;
    상기 조리실과 전장품실의 상부에 걸쳐서 배치된 도파관;
    상기 전장품실에서 상기 도파관에 결합된 마그네트론;
    상기 조리실을 향해 개방되도록 상기 도파관에 마련된 개구부;
    상기 조리실의 바닥에 마련된 복수의 트레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트레이는 상기 전장품실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보다 적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보다 많은 양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크기를 가진 제 2 트레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트레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도파관의 개구부를 양분하는 격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의해 양분되는 상기 개구부의 상기 제 1 트레이와 대향하는 구역에는 조리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전장품실에는 냉각팬이 설치되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해 상기 조리실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1 트레이에 올려진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수증기와 함께 상기 조리센서로 보내져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완료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센서는 습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센서는 가스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바닥과 상부벽에는 상기 격벽을 착탈이 용이하게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가 마련되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그루브들에 의해 상기 조리실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고주파를 통과시키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의 내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배치된 스터러가 설치되어서, 상기 도파관으로 유도된 고주파를 상기 조리실의 전체 공간을 향해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KR1020010021794A 2001-04-23 2001-04-23 전자렌지 Ceased KR20020082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794A KR20020082041A (ko) 2001-04-23 2001-04-23 전자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1794A KR20020082041A (ko) 2001-04-23 2001-04-23 전자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041A true KR20020082041A (ko) 2002-10-30

Family

ID=2770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794A Ceased KR20020082041A (ko) 2001-04-23 2001-04-23 전자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8204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928A (ja) * 1986-11-21 1988-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H03133087A (ja) * 1989-10-16 1991-06-06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H049529A (ja) * 1990-04-25 1992-01-14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H06147492A (ja) * 1992-11-17 199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9980010130U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와이드그릴형 가스레인지
KR19990032049A (ko)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전자 렌지
KR19990047395A (ko) * 1997-12-04 1999-07-05 윤종용 멀티쿠킹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1928A (ja) * 1986-11-21 1988-06-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JPH03133087A (ja) * 1989-10-16 1991-06-06 Sanyo Electric Co Ltd マイクロ波加熱装置
JPH049529A (ja) * 1990-04-25 1992-01-14 Toshiba Corp 電子レンジ
JPH06147492A (ja) * 1992-11-17 1994-05-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9980010130U (ko) * 1996-08-01 1998-05-15 김광호 와이드그릴형 가스레인지
KR19990032049A (ko) * 1997-10-16 1999-05-06 윤종용 전자 렌지
KR19990047395A (ko) * 1997-12-04 1999-07-05 윤종용 멀티쿠킹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43728A (en) Dual path air circulation system for microwave ovens
US7049568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6621058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with air curtain guide
US5674425A (en) Convection microwave oven with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cooling air to a cooking chamber
US6878910B2 (en) Microwave oven having steam vent hole
KR101270617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US20080075823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86163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steaming plate
US20040144774A1 (en) Microwave oven
US6953920B2 (en) Combination microwave oven and steamer
US7049567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having an exhaust mechanism
JP2000500268A (ja) 改善された構造を有する電子レンジ用導波管
JP2004221059A (ja) 電子レンジ
US6956191B2 (en) Microwave oven having a projection door which extends a cooking chamber of the microwave oven
US6768090B2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KR20020082041A (ko) 전자렌지
US7271373B2 (en) Microwave oven
EP1389894B1 (en) Microwave oven
US6750434B1 (en) Microwave oven
KR100260724B1 (ko) 전자렌지
KR100305861B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웨이브 분배장치
KR20060106603A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구조
KR20070054463A (ko) 전자레인지
KR19990011733A (ko) 전자렌지
KR20030019707A (ko) 증기 가열식 전자 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