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668A -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9668A KR20020079668A KR1020020055532A KR20020055532A KR20020079668A KR 20020079668 A KR20020079668 A KR 20020079668A KR 1020020055532 A KR1020020055532 A KR 1020020055532A KR 20020055532 A KR20020055532 A KR 20020055532A KR 20020079668 A KR20020079668 A KR 20020079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w
- container
- bottle
- bottle cap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telescopic, retractable or reversible spouts, tubes or nozz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 B65D2231/007—Funnel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2)발명의 목적
종래 본 발명인의 선행은 스트로지지대를 병(용기)목에 조립시키고, 그 상방에 마개를 결합시켰던 바, 그 사용시 내용물이 넘치거나 또는 다른 용기에 효율적으로 내용물을 옮기기가 어려웠으며,본 발명을 이를 해결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공병인 상태로 이동되는 일련의 생산 공정중, 상기한 공병에 음료를 충진하거나 또는 충진전 단계에서 긴형태의 스트로를 포함하고 있는 스트로지지대를 상기한 병(용기)의 목부위를 중심으로 조립시킨 제 2 형성체와, 상기한 제 2 형성체를 중심으로 하여는,병(용기)목에 수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구부 유출구작동부를 기준으로 조립되는 상하 작동형 작동부와,상기 구부와 작동부를 기준으로 하여 조립되는 개폐용 마개를 수용하는 제 1 형성체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4)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형태의 스트로지지대를 캡핑전 단계에서 용기목에 조립하는 방식을 택한 바, 캡핑의 효율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며,종래의 선행으로는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일반적인 병목(용기목)에 스트로지지대를 장착하고 그 상부로는 스트로 지지대의 내부에 조립된 스트로(유출대)를 상하 작동시키는 용도의 마개를 조립한 것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선행은 병목에 긴 형태의 것이 있는 스트로지지대를 선장착시키기 때문에 그 상부에 씌워지는 마개를 고속으로 캡핑시키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었으나,단점으로는 용기가 넘어질 경우 용기내의 내용물이 쉬 흘러내리고,또한 용기내의 내용물을 가압하여 배출할 경우도 스트로지지대에 뚫린 구멍을 통하여 그 내용물이 배출됨과 동시 스트로를 통하여도 내용물이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를 가압하여 그 내용물을 원거리 까지 배출시키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결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고속으로 캡핑 작업이 가능한 병뚜껑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하면서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상기한 기술이 적용된 병뚜껑은 내용물을 가압하여 배출하는 것과,그 용기내의 내용물을 저항없이 빨아 먹는 것이 가능한 병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것의 분리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병뚜껑의 조립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병뚜껑이 용기의 목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병뚜껑이 사용상의 상태로 개봉되어진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병뚜껑을 개봉한후 다른 사용의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뚜껑 100 : 본체 101,301 : 상면부
102,302 : 측면부 103 : 구부 104,113,307 : 나사산
105 : 위조방지테 106 : 공간 107 : 유출구작동부
108 : 삽입공 109 : 연결부 110 : 밀폐용환테
111 : 환테삽입턱 112 : 환돌기삽입홈
114,303 : 스커트 200 : 작동부 201,204,305 : 환돌기
202 : 환테 203 : 유출공 205 : 유출구
206 : 측면홈 300 : 마개 304 : 내마개
306 : 밀폐벽 400 : 스트로지지대 401 : 환테
402 : 지지벽 403 : 천공부 404 : 스트로
500 : 용기(병)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본 발명의 병뚜껑은,용기목에 선 장착되는 스트로를 포함하는 스트로지지대를 두어,상기한 스트로지지대를 용기목을 중심으로 하여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것의 상부로는 상하작동이 가능한 구조의 본체의 내부에서 실지로 상하작동이 되는 작동부를 내입시키고,상기한 조립체의 상부에는 작동부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개폐되는 미개를 조립시킨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삽입공에 끼우져 상하로 작동 가능한 작동부(200)와 그 작동부(200)를 포함하여 본체(100)의 구부에 결합되는 마개(300)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제 병뚜껑(1)이 제 1 형성체이며,
상기한 제 1 형성체를 수용하도록 된 제 2 형성체는 하방에 임의 길이로 된 스트로를 일체로 하고 있는 스트로지지대(400)가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것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본체(100)는 상면부(101)와 측면부(102)로 구성되고,상면부(101)의 상방으로는 나사산(104)과 위조방지테(105)가 있는 구부(103)를 형성하되,상기한 구부(103)의 내측으로는 공간(106)을 사이에 두고 삽입공(108)이 있는 유출구작동부(107)가 연결부(109)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구부(103)의 상단은 내측에 환테삽입턱(111)이 있는 밀폐용환테(110)를,상기한 구부(103)의 하단 내턱에는 환돌기삽입홈(1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한 측면부(102)의 내벽부에는 나사산(113)을 형성하고,상기 측면부(102)의 하측부에는 스커트(114)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작동부(200)는 상단에는 환돌기(201)와 환테(202)를 그리고 하단부에는 유출공(203)의 밑으로 환돌기(204)를 형성하고, 상기 유출공(203)은 내부의 유출구(205)와 관통되어 있으며,상기 유출공(203)의 양측 외벽부에는 일정 크기의 측면홈(206)이 형성되어 있되,상기 측면홈(206)은 환테(202)와 약간의 거리를 두는 부위까지 형성되어 있음과,상기한 작동부(200)의 환돌기(204) 하방으로는 일정 길이로 된 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300)는 상면부(301)와 스커트(303)를 포함하고 있는 측면부(302)로 구성되고,상면부(301)의 저부에는 작동부(200)의 유출구(205)에 끼이고 환돌기(201)에 걸려 작동할 수 있는 형의 내마개(304)와 환홈이 있는 환돌기(305)를 형성하며,상기 환돌기(305)의 연장으로는 상기 본체(100)의 밀폐용환테(110)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할 밀폐벽(306)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 사용시 탄산가스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부(103)의 나사산(104)이나 마개(300)의 나사산(307) 부위에는 가스방출홈(308)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스트로지지대(400)는 통상의 용기목 상부와 내벽에 결합 지지될 형의환테(401)와 지지벽(402)을 형성하고,지지벽(402)과 연장하여는 일정 크기의 천공부(403)를 형성하며,상기한 천공부(403)와 연결되어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로 된 스트로(4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스트로(404)의 상단 내부는 작동부(200)의 하단 관부가 밀착되며 이동될 수 있는 형의 내경으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작동부(200)의 관부 외경이나 또는 스트로(404) 상단의 삽입공(405) 내벽부에 환테 등을 형성하여 상하 이동되는 것과 밀폐성 등을 향상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같은 상태가 본체(100)의 구부(103)에 작동부(200)와 마개(300)가 조립된 병뚜껑(1)의 1차 조립상태이다.
상기 도 2와 같은 상태의 병뚜껑(1)이 용기목(500)에 수용되기전, 바람직하게는 스트로지지대(400)의 지지벽(402)과 환테(401)가 용기목(500)의 내벽부과 상단부를 중심으로 조립되는 것이 그 좋은 예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도 2와 같은 병뚜껑(1)이 용기목(500)을 중심으로 결합되면 작동부(200)의 하방에 형성된 관부가 스트로지지대(400) 삽입공(405)을 중심으로 결합되면서 상기한 병뚜껑(1)이 용기목(500)에 완전 결합되게 되는데,상기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3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마개(300)를 개봉하게 되면 마개(300)의 나사산(307)이 본체(100)의 구부(103)에 형성된 나사산(104)을 타고 상향될 때,상기한 마개(300)의 환돌기(305)차 작동부(200)의 상단에 형성된 환돌기(201)에 긴히조립된 관계로 상기한 마개(300)가 작동부(200)와 함께 상향되는데,이를 예시한 것이 도 4와 같다.
또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기본 부호는 도 1 참조), 환테(202)가 환테삽입턱(111)을 이탈하는 과정에 작동부(200)의 양측에 형성된 측면홈(206)을 통하여 용기목(500)의 하방에 형성된 용기 본체 내의 가스가 방출되는 바,마개(300)를 돌리는(개봉)는 과정에 용기내의 내용물이 압에 의하여 넘쳐 흐르는 일이 예방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하여 상기한 상태에서,마개(300)를 좀더 힘껏 돌리게 되면 작동부(200)의 환돌기(204)가 유출구작동부(107)의 하단 환돌기삽입홈(112)에 걸려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일시 정지하게 되는데,이러한 상태가 도 5와 같은 것이다.(기본 부호는 도 1 참조)
상기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마개(300)를 조금 더 힘껏 돌리게 되면 마개(300)의 나사산(307)이 구부(103)의 나사산(104)을 타고 상향되려고 하는 과정에 마개(300)의 환돌기(305)가 작동부(200)의 환돌기(201)를 탄력적으로 벗어나면서 작동부(200)와 본체(100)로 부터 마개(300)가 완전 이탈하게 되는데 상기한 상태를 잘 나타내 보이고 있는 것이 도 6과 같은 것이다.(기본 부호는 도 1 참도)
이때 작동부(200)의 하부 관부는 스스로지지대(400)의 흡입공(405) 내벽부상에서 일정 상향되어 밀착 밀폐되는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도 6과 같은 상태에서,작동부(200)의 상부에 입을 대고 빨게 되면 하부의 스트로(404)를 통하여 유출구(205)로 용기 내의 내용물이 돌출되게 되는 것이며이때 작동부(200)의 측면홈(206)과 천공부(403)를 통하여는 외기의 공기가 용기 내로 유입되는 바,그 내용물을 매우 자연스럽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작동부(200)를 원래의 상태로 밀어 넣은 후 용기를 기울이고 그 용기를 가압하게 되면 용기 내의 내용물이 천공부(403)와 유출공(203)을 경유하고 최종 유출구(205)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상기한 상태를 잘 나타내 보이고 있는 것이 도 7과 같은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부(103)의 나사산(104)이나 측면부(102)의 나사산(113) 대신 원터치방식의 환턱이 형성되거나, 또는 본체(100)를 종이팩이나 파우치등에 접착할 수 있도록 측면부(1020 대신 접착부를 형성할 수 있음과,또한 다양한 형태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양한 일예로,마개(300)를 통하여 작동부(200)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 대신 마개(300)는 개폐용으로 만 쓰고 작동부(200)는 손으로 상하 이동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다른 일예로는,마개(300)를 회전방식으로 개폐하는 것 대신 다양한 방법의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하는 형태를 취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특히 음료를 충지하기전에 용기목의 상방에 스트로지지대를 조립시키거나 또는 음료를 충진하고 병뚜껑을 캡핑하기전 단계에서 스트로지지대를 조립하여서,일련의 공정으로 캡핑되는 캡핑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비교적 긴형태의 스트로지지대를 캡핑전 단계에서 용기목에 조립하는 방식을 택한 바,캡핑의 효율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6)
- 공병인 상태로 이동되는 일련의 생산 공정중,상기한 공병에 음료를 충진하거나 또는 충진전 단계에서 긴형태의 스트로를 포함하고 있는 스트로지지대를 상기한 병(용기)의 목부위를 중심으로 조립시킨 제 2 형성체와,상기한 제 2 형성체를 중심으로 하여는,병(용기)목에 수용되는 본체와,상기 본체의 구부 유출구작동부를 기준으로 조립되는 상하 작동형 작동부와,상기 구부와 작동부를 기준으로 하여 조립되는 개폐용 마개를 수용하는 제 1 형성체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스트로지지대는 상단의 환테를 포함하는 지지벽과 스트로 상단의 사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천공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제 2 형성체는 작동부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측방에 형성된 유출공이 폐쇄되고,작동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유출공이 개방되는 형태로 작동부가 형성되며,상기한 작동부는 그 행위를 위해 본체의 유출구작동부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한 작동부의 유출공 개체를 위해,상기 작동부의 유출공 하방부에는 환돌기가 형성되고,상기한 환돌기는 일정 이상 올라가면 더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상기 본체 유출구작동부의 내벽부에는 환돌기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개폐용 마개가 상하 이동될때 작동부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작동부의 상단에는 환돌기를 형성하고,상기한 환돌기를 수용하는 환홈이 있는 환돌기를 그 상대되는 마개의 상면부 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 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한 작동부 측벽부에는 임의 크기의 측면홈을 두어 작동에 따라 외기의 공기가 용기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그 측면홈을 적어도 1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5532A KR20020079668A (ko) | 2002-09-09 | 2002-09-09 |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AU2003260997A AU2003260997A1 (en) | 2002-09-09 | 2003-09-09 | High-seal spout assembly |
PCT/KR2003/001867 WO2004035412A1 (en) | 2002-09-09 | 2003-09-09 | High-seal spou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5532A KR20020079668A (ko) | 2002-09-09 | 2002-09-09 |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9668A true KR20020079668A (ko) | 2002-10-19 |
Family
ID=2772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5532A KR20020079668A (ko) | 2002-09-09 | 2002-09-09 |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79668A (ko) |
AU (1) | AU2003260997A1 (ko) |
WO (1) | WO2004035412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06173A2 (en) * | 2003-03-03 | 2005-12-21 | Jung-Min Lee |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
KR101166028B1 (ko) | 2010-02-22 | 2012-07-1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용기의 마개 구조체 |
KR101539742B1 (ko) * | 2014-07-10 | 2015-07-28 | (주) 동방유래 |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17990A (ko) * | 1999-12-31 | 2000-04-06 | 이정민 | 음료용기용 배출대의 공기유입장치 및 그 구조 |
KR200212599Y1 (ko) * | 2000-07-18 | 2001-02-15 | 이정민 | 액체용기용 배출대의 뚜껑 구조 |
KR20010087799A (ko) * | 2001-06-01 | 2001-09-26 | 이정민 | 합성수지제 병뚜껑의 구조 |
-
2002
- 2002-09-09 KR KR1020020055532A patent/KR200200796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
- 2003-09-09 WO PCT/KR2003/001867 patent/WO2004035412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3-09-09 AU AU2003260997A patent/AU2003260997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606173A2 (en) * | 2003-03-03 | 2005-12-21 | Jung-Min Lee |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
EP1606173A4 (en) * | 2003-03-03 | 2006-08-09 | Jung-Min Lee | SPOUT SET WITH FLOW GUIDING ELEMENT THAT CAN BE VERTICALLY MOVED |
KR101166028B1 (ko) | 2010-02-22 | 2012-07-19 | 씨제이제일제당 (주) | 용기의 마개 구조체 |
KR101539742B1 (ko) * | 2014-07-10 | 2015-07-28 | (주) 동방유래 | 연장 가능한 안내부가 구비된 용기 마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4035412A1 (en) | 2004-04-29 |
AU2003260997A1 (en) | 2004-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82390A1 (en) | A capsule containing a mixer substance for bottles containing pressurised liquids | |
US7506784B2 (en) | Spout assembly with vertically movable spouting guide member | |
KR100616705B1 (ko) | 작동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구부가 일측으로 숙여지도록된 용기뚜껑 | |
CN200974664Y (zh) | 一种多功能容器盖 | |
EP1100726A2 (en) |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 |
KR20020079668A (ko) | 스트로지지대가 있는 병뚜껑 및 그 구조 | |
KR100830089B1 (ko) | 용기용 마개 | |
KR101133406B1 (ko) |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 |
JP2007510595A (ja) | 異種物質を混合する方法及び構造 | |
US6352165B1 (en) | Replacement cap and pressurizing mechanism for bottle | |
KR100685525B1 (ko) |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 |
KR20040011409A (ko) | 별도의 내용물 저장공간을 갖고 있는 병뚜껑 | |
KR20040014638A (ko) | 내용물 저장용 관부를 갖고 있는 병뚜껑 | |
KR20020075761A (ko) | 배출대 | |
KR20130007707A (ko) | 압력기체가 수용된 용기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내입용 병뚜껑 | |
US20040173564A1 (en) |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 |
WO2004067398A1 (en) | Spout assembly for liquid container | |
KR20070100853A (ko) | 이종물질 수용장치 구조 및 이종물질 내입 방법 | |
KR20020075348A (ko) | 스트로 삽입용 작동부가 있는 고밀폐형 병뚜껑 및 그 구조 | |
KR100685523B1 (ko) | 내압을 이용한 병뚜껑 | |
KR20010087799A (ko) | 합성수지제 병뚜껑의 구조 | |
WO2003095322A1 (en) | Spout assembly with spouting guide member | |
CN2213698Y (zh) | 铝塑防伪瓶盖 | |
KR20100061250A (ko) | 맛을 내는 병뚜껑 | |
KR20000030416A (ko) | 내용물 유출용 유출대가 있는 용기 뚜껑 및 그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9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