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8803A -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803A
KR20020078803A KR1020010018953A KR20010018953A KR20020078803A KR 20020078803 A KR20020078803 A KR 20020078803A KR 1020010018953 A KR1020010018953 A KR 1020010018953A KR 20010018953 A KR20010018953 A KR 20010018953A KR 20020078803 A KR20020078803 A KR 20020078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heft
mode
switching
passwor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102001001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803A/ko
Publication of KR20020078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8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1Alarm systems associated with another car fitting or mechanism, e.g. door lock or knob,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유지회로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난 및 적재된 화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도난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도난시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과,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과, 긴급 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방법은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 감지모드로 전환되는 제 1 스텝과, 비밀번호의 올바른 입력시에는 정상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 입력없이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 동작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제 2 스텝과, 상기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제 3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Anti-theft vehicle system}
본 발명은 차량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유지회로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난 및 적재된 화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및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오디오, CD 플레이어, 카폰 등 각종 장치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러 종류의 도난방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즉, 차량의 창문 및 도어의 개폐여부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도난방지 센서나 혹은 차량의 외부를 접촉하게 되면 경보음을 발생하는 도난방지 센서 등을 설치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 외에도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카오디오, CD 플레이어 및 카폰 등에 특정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이 비밀번호를 부여하였을 경우에만 이들이 작동하도록 하여 차량 내부에 장착된 각종 장치들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차량도난방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시동 제한이 없는 경우, 경보음이 울리더라도 타인이 강제로 문을 열어 차량의 도난을 시도할 수 있고, 시동 제한이 있는 경우라도 시동을 걸 때 스타트 모터만을 동작할 수 없게 하는 방식이므로 시동이 걸려 있거나 시동키가 꽂혀 있는 경우에는 도난을 방지할 수가 없다.
또한, 화물을 적재한 차량에 일반 차량용 도난방지장치를 장착한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의 문 열림만 감지하므로 화물칸의 화물분실에 대해서는 관리가 어려운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차량 및 화물의 도난시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차량의 시동이 차단되는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차량 및 화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화물 및 차량의 도난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1 : 감지수단 102 :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
103 :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 104 :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
105 : 리모콘 입력부 106 : 디스플레이부
107 : 시동차단부 108 : 센서
109 : 경고음 발생부 110 : 전파 발신부
111 : 전파 수신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은 차량의 도난시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과,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과, 긴급 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방법은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 감지모드로 전환되는 제 1 스텝과, 비밀번호의 올바른 입력시에는 정상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 입력없이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 동작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제 2 스텝과, 상기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제 3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 방법은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 키를 꽂아두고 잠시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또는 타인이 차량의 키를 복제하여 강제로 탈취하려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또한 주행 중에 강도에 의해 강압운전을 해야 하는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긴급도난방지 모드 전환스위치를 조작하여 경찰서 또는 대중이 많은 공공장소에서 차량의 시동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강도로 하여금 차량이 고장난 것으로 인식시켜 긴급한 상황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화물을 적재한 배송차량의 경우, 자물쇠로 일일이 화물칸을 잠그지 않아 화물의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운전자와 화물칸 사이에 RF 근접스위치 즉, 운전자와 화물칸 사이에 특정 주파수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부착하여 송수신 거리가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자동적으로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화물칸의 문을 강제로 열려고 시도하면 경보음이 발생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은 경보음이 발생하더라도 강제로 차량의 도난을 시도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시동이 차단되도록 하여 어떠한 경우라도 차량 및 화물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방지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크게 감지수단(101)과,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 및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103) 및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10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101)은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여부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시동키의 조작여부, 브레이크(Break)의 조작 여부, 엑셀레이터(Accelerator), 클러치(Clutch)의 조작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수단(10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에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여부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기능의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신호를 리모콘으로 발신하는 리모콘 입력부(105)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은 상기 감지수단(101)에서 차량의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그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받아 현재 차량의 상태를 도난방지모드로 전환시킨다. 즉, 감지수단(101)에 의해 차량의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상기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은 시동 차단부(107)를 제어하여 차량의 시동을 차단한다.
상기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은 디스플레이부(106)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부(106)는 현재 차량의 모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로서,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하거나 액정패널로 구성하여 현재 차량의 상태를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103)은 도난방지모드의 차량 상태를 정상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 예로, 비밀번호 입력부를 구성하여 운전자만이 알고 있는 고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도난방지모드가 정상모드로 전환되고, 운전자가 정상적인 방법으로 계속해서 주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가 올바르지 않으면, 이를 차량의 도난시도로 인식하여 정상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2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 차량의 도난을 2중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104)은 감지수단(101)에 의한 감지신호에 의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곧바로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는 강도의 위협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 원터치 스위치와 같은 간단한 조작을 통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며, 운전자의 실수 및 차량의 오동작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차량의 상태가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었을 경우를 대비하여 즉시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화물을 적재하고 있는 차량의 경우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화물 적재차량의 도난방지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수단(101),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103), 시동차단부(107) 및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104)은 도 1과 동일하며 상기 도 1의 구성에 부가하여 특정 주파수를 발신하는 전파 발신부(110)와, 차량의 화물칸 도어에 부착되어 상기 전파 발신부(110)에서 발신된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부(111), 화물칸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08) 및 화물의 강제 탈취를 감지하였을 경우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10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화물을 적재하는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차량의 근방(예를 들어 반경 10m 이내)에는 전파 발신부(110)와 전파 수신부(111) 사이에 전파의 발수신이 이루어지므로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지 않고, 전파 수신부(111)에서 전파를 수신할 수 없을 정도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102)에 의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다.
이 때, 센서(108)는 화물칸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있다가 타인이 화물칸의 도어를 열었을 경우에는 상기 경고음 발생부(109)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고음 발생부(109)가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한다.
한편, 경고음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차량을 탈취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에 자동적으로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 차량의 탈취가 불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이 켜진 채로 잠시 차량을 이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감지모드로의 전환을 위해 제 1 커넥터(301)의 제 1 동작스위치(S1)를 동작시킨다. 상기 제 1 동작스위치(S1)가 동작함으로 인하여 제 4 릴레이(RY-4)(305)가 자기유지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운전자가 이탈한 틈을 타서 타인이 강제로 차량을 탈취하려는 시도가 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이 때, 운전자가 감지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 1 동작스위치(S1)를 동작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이탈하더라도, 운전자는 리모콘을 이용한 외부입력 즉, 제 2 커넥터(302)의 외부입력을 통해 감지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만일, 타인이 차량을 탈취할 목적으로 운전석에 승차하여 상기 브레이크, 엑셀레이터를 조작하면 즉, 제 2 커넥터(302)의 브레이크, 엑셀레이터가 동작하며 제5 릴레이(306)를 통해 제 1 릴레이(309)로 전원이 인가되어 제 1 릴레이(309)가 동작하게 되고, 상기 제 1 릴레이(309)가 동작함으로 인하여 제 4 커넥터(304)의 IG-1 입력(IN) 접점과 IG-1 출력(OUT) 접점이 떨어져 시동이 켜지게 되며 동시에 제 6 릴레이(308)가 동작하게 되어 자기유지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타인이 시동키를 다시 조작하여 시동을 걸려고 해도 제 1 릴레이(309)의 동작 유지로 인하여 IG-1 입력(IN) 접점과 IG-1 출력(OUT) 접점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시동을 걸리지 않게 된다.
한편, 주행 도중에 긴급히 차량을 정지시켜야 할 경우 예를 들면, 강도로부터 신변의 위협을 받는 상황인 경우에는 적당한 경우에서 제 3 커넥터(303)의 긴급 차단 스위치(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를 작동시키면서 브레이크를 밟으면 제 1, 제 4 릴레이(309, 305)가 동작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IG-1 입력(IN), IG-1 출력(OUT) 접점이 떨어지게 되어 시동이 꺼지게 되며, 동시에 제 6 릴레이(308)가 동작하게 되어 자기유지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타인이 시동키를 다시 조작하여 시동을 걸려고 해도 제 1 릴레이(309)의 동작 유지로 인하여 IG-1 입력(IN) 접점과 IG-1 출력(OUT) 접점이 떨어진 상태로 유지하게 되므로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다시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정상모드로의 전환은 다음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운전자가 잠시 차량을 이탈한 후에 복귀할 때까지 차량의 탈취시도가없었던 경우이고, 두 번째는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한 틈을 타서 타인이 차량의 탈취시도가 있었던 경우이다.
먼저, 첫 번째로 운전자가 잠시 차량을 이탈한 후 복귀할 때까지 탈취시도가 없었던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제 1 커넥터(301)의 1차 리셋 스위치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제 3 릴레이(307)를 오프(OFF)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307)가 복구됨으로 인하여 제 4 릴레이(305)의 자기유지회로가 원상태로 복구되고, 동시에 버저(Buzzer)에 신호가 전달되어 확인음이 발생되어 도난방지모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탈취시도가 없었을 경우에는 1차 리셋 스위치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도난방지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시킬 수가 있는 반면에, 차량의 탈취시도가 있었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정상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제 1 커넥터(301)의 1차 리셋 스위치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제 3 릴레이(307)를 오프(OFF)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307)가 복구됨으로 인하여 제 4 릴레이(305)의 자기유지회로가 원상태로 복구되고, 동시에 버저에 신호가 전달되어 확인음이 발생되어 도난방지모드가 해제를 알린다. 이후, 제 2 커넥터(302)의 2차 리셋 셀렉터를 통해 비밀번호를 재차 입력하면서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면 제 6 릴레이(308)의 자기유지회로가 원상태로 복구되면서 버저에 신호가 전달되어 확인음이 발생되면서 차량의 시동 회로가 정상적으로 북구되어 운전자는 정상적인 방법으로 차량의 시동을 켠 다음 주행하면 된다.
또한, 운행 중 운전자의 조작 실수로 인하여 또는 시동차단장치의 고장으로인하여 시동이 꺼졌을 경우에는 시동키의 위치를 최초 시동을 걸 때와 마찬가지로 ON상태에서 START방향으로 돌리면 IG-1 출력(OUT)과 제 4 커넥터(304)의 START가 제 6 릴레이(308)의 접점을 통하여 연결이 되므로 차량의 시동을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을 신속히 안전한 곳에 정차할 수 있게 되며 이후, 정상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경우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1 커넥터(301)의 제 1 동작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제 4 릴레이(305)가 작동되어 RF 근접 제어기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다. 일단 차량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타인이 차량의 문을 열게 되면, 제 2 커넥터(302)의 센서가 동작하게 되어 경고음이 발생된다.
상기 경고음을 듣고 운전자가 차량으로 접근하게 되면 전파 발신부(110)에서 발신된 전파를 차량에 부착된 전파 수신부(111)가 수신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경고음의 발생이 중단되며, 운전자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난방지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한다.
이 때, 상기 제 1 동작스위치는 전파발신부(110)를 휴대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되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며, 타인이 차량의 문을 강제로 열기 전까지는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방법을 첨부된 플로우 챠트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도난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이 켜진 채로 잠시 차량을 이탈할 경우, 운전자가 감지모드로 전환시켜 놓으면(S401),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의 동작 여부를 감지하여 강제적으로 차량 탈취의 시도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402).
상기 감지 결과, 브레이크 조작, 엑셀레이터 조작 등이 차량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 강제적으로 조작되었다고 판단되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S403) 차량의 시동을 차단한다.
이후, 비밀번호의 입력여부를 확인하여(S404), 비밀번호의 양, 부를 판단하고(S405), 그 결과 올바른 비밀번호이면 운전자라고 판단하여 도난방지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하고(S406), 만일 올바른 비밀번호가 아니면 현재 비밀번호 입력자가 운전자가 아닌 차량 탈취자라고 판단하여 2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S407), 시동이 더 이상 걸리지 않는다.
결국, 한번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만이 알고 있는 고유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할 수가 있으며, 잘못된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2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 차량 탈취는 더 어려워진다.
한편, 도 5는 화물을 적재한 차량의 경우 차량 및 화물의 도난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로서, 운전자가 휴대하고 있는 전파 발신부(110)와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전파 수신부(111)간에 전파의 발수신이 이루어져 운전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S501). 즉,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벗어나 있는지를 확인하여(S502), 소정 거리 내에 있으면 정상모드를 유지하고, 만일 소정거리를 벗어나면 자동적으로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다(S503).
차량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고 나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는 화물이 적재되어 있는 화물칸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S504), 강제로 화물칸의 문을 열려는 시도가 있는지를 체크하여(S505), 시도가 있으면 경고음 발생부(109)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키며(S506), 시도가 없으면 운전자가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까지 계속해서 도난방지모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경고음은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내로 접근할 때까지 계속되므로 운전자가 소정의 거리범위 내로 접근하였는지를 감지하여(S507), 접근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경고음을 발생하고, 운전자가 차량에 접근하였다고 판단되면 경고음 발생부에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더 이상이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S508). 이후, 운전자는 차량의 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도난방지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비밀번호 입력에 따른 도난방지모드의 정상모드로의 전환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도난방지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운전자가 차량에 시동키를 꽂아둔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 차량 탈취 시도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차량의 도난을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중에 자신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강압운전을 하게 되는 경우에도 적당한 장소에서 차량의 시동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여 차량의 고장으로 위장하여 차량의 도난 및 운전자의 신변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화물이 적재된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없는 상태에서 타인에 의해 화물칸의 도어가 열릴 경우, 자동으로 경고음을 발생함과 동시에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어 차량의 시동이 차단되거나 더 이상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운전자가 도난을 감지하여 화물 및 차량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14)

  1. 차량의 도난시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도난방지 전환수단;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도난방지모드 해제수단;
    긴급 상황에 따른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은,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동키의 조작 여부 및 브레이크, 엑셀레이터, 클러치 기능의 동작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의 도난시도가 감지될 경우,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는 시동차단부를 제어하여 시동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모드 전환수단은 상기 감지수단에서 차량의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이 동작할 경우 시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주파수의 전파를 발신하는 전파 발신부와,
    차량에 부착되어 소정거리 범위 내에서 상기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 수신부와,
    화물칸의 도어 개폐여부를 감시하는 센서와,
    센서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음 발생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현재 차량의 모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된 후에도 계속해서 도난시도가 감지되면 2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파 발신부는 운전자가 휴대하거나 원격시동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긴급도난방지모드 전환 및 해제수단은 긴급 상황시 원터치 스위치에 의해 도난방지모드로 전환되며, 오동작에 의한 도난방지모드 전환시 시동키를 ON상태에서 START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일시적으로 복원하여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감지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차량의 화물칸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도어가 열리는 경우,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음은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로 접근할 때까지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12. 운전자의 차량 이탈시 감지모드로 전환되는 제 1 스텝;
    비밀번호의 올바른 입력시에는 정상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 입력없이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이 동작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제 2 스텝;
    상기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여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제 3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텝은,
    비밀번호의 양, 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비밀번호가 올바르면 감지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하고, 비밀번호가 올바르지 않거나 상기 비밀번호의 입력없이 차량의 주행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능을 조작하면 차량의 시동을 차단하여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텝은,
    도난방지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의 양, 부를 판정하는 스텝과,
    비밀번호의 양, 부 결과에 따라 정상모드로 전환하거나 2차 도난방지모드로 전환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난방지 방법.
KR1020010018953A 2001-04-10 2001-04-10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Ceased KR200200788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53A KR20020078803A (ko) 2001-04-10 2001-04-10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953A KR20020078803A (ko) 2001-04-10 2001-04-10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803A true KR20020078803A (ko) 2002-10-19

Family

ID=27700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953A Ceased KR20020078803A (ko) 2001-04-10 2001-04-10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8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1A (ko) * 2002-11-16 2004-05-24 블루솔텍(주) 이모빌라이저 해제 기능을 가지는 도어 잠금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538U (ko) * 1993-02-18 1994-09-17 차량의 탈취·도난 방지시스템
KR19980019560A (ko) * 1998-03-28 1998-06-05 우영조 차량의 도난방지 및 탑승자 보호를 위한 무선 통신 장치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A Protection Against Thief And A Sighter Pretection In Vehicles)
KR19980029316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도난 방지 시스템
KR20000072877A (ko) * 1999-05-01 2000-12-05 오천석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모듈을 이용한 양방향원격시동 도난경보
KR20010009524A (ko) * 1999-07-10 2001-02-05 정석영 차량의 도난방지용 키 제어방법 및 키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0538U (ko) * 1993-02-18 1994-09-17 차량의 탈취·도난 방지시스템
KR19980029316A (ko) * 1996-10-25 1998-07-25 김영귀 도난 방지 시스템
KR19980019560A (ko) * 1998-03-28 1998-06-05 우영조 차량의 도난방지 및 탑승자 보호를 위한 무선 통신 장치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A Protection Against Thief And A Sighter Pretection In Vehicles)
KR20000072877A (ko) * 1999-05-01 2000-12-05 오천석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모듈을 이용한 양방향원격시동 도난경보
KR20010009524A (ko) * 1999-07-10 2001-02-05 정석영 차량의 도난방지용 키 제어방법 및 키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231A (ko) * 2002-11-16 2004-05-24 블루솔텍(주) 이모빌라이저 해제 기능을 가지는 도어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6649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CA2558492C (en) Immobilizer system for vehicles
US7081813B2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vehicle interface, and remote vehicle monitor
US6788189B2 (en) Vehicle antitheft device and program
US7599764B2 (en) Vehicle remote sta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registration process
US6373381B2 (en) Vehicle securit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213677B2 (ja) パワードアを備えた車両用盗難防止装置
EP1542888B1 (en) Motor vehicle immobilizer with key-in warning responsive to ignition state
JP38850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20020078803A (ko)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및 차량 도난방지 방법
US20050082913A1 (en) Vehicle antitheft system
JP3317887B2 (ja) 自動車の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499692B1 (ko) 리모콘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JPS6299240A (ja) 自動車の盗難警報装置
JP3523096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2005350990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0068034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시동방지 제어 장치
JP2006199268A (ja) 盗難防止装置
JP2000265720A (ja) 車両盗難犯閉じ込め装置
KR20010009524A (ko) 차량의 도난방지용 키 제어방법 및 키 제어장치
KR200154895Y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장치
JP2745796B2 (ja) 車両用盗難警報装置
KR200366757Y1 (ko) 자동차 도난방지 장치
KR200172069Y1 (ko) 차량의 도난방지용 키 제어장치
JPS621661A (ja) 無線式車両保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9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