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8282A -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282A
KR20020078282A KR1020010018588A KR20010018588A KR20020078282A KR 20020078282 A KR20020078282 A KR 20020078282A KR 1020010018588 A KR1020010018588 A KR 1020010018588A KR 20010018588 A KR20010018588 A KR 20010018588A KR 20020078282 A KR20020078282 A KR 20020078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arm bush
pipe member
vehicle
impro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8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282A/ko
Publication of KR20020078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28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35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haracterised by the sleeve of elastic material, e.g. having indentations or made of materials of different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내부파이프부재(8a)와 외부파이프부재(8c)사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8b)의 내부에 소정길이의 중간파이프부재(8d)가 압입되어져, 트레일링암 부시(8)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큰 진동 및 큰 충격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게 되고, 현가기능도 현격하게 증진되게 되며, 탑승자의 승차감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소음 및 주행성능도 향상되면서 NVH성능도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trailing arm bush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주행소음과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면서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suspention system)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로서 프런트서스펜션과 리어서스펜션으로 분류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서스펜션의 구성부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리어크로스멤버(1)와, 이 리어크로스멤버(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어퍼암(2) 및 로어암(3)과, 이 어퍼암(2) 및 로어암(3)의 끝단과 결합되면서 차륜(도시않됨)이 설치되는 리어액슬어셈블리(4)와, 이 리어액슬어셈블리(4)와 연결되면서 끝단이 차체에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된 트레일링암(5)과, 상기 리어액슬어셈블리(4)에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된 쇽업소버(6) 및 코일스프링(7)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암(5)의 끝단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도시않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으로는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차체로의 전달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트레일링암 부시(8)가 압입되어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춘 내부파이프부재(8a)와, 이 내부파이프부재(8a)에 의해 양측면 중앙부위가 관통되어 상기 내부파이프부재(8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8b)와, 이 완충부재(8b)의 외주면에 감싸여져 결합되는 외부파이프부재(8c)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는 자체적인 내구력이 약해 입력하중에 대한 현가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차체쪽으로 큰 진동 및 큰 충격등이 전달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이 나빠지게 됨은 물론 차체에 적재된 화물이 심하게 손상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는 자체적인 내구력이 약해 차량의 주행소음 및 주행성능이 감소되게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차량의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도 감소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는 자체적인 내구력이 약해 적은 진동 및 적은 충격등을 완충시키는 어느 특정부위나 또는 차종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될 뿐 큰 진동 및 큰 충격등을 완충시키는 다른 특정부위나 다른 차종에는 설치되지 못함으로써, 사용적인 측면에 있어 실용성이 감소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완충부재의 내부에 중간파이프부재가 압입되어져, 트레일링암 부시의 자체적인 내구력을 향상시켜 큰 진동 및 큰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차체에 적재된 화물이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차량의 주행소음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켜 NVH성능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트레일링암 부시의 자체적인 내구력을 향상시켜 큰 진동 및 큰 충격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종 및 현가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부위에도 설치가 가능하도록 된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파이프부재와 외부파이프부재사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의 내부에 소정길이의 중간파이프부재가 압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리어서스펜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트레일링암 부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 - 트레일링암 부시 8a - 내부파이프부재
8b - 완충부재 8c - 외부파이프부재
8d - 중간파이프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트레일링암 부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8)는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서스펜션을 구성하는 리어액슬어셈블리(4)의 끝단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리어서스펜션의 구성부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폭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리어크로스멤버(1)와, 이 리어크로스멤버(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한쌍의 어퍼암(2) 및 로어암(3)과, 이 어퍼암(2) 및 로어암(3)의 끝단과 결합되면서 차륜(도시않됨)이 설치되는 리어액슬어셈블리(4)와, 이 리어액슬어셈블리(4)와 연결되면서 끝단이 차체에 결합되어 설치되도록 된 트레일링암(5)과, 상기 리어액슬어셈블리(4)에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도록 된 쇽업소버(6) 및 코일스프링(7)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트레일링암(5)의 끝단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도시않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으로는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충시켜 차체로의 전달을 최소화시키도록 된 본 발명의 트레일링암 부시(8)가 압입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8)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을 갖춘 내부파이프부재(8a)와, 이 내부파이프부재(8a)에 의해 양측면 중앙부위가 관통되어 상기 내부파이프부재(8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고무재질의 완충부재(8b)와, 이 완충부재(8b)의 외주면에 감싸여져 결합되는 외부파이프부재(8c) 및, 상기 완충부재(8b)의 내부에 완충부재(8b)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압입되어 결합되는 중간파이프부재(8d)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완충부재(8b)의 내부에 중간파이프부재(8d)가 압입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8)는 도 2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보다 자체적인 내구력이 향상되게 되며, 이로 인해 큰 진동 및 큰 충격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트레일링암 부시(8)의 내구력이 향상되면 종래의 트레일링암 부시(8)가 장착된 차량보다 현가기능이 현격하게 증진되게 되며, 이로 인해 탑승자의 승차감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소음 및 주행성능도 향상됨은 물론 차량의 NVH성능도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8)가 큰 진동 및 큰 충격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게 되면 다양한 차종 및 현가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부위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적인 측면에 있어 실용성도 그만큼 증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링암 부시의 내구력이 향상되어 큰 진동 및 큰 충격도 충분히 완충시킬 수 있게 되고, 현가기능도 현격하게증진되게 되며, 탑승자의 승차감도 향상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주행소음 및 주행성능도 향상되면서 NVH성능도 증진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는 다양한 차종 및 현가기능이 요구되는 모든 부위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실용성이 증대되게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부파이프부재(8a)와 외부파이프부재(8c)사이에 결합되는 완충부재(8b)의 내부에 소정길이의 중간파이프부재(8d)가 압입되어 결합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파이프부재(8d)가, 상기 완충부재(8b)의 길이방향으로 압입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020010018588A 2001-04-09 2001-04-09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Ceased KR20020078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588A KR20020078282A (ko) 2001-04-09 2001-04-09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8588A KR20020078282A (ko) 2001-04-09 2001-04-09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282A true KR20020078282A (ko) 2002-10-18

Family

ID=277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588A Ceased KR20020078282A (ko) 2001-04-09 2001-04-09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2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57B1 (ko) * 2006-09-11 2008-02-1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아이
KR20160001855A (ko) 2014-06-27 2016-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KR20160022560A (ko) 2014-08-20 2016-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허니콤 구조의 하이브리드 이너코어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508A (ja) * 1981-12-07 1983-06-10 Nissan Motor Co Ltd 円筒形ゴムブツシユ
JPS58151725U (ja) * 1982-04-06 1983-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状弾性プツシユ
JPS58151726U (ja) * 1982-04-06 1983-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状弾性ブツシユ
JPS59113526U (ja) * 1983-01-20 1984-07-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ブツシユ
JPH02212638A (ja) * 1989-02-10 1990-08-23 Kurashiki Kako Co Ltd 非線形弾性ブッシュ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508A (ja) * 1981-12-07 1983-06-10 Nissan Motor Co Ltd 円筒形ゴムブツシユ
JPS58151725U (ja) * 1982-04-06 1983-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状弾性プツシユ
JPS58151726U (ja) * 1982-04-06 1983-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筒状弾性ブツシユ
JPS59113526U (ja) * 1983-01-20 1984-07-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ブツシユ
JPH02212638A (ja) * 1989-02-10 1990-08-23 Kurashiki Kako Co Ltd 非線形弾性ブッシュ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サスペンション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157B1 (ko) * 2006-09-11 2008-02-1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아이
KR20160001855A (ko) 2014-06-27 2016-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프레임 마운팅 부시
US9422003B2 (en) 2014-06-27 2016-08-23 Hyundai Motor Company Subframe mounting bush
KR20160022560A (ko) 2014-08-20 2016-03-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허니콤 구조의 하이브리드 이너코어어셈블리 및 그 제작방법
CN105383246A (zh) * 2014-08-20 2016-03-09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蜂窝结构的混合内核组件及其制作方法
US9506517B2 (en) 2014-08-20 2016-11-29 Hyundai Mobis Co., Ltd. Hybrid inner core assembly of honeycomb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36571B2 (en)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KR20120057143A (ko) 자동차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현가장치
KR101810997B1 (ko) 트레일링암 부시
KR20020078282A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00456887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부시 어셈블리
KR10084465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텐션암
KR100448784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KR20140026032A (ko) 보조 스토퍼를 구비한 트레일링 암 부시
KR100204901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20090055842A (ko) 자동차의 횡방향 유동 제어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0398197B1 (ko) 자동차용 프론트로어아암의 부시설치구조
KR100862423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KR0139694Y1 (ko) 자동차의 가변형 스트럿 바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28525U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20090010730A (ko) 자동차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9980038257U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암 부시
KR19980067848U (ko) 자동차의 세미트레일링암식 리어현가장치
KR20090052041A (ko) 차량용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9990020990U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시트
KR1998002912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시구조
KR19990052805A (ko) 리어 현가 장치의 토션 빔 액슬
KR20040006905A (ko) 차량의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8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8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