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2921A -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921A
KR20020072921A KR1020010012984A KR20010012984A KR20020072921A KR 20020072921 A KR20020072921 A KR 20020072921A KR 1020010012984 A KR1020010012984 A KR 1020010012984A KR 20010012984 A KR20010012984 A KR 20010012984A KR 20020072921 A KR20020072921 A KR 20020072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stant messenger
wireless terminal
short message
inst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범
Original Assignee
(주)이너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너베이 filed Critical (주)이너베이
Priority to KR102001001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2921A/ko
Publication of KR20020072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92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에스엠에스-엠오(SMS-MO : Short Message Service - Mobile Origination)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발신에 대해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의 메시지 전달임을 확인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임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임을 확인하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자인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를 파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수신자로 확인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ferring Message from Mobile Terminal to Instant Messenger using SMS-MO}
본 발명은 에스엠에스-엠오(SMS-MO : Short Message Service - Mobile Origination)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지를 연동하여 무선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IM : Instant Messenger) 사용자에게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에스엠에스-엠오(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와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MS는 이동전화 가입자들 간에 짧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문메시지서비스로부터 출발하였다.
이 서비스는 디지털 이동전화 가입자가 짧은 문장을 한글 또는 영어로 다른 이동전화 가입자에게 보내면 공중전화망이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통해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SMS는 △PC통신이나 인터넷에 접속해 이동전화 단말기로 메시지를 보내고 △같은 사업자에 가입한 단말기끼리 송수신하는 것 등 크게 두가지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SMS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단말기가 필요하며 음성통화를 하는 중에도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만약 가입자가 전원을 꺼놓아 메시지를 받을 수 없다면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해 두었다가 가입자가 다시 전원을 켜는 동시에 메시지 확인이 가능하다.
SMS는 기업형 SMS 또는 그룹통보 서비스 등으로도 불린다. 이제까지 일반 고객들이 메시지 전송을 위해 사용했던 서비스와는 달리 기업들이 고객서비스를 위한 각종 디엠(DM : Direct Mail), 요금청구서 등을 동시에 대량으로 발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SMS의 활용 영역을 기업으로 확대하였다. 이동전화서비스 입장에서는 메시지 전송량이 많은 기업 사용자를 확보함으로써 이제까지 부가서비스에 머물던 SMS를 통해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전에는 동일 회사의 가입자끼리만 가능하던 SMS가 점차 타사 서비스와의 연동 및 무선호출에서 이동전화, 무선데이터통신에 이르기까지 이동통신간에 단말기를 통해 자유롭게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
인스턴트 메시지는 인터넷상의 통신방식 중의 하나로 전자메일(e-mail)과 채팅·호출기·다자간 동시 통화 기능을 합쳐 놓은 것을 말한다. 국내에서는 '인터넷쪽지 서비스'라고도 한다.
e-메일은 상대방이 열어 보기 전에는 전달이 안되지만, 인스턴트 메시지는 보내는 즉시 상대방의 화면에 튀어나온다. 즉 채팅이나 전화처럼 실시간으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인스턴트 메시지는 인터넷 상에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수신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 대화에 한계가 있는 전자우편기능을 극복하였다.
이 서비스는 통신을 원하는 사람의 목록(buddy list)을 지정해 놓으면 상대방이 인터넷에 접속했는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클릭만 하면 바로 대화를 할 수 있고 자료도 보낼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는 1998년 미국 통신업체인 아메리카온라인(AOL)이 미라빌리스社를 인수한 이후 이 분야 시장에 주목하고 있는 것을 비롯해 야후, 인포시크 등 대형 검색엔진 업체와 액티버스, 잼소프트, 피플링크, 아이채트 등 10여개 외국 벤처기업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즉,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무선통신 분야에서 사용자간에 간단한 메시지의 전송에 이용되는 서비스이고,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통신 분야에서 사용자간에 메시지 전송에 이용되는 서비스이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무선 단말기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무선통신 서비스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었다. 특히, 왑(WAP), 엠이(ME : Mobile Explorer), 아이모드(I-mode) 등이 무선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이용방식으로 등장하였지만 SMS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도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는 인터넷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상에서 간단한 메시지의 전송 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채팅, 정보 공유 등 인터넷 생활에 있어 점차 그 역할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SMS와 인스턴트 메시지는 그 쓰임에 커짐에 따라 연동이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더 나아가 서로 구별없이 메시지 및 정보의 교환에 이용될 수 있기를 희망하게 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등에서 수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무선 단말기 식별번호(예 : 017-xxx-xxxx)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였을 뿐,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유선의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할 방법이 없어, 사용자들의 메시지 교환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유선의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는 수시로 무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반하여, 무선 단말기 사용자는 메시지 수신 후 이를 알리기 위해서는 직접 전화를 걸거나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알고 있는 발신자의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밖에 없어 원활한 메시지의 교환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간단한 답신에도 비용이 크게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발신에 대해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의 메시지 전달임을 확인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제공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발신에 대해 수신자의 식별번호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한 메시지 전달임을 확인하고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여 인스턴트 메시지 형태로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메시지에 대해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식별번호로 해당하는 수신자를 파악하고 수신자의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전달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단말기 11 :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
12 :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 13 : 유선 단말기
111 : 기지국 112 : 기지국 제어기
113 : 무선통신 교환기 114 :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
121 : 인스턴트 메신저 서버 122 : SMS 처리 서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임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임을 확인하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자인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를 파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수신자로 확인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과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점검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단계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의 단말기가 속한 통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이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방법은,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발송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한 전달 요청을 받는 제 1 단계; 엠오(MO : Mobile Origination) 메시지 핸들링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엠오 메시지 핸들링 서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하고 엠오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달하는 제 3 단계; 및 엠오 메시지 전송 서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아 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무선통신 교환기(MSC)에서 기지국(BTS)과 기지국 제어기(BSC)를 통해 전달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점검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의 단말기가 속한 통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이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5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발송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한 전달 요청을 받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수신자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전달받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무선 단말기(10),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11),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12) 및 유선 단말기(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11)는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11),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112), 무선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113),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114)를 포함하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인 인스턴트 메신저(IM) 서비스 제공자(12)는 인스턴트 메신저(IM) 서버(121)와 SMS 처리 서버(122)를 포함한다.
무선 단말기(10)는 셀룰라 이동통신, 피시에스(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지에스엠(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차세대 이동통신(IMT-2000)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뿐만 아니라 양방향 페이저,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등 무선을 통한 단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나타내며, 유선 단말기(14)도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 뿐만 아니라 인터넷 셋탑 박스, 웹 브라우징 단말기 등과 같이 유선 망을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이 가능한 단말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 환경에서 본 발명의 구현은 다음과 같다.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자는 무선 단말기(10)에 수신자의 식별번호와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수신자가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자인 경우는 인스턴트 메신저에 해당하는 식별번호를 송신자가 입력하게 된다.
기존에 무선 단말기(10)가 수신자 식별번호로 숫자만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설정에 따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이용자에게 부여되거나 선택된 숫자 식별번호를 가지고 수신자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달리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상호 설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호 설정에 따라 송신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10)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의 메시지 전송을 선택하고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선택 및 사용자 식별번호 입력을 수행하게 된다.
송신자가 무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전송한 메시지는 기지국(BTS, 111), 기지국 제어기(BSC, 112)를 거쳐 무선통신 교환기(MSC, 113)에서 수신한다.
무선통신 교환기(MSC, 113)은 무선 단말기(10)로부터의 호가 SMS 호임을 확인하고, 이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114)로 전송한다.
SMSC(114)는 전송받은 단문 메시지에 대해 수신자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10)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인 경우에는 해당하는 단문 메시지 처리 수단으로 이를 전송하여 처리하고,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인 경우에는 수신자 식별번호로 확인한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12)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SMSC(114)가 확인하는 수신자 식별번호는, 식별번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으로 식별번호의 앞자리에 위치하는 서비스 식별번호를 확인하게 된다. 예를 들어, 017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SMSC는 서비스 이용자인 "017-aaa-aaaa"가 "016-bbb-bbbb"로 보내는 단문 메시지 전송에 대해 해당 식별번호를 확인하고 016의 단문 메시지 처리 시스템으로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에는 수신자 식별번호의 앞자리에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를 나타내는 식별부호가 붙게 되므로 이를 통해 해당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를 확인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자 식별 방식은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협의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다음으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12)에게 전달된 무선 단말기(10)로부터의 단문 메시지는 IM 서비스 제공자(12)의 SMS 처리 서버(122)가 수신한다. 서로 다른 메시지 규격에 따라 호환이 필요한 경우에 이를 SMS 처리 서버(122)가 처리하여, IM 서버(121)를 통해 통상의 인스턴트 메시지와 마찬가지로 수신자에게 전달된다.
이는 무선 단말기(10)를 이용하는 송신자가 최초로 메시지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보내는 경우이다. 이와 달리,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10)로 단문 메시지를 보내면, 이에 대해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회신"을 의미하는 버튼을 누르고, 자신이 보내고자하는 응답 메시지를 입력하여 발송하면, 이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로부터 무선 단말기(10)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가 가능하므로, 이 상태에서 발신자 정보와 수신자 정보의 위치를 바꿔 전송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무선 단말기(10)로 전달되는 단문 메시지에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의 상세 정보가 첨부될 수 없는 경우에는 기존에 전달된 메시지의 회신이므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송신자와 수신자의 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응답메시지임을 확인하여 해당 수신자의 상세 정보를 덧붙여 발송함으로써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전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이용되는 단말기에 있어서 연락처를 저장할 때, 수신자의 집, 직장 전화번호, 팩스 번호 등을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메일 주소, 인스턴트 메신저 식별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수신자의 인스턴트 메신저 식별번호를 선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받아 인스턴트 메신저 식별번호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 수신자 식별번호에 대해 좀 더 설명한다. 수신자 식별번호는 무선 단말기에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식별번호이다. 이에는 상기한 것처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식별번호와 해당하는 특정 사용자 식별번호가 포함되는데, 숫자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들 상호간의 규약과 무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지원에 따라 그 외의 다른 형식으로 식별번호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때,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메신저를 이용하면서 사용하는 아이디와 무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수신자 식별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는 수신자 식별번호와 메신저 아이디를 연동시키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연계를 통해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메시지 수신 설정을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인스턴트 메신저로 전달된 자신의 메시지를 무선 단말기로 포워드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AWAY" 상태에는 자신에게 오는 메시지를 "SMS 로밍서비스"로 설정하면, 그러한 상태에서 날라온 메시지는 다시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보내어지는 것이다. 즉, 메신저 사용자가 자신이 인스턴트 메신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신에게 보내온 모든 인스턴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형태로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보내달라는 설정을 하게 되고, 그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보내지는 모든 메시지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로 보내지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다른예시도이다.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단말기가 수신하는 메시지를 엠티 메시지(MT message : Mobile Terminal message)라 하고, 무선 단말기가 발신하는 메시지를 엠오 메시지(MO message : Mobile Origination message)라 한다. 상기한 것처럼 MT메시지는 기존에도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수신이나 인터넷을 통한 메시지 수신이 모두 원활히 수행되었다.
그러나, 무선 단말기가 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MO 메시지의 전달은 원활히 이루어졌지만, 무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한 유선 단말기로의 MO 메시지 전달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도 2 에서는 SMS와 MO 메시지를 처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하여, 유선 단말기인 클라이언트와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 사이에 메시지 송수신을 설명한다.
도 2 에 제시된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클라이언트(21), SMS 수신 서버(22), SMS 전송 서버(23),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24), MO 핸들링 서버(25), MO 전송 서버(26) 및 SM 트랜잭션 관리 서버(27)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Client, 21)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가 이용하는 유선 단말기를 말하는데, 이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에게 전송할 메시지에 대해 입력하게 된다.
SMS 수신 서버(SMS Receiving Server, 22)는 클라이언트(21)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전송될 메시지를 수신하여, SMS를 통한 단문 메시지 전달에 대해 SM 트랜잭션 관리 서버(SM Transaction Managing Server, 27)로 통지하여, SM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SM Transaction Database)에서 이를 기록 관리하도록 한다.
SMS 전송 서버(SMS Transmission Server, 23)는 SMS 수신 서버(22)로부터 무선 단말기로 전송될 클라이언트(21)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Wireless Carrier's Network, 24)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때, 전달되는 메시지가 MT 메시지임을 알리고, 이에 따른 변환이 필요한 경우 이를 처리하여 메시지를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24)로 전달한다.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24)에서는 수신한 메시지에 대해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게 된다.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보내지는 메시지는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24)가 받아 MO 메시지로 SMS 전송 서버(23)로 전달한다.
SMS 전송 서버(23)는 수신한 MO 메시지에 대해 확인하고, 이를 MO 핸들링 서버(MO Handling Server, 25)로 전달한다.
MO 핸들링 서버(25)는 수신한 MO 메시지에 대해 SM 트랜잭션 관리 서버(27)로 통지하여, SM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SM Transaction Database)에서 이를 기록 관리하도록 한다.
MO 전송 서버(MO Transmission Server, 26)는 MO 핸들링 서버(25)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무선 단말기로부터 MO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하는 클라이언트(21)로 이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간의 메시지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도 2 에 나오는 통신 시스템의 구현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메시지의 전달에 있어서도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로의 메시지 전달 및 메시지 수신에 대해 각각을 분리하여 별도의 전송 서버와 수신 서버가 이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전송 서버와 수신 서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장치가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에서는 무선 단말기, 인스턴트 메신저,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 및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를 망라하여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도 4 에서는 이를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메시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도 5 에서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입장에서 메시지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우선,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무선 단말기를 통해 단문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301). 즉,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수신자 식별번호와 단문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고, 이에 대한 전송을 요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것처럼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의 경우에는 응답 메시지임과 발송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입력되게 된다.
다음으로,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기지국(BTS)과 기지국 제어기(BSC)를 거쳐 무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한다(302).
이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이뤄지는 일련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으로, 무선 단말기에서 보내어진 메시지는 일단 기지국(BTS)에서 수신되고,이는 몇 개의 기지국을 묶어서 관리하고 있는 기지국 제어기(BSC)를 거쳐 무선통신 교환기(MSC)에 전달된다. 이렇게 무선통신 교환기(MSC)에 전달된 메시지는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단문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이를 처리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보내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무선통신 교환기(MSC)의 역할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호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스위칭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전화 호인 경우 내부망인지 외부망인지의 여부 등을 구별하여 호 연결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무선통신 교환기(MSC)로부터 단문 메시지를 전달받은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메시지 전송임을 확인하고(303),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에게 무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의 단문 메시지를 전달한다(304). 즉,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무선통신 서비스에 있어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생하는 단문 메시지 전송에 대해 첨부된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단문 메시지 분류를 하고, 해당하는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수신자 식별번호의 식별코드를 통해 이를 확인하고, 단문 메시지를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의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부터 전달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다(305).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도 무선통신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전달되는 단문 메시지에 대해 처리를 수행해야할 서버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본 발명에 대한 일실시예에서는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로 하여 설명하게 된다.
무선 인터넷에 있어서 경우에 따라 게이트웨이가 필요한데, 이는 무선통신망과 유선통신망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데이터 전달 체계가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중계 역할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를 상호 호환되도록 중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를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에서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의 역할은 선택적인 것으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이러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 측의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는 전달받은 단문 메시지에 대해 수신자를 확인하고(306),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를 통해 해당하는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307).
여기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와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의 분리는, 기존에 인스턴트 메시지를 처리하는 서버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를 별도로 보았기 때문으로, 이는 실제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좀 더 보충하여 설명하면,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에 도달하는 것에 대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수신자의 설정 상태를 파악하고, 해당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의 포워딩을 신청한 경우에는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포워딩시키게 된다.
또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가 수신자의 설정을 확인한 결과,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전자메일 형태로 수신하기를 희망하였으면 이에 따라 전자메일로 전송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자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자신의 무선 단말기로 SMS를 통해 메시지 전달을 설정하였으면,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는 수신자 식별정보를 변경하여 다시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로 보내고,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에서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로 발송하게 된다.
즉, 인스턴트 메시지 서버가 수신자의 이용 상태 및 설정 상태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4 에서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도 2 의 통신 시스템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우선, 무선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무선 단말기에서 보내진 인스턴트 메시지의 전달을 요청받는다(401).
이렇게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는 MO 핸들링 서버에 전달되어(402), MO 핸들링 서버가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고, MO 전송 서버로 전달한다(403).
MO 전송 서버는 MO 핸들링 서버로부터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고(404), 첨부된 수신자 식별번호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405).
여기서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 처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는 수신자 식별번호가 숫자로 구성되어 전달될 수 있다는 점과 서로간에 메시지 규약의 차이로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메시지가 그대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것처럼 메시지 호환을 위해 중계하는 역할이 필요하다. 또한, 숫자로 된 식별번호에 대해서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제2의 아이디로 부여하여 전체적으로 통용되도록 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고,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부여된 숫자 아이디에 대해 서버에서 이를 확인하여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SMS-MO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5 에서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이루어지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메시지 전달을 설명한다.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한다(501). 이때, 무선 단말기는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로, 기지국 제어기는 무선통신 교환기로 전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확인하여 단문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 메시지에 대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송한다(502).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 메시지를 무선통신 교환기(MSC)로부터 전달받고,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확인하여(503),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인지를 판단한다(504).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무선 단말기가 속한 무선통신 서비스를 확인하고(505), 해당하는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자와 연동하여 단문 메시지를 수신자에게 전송하게 된다(506). 물론, 동인한 무선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라 다시 수신자에게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판단한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맞으면,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제공자의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로 무선 단말기에서 발신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507), 단문 메시지 처리 서버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에 대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한다(50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단문 메시지 발신에 대해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로의 메시지 전달임을 확인하고 이를 수신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간에 메시지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여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 사이에 연속적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며, 이를 바탕으로, 비투비(B2B), 비투시(B2C) 등 다양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여 무선 단말기가 발신하는 MO 메시지의 수요 증가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로의 MT 메시지 수요 증가도 함께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스턴트 메신저로의 메시지 전송에 있어 수신자 식별번호를 숫자로 하는 등의 접근으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무선통신망에 커다란 변화없이 손쉽게 무선통신 서비스와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의 연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여 단문 메시지 전송임을 확인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임을 확인하고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를 확인하여 메시지 수신자인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를 파악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수신자로 확인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 : ShortMessage Service Center)가 호 분석을 통해 단문 메시지임을 확인한 무선통신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5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상기 단문 메시지에 첨부된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수신자가 이용하는 통신 서비스를 점검하는 제 6 단계;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상기 단문 메시지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임을 확인하는 제 7 단계;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는,
    상기 수신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번호와 상기 수신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내에서 상기 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수신자로 확인된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의 메신저 서비스 이용 상태 및 설정을 점검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을 수행하여야 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포워딩 주소로 전달하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숫자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신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된 단문 메시지(SMS-MT message)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7.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과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통신 교환기(MSC)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하는 제 2 단계;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가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점검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의 단말기가 속한 통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3 단계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이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는,
    상기 수신자가 이용하는 서비스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 식별번호와 상기 수신자가 이용하는 서비스 내에서 상기 수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숫자로 이루어진 식별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는,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된 단문 메시지(SMS-MT message)에 대한 상기 무선 단말기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10.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에 있어서,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발송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한 전달 요청을 받는 제 1 단계;
    엠오(MO : Mobile Origination) 메시지 핸들링 서버가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엠오 메시지 핸들링 서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하고 엠오 메시지 전송 서버로 전달하는 제 3 단계; 및
    엠오 메시지 전송 서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아 수신자를 확인하고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상기 수신자에 대한 숫자 식별번호를 포함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는,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송된 단문 메시지(SMS-MT message)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엠오 메시지 전송 서버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받아 수신자를 확인하고 상기 수신자의 인스턴트 메신저 이용 상태 및 설정을 점검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달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메시지에 대해 포워딩을 수행하여야 하면, 상기 메시지에 대한 포워딩 주소를 확인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포워딩 주소가 다른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디이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디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8 단계;
    상기 제 7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포워딩 주소가 전자메일 주소이면, 해당하는 전자메일 주소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9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확인 결과, 상기 포워딩 주소가 무선 단말기 식별번호이면,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해당하는 무선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제 10 단계
    를 포함하는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 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14.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무선통신 교환기(MSC)에서 기지국(BTS)과 기지국 제어기(BSC)를 통해 전달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제1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단문 메시지(SMS-MO message)에 대해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로 전달하는 제 2 기능;
    상기 무선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SMSC)에서 상기 단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점검하여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인지를 확인하는 제 3 기능;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가 아니면 단문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의 단말기가 속한 통신 서비스를 파악하고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수신자에게 전달하는 제 4 기능; 및
    상기 제 3 기능의 확인 결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전달될 단문 메시지이면, 해당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단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으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5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5. 프로세서를 구비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무선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발송된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한 전달 요청을 받는 제 1 기능;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의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수신자를 확인하는 제 2 기능;
    전달받은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에 대해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기록하는 제 3 기능; 및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통해 확인된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자에게 상기 인스턴트 메시지를 전달하는 제 4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10012984A 2001-03-13 2001-03-13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Ceased KR200200729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84A KR20020072921A (ko) 2001-03-13 2001-03-13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984A KR20020072921A (ko) 2001-03-13 2001-03-13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921A true KR20020072921A (ko) 2002-09-19

Family

ID=27697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984A Ceased KR20020072921A (ko) 2001-03-13 2001-03-13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292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33A (ko) * 2002-03-08 2002-04-13 김규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63846A (ko) * 2002-01-24 2003-07-31 김헌 유/무선 연동형 인스턴트 메시지 통합 관리방법
KR20040006174A (ko) * 2002-07-11 2004-01-24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무선단말기 이용자에 대한 인스턴트 메시지 전달 방법
WO2005015891A1 (en) * 2003-08-07 2005-02-1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The system and method implementing network telephone communication by applying the instant messenger
WO2006057543A1 (en) * 2004-11-29 2006-06-01 Hyon-Seog Se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service in realtime using sms between internet messeng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7376B1 (ko) * 2007-05-16 2008-02-28 (주)티아이스퀘어 음성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용한 mo/mt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65002B1 (ko) * 2007-07-03 2008-10-23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Mo 서비스를 이용한 다자간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동작 방법
US9647872B2 (en) 2002-11-18 2017-05-09 Facebook, Inc. Dynamic identification of other users to an online us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7394A1 (en) * 1995-12-01 1997-06-04 ALCATEL BELL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ail transmission as short messages towards a mobile radio terminal
WO1998011744A1 (en) * 1996-09-16 1998-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263493B1 (ko) * 1997-10-15 2000-08-01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네트워크를이용한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20000063924A (ko) * 2000-08-10 2000-11-06 김숙자 인터넷과 핸드폰 통합 사이버 폰
KR20010057674A (ko) * 1999-12-23 2001-07-05 정용문 인터넷 인스턴트 메신저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양방향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77394A1 (en) * 1995-12-01 1997-06-04 ALCATEL BELL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mail transmission as short messages towards a mobile radio terminal
WO1998011744A1 (en) * 1996-09-16 1998-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ata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263493B1 (ko) * 1997-10-15 2000-08-01 스테븐 디.피터스 무선네트워크를이용한인터넷접속휴대통신장치및방법
KR20010057674A (ko) * 1999-12-23 2001-07-05 정용문 인터넷 인스턴트 메신저와 이동통신단말기간에 양방향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KR20000063924A (ko) * 2000-08-10 2000-11-06 김숙자 인터넷과 핸드폰 통합 사이버 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846A (ko) * 2002-01-24 2003-07-31 김헌 유/무선 연동형 인스턴트 메시지 통합 관리방법
KR20020027433A (ko) * 2002-03-08 2002-04-13 김규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유무선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06174A (ko) * 2002-07-11 2004-01-24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무선단말기 이용자에 대한 인스턴트 메시지 전달 방법
US9647872B2 (en) 2002-11-18 2017-05-09 Facebook, Inc. Dynamic identification of other users to an online user
WO2005015891A1 (en) * 2003-08-07 2005-02-17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The system and method implementing network telephone communication by applying the instant messenger
WO2006057543A1 (en) * 2004-11-29 2006-06-01 Hyon-Seog Seo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i-directional service in realtime using sms between internet messeng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7376B1 (ko) * 2007-05-16 2008-02-28 (주)티아이스퀘어 음성 단문 메시지 또는 영상 메시지를 이용한 mo/mt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65002B1 (ko) * 2007-07-03 2008-10-23 주식회사 엘지데이콤 Mo 서비스를 이용한 다자간 채팅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590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ail and a push mail server
CN100477706C (zh) 移动网络消息到电子邮件的重定向
JP4440779B2 (ja) Smsおよび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KR100779012B1 (ko) 타 메신저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1143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Transmission of Multimedia Data
US8238949B1 (en) International text messaging bridge system
KR20020072921A (ko) 에스엠에스-엠오를 이용한 무선 단말기와 인스턴트메신저의 메시지 전송 방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KR100975439B1 (ko) 이동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특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가지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JP2009296100A (ja) メッセージ通信処理方法、メッセージ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RU220505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массовых развлечений
KR100275479B1 (ko) 단문메시지서비스에서 발신전화번호를 이용한 응답메시지 전송방법
JP5255915B2 (ja) メール送信処理方法及び通信端末装置
KR20030088154A (ko) 무선 인스턴트 메신저에 의한 메시지 전달 방법 및 그시스템
KR20040054070A (ko) 통합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824320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합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30021771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채팅방법
KR20070023469A (ko) 아이디를 이용한 통합 메시지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JP2009296099A (ja) 電話通信処理方法、電話通信処理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0618402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발신 메시지 저장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22527A (ko) 무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회신메시지 전송방법
KR100863051B1 (ko) 메시지 읽음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