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413A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2413A KR20020072413A KR1020010012346A KR20010012346A KR20020072413A KR 20020072413 A KR20020072413 A KR 20020072413A KR 1020010012346 A KR1020010012346 A KR 1020010012346A KR 20010012346 A KR20010012346 A KR 20010012346A KR 20020072413 A KR20020072413 A KR 200200724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electronic device
- adapter
- bluetooth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병렬포트 연결부와;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병렬포트 연결부에 연결된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어댑터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ROM 및 RAM과;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미리 프로그램된 논리 로직회로의 프로그래밍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내부 회로를 프로그래밍하여 각종 논리회로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CPLD부와; 한 쌍의 전자기기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을 생성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완전하게 전송/수신하기 위해 중앙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중앙처리부로 출력하는 UART(또는 USB)부와; UART(또는 USB)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술이 내장된 전자기기를 구입하여 사용함에 따른 비용 부담을 해소할 수 있고, 블루투스 기술을 전자기기 내에 직접 적용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전자기기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PC, 프린터,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 이외에 홈 오토메이션 등의 제어기기에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한 한 쌍의 어댑터 장치를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두 개의 전자기기의 병렬 포트에 각각 연결하고,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에 접속된 어댑터 장치를 통해 블루투스 방식으로 다른 전자기기에 접속된 어댑터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데이터 통신의 기술이 크게 발전되면서 1993년 적외선 통신 협회(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서 전자기기간에 적외선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 표준이 제정되었으며, IrDA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 프린터, 휴대용 통신기기 등의 전자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상술한 IrDA란 케이블없이 적외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무선 적외선 방식의 IrDA 통신포트는 간이 LAN과 맞먹는 수준인 초당 11만 5천 2백비트의 디지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한 문서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 무리가 없으며,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는 4Mbps, 최대 전송거리는 1m이다.
따라서 IrDA 통신 기능이 포함된 노트북 PC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들은 데스크톱 PC의 적외선 포트를 향해 노트북 PC를 펼쳐놓고 데이터 송신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원하는 곳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상호간을 케이블로 연결하지 않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는 적외선을 통과하지 않는 차폐물이 가로막혀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기기간의 거리를 가까이 위치하게 하여야 함은 물론, 직선의 거리에 서로 마주보게 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주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무선 데이터 통신시 에러가 발생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은 대용량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 적합하지 않음은 물론, 데이터 전송속도 또한 느린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 와서 상술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어 스웨덴의 에릭슨, 미국의 IBM과 인텔, 핀란드의 노키아, 일본의 도시바 등이 개발중인 무선 데이터 통신 규격의 개발코드명인 '블루투스'라는 무선 데이터 통신에 대한 공통의 규약이 마련되었으며, 연구 개발의 결과 블루투스를 실제 제품에 적용하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상술한 블루투스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이동 단말기와 컴퓨터, 가전제품 등을 복잡한 케이블 없이도 상호간을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양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벽이나 가방을 통과하여 시야가 보이지 않는 곳까지도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한쪽 방향만 사용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방위를 모두 지원해 주며, 네트워킹에서 TCP/IP의 쉬운 통합을 위해 등시성과 비동기 서비스 모두 지원해 준다.
그리고, 최대 통신 거리는 10m를 커버하는 범위(전송 파워를 증가 시키면 100m까지 확장이 가능)로 사무실이나 아파트 등의 실내에서 무선 네트워크로 복잡한 케이블 없이 양방향 실시간 통신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지금 현재 데이터 전송율은 1Mbps로 향후 2Mbps 또는 그 이상으로 업그레이드될 전망이다.
이때, 상술한 1Mbps는 사용자가 별다른 면허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2.4G㎐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帶)를 사용해 비교적 손쉽게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는 전송속도이다.
또한, 블루투스는 음성 부호화 방식인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를 채용해 문자 데이터의 전송은 물론 음성 전송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기술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술한 IrDA 방식과 비교할 때 블루투스가 갖는 가장 큰 특징은, 휴대용 통신기기를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은 채로 다른 통신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IrDA 방식과 블루투스 방식의 차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블루투스 방식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PC나 휴대 전화와의 케이블 접속 등과 같은 번거로운 절차없이 일정 거리 안에서는 어떤 상태에서든 그대로 전송할 수 있지만, IrDA 방식에서는 케이블 접속 없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점은 블루투스와 동일하지만 적외선을 통과하지 않는 차폐물이 가로막고 있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조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술한 블루투스 방식에 있어서, 블루투스 방식을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IrDA 방식과는 달리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며, 현재 블루투스 방식을 직접 전자기기에 내장하는 방법 이외에 블루투스 기술을 적용한 별도의 어댑터 장치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 기존의 전자기기와의 호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블루투스 기술이 내장된 전자기기를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술을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전자기기 내에 직접 적용할 필요없이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한 쌍의 어댑터 장치를 별도로 제작한 후, 한 쌍의 어댑터 장치를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을 수행하는 두 개의 전자기기의 병렬 포트에 각각 연결하고, 어느 하나의 전자기기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에 접속된 어댑터 장치를 통해 블루투스 방식으로 다른 전자기기에 접속된 어댑터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4 내지 도 8은 도 3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 어댑터 장치 110 : 병렬포트 연결부
120 : 중앙처리부 130 : ROM
140 : RAM 150 : CPLD부
160 : UART(또는 USB)부 170 : 블루투스 모듈
200 : PC 300 : 프린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는, 특정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어댑터 장치에 있어서, 어댑터 장치를, 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병렬포트 연결부와;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병렬포트 연결부에 연결된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와; 어댑터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ROM 및 RAM과;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미리 프로그램된 논리 로직회로의 프로그래밍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내부 회로를 프로그래밍하여 각종 논리회로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CPLD부와; 한 쌍의 전자기기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을 생성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완전하게 전송/수신하기 위해 중앙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중앙처리부로 출력하는 UART(USB)부와; UART(USB)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은, 특정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어댑터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1) 어댑터 장치의 중앙처리부에서 어댑터 장치의 시스템 상태를 초기화하는 과정과; (2) 시스템 초기화가 이루어지면, 어댑터 장치의 중앙처리부에서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된 블루투스 기술에 따른 전송 또는 수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태스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3) (2) 과정에서 생성된 태스크에 따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A, B 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A, B 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어댑터 장치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포트 연결부(110)는 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중앙처리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한다.
중앙처리부(CPU)(120)는 병렬포트 연결부(100)를 통해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병렬포트 연결부에 연결된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ROM(130)과 RAM(140)은 어댑터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부(150)는 병렬포트 연결부(110)를 통해 미리 프로그램된 논리 로직회로의 프로그래밍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내부 회로를 프로그래밍하여 각종 논리회로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한다.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또는 USB)부(160)는 한 쌍의 전자기기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을 생성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완전하게 전송/수신하기 위해 중앙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중앙처리부(120)로 출력한다.
상술한 UART 방식은 저속이지만 간단하게 장치들간에 통신을 하는 방법으로서, 클럭에 대한 정보를 보내지 않고 데이터만을 전송하며, 하나의 문자를 한 번에 전송하는 방식이다.
블루투스 모듈(170)은 UART(또는 USB)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다.
이때, 상술한 어댑터 장치(100)는 데이터를 입/출력 또는 송/수신할 수 있는 한 쌍의 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기존의 전자기기를 통해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블루투스가 적용된 전자기기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PC(200)와, PC(2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쇄하는 프린터(300)의 병렬 포트에 블루투스 방식에 따른 어댑터 장치(100)(100A)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PC(200)로부터 인쇄할 특정 데이터가 입력되면, PC(200)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에서 블루투스 방식으로 인쇄할 데이터를 프린터(300)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 전송하며, PC(200)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은 어댑터 장치(100A)에서 프린터(300)로 특정 데이터를 출력하여 인쇄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어댑터 장치(100)(100A)가 연결된 한 쌍의 전자기기로 PC(200)와 프린터(300)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아니며, 그 이외에 PC와 휴대용 통신기기(이동전화, 노트북), 휴대용 통신기기와 제어장치(홈 오토메이션), PC와 제어장치(홈 오토메이션) 등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어댑터 장치(100)(100A)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하드웨어 구동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으로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한다.
* 다중 쓰레드 지원 - 전자기기 입력과 블루투스 모듈 입/출력 등을 동시에 병렬로 처리함으로써 성능을 극대화한다.
* 메모리 관리 - 내부 처리를 위한 버퍼 등을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내부 데이터 처리를 문제없이 수행하도록 한다.
* 인터럽트 관리 - 비동기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입/출력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도록 한다.
* 기본 입/출력 인터페이스 - 전자기기(PC) 입력을 위한 센트로닉스 인터페이스(centronics interface)(미국의 센트로닉스 회사가 정한 개인용 컴퓨터와 프린터의 접속장치)와 블루투스 입/출력을 위한 USB 인터페이스를 처리한다.
또한, 블루투스 규격 1.0b에 의한 호스트 컨트롤러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어댑터 장치(100)(100A)의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HCI)는, 하드웨어 시스템과 블루투스 모듈과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연동방법을 구현한 부분으로서, 블루투스 규격에는 RS-232, UART, USB 등이 정의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어댑터 장치(100)(100A)는 USB 규격 1.1에 의한 소자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행하는 바, 블루투스 USB 노드로서 동작하고 어댑터 장치(100)(100A)에 내장된 USB는 호스트로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블루투스 규격 1.0b에 의한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되는 어댑터 장치(100A)와 링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구현한 부분인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은, 프로토콜 멀티플렉싱, 데이터 분할/결합을 담당하여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하는 전자기기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만들어 주고, 데이터를 완전하게 전송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어댑터 장치(100)(100A)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는 한 쌍의 전자기기 사이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PC에서 출력된 인쇄 데이터를 프린터가 처리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가 처리되는 과정을 분리시켜 기존의 인쇄 절차에 따라 인쇄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하며, 인쇄 시작/종료, 프린터 상태에 대한 질의/응답, 인쇄 데이터 송수신, 인쇄 결과여부 등의 기능을 담당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편의상 상술한 도 2의 사용 상태에서 PC(200)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 장치(100)의 구동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어댑터 장치(100)의 중앙처리부(120)는 어댑터 장치(100)의 시스템 상태를 초기화한다(S100). 즉, 다음과 같은 일련의 시스템 상태의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 프로세서 스타트 업(start-up) 코드로 점프
- 인터럽트를 비활성화
- 라지 메모리 모델용 레지스터를 설정
- 메모리를 초기화
- 인터럽트 벡터 테이블을 초기화
- 프로세스 테이블을 초기화
- 내부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 시스템 클럭 초기화
- 입/출력 디바이스 초기화
- 채널 A 입/출력 태스크 생성
- 채널 B 입/출력 태스크 생성
- 인터럽트 활성화
이처럼, 상술한 과정(S100)을 통해 어댑터 장치(100)의 시스템 상태를 초기화한 후, 어댑터 장치(100)의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된 블루투스 기술에 따른 전송 또는 수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태스크를 생성한다(S200). 즉, 다음과 같이 일련의 태스크를 생성하는 것이다.
- 어플리케이션 태스크 생성
- 태스크 우선순위를 하위로 조정
- 무한루프(더미(dummy) 태스크로 전환), 이때, 더미 태스크는 주기적으로 주요 변수들에 대한 워치독(watchdog) 기능을 수행
- 스케줄러에 의하여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 이양
- 어느 한 시점에서 수행하여야 할 태스크가 없는 경우 제어권을 가짐
이후, 어댑터 장치(100)의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상술한 과정(S200)에서 생성된 태스크에 따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A, B 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A, B 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어댑터 장치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를 수행한다(S300 내지 S700).
그리고, 상술한 과정(S300 내지 S700)들은 어댑터 장치(100)가 사용자에 의해 전자기기에서 해제될 때까지 무한 반복된다(S800).
이때, 상술한 과정(S300 내지 S600)에서, 채널 A의 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어댑터 장치에서 다른 어댑터 장치로 전송될 데이터이며, 채널 B의 데이터는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이다.
한편, 상술한 과정(S300)의 채널 A 데이터에 대한 입력처리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채널(입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한 후(S310),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된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검사하여 버퍼에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320).
판단 결과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330),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한다(S340).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한 이후,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고(S350),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360).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고(S370),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한다(S380).
또한, 상술한 과정(S400)의 채널 A 데이터에 대한 출력처리를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채널(출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한다(S41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출력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S420), 대기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S430).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440). 이때, 출력 버퍼에 여분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그리고,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S450).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 해당 데이터의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고(S460),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한다(S470).
이제, 상술한 과정(S300, S400)의 채널 A 데이터에 대한 입/출력 처리 이외에, 상술한 과정(S500)의 채널 B 데이터에 대한 입력처리를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채널(입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한후(S510),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검사하여 버퍼에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S520).
판단 결과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530),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한다(S540).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한 이후,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고(S550),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560).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고(S570),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한다(S580).
또한, 상술한 과정(S600)의 채널 B 데이터에 대한 출력처리를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중앙처리부(120)에서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채널(출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한다(S610).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출력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며(S620), 대기 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한다(S630).
판단 결과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요청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640). 이때, 출력 버퍼에 여분의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의 데이터 전송을 종료한다.
그리고,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된 전자기기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한다(S650).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된 전자기기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A)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고(S660),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한다(S670).
한편, 상술한 과정(S700)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 수행과정을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한 쌍의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 장치(100)(100A)의 A 또는 B의 입/출력 채널을 오픈하고(S710), 블루투스 메모리 관리자 초기화, 블루투스 송신 또는 수신 태스크 생성,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HCI)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PRNTP) 초기화 등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를 초기화한다(S720).
그리고, 어댑터 장치(100)(100A)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태스크를 생성하여 구동하고(S730),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100)(100A)의 구동이 중지될 때까지 상술한 단계(S710) 이후를 무한 반복하여 수행한다(S740).
상술한 단계(S730)를 어댑터 장치(100A)가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를 예로 설명하면, 전자기기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태스크를 생성한 후, 어댑터 장치(100A)가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의 상태를 1초 주기로 읽어들인다. 에러가 발생된 경우 LED에 장애 발생을 경보하며, 에러 조치 후 정상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상술한 단계(S720)의 블루투스 송신 또는 수신 태스크 생성단계는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도 9 참조)
즉, 메모리 버퍼 풀 할당, 메모리 관리를 위한 큐 구조체 초기화 등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메모리 관리자를 초기화하고(S721), 블루투스 송신 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태스크를 생성한다(S722).
이후,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블루투스 모듈에 리셋 명령어 전송, 블루투스 버퍼 크기 쿼리(query) 명령어 전송, 모듈 버퍼 크기에 맞게 흐름제어 변수 조정 등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고(S723),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자신의 블루투스 모듈 어드레스 확인, 프로토콜 멀티플렉싱을 위한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 등록 등을 수행하여 링크 레벨 프로토콜을 초기화한다(S724).
그리고,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콜백함수 지정,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에 자신의 프로토콜 아이디 등록 등을 수행하여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을 초기화한다(S725).
또한, 상술한 단계(S722)에서 블루투스 수신 태스크는 다음의 단계를 수행한다(도 10 참조).
즉, 어댑터 장치(100)가 연결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7221),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면,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을 구성한다(S7222).
그리고,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의 구성작업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고(S7223),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의 구성작업이 종료되면,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유효한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7224).
판단 결과,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유효하면, 해당 패킷이 이벤트 패킷과 ACL 패킷중 어느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7225).
판단 결과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이벤트 패킷이면, 이벤트 패킷 처리를 수행하며(S7226), 상술한 단계(S7225)의 판단 결과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ACL 패킷이면, ACL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S7227).
이때, 상술한 단계(S7227)의 ACL 패킷 처리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도 11 참조)
즉, ACL 패킷이 유효한 링크 레벨 프로토콜 패킷인지를 판단하고(S7227a), ACL 패킷이 유효한 링크 레벨 프로토콜 패킷이면, ACL 패킷이 시그널 패킷인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7227b).
판단 결과, 유효한 링크 레벨 프로토콜 패킷인 ACL 패킷이 시그널 패킷이면 시그널 패킷 처리를 수행하며(S7227c), ACL 패킷이 데이터 패킷이면 데이터 패킷 처리를 수행한다(S7227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사용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시그널패킷처리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상위 레이어(PRNTP)에 요청 사실을 전달
- 상위 레이어에서는 접속 응답을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에 전달
- 구성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적절한 상태 검사 후 상위 레이어에 요청 사실을 전달
- 상위 레이어는 구성 정보 응답을 링크 레벨 프로토콜에 전달
-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위 레이어에 데이터 요청 사실을 전달
- 상위 레이어는 해제 응답을 링크 레벨 프로토콜에 전달
그리고, 상술한 데이터 패킷처리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작업을 수행한다.
- 모든 데이터 패킷은 검사 후 상위 레이어로 전달
- 인쇄 시작 명령인 경우, 응답을 링크 레벨 프로토콜에 전달한 후 인쇄를 위한 준비를 수행
- 인쇄 데이터인 경우, 패킷 순서 번호와 프린터 상태를 검사한 후 프린터로 데이터 송신
- 인쇄 종료 명령인 경우, 인쇄된 데이터의 전체 크기를 응답 패킷에 기록하여 링크 레벨 프로토콜에 전달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에 따르면, 블루투스 기술이 적용된 한 쌍의 어댑터 장치를 두 개의 전자기기의 병렬 포트에 각각 연결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 블루투스 기술이 내장된 전자기기를 구입하여 사용함에 따른 비용 부담을 해소할 수 있으며, 블루투스 기술을 전자기기 내에 직접 적용할 필요가 없어 기존의 전자기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PC, 프린터, 휴대용 통신기기 등과 같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전자기기 이외에 홈 오토메이션 등의 제어기기에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 방안이 매우 다양한 이점이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 특정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어댑터 장치에 있어서,상기 어댑터 장치를,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병렬포트 연결부;상기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루투스 방식으로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처리를 수행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상기 병렬포트 연결부에 연결된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중앙처리부;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종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ROM 및 RAM;상기 병렬포트 연결부를 통해 미리 프로그램된 논리 로직회로의 프로그래밍 제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내부 회로를 프로그래밍하여 각종 논리회로를 구현시킬 수 있도록 하는 CPLD부;한 쌍의 전자기기 사이의 논리적인 연결을 생성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완전하게 전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특정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받은 데이터를 상기 중앙처리부로 출력하는 UART(또는 USB)부; 및상기 UART(또는 USB)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장치를,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한 쌍의 전자기기의 병렬포트에 각각 연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 특정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해당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상대측 전자기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당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어댑터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1) 상기 어댑터 장치의 중앙처리부에서 어댑터 장치의 시스템 상태를 초기화하는 과정;(2) 시스템 초기화가 이루어지면, 어댑터 장치의 중앙처리부에서 상대측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된 블루투스 기술에 따른 전송 또는 수신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스템 태스크를 생성하는 과정; 및(3) 상기 과정(2)에서 생성된 태스크에 따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A, B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수행함과 동시에 A, B 각 채널별 데이터의 입/출력 처리를 위한 어댑터 장치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채널 A의 데이터는 어느 하나의 어댑터 장치에서 다른 어댑터 장치로 전송될 데이터이며,채널 B의 데이터는 또 다른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채널 A 데이터의 입력처리는,(3-1) 어댑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채널(입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하는 단계;(3-2) 어댑터 장치가 연결된 전자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검사하여 버퍼에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3)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으면,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4)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3-5)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3-6)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3-7)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는 단계; 및(3-8)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채널 A 데이터의 출력처리는,(4-1) 어댑터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채널(출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하는 단계;(4-2)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출력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4-3)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4-4)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4-5)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4-6) 해당 데이터의 블루투스 방식을 통한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는 단계; 및(4-7)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채널 B 데이터의 입력처리는,(5-1)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채널(입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하는 단계;(5-2)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를 검사하여 버퍼에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3)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4)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출력된 수신 데이터가 존재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입력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5-5)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5-6)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 요청이 수행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5-7) 입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는 단계; 및(5-8)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채널 B 데이터의 출력처리는,(6-1) 상대측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 채널(출력 데이터 구조체)을 초기화하는 단계;(6-2)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출력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6-3)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6-4)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부터 상대측 전자기기에서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이 요청되면, 해당 바이트 수 만큼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6-5) 출력 버퍼에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버퍼로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면, 어댑터 장치가 연결된 전자기기로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6-6) 블루투스 방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출력이 종료되면, 어플리케이션 태스크로 제어권한을 이양하는 단계; 및(6-7) 스케줄링에 의해 다시 제어권한을 회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에서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 수행은,(7-1)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 장치의 A 또는 B의 입/출력 채널을 오픈하는 단계;(7-2) 블루투스 메모리 관리자 초기화, 블루투스 송신 또는 수신 태스크 생성,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HCI)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L2CAP)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PRNTP) 초기화 등의 메인(어플리케이션) 태스크를 초기화하는 단계;(7-3) 어댑터 장치가 연결된 전자기기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태스크를 생성하여 구동하는 단계; 및(7-4) 전자기기에 연결된 어댑터 장치의 구동이 중지될 때까지 상기 단계(7-1) 이후를 무한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7-2)는,(7-2-1) 메모리 버퍼 풀 할당, 메모리 관리를 위한 큐 구조체 초기화 등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메모리 관리자를 초기화하는 단계;(7-2-2) 블루투스 송신 또는 수신에 이용되는 태스크를 생성하는 단계;(7-2-3)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블루투스 모듈에 리셋 명령어 전송, 블루투스 버퍼 크기 쿼리(query) 명령어 전송, 모듈 버퍼 크기에 맞게 흐름제어 변수 조정 등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를 초기화하는 단계;(7-2-4)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자신의 블루투스 모듈 어드레스 확인, 프로토콜 멀티플렉싱을 위한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 등록 등을 수행하여 링크 레벨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단계; 및(7-2-5) 데이터 구조체 초기화,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콜백함수 지정,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에 자신의 프로토콜 아이디 등록 등을 수행하여 링크 레벨 프로토콜 레이어가 호출할 수 있는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7-2-2)에서 블루투스 수신 태스크는,(7-2-2-1) 어댑터 장치가 연결된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7-2-2-2) 수신된 데이터가 존재하면,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을 구성하는 단계;(7-2-2-3)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의 구성작업이 종료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7-2-2-4)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의 구성작업이 종료되면,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유효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7-2-2-5) 유효한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면, 해당 패킷이 이벤트 패킷과 ACL 패킷중 어느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7-2-2-6)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이벤트 패킷이면, 이벤트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7-2-2-7) 상기 단계(7-2-2-5)의 판단 결과 해당 블루투스 모듈 인터페이스 패킷이 ACL 패킷이면, ACL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7-2-2-7)는,(7-2-2-7a) ACL 패킷이 유효한 링크 레벨 프로토콜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7-2-2-7b) ACL 패킷이 유효한 링크 레벨 프로토콜 패킷이면, 시그널 패킷인지 데이터 패킷인지를 판단하는 단계;(7-2-2-7c) ACL 패킷이 시그널 패킷이면, 시그널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7-2-2-7d) 상기 단계(7-2-2-7b)의 판단 결과 ACL 패킷이 데이터 패킷이면, 데이터 패킷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2346A KR20020072413A (ko) | 2001-03-09 | 2001-03-09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2346A KR20020072413A (ko) | 2001-03-09 | 2001-03-09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2413A true KR20020072413A (ko) | 2002-09-16 |
Family
ID=276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2346A Abandoned KR20020072413A (ko) | 2001-03-09 | 2001-03-09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7241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041A (ko) * | 2002-02-27 | 2003-09-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전송/재생하는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71120A (ja) * | 1997-03-25 | 1998-10-09 | Sony Corp | データ通信システム |
US5889816A (en) * | 1996-02-02 | 1999-03-30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adapter architecture for mobile computing |
US6174205B1 (en) * | 1999-05-28 | 2001-01-16 | 3Com Corporation | Communication card extension and adapter port |
KR20010015972A (ko) * | 2000-07-26 | 2001-03-05 | 박진규 | 블루투스칩을 내장한 pos 시스템 |
KR200217331Y1 (ko) * | 2000-11-02 | 2001-03-15 | 주식회사이지엘 | 블루투스칩을 내장하는 정보단말기용 어댑터 |
US6246376B1 (en) * | 2000-06-28 | 2001-06-12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Wireless location and direction indicator for multiple devices |
US6295197B1 (en) * | 2000-01-25 | 2001-09-25 | Dell Usa, L.P.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
2001
- 2001-03-09 KR KR1020010012346A patent/KR20020072413A/ko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9816A (en) * | 1996-02-02 | 1999-03-30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adapter architecture for mobile computing |
JPH10271120A (ja) * | 1997-03-25 | 1998-10-09 | Sony Corp | データ通信システム |
US6174205B1 (en) * | 1999-05-28 | 2001-01-16 | 3Com Corporation | Communication card extension and adapter port |
US6295197B1 (en) * | 2000-01-25 | 2001-09-25 | Dell Usa, L.P. |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
US6246376B1 (en) * | 2000-06-28 | 2001-06-12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Wireless location and direction indicator for multiple devices |
KR20010015972A (ko) * | 2000-07-26 | 2001-03-05 | 박진규 | 블루투스칩을 내장한 pos 시스템 |
KR200217331Y1 (ko) * | 2000-11-02 | 2001-03-15 | 주식회사이지엘 | 블루투스칩을 내장하는 정보단말기용 어댑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1041A (ko) * | 2002-02-27 | 2003-09-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mp3 데이터를 전송/재생하는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05511B2 (en) | Providing both wireline and wireless connections to a wireline interface | |
US7127541B2 (en) |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wireless connection between adapters | |
US7136904B2 (en) | Wireless cable replacement for computer peripherals using a master adapter | |
US6950859B1 (en) | Wireless cable replacement for computer peripherals | |
US10261930B2 (en) |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between different communication interfaces | |
US966748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nput type in input system using universal plug and play | |
JP2003101561A5 (ko) | ||
JP2008257419A (ja) | 通信アダプタ及び通信アダプタのデータ転送方法 | |
EP1516261B1 (en) | Bus system, station for use in a bus system, and bus interface | |
KR20100090946A (ko) | 다중 인터페이스 변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00072493A (ko) |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사용자 컴퓨터의터미널로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
US20070124614A1 (en) | Universal serial bus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universal serial bus apparatus | |
KR20020072413A (ko) |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어댑터 장치 및 어댑터 구동방법 | |
JP7465375B2 (ja) | ホストブリッジ機能を有するusbハ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 |
US20070106824A1 (en) | Target device in serial communication and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arget device | |
US20040054825A1 (en) | Computer mouse conforming blue tooth protocol and having receiving capability and two output modules | |
JP2009027360A (ja) | 通信仲介装置 | |
WO2001031459A1 (en) |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system | |
US20030104826A1 (en) | External connection device with bluetooth function in multiple modes | |
KR100480649B1 (ko) | 블루투스 서비스 시스템 | |
KR200211679Y1 (ko) |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다이얼업 접속장치 | |
CN100535877C (zh) | 一种利用电话传输计算机数据文件的装置和方法 | |
JP4987376B2 (ja) | リンクブリッジ | |
KR100508120B1 (ko) | Usb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린터 출력장치 | |
KR20020014868A (ko) | Usb를 이용한 이동전화 다이얼업 접속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8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