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70349A -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 Google Patents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349A
KR20020070349A KR1020027009417A KR20027009417A KR20020070349A KR 20020070349 A KR20020070349 A KR 20020070349A KR 1020027009417 A KR1020027009417 A KR 1020027009417A KR 20027009417 A KR20027009417 A KR 20027009417A KR 20020070349 A KR20020070349 A KR 20020070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formic acid
extractant
distillation apparatus
strip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760B1 (ko
Inventor
하인즈 아우어
베른트 베슬링
한스 함머
한스 하쎄
프리드리히 자우어
막시밀리안 비카리
틸 아드리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2007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7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51/4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07C51/445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by steam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4/00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for reacting liquids with liquid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09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from carboxylic acid esters or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3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07C51/44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of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by distil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51/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liquid-liquid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04Scale aspects
    • B01J2219/00006Large-scale industrial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한 무수 또는 실질적인 무수 포름산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성 포름산은 먼저 메틸 포르메이트를 가수분해시킴으로써 생성되며 이후의 재처리에서 물이 제거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메틸 포르메이트를 가수분해시키고 또한 재처리에 사용되는 증류 칼럼을 가열시키는데 사용되는 수증기가 폐수의 스트립핑을 위한 스트립핑 증기로서도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트립핑된 폐수는 재처리 중에 생성된다.

Description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Waste Water Treatment in a Method for Producing Formic Acid Which Is Free of Water}
본 발명은 무수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을 생성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이 방법에 이용되는 증기 스트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문헌 ("Ullmanns Enc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thEdition, Volume 7, page 365)은 포름산이 황산을 사용하여 포름아미드의 가산분해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화학양론적 양의 황산 암모늄이 불가피한 생성물로서 얻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포름산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메탄올 및 일산화 탄소로부터 합성되는 메틸 포르메이트의 가수분해를 포함한다. 이 합성은 다음 식을 기초로 한다:
CO + CH3-OH → CH3-O-CO-H
CH 3 -O-CO-H + H 2 O → CH 3 -OH + H-CO-OH
전체 CO + H2O → H-CO-OH
문헌 ("Ullmanns Encyklopadie der technischen Chemie" [Ullmann's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4thEdition, Volume 7, page 366)에 기재된 다음과 같은 메틸 포르메이트의 가수분해는 가수분해 평형의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의 단점을 갖고 있다.
HCOOCH3+ H2O ↔ HCOOH + CH3OH
증류로 원하는 공정 생성물을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평형 이동은 메틸 포르메이트 (비점 32 ℃)가 메탄올 (비점 65 ℃) 및 포름산 (비점 101 ℃)보다 상당히 더 낮은 온도에서 비등하므로 가능하지 않다. 무수 포름산은 생성된 포름산 수용액으로부터 증류에 의해 쉽게 얻어질 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물과의 공비혼합물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틸 포르메이트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무수 포름산을 얻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단계 a) 내지 g)를 포함하는 EP-B-0 017 866호에 기재된 방법은 메틸 포르메이트로부터 출발하여 무수 포름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무수 포름산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얻어진다:
a) 메틸 포르메이트를 가수분해시키고,
b) 메탄올 및 과잉 메틸 포르메이트를 생성된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증류 제거하고,
c) 포름산 및 물을 포함하는 증류 (b)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포름산을 주로 흡수하는 추출제에 의해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시키고,
d) 포름산, 추출제 및 약간의 물을 포함하는 생성된 추출물 상을 증류시키고,
e) 물 및 약간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상기 증류 단계에서 얻어진 상부 생성물을 단계 (b)에서의 증류 칼럼의 더 낮은 부분으로 재공급하고,
f) 추출제 및 포름산을 주로 포함하는 증류 단계 (d)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증류에 의해 무수 포름산 및 추출제로 분리하고,
g) 단계 (f)로부터의 추출제를 공정으로 재공급한다.
이 공정에서,
h) 증류 단계 (b) 및 (d)를 단일 칼럼에서 수행하고,
i)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을 증기 형태로 단계 (b)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되는 칼럼의 더 낮은 부분으로 도입하고,
k) 메틸 포르메이트 및 물을 가수분해 단계 (a)에서 1:2 내지 1:10의 몰비로 이용하고, 및(또는)
l) 하기 화학식 I의 카르복스아미드를 추출제로서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및 R2는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N 원자와 함께 연결하여 헤테로시클릭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그 라디칼 중의 하나 만이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기이다.
상기 방법의 단계 (a) 내지 (i)는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 (a)
가수분해는 일반적으로 8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단계 (b)
가수분해 혼합물의 증류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소정 압력에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바아에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대기압 하의 작업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칼럼 저부에서의 온도는 약 110 ℃이며, 칼럼 상부에서의 온도는 약 30 내지 40 ℃이다. 가수분해 혼합물은 80 내지 150 ℃의 온도에서 유리하게 첨가되며, 메탄올은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65 ℃의 온도에서 액체 형태로 제거된다. 혼합물을 한편으로는 메틸 포르메이트 및 메탄올로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수성 포름산으로 만족스럽게 분리하는 것은 25 이론단 (이론단 수는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임)을 갖는 증류 칼럼을 이용해서도 가능하다. 단계 (b)를 위한 칼럼에 임의의 디자인이 이용될 수 있지만, 체판 또는 충전 칼럼이 특히 권장할 만하다.
단계 (c)
추출제에 의한 포름산의 그의 수용액으로부터의 액체-액체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대기압 및 60 내지 120 ℃,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0 ℃의 온도에서 역류로 수행된다. 추출제의 유형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1 내지 12개의 이론 분리단을 갖는 추출 장치가 필요하다. 이 목적을 위한 적합한 추출 장치는 특히 액체-액체 추출 칼럼이다. 대부분의 경우에, 만족할 만한 결과는 4 내지 6개의 이론 분리단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추출제의 선택은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적합한 추출제는 상기 화학식 I의 카르복스아미드이다. 이러한 유형의 추출제는 특히 N,N-디-n-부틸포름아미드 및 N,N-디-n-부틸아세트아미드, N-메틸-N-2-헵틸포름아미드, N-n-부틸-N-2-에틸헥실포름아미드, N-n-부틸-N-시클로헥실포름아미드 및 N-에틸포름아닐리드, 및 이들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또다른 적합한 추출제는 특히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이소부틸 케톤, 에틸 아세테이트,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및 부탄디올 포르메이트이다.
단계 (d)
추출물 상은 적절한 증류 장치에서 증류에 의해 일반적으로 주로 포름산 및 추출제를 포함하는 액체 상으로 또한 주로 물 및 소량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증기상으로 분리된다. 이것이 추출 증류이다. 저부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 ℃이다. 만족스러운 분리 효과는 일반적으로 5 이론단으로부터 얻어진다.
단계 (e)
포름산/물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증기 형태로 재순환된다.
단계 (f) 및 (g)
단계 (f)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일반적으로 칼럼의 형태)는 감압하에서 - 약 50 내지 300 mbar에서 또한 상응하게는 낮은 헤드 온도에서 - 약 30 내지 60 ℃에서 유리하게 작동된다.
단계 (h)
이 별법은 단계 (b) 및 (d)에 관한 것이다. 단계 (b) 및 (d)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는 통합 증류 장치로 배치된다. 여기에서의 증류 장치는 일반적으로 칼럼 형태이다.
단계 (i)
이 단계에서,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은 증기 형태로 제공된다.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을 증기 형태로 단계 b)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 증류 장치의 더 낮은 부분으로 도입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증기 형태의 열 에너지는 가수분해에 필요한 물과 동시에 공정에 도입된다. 증기의 도입을 통하여, 충분한 에너지가 증류 장치에 도입되므로 상응하는 증류 증발기는 그를 통해 더 적은 에너지가 도입되어야 하므로 상응하게 더 작게 디자인될 수 있다.
저휘발성 2차 성분 (예를 들면, 염)의 배출을 위하여 포름산의 액체-액체 추출 중에 형성된 수성상의 일부를 공정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저휘발성 2차 성분 (예를 들면, 염)은 공정에 축적되고, 제품 품질에 역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액체-액체 추출을 수행하기 위한 추출 장치를 빠져나가는 수성상은 여전히 소량의 유용한 생성물, 특히 포름산 및 추출제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이용된 추출제는 생분해성이 낮으므로 이러한 생성물은 폐수에 유입되지 않아야 한다. 형성된 폐수를 처리하고 유용한 생성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구입 및 작동 비용이 매우 많이 들고 흡착제의 재생 비용이 특히 많이 드는 다중 칼럼 흡착기 회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용되는 흡착제는 일반적으로 활성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폐수의 추가의 처리가 더 이상 필요 없도록 철저히 유용한 생성물 및 임의의 다른 불순물로부터 폐수를 유리시켜 추출 장치를 떠나는 폐수로부터 유용한 생성물을 회수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수행하기가 실용적이고 경제적으로 효율적이어야 한다.
본 발명자는 이 목적이
i) 메틸 포르메이트를 가수분해시키고,
ii) 메탄올 및 과잉 메틸 포르메이트를 증류 장치에서 생성된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증류 제거하고, 증기를 이 증류 장치의 더 낮은 부분으로 공급하고,
iii) 포름산 및 물을 포함하는 증류 단계 ii)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포름산을 주로 흡수하는 추출제에 의해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시키고, 액체-액체 추출에서 형성된 수성상의 일부를 폐수로서 공정에서 제거하고,
iv) 포름산, 추출제 및 약간의 물을 포함하는 생성된 추출물 상을 증류시키고,
v) 물 및 약간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상기 증류 단계에서 얻어진 상부 생성물을 단계 ii)에서의 증류 칼럼의 더 낮은 부분으로 재공급하고,
vi) 추출제 및 포름산을 주로 포함하는 증류 단계 iv)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증류에 의해 무수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 및 추출제로 분리하고,
vii) 단계 vi)으로부터의 추출제를 공정으로 재공급하고,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 증류 장치로 도입되는 증기를 이 증류 장치로의 도입 전에 단계 iii)에서 공정으로부터 제거된 폐수의 폐수 스트립핑을 위한 스트립핑 증기로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수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을 생성시키는 방법에 의해 성취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용어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은 물을 최대 30 % 까지, 바람직하게는 15 % 까지 함유하는 포름산을 의미한다. 용어 "증기"는 액체 구성성분 및 다른 성분 (물 이외의 것)을 함유할 수도 있는 가스상 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그 방법에 필요한 증기가 폐수 처리에 추가로 이용되므로 특히 경제적이다. 그 방법은 에너지를 절감하며, 낮은 투자 비용을 필요로 하고 수행하기가 간단하다. 폐수는 그 폐수가 이후에 처리 설비로 직접 공급될 수 있도록 공정에 의해 효율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또한, 공정으로부터의 유용한 생성물은 회수되고 재순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이용된 추출제는 하기 화학식의 I의 카르복스아미드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및 R2는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N 원자와 함께 연결하여 헤테로시클릭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그 라디칼 중의 하나 만이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기이다. 특히 바람직한 추출제는 N,N-디-n-부틸포름아미드, N,N-디-n-부틸아세트아미드, N-메틸-N-2-헵틸포름아미드, N-n-부틸-N-2-에틸헥실포름아미드, N-n-부틸-N-시클로헥실포름아미드 및(또는) N-에틸포름아닐리드이다. 이용되는 추출제는 단일 추출제 또는 추출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단계 (ii) 및 (iv)는 단일 증류 장치에서 수행된다.
스트립핑 증기로서 이용되는 증기는 일반적으로 11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 ℃의 온도를 갖는다. 스트립핑 증기가 증류 장치에 도입되는 온도는 일반적으로 낮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에서의 증기 스트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서, 증기 스트림은 먼저 폐수 스트립핑을 위한 스트립핑 증기 스트림으로서 사용되며 이후에는 메틸 포르메이트의 가수분해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출발 물질 스트림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α) 합성 반응기,
β) 가수분해 반응기,
χ)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δ) 단계 iv)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ε) 추출 장치,
φ) 단계 vi)을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및
γ) 폐수 스트립핑 장치를 포함한다.
용어 "합성 반응기"는 먼저 메틸 포르메이트의 합성을 수행하고 (일반적으로 해당하는 반응기에서) 두번째로 필요시에 생성된 가수분해 혼합물의 분리를 수행하는 (일반적으로 반응기의 증류 장치 하류에서) 장치를 의미한다. 메틸 포르메이트의 가수분해가 수행되는 가수분해 반응기는 임의의 소정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이용되는 증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증류 칼럼이다. 추출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체-액체 추출 칼럼 형태이다. 이용되는 폐수 스트립핑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트립핑 칼럼이다. 이러한 스트립핑 칼럼은 일반적으로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개의 열역학 분리단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및 단계 iv)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는 단일 증류 장치로 배치된다. 후자는 일반적으로 증류 칼럼 형태이다.
첨부 도면에서, 도 1 및 도 2는 무수 포름산의 제조를 위한 선행 기술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의 선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의 선도이다.
연결 라인 위에, 나란히 또는 아래에 있는 번호는 해당하는 스트림 내에서 최대 비율을 갖는 성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들 성분은 변할 수 있으므로, 이 참조 번호는 단지 안내의 의미로서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21)은 메틸 포르메이트, (22)는 물, (23)은 포름산, (24)는 메탄올, (25)는 추출제, (26)은 폐수, (27)은 일산화 탄소를 나타낸다.
합성 반응기 (6), 가수분해 반응기 (1),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2), 단계 iv)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4), 추출 장치 (3) 및 단계 vi)을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5)를 포함하는 것이 선행 기술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설비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설비의 공통점이다. 본원에서, 증류 장치 (2) 및 (4)는 공통 증류 장치 (7)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설비와 대조적으로 폐수 스트립핑 장치 (10)을 함유한다. 세정된 폐수는 그들로부터 처리 설비 (9)로 공급된다. 선행 기술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설비는 폐수 스트립핑 장치 (10) 대신 흡착 장치 (8)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로 아래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예시적 실험은 도 4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비에서 수행된다. 사용되는 추출제는 N,N-디-n-부틸포름아미드이다. 수성 포름산 5.3 ㎏을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그 과정에서 폐수 약 400 g/시간이 생성된다. 폐수를 약 1㎏/시간의 증기를 이용하여 스트립핑 칼럼에서 스트립핑시킨다. 모든 추출제를 폐수로부터 제거한다. 스트립핑에 사용되는 실험-설비 칼럼은 30 ㎜의 직경을 가지며 30 포종판(bubble-cap plate)이 장치되어 있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폐수(비세정됨) 폐수(세정됨) 스트립핑 증기(비포함됨) 스트립핑 증기(포함됨)
공정 생성량, ㎏/시간 0.375 0.385 1.052 1.042
물 비율, 중량% 98.25 99.86 100 99.42
추출제 비율, 중량% 0.76 0 0 0.27
포름산 비율, 중량% 0.99 0.14 0 0.30
온도, ℃ 110 115 160 114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추출제 N,N-디-n-부틸포름아미드를 폐수로부터 완전히 제거시키고 포름산을 폐수로부터 실질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Claims (9)

  1. i) 메틸 포르메이트를 가수분해시키고,
    ii) 메탄올 및 과잉 메틸 포르메이트를 증류 장치에서 생성된 가수분해 혼합물로부터 증류 제거하고, 증기를 이 증류 장치의 더 낮은 부분으로 공급하고,
    iii) 포름산 및 물을 포함하는 증류 단계 ii)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포름산을 주로 흡수하는 추출제에 의해 액체-액체 추출로 추출시키고, 액체-액체 추출에서 형성된 수성상의 일부를 폐수로서 공정에서 제거하고,
    iv) 포름산, 추출제 및 약간의 물을 포함하는 생성된 추출물 상을 증류시키고,
    v) 물 및 약간의 포름산을 포함하는 상기 증류 단계에서 얻어진 상부 생성물을 단계 ii)에서의 증류 칼럼의 더 낮은 부분으로 재공급하고,
    vi) 추출제 및 포름산을 주로 포함하는 증류 단계 iv)로부터의 저부 생성물을 증류에 의해 무수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 및 추출제로 분리하고,
    vii) 단계 vi)으로부터의 추출제를 공정으로 재공급하고,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 증류 장치로 도입되는 증기를 이 증류 장치로의 도입 전에 단계 iii)에서 공정으로부터 제거된 폐수의 폐수 스트립핑을 위한 스트립핑 증기로서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수 또는 실질적으로 무수 포름산을 생성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이용되는 추출제가 하기 화학식의 I의 카르복스아미드인 방법.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라디칼 R1및 R2는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아랄킬기이거나, 또는 R1및 R2는 N 원자와 함께 연결하여 헤테로시클릭 5- 또는 6-원 고리를 형성하고, 그 라디칼 중의 하나 만이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C1-C4-알킬기이다.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이용되는 추출제가 N,N-디-n-부틸포름아미드, N,N-디-n-부틸아세트아미드, N-메틸-N-2-헵틸포름아미드, N-n-부틸-N-2-에틸헥실포름아미드, N-n-부틸-N-시클로헥실포름아미드 및(또는) N-에틸포름아닐리드인 방법.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계 ii) 및 iv)가 단일 증류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핑 증기로서 이용되는 증기가 11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 ℃의 온도를 갖는 방법.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에서 먼저 폐수 스트립핑을 위한 스트립핑 증기 스트림으로서 또한 이후에는 메틸 포르메이트의 가수분해에 물을 제공하기 위한 출발 물질 스트림으로서의 증기 스트림의 용도.
  7. α) 합성 반응기 (6),
    β) 가수분해 반응기 (1),
    χ)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2),
    δ) 단계 iv)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4),
    ε) 추출 장치 (3),
    φ) 단계 vi)을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5), 및
    γ) 폐수 스트립핑 장치 (10)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단계 ii)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2) 및 단계 iv)를 수행하기 위한 증류 장치 (4)가 단일 증류 장치 (7)로 배치된 장치.
  9. 제7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이용되는 폐수 스트립핑 장치 (10)가 스트립핑 칼럼인 장치.
KR1020027009417A 2000-01-24 2001-01-12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Expired - Fee Related KR10077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2794A DE10002794A1 (de) 2000-01-24 2000-01-24 Abwasserreinigung b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serfreier Ameisensäure
DE10002794.6 2000-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349A true KR20020070349A (ko) 2002-09-05
KR100772760B1 KR100772760B1 (ko) 2007-11-01

Family

ID=762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4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72760B1 (ko) 2000-01-24 2001-01-12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67329B2 (ko)
EP (1) EP1250305B1 (ko)
JP (1) JP4681192B2 (ko)
KR (1) KR100772760B1 (ko)
CN (1) CN1271034C (ko)
AT (1) ATE439339T1 (ko)
AU (1) AU2001235416A1 (ko)
BR (1) BR0107825B1 (ko)
DE (2) DE10002794A1 (ko)
MY (1) MY131970A (ko)
NO (1) NO327831B1 (ko)
WO (1) WO20010550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1541B (fi) * 2008-04-21 2010-12-31 Kemira Oyj Menetelmä muurahaishapon talteenottamiseksi
US9815021B2 (en) 2010-03-26 2017-11-14 Dioxide Materials, Inc. Electrocatalytic process for carbon dioxide conversion
US9193593B2 (en) 2010-03-26 2015-11-24 Dioxide Materials, Inc. Hydrogenation of formic acid to formaldehyde
US9566574B2 (en) 2010-07-04 2017-02-14 Dioxide Materials, Inc. Catalyst mixtures
US9790161B2 (en) 2010-03-26 2017-10-17 Dioxide Materials, Inc Process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acrylic acid
US9957624B2 (en) 2010-03-26 2018-05-01 Dioxide Materials, Inc. Electrochemical devices comprising novel catalyst mixtures
US9012345B2 (en) 2010-03-26 2015-04-21 Dioxide Materials, Inc. Electrocatalysts for carbon dioxide conversion
US8956990B2 (en) 2010-03-26 2015-02-17 Dioxide Materials, Inc. Catalyst mixtures
US10173169B2 (en) 2010-03-26 2019-01-08 Dioxide Materials, Inc Devices for electrocatalytic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US20110237830A1 (en) 2010-03-26 2011-09-29 Dioxide Materials Inc Novel catalyst mixtures
WO2013030162A1 (en) 2011-08-27 2013-03-07 Taminco Process of formic acid production by hydrolysis of methyl formate
CN104822861B (zh) 2012-09-24 2017-03-08 二氧化碳材料公司 用于将二氧化碳转化为有用燃料和化学品的装置和方法
US10647652B2 (en) 2013-02-24 2020-05-12 Dioxide Materials, Inc. Process for the sustainable production of acrylic acid
US10774431B2 (en) 2014-10-21 2020-09-15 Dioxide Materials, Inc. Ion-conducting membranes
US10975480B2 (en) 2015-02-03 2021-04-13 Dioxide Materials, Inc. Electrocatalytic process for carbon dioxide conversion
CN108707062A (zh) * 2018-06-08 2018-10-26 聊城市鲁西化工工程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钾盐回收处理的工艺
JPWO2022239847A1 (ko) * 2021-05-14 2022-11-17
CN116751140A (zh) * 2023-05-29 2023-09-15 山东聊城鲁西硝基复肥有限公司 一种n-甲酸基脲废液的资源化利用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3991A1 (de) * 1978-12-14 1980-07-03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asserfreier oder weitgehend wasserfreier ameisensaeure
DE2914671A1 (de) * 1979-04-11 1980-10-23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asserfreier oder weitgehend wasserfreier ameisensaeure
JPS585895B2 (ja) * 1980-07-17 1983-02-02 日本ソレツクス株式会社 有機酸の分離方法
DE3319651A1 (de) * 1983-05-31 1984-12-06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destillativen gewinnung von ameisensaeure
DE3411384A1 (de) * 1984-03-28 1985-10-10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asserfreier oder weitgehend wasserfreier ameisensaeure durch hydrolyse von methylformiat
DE3417790A1 (de) * 1984-05-14 1985-11-14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aeure
DE3428319A1 (de) * 1984-08-01 1986-02-13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gewinnung wasserfreier bzw. weitgehendwasserfreier ameisensaeure
DE3428321A1 (de) * 1984-08-01 1986-02-13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r gewinnung von ameisensaeure
JP3572636B2 (ja) * 1993-09-14 2004-10-06 三菱化学株式会社 ブタンジオールの製造方法
DE19953832A1 (de) * 1999-11-09 2001-05-1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meisensäure
DE10002790A1 (de) * 2000-01-24 2001-07-26 Basf Ag Verfahren zur Reinigung von Abgasströmen
DE10002791A1 (de) * 2000-01-24 2001-07-26 Basf Ag Verfahren zur Gewinnung von wasserfreier Ameisensä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5069A2 (de) 2001-08-02
NO20023481D0 (no) 2002-07-22
NO327831B1 (no) 2009-10-05
CN1271034C (zh) 2006-08-23
BR0107825A (pt) 2002-10-29
JP2003520832A (ja) 2003-07-08
WO2001055069A3 (de) 2002-01-17
EP1250305B1 (de) 2009-08-12
ATE439339T1 (de) 2009-08-15
AU2001235416A1 (en) 2001-08-07
KR100772760B1 (ko) 2007-11-01
DE10002794A1 (de) 2001-07-26
JP4681192B2 (ja) 2011-05-11
EP1250305A2 (de) 2002-10-23
US6867329B2 (en) 2005-03-15
DE50115031D1 (de) 2009-09-24
CN1396899A (zh) 2003-02-12
US20030036664A1 (en) 2003-02-20
MY131970A (en) 2007-09-28
NO20023481L (no) 2002-08-21
BR0107825B1 (pt) 201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760B1 (ko) 무수 포름산의 생성 방법에서의 폐수 처리
KR100772748B1 (ko) 무수 포름산을 생성시키는 방법
US2971010A (en) Production of dicarboxylic acid anhydrides
US4076594A (en) Purification of formic acid by extractive distillation
KR100830758B1 (ko) 폐가스 흐름의 세정 방법
KR101269493B1 (ko)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정제시 생성되는 스트림으로부터 유용한 화합물을 회수하는 방법
JPH01224348A (ja) イソ酪酸の連続的製法
JP3110459B2 (ja) p−アミノフェノール組成物の精製及びN−アセチル−p−アミノフェノールへの直接転化
KR100771709B1 (ko) 무수 포름산 생성에서의 소포제로서의 추출제의 이용
US3726888A (en) Esterification and extraction process
JP2988573B2 (ja) 炭化水素酸化用硼酸の精製方法
US4293494A (en)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raw caprolactam which contains amides and other by-products
GB778966A (en) Recovery of hydrogen peroxide by fractional distillation of the products of the oxidation of alcohols
US3297741A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trimethyl adipic dinitrile
JPS5629527A (en) Purification of unreacted isoprene and recovered solvent
PL160397B1 (pl) Sposób wydzielania kwasu cytrynowego z roztworów wodnych P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7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11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5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0816

Appeal identifier: 2007101007196

Request date: 2007062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1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1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73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0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0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