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9899A -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 Google Patents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9899A
KR20020069899A KR1020010010479A KR20010010479A KR20020069899A KR 20020069899 A KR20020069899 A KR 20020069899A KR 1020010010479 A KR1020010010479 A KR 1020010010479A KR 20010010479 A KR20010010479 A KR 20010010479A KR 20020069899 A KR20020069899 A KR 2002006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upport member
pin support
seating surface
la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수
김경태
김정성
신찬수
김병수
이재식
안재용
강신혁
김강일
김동휘
김부환
김현우
김휘택
노재영
박기철
박일형
박형빈
박희완
서승우
송백용
송해룡
신현대
심종섭
양규현
오종건
오창욱
옥인영
유재두
이석현
이순혁
정덕환
정성택
정창훈
조윤제
조현오
한경진
한수봉
한홍준
황건성
Original Assignee
유앤아이 주식회사
한정수
송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앤아이 주식회사, 한정수, 송해룡 filed Critical 유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9899A/ko
Publication of KR2002006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8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4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 A61B17/6466Devices extending alongside the bones to be positioned with pin-clamps movable along a solid connecting ro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는, 몸체(20)와, 상기 몸체에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핀을 받치는 핀 받침부재(22)와, 상기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핀 받침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핀 고정판(24)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소정 곡률반경의 오목한 안착면(32)이 형성되고, 상기 핀 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볼록면(58a)(58'a)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핀이 결합되는 면 부근에 위치되어 상기 핀 받침부재가 회동가능케 되어 있으므로, 뼈를 고정한 후 치료를 위해 상기 핀 받침부재를 회동시켜 재고정할 경우에 핀 받침부재가 편심되지 않고 그 각도만 변하므로 시술하기가 편리하다.

Description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a pin clamp of an external fixator}
본 발명은 골절시 체외에서 뼈를 고정시키는 체외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골절이 일어나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절편(b1)(b2)에 각각 다수의 핀(1)(1')을 박히게 고정하고, 상기 각 핀(1)(1')을 각각의 핀 클램프(2)(2')로 고정하고, 상기 각 핀 클램프(2)(2')는 연결로드(4)로 연결하여 움직이지 않게 한다.
상기 핀 클램프(2)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핀(1)(1')를 받치는 핀 받침부재(12)와, 상기 핀(1)(1')을 고정하도록 상기 핀 받침부재(12)의 상측에 결합된 핀 고정판(14)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하측은 상기 연결로드(4)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로드 고정부(16)를 이루고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면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의 볼록한 안착면(10a)이 형성되고, 상기 핀 받침부재(12)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면(10a)에 안착되는 볼록면(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받침부재(12)의 볼록면(12a)은 상기 안착면(10a)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움직이게 되는데, 시술시 필요한 각도만큼 기울여 나사부재(16)로 고정하면 핀 받침부재(12)는 몸체(10)에 고정된다.
상기 나사부재(16)의 양측에 있는 나사부재(18)는 상기 핀 받침부재(12)와 핀 고정판(14)의 사이에 상기 핀(1)(1')를 끼워 조우는 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체외고정장치에서 핀 받침부재(12)의 작용상태가 도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면과 볼록면의 곡률반경의 중심(O)은 몸체(10)에 위치하고 있다.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와 핀 받침부재(12)가 중심축선(C)에 정렬한 상태에서,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받침부재(12)를 소정의 각도(θ)로 회전시켜 고정하면 핀 안착면의 중심점(P)가 중심축선(C)에서 거리(d)만큼 편심 이동하게 된다.
그런데, 핀 받침부재(12)의 조정시에 그 중심점이 편심 이동하게 되면, 골절부가 어긋나게 되는 등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골절부를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 클램프의 핀 받침부재를 조정할 시에 시술을 용이하게 하며 골절부를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체외고정장치가 설치된 상태도,
도2는 도1의 핀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종래 체외고정장치의 핀 받침부재의 작용 상태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의 반단면도,
도5는 도4의 몸체와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6은 도4의 핀 받침부재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7은 도4의 핀 고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몸체 22 : 핀 받침부재
24 : 핀 고정판 26 : 연결로드 고정부재
28 : 슬라이딩 핀 30 : 랜드부
32 : 안착면 42 : 걸림부재
50,54,62 : 체결부재 58a, 58'a : 볼록면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핀을 받치는 핀 받침부재와, 상기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핀 받침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핀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소정 곡률반경의 오목한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핀 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볼록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 및 볼록면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핀이 결합되는 면 부근에 위치되어 상기 핀 받침부재가 회동가능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랜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핀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랜드부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는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은 상기 리브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랜드부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면의 곡률반경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구부려진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랜드부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핀이 삽입되며, 상기 핀 받침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이딩 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의 반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20)의 상측에는 뼈에 고정되는 핀을 받치는 핀 받침부재(2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핀 받침부재(22)의 상측에는 핀 고정판(24)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몸체(20)는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핀 받침부재(22)가 안착하는 베이스 부재(25)와, 다른 핀 클램프와 연결하도록 연결로드(도시안됨)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로드 고정부재(26)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5)와 연결로드 고정부재(2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5)는 슬라이딩 핀(28)에 의해 상기 핀 받침부재(22)에 결합되며,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상기 베이스부재(25)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핀 받침부재의 리브 사이에 끼워지는 랜드부(30)가 베이스부재의 직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랜드부(30)의 양측에는 소정 곡률반경의 오목한 안착면(32)이 형성되며, 상기 랜드부(30)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면의 곡률반경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구부려진 장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34)은 상기 랜드부(30)의 폭방향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랜드부(30)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홈(36)이 랜드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25)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로드 고정부재(26)의 후술하는 삽입돌출부가 끼워져 수용되는 수용홈(38)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재(25)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상기 수용홈(38)에 연통하는 나사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구멍(40)에는 후술하는 삽입돌출부의 리세스부에 걸리는 걸림부재(42)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연결로드 고정부재(26)는, 상기 수용홈(38)에 삽입되도록 상측으로 삽입돌출부(44)가 돌출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상기 연결로드(도시 안됨)가 삽입되어 관통하는 관통구멍(46)이 직경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46)의 일측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48)에 의해 외측으로 트여 있다. 상기 슬릿홈(48)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관통구멍(46)에 끼운 연결로드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체결부재(5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삽입돌출부(44)에는 걸림부재(42)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리세스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핀(28)은 상기 장공(34)에 삽입되도록 폭방향으로 구부려진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간에는 상기 핀 받침부재(22)가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체결부재(54)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받침부재(2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도면에서는 상측으로 뒤집어진 상태임)에는 상기 랜드부(30)의 폭에 끼워지는 간격을 두고 양측에 리브(58)(58')가 돌출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핀(도시안됨)이 안착하여 움직이지 않게 하도록 잡아주는 다수의 홀딩홈(60)이 핀 받침부재의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받침부재(22)는 대체로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리브(58)(58')에는 상기 안착면(32)에 밀착하여 미끄러지도록 안착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볼록면(58a)(5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브(58)(58')에는 상기 슬라이딩 핀(28)이 삽입되는 구부려진 장공(58b)(58'b)이 상기 슬라이딩 핀(28)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 받침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핀 고정판(24)을 고정하는 체결부재(62)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구멍(64)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중간부에는 상기 체결부재(54)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면(32)과 상기 볼록면(58a)(58'a)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핀이 결합되는 면 부근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핀 고정판(2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사각형의 판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상기 핀 받침부재(22)를 몸체(20)에 고정하는 체결부재(54)를 수용하는 구멍(6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상기 핀 받침부재(22)에 고정하는 체결부재(62)를 수용하는 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 고정판의 저면에는 상기 홀딩홈(60)에 대응하는 대응 홀딩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는 데. 상기 홀딩홈(60)과 대응 홀딩홈 사이에 핀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에서, 상기몸체(20)의 연결로드 고정부재(26)의 구멍(46)에 연결로드를 삽입하고 체결부재(50)로 조우게 되는데, 상기 걸림부재(42)를 풀면, 연결로드 고정부재(26)를 베이스부재(25)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연결로드에 삽입되는 다른 핀 클램프와의 방향을 자유롭게 맞추어 고정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42)의 단부는 상기 삽입돌출부(44)의 리세스부(52)에 걸리게 하여 연결로드 고정부재(26)가 완전히 빠지지 않게 하여 조정한다.
그리고, 체결부재(54)를 슬라이딩 핀(28)의 나사구멍(56)에서 푼 다음, 몸체의 베이스부재의 안착면(32)내에서 핀 받침부재의 볼록면(58a)(58'a)을 미끄러지게 하여 핀 받침부재(22)를 회동시키면, 핀 받침부재의 핀 안착면(홀딩홈이 형성된 면)을 경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장공(58b)(58'b)에 끼워진 슬라이딩 핀(28)은 상기 장공(34)를 따라 안내된다. 핀 받침부재(22)의 경사각을 맞춘 다음에는 상기 체결부재(54)를 슬라이딩 핀(28)의 나사구멍(56)에 나사결합하여 핀 받침부재(22)가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와 같이 핀 받침부재(22)를 경사시키는 상태가 도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핀 받침부재의 볼록면(58b)(58'b)을 몸체의 안착면(32)내에서 미끄러지게 하여 경사시키면, 곡률반경의 중심(P)은 변하지 않으므로 핀(1)이 안착하는 면(홀딩홈이 형성된 면)은 상기 몸체(20)에 대해 경사지기만 한다. 따라서, 골절부가 어긋나게 될 염려가 없으므로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골절부를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핀 받침부재(22)의 홀딩홈(60)에는 뼈에 고정하는 핀(1)을 안착하여 상기 체결부재(62)로 핀 고정판(24)의 저면을 상기 핀(1)에 압착함에 의해 핀을 고정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에 의하면, 핀 받침부재의 조정시에 그 중심점이 몸체에 대해 편심 이동하지 않으므로, 골절부가 어긋날 염려가 없어 시술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골절부를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Claims (3)

  1.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핀을 받치는 핀 받침부재와, 상기 핀을 고정하도록 상기 핀 받침부재의 상측에 결합된 핀 고정판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소정 곡률반경의 오목한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핀 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는 볼록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 및 볼록면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상기 핀이 결합되는 면 부근에 위치되어 상기 핀 받침부재가 회동가능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랜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랜드부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핀받침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랜드부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는 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은 상기 리브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랜드부의 측면에는 상기 안착면의 곡률반경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구부려진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리브에는 상기 랜드부에 형성된 장공을 따라 미끄러지는 슬라이딩 핀이 삽입되며,
    상기 핀 받침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슬리이딩 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KR1020010010479A 2001-02-28 2001-02-28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KR20020069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479A KR20020069899A (ko) 2001-02-28 2001-02-28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0479A KR20020069899A (ko) 2001-02-28 2001-02-28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899A true KR20020069899A (ko) 2002-09-05

Family

ID=27695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79A KR20020069899A (ko) 2001-02-28 2001-02-28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98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33B1 (ko) * 2001-04-06 2004-05-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척추용 고정 장치
KR100433834B1 (ko) * 2001-04-06 2004-05-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척추용 고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559A (ja) * 1988-06-08 1989-12-13 Raifu Technol Kenkyusho 骨の固定装置
US5160335A (en) * 1988-12-15 1992-11-03 Jaquet Orthopedie S.A. Pin holder support
US5624440A (en) * 1996-01-11 1997-04-29 Huebner; Randall J. Compact small bone fixator
EP0880942A2 (en) * 1997-05-21 1998-12-02 ORTHOFIX S.r.l. External minisplint device
US6102911A (en) * 1997-02-13 2000-08-15 Orthofix S.R.L. Orthopaed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surgical correction of bone deformiti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8559A (ja) * 1988-06-08 1989-12-13 Raifu Technol Kenkyusho 骨の固定装置
US5160335A (en) * 1988-12-15 1992-11-03 Jaquet Orthopedie S.A. Pin holder support
US5624440A (en) * 1996-01-11 1997-04-29 Huebner; Randall J. Compact small bone fixator
US6102911A (en) * 1997-02-13 2000-08-15 Orthofix S.R.L. Orthopaedic apparatus, particularly for the surgical correction of bone deformities
EP0880942A2 (en) * 1997-05-21 1998-12-02 ORTHOFIX S.r.l. External minisplin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833B1 (ko) * 2001-04-06 2004-05-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척추용 고정 장치
KR100433834B1 (ko) * 2001-04-06 2004-05-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척추용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04779B2 (en) Coupling device for coupling a bone anchor to a rod and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coupling device
US11432850B2 (en)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US7507248B2 (en) Spinal osteosynthesis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US7104992B2 (en) Spinal fixation system
JP4563677B2 (ja) 漸進的手法の骨接合装置および事前組立方法
KR101267581B1 (ko) 뼈 고정장치
US9259242B2 (en) Fixation clamp
JP4065107B2 (ja) プレートとの前方固定のための脊柱骨結合装置
US20030105462A1 (en) Poly axial cervical plate system
US20090099604A1 (en) Transverse Spinal Linking Device and System
JP2016036736A (ja) 多軸骨固定装置、および多軸骨固定装置を含むシステム
KR20010043165A (ko) 칼라 및 록을 구비한 척추 골봉합 시스템
ITVR970042A1 (it) Dispositivo minifissatore esterno
US20150157337A1 (en) Aiming Device For Targeted Drilling Of Bone
US11751918B2 (en) Coupling device for use with a bone anchoring element and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coupling device
JP2008522724A (ja) ハイブリット骨ネジおよびプレートシステム
KR102030140B1 (ko) 골절치료용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KR20020069899A (ko) 체외고정장치의 핀 클램프
KR100399002B1 (ko) 체외고정장치의 골절정복기구
KR101688858B1 (ko) 척추 임플란트용 스크류 어셈블리
KR100433833B1 (ko) 척추용 고정 장치
KR100319412B1 (ko) 척추내 고정장치
KR20200119121A (ko) 경골 근위부 절골술용 결속구
KR20040022712A (ko) 척추고정기기용 슬리브 조립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6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2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