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6550A -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 Google Patents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6550A
KR20020066550A KR1020010006794A KR20010006794A KR20020066550A KR 20020066550 A KR20020066550 A KR 20020066550A KR 1020010006794 A KR1020010006794 A KR 1020010006794A KR 20010006794 A KR20010006794 A KR 20010006794A KR 20020066550 A KR20020066550 A KR 20020066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o fan
blade
air conditioner
hub
shr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5981B1 (ko
Inventor
김승천
박영민
박종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6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981B1/ko
Priority to US09/879,947 priority patent/US6558120B2/en
Priority to JP2001196852A priority patent/JP2002243188A/ja
Priority to CNB011188812A priority patent/CN1210529C/zh
Publication of KR20020066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981B1/ko
Priority to JP2004003387U priority patent/JP3105873U/ja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being adapted for mounting i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은 블레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유체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쉬라우드와, 외경이 상기 쉬라우드의 내경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사출 성형되는데 있어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하는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의 입구쪽이 상기 쉬라우드쪽에서 상기 허브쪽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커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많은 풍량이 흡입되는 동시에 정압 상승에도 영향이 없도록 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은 일체로 사출 성형됨으로써 터보팬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터보팬의 변형으로 인한 기대되지 못한 부작용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하여 종래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풍량과 정압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Structure of turbo fan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도 하고 또한 실내 공기의 습도와 온도를 적정하게 맞추어 줌으로써, 사람들이 보다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천정형 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형 공조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의 유동을 일으키는 터보팬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천정형 공조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천정형 공조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1)와, 흡입구(11)의 모서리를 따라서 형성된 토출구(12)가 도시되어 있는데, 흡입구(11)를 통하여 흡입된 외기는 공조기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하여 적정한 온도와 습도로 변화된 후에, 토출구(12)를 통하여 배출되어 실내가 보다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되도록 하는데, 이하에서는 천정형 공조기의 내부 구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구성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은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천정형 공조기는 공조기의 하측에 배치되는 흡입구(11)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에, 압력의 감소가 줄도록 하기 위하여 특정 형상으로 가공되는 벨마우스(Bell Mouth)(16)를 통과하도록 하여 압력 감소로 인한 효율 저하를 막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동 모터(13)와, 구동 모터(1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터보팬(17)이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흡입구(11)와 벨마우스(16)와 터보팬(17)을 차례대로 통과한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14)에서 열을 흡수 또는 방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교환은 천정형 공조기의 동작 상태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하며 적정한 온도로 맞추어진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하여 다시금 실내로 배출되는데, 이때 캐비넷(15)의 외형에 따라 형성된 유로로 가이드되어 토출구(12)로 안내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종래 터보팬(17)의 구성을 도 4의 터보팬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터보팬의 구조는 유체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블레이드(17a)와, 상기 블레이드(17a)의 상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유체의 재흡입을 방지하기 위한 쉬라우드(Shroud)(17b)와, 블레이드(17a)의 하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17a)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허브(17c)가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설명된 바와 같은 상기 터보팬(17)은 사출성형으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터보팬(17)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터보팬(1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으나, 그 구조적인 형상(특히, 쉬라우드의 형상)으로 인하여 터보팬(17)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었다.
이러한 터보팬(17)의 제작 과정 상의 문제로 인하여 종래 터보팬(17)의 생산과정은 쉬라우드(17b)를 별도로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접착하는 과정을 다시 거치거나, 허브(17c)의 외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단일한 과정으로 제작되도록 하는 방법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체형 터보팬(17)의 제작 과정에서 있어서, 사출성형으로 쉬라우드를 제외한 다른 부분만을 일체로 사출하여 최종적으로 쉬라우드(17b)를 접착하는 방법은, 별도로 설명된 바와 같은 작업을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허브(17c)의 외경을 축소하여 터보팬(17)을 사출하게 되면, 터보팬(17)을 통과하여야 하는 유체가 외부로 세어나가므로 풍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을 개선된 형상으로 제안하여 보다 간편한 작업만으로 터보팬을 생산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터보팬의 풍량 저하와 소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저면도.
도 2는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횡단면도.
도 3은 종래 천정형 공조기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 천정형 공조기에 사용되는 터보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의 블레이드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흡입구12 : 토출구13 : 구동 모터
14 : 열교환기15 : 캐비넷16 : 벨마우스(Bell Mouth)
17 : 터보팬17a, 27a : 블레이드17b, 27b : 쉬라우드(Shroud)
17c, 27c : 허브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는 블레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유체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쉬라우드와, 외경이 상기 쉬라우드의 내경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사출 성형되는데 있어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하는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의 입구쪽이 상기 쉬라우드쪽에서 상기 허브쪽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커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많은 풍량이 흡입되는 동시에 정압 상승에도 영향이 없도록 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는 허브와 블레이드의 형상을 특정의 개선된 구조로 함으로써, 결국 터보팬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어 제작과정 상에서 간편함으로 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풍량이나 소음의 면에 미치는 악영향으로 발생하게 되는 터보팬 효율 저하를 미연에 막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보팬은 외경이 축소되어 터보팬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데 있어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허브(27c)와, 축소된 허브(27c)로 인하여 발생되는 터보팬(27)의 효율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된 블레이드(27a)와, 블레이드(27a)의 상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외부 유체가 정확히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쉬라우드(27b)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 블레이드(27a)는 블레이드의 입구쪽이 쉬라우드(27b)측과 허브(27c)측의 내경이 서로 다른, 보다 상세하게는 허브(27c)측의 내경이 쉬라우드(27b)측의 내경보다 크도록 하여 보다 많은 유체가 흡입되도록 하고 있으며, 허브(27c)측 블레이드(27a)의 길이를 길게하여 보다 많은 정압 상승을 기대할 수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전체적인 형상의 변화에 더하여 구체적인 수치가 제시된 천정형 터보팬의 형상은 터보팬의 단면도인 도 6을 통하여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터보팬의 형상을 상세히 설명하면, 터보팬 전체 높이(TD)는 터보팬 전체 외경(D0)의 30 ~ 40%로 하도록 하고, 터보팬 출구 높이(TDO)는 터보팬 전체 높이(TD)의 55 ~ 65%하고, 터보팬 입구 높이(TDI)는 터보팬 전체 높이(TD)의 80 ~90%로 한다.
그리고, 쉬라우드 내경(SD)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75 ~ 8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27a)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허브측 내경(DIH)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55 ~ 65%로 하고, 쉬라우드측 내경(DIS)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70 ~80%로 하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허브 외경(HD)은 상기 쉬라우드 내경(SD)보다 작고, 블레이드의 허브측 내경(DIH)보다 크기만 하다면, 터보팬의 성형 측면이나, 효율면에서 차이가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27a)의 쉬라우드측 내경(DIS)은 허브측 내경(DIH)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어 블레이드의 입구쪽과 출구쪽이 평행이 아니라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사출성형에서 문제점으로 되지 않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의 형상 등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도면은 터보팬의 평면도로서 블레이드의 쉬라우드측 입구각(BI1)은 25 ~ 40도로 하고, 허브측의 입구각(BI2)은 15 ~ 30도로 하며, 블레이드의 출구각(BO)은 35 ~ 45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의 전체 수는 7 ~ 10개로 하고, 최대 캠버 값(T)은 허브 쪽에서는 허브 쪽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4 ~ 7%로 하며, 쉬라우드 쪽에서는 쉬라우드 쪽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6 ~ 9%로 하고, 블레이드의 최대 캠버(Camber)량의 위치(P)는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1로 놓을 때 입구쪽에서 0.3 ~ 0.5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과 도 7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이 제안되는 것은, 터보팬(27)의 제작상의 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허브(도 5의 27c참조)의 외경이 축소되도록 함으로 인하여 터보팬(27) 효율의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것인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의 변형과 이로 인한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터보팬(27) 제작 과정에서 문제로 여겨졌던, 사출과정에서 허브와 쉬라우드의 동시 제작의 문제는 허브의 외경(HD)이 적절히 축소된 형상으로 가공하여,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 허브측 내경(DIH)이 상대적으로 터보팬 전체 외경(DO)보다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현의 길이를 길게하여 정압 상승을 높게 하였으며, 반면에 블레이드 쉬라우드측 내경(DIS)은 상대적으로 터보팬 전체 외경(DO)보다 커지도록 함으로써 블레이드 입구쪽을 넓게 하여 흡입 면적이 커지도록 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결국에는 보다 많은 유체가 흡입되는 동시에 정압 상승도 보다 커지도록할 수 있어 허브 외경(HD)의 축소로 인한 풍량의 감소를 보상할 수 있어, 종래와 동일하거나 보다 좋은 터보팬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블레이드의 출구쪽은 터보팬 전체 외경(DO)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허브(27c)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할 수도 있는 풍량 감소와 정압 감소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조기 터보팬의 구체적인 수치 한정은 다양한 형태의 많은 수의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것임을 유념하여야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은 일체로 사출 형성하는데 있어서 지장이 없어, 그 제조원가를 줄이도록 하면서 본래 터보팬의 가져야 하는 효율에는 그 변화가 없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이에 그치지 않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상의 변형을 가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만들어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을 제공하는데 있고, 이로 인하여 터보팬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터보팬의 변형으로 인한 기대되지 못한 부작용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하여 종래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풍량과 정압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블레이드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입되는 유체가 가이드되도록 하는 쉬라우드와,
    외경이 상기 쉬라우드의 내경보다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사출 성형되는데 있어 방해로 되지 않도록 하는 허브와,
    상기 쉬라우드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유체의 입구쪽이 상기 쉬라우드쪽에서 상기 허브쪽으로 갈수록 그 반경이 커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보다 많은 풍량이 흡입되는 동시에 정압 상승에도 영향이 없도록 하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외경은 블레이드 허브측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허브와 상기 블레이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의 전체 높이(TD)는 터보팬 전체 외경(D0)의 30 ~ 40%로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의 출구 높이(TDO)는 터보팬 전체 높이(TD)의 55 ~ 65%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팬 입구 높이(TDI)는 터보팬 전체 높이(TD)의 80 ~9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의 내경(SD)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75 ~ 8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허브측 내경(DIH)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55 ~ 6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쉬라우드측 내경(DIS)은 터보팬 전체 외경(DO)의 70 ~80%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쉬라우드측 입구각(BI1)은 25 ~ 40도로 하고, 허브측의 입구각(BI2)은 15 ~ 30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출구각(BO)은 35 ~45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전체 수는 7 ~ 10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최대 캠버 값(T)은 허브 쪽에서는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4 ~ 7%로 하며, 쉬라우드 쪽에서는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6 ~ 9%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최대 캠버(Camber)량의 위치(P)는 블레이드 현의 전체 길이를 1로 놓을 때 유체의 입구쪽에서 0.3 ~ 0.5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KR10-2001-0006794A 2001-02-12 2001-02-12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KR10040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94A KR100405981B1 (ko) 2001-02-12 2001-02-12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US09/879,947 US6558120B2 (en) 2001-02-12 2001-06-14 Turbo fan of a ceiling-embedded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JP2001196852A JP2002243188A (ja) 2001-02-12 2001-06-28 天井カセット形空調機のターボファン
CNB011188812A CN1210529C (zh) 2001-02-12 2001-06-28 嵌入天花板内的空调器的涡轮风扇
JP2004003387U JP3105873U (ja) 2001-02-12 2004-06-11 天井カセット形空調機のターボファン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794A KR100405981B1 (ko) 2001-02-12 2001-02-12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550A true KR20020066550A (ko) 2002-08-19
KR100405981B1 KR100405981B1 (ko) 2003-11-14

Family

ID=19705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794A KR100405981B1 (ko) 2001-02-12 2001-02-12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58120B2 (ko)
JP (2) JP2002243188A (ko)
KR (1) KR100405981B1 (ko)
CN (1) CN121052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91B1 (ko) * 2002-11-15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WO2009105224A3 (en) * 2008-02-22 2009-11-12 Horton, Inc. Hybrid flow fa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827B1 (ko) * 2000-08-17 200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
US6848887B2 (en) * 2001-08-23 2005-02-01 Lg Electronics Inc. Turbofan and mold thereof
US20030133801A1 (en) * 2002-01-15 2003-07-17 Orocio Reuel S. Impell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784547B (zh) * 2003-05-01 2011-07-20 大金工业株式会社 多叶片离心式送风机
KR20040104971A (ko) * 2003-06-03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그 제조방법
KR20040104772A (ko) * 2003-06-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20040104974A (ko) * 2003-06-03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보팬 및 그 제조용 금형
KR100550529B1 (ko) 2003-12-30 2006-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원심팬
KR100590333B1 (ko) * 2004-03-05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팬 구조
US7481617B2 (en) 2004-05-19 2009-01-27 Delta Electronics, Inc. Heat-dissipating device
US7478992B2 (en) 2004-05-19 2009-01-20 Delta Electronics, Inc. Heat-dissipating device
TW200600683A (en) * 2004-06-28 2006-01-0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Impeller for radial-flow heat-dissipation fan
CN100381708C (zh) * 2004-07-15 2008-04-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
CN100402865C (zh) * 2004-07-15 2008-07-1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
CN100371609C (zh) * 2004-07-15 2008-02-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散热装置
DE202004012015U1 (de) * 2004-07-31 2005-12-22 Ebm-Papst Landshut Gmbh Radialgebläserad
JP4684085B2 (ja) * 2005-02-24 2011-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4700414B2 (ja) * 2005-06-02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冷内燃機関用多翼ファン
JP2007051790A (ja) * 2005-08-15 2007-03-01 Hitachi Ltd 空調用室内機
KR100661757B1 (ko) 2005-10-05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용 터보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1940495B1 (en) 2005-10-28 2015-08-26 ResMed Motor Technologies Inc. Blower motor with flexible support sleeve
EP2000676B1 (en) * 2006-03-29 2017-12-27 Toshiba Carrier Corporation Turbofan and air conditioner
EP2530327B1 (en) * 2006-05-24 2019-10-23 ResMed Motor Technologies Inc. Compact low noise efficient blower for CPAP devices
WO2008047962A1 (en) 2006-10-19 2008-04-24 Lg Electronics Inc. Turbo fan for blowing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7549837B2 (en) * 2006-10-26 2009-06-2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Impeller for centrifugal pump
JP2010196694A (ja) * 2009-01-30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遠心式送風機、及び空気調和装置
JP5164932B2 (ja) * 2009-06-11 2013-03-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ーボファンおよび空気調和機
UA107094C2 (xx) 2009-11-03 2014-11-25 Відцентровий стельовий вентилятор
KR101761311B1 (ko) 2010-09-02 2017-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용 터보팬
KR101368461B1 (ko) * 2011-03-09 2014-03-03 주식회사 인하전기 작은 임펠러로 큰 풍량을 생산할 수 있는 구조의 임펠러 케이스를 갖춘 송풍기
JP6063619B2 (ja) * 2011-09-29 2017-01-18 ミネベア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KR102076684B1 (ko) * 2013-02-21 2020-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WO2014150685A1 (en) * 2013-03-15 2014-09-25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US9618010B2 (en) 2013-04-22 2017-04-11 Lennox Industries Inc. Fan systems
US9568016B2 (en) * 2013-04-23 2017-02-14 Dresser-Rand Company Impeller internal thermal cooling holes
KR101645178B1 (ko) 2013-05-10 2016-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심팬 및 원심팬의 제조방법
JP5705945B1 (ja) * 2013-10-28 2015-04-22 ミネベア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JP2015102002A (ja) * 2013-11-25 2015-06-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ターボファン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ES2773899T3 (es) * 2014-03-17 2020-07-15 Elica Spa Un rotor para un ventilador radial y un ventilador radial
JP6354312B2 (ja) * 2014-05-15 2018-07-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DE102015101938A1 (de) * 2015-02-11 2016-08-11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Ventilatorrad und Ventilator
WO2016143115A1 (ja) * 2015-03-12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4方向カセット室内機
KR102403728B1 (ko) * 2015-10-07 2022-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용 터보팬
CA2966053C (en) 2016-05-05 2022-10-18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Mixed flow fan
CA2952411C (en) * 2016-12-19 2022-03-22 S3 Manufacturing Inc. Mixed air flow fan for aerating an agricultural storage bin
DE102017100800A1 (de) * 2017-01-17 2018-07-19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 Co. KG Heizluftförderrad
CN107131151A (zh) * 2017-06-23 2017-09-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风轮、风机及制冷设备
EP3530956B1 (en) * 2018-02-26 2021-09-22 Honeywell Technologies Sarl Impeller for a radial fan and gas burner appliance
CN108612670A (zh) * 2018-04-10 2018-10-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一种离心风扇和天花板嵌入式空调室内机
MX2020010888A (es) 2018-04-23 2020-11-09 Home Depot Int Inc Ventilador de techo con filtracion de aire.
CN112236598B (zh) 2018-06-11 2022-12-16 开利公司 离心式风扇的叶轮-进气口接口和具有该接口的离心式风扇
US11519421B2 (en) * 2018-07-06 2022-12-06 Zhongshan Broad-Ocean Motor Co., Ltd. Wind wheel and blower comprising the same
GB2602987B (en) * 2021-01-22 2023-01-11 Cool T Ltd Fan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14102980A (zh) * 2021-12-29 2022-03-01 江苏博云塑业股份有限公司 一种涡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7508U (ko) * 1978-01-31 1979-08-17
DE3520218A1 (de) * 1984-06-08 1985-12-12 Hitachi, Ltd., Tokio/Tokyo Laufrad fuer ein radialgeblaese
JP2985656B2 (ja) * 1994-04-26 1999-12-06 株式会社デンソー 遠心式多翼ファン及びその製法
JP3192083B2 (ja) * 1996-03-19 2001-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遠心送風機の羽根車及びその製造方法
US5927947A (en) * 1997-12-08 1999-07-27 Ford Motor Company Dynamically balanced centrifugal fan
US6299409B1 (en) * 1998-04-10 2001-10-09 Denso Corporation Centrifugal type blower unit
US6042335A (en) * 1998-05-04 2000-03-28 Carrier Corporation Centrifugal flow fan and fan/orifice assembly
JP3366265B2 (ja) * 1998-10-05 2003-01-14 松下精工株式会社 遠心送風機
DE19909507C1 (de) * 1999-03-04 2000-11-16 Temic Auto Electr Motors Gmbh Radialgebläse, insbesondere für Heizungs- und Klimaanlag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191B1 (ko) * 2002-11-15 200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팬
WO2009105224A3 (en) * 2008-02-22 2009-11-12 Horton, Inc. Hybrid flow fa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43188A (ja) 2002-08-28
US6558120B2 (en) 2003-05-06
JP3105873U (ja) 2004-12-02
CN1210529C (zh) 2005-07-13
CN1369671A (zh) 2002-09-18
KR100405981B1 (ko) 2003-11-14
US20020110455A1 (en) 2002-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981B1 (ko) 천정형 공조기의 터보팬 구조
KR101783177B1 (ko) 사류 팬, 사류 송풍기 및 이를 구비한 콘솔형 에어컨
JP4662608B2 (ja) 軸流ファンとモーターが一体化したファンモーター
KR101977939B1 (ko) 원심 팬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조화기
CN1217104C (zh) 送风装置
CN101990604A (zh) 离心鼓风机
WO2011099286A1 (ja) 遠心送風機
US7744350B2 (en) Multiblade fan
KR20020066551A (ko) 천정형 공조기의 유로 구조
JP5744209B2 (ja) 空気調和機
KR101978202B1 (ko) 송풍팬 하우징
KR100421382B1 (ko) 터보팬
CN1661284A (zh) 一体式空调器
US20080232961A1 (en) Fan and fan frame thereof
JP2000110783A (ja) 遠心送風機
JP2006144805A (ja) 電動送風機
JP3123288B2 (ja) 電動送風機
TWM354786U (en) Fan and fan wheel thereof
CN2460761Y (zh) 离心式送风机
WO2018189931A1 (ja) 遠心ファン、成型用金型および流体送り装置
CN108626168A (zh) 一种高出风量的新型风轮
JP3777891B2 (ja) 空気調和機
KR100272540B1 (ko) 시로코팬의벨마우스구조
KR100821733B1 (ko) 공기 조화기
KR20220079992A (ko) 디퓨저, 송풍 장치 및 집진 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7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