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5907A -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907A
KR20020065907A KR1020027007623A KR20027007623A KR20020065907A KR 20020065907 A KR20020065907 A KR 20020065907A KR 1020027007623 A KR1020027007623 A KR 1020027007623A KR 20027007623 A KR20027007623 A KR 20027007623A KR 20020065907 A KR20020065907 A KR 2002006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etepon
diflufenzopyr
ethylene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326B1 (ko
Inventor
존 알. 에반스
리차드 알. 에반스
아니타 엘. 하렐
왈리스 더블유. 스튜어트
데이비드 엘. 킹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바스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2006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32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4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s, e.g. biuret; Thio analogues thereof; Urea-aldehyde condensation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 A01N5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 A01N57/2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having phosphorus-to-carbon bonds containing acyclic or cycloaliphatic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옥신 전달 억제제 및 적엽제를 동시 또는 순차 적용하는 경우에 상승적으로 작물의 적엽을 개선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성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옥신 전달 억제제가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엽제는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제, 예를 들어 포스폰산 유도체이다. 상기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이 디플루펜조피르이고, 상기 포스폰산 유도체가 에테폰(즉, 에테폰 (2-클로로에틸) 포스폰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Methods And Compositions To Defoliate Crop Plants And Minimize Plant Regrowth Following Defoliation}
목화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섬유이고, 전세계적으로 재배된다. 목화(고시피움 히르수툼: Gossypium hirsutum)은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다년생 식물이고 온대지방에서 일년생으로 재배된다. 목화는 7 ~ 9 엽기(leaf stage)에서 시작하여 목화 철(season)이 끝날 때까지 계속하여 열매(boll: 볼)를 맺는다. 일반적으로 재배철의 이른 시기에 열린 볼은 수확시의 크기가 재배철의 마지막 시기에 열린 볼들에 비하여 크다. 재배철의 초기에 맺힌 볼들은, 재배철의 말기에 볼이 맺히기 전에 며칠 또는 수주 동안 개봉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한번 개봉되면 그 목화 볼은 섬유로서의 품질이 저하되기 시작하는데 기후에 계속하여 노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목화 재배자는 작물이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수확을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다.
녹색 잎들이 작물에 그대로 남아 있는 상태에서 기계를 사용하여 목화를 수확하는 경우, 수확 과정 동안 목화 섬유 상에 녹색 반점이 존재하는 것이 종종 보인다. 이러한 녹색 반점은 시장에서의 섬유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 때문에, 목화를 기계적으로 수확하기 전에 적엽제를 종종 사용한다. 종래에도 목화를 적엽시켜왔지만 아직도 개선할 점이 있다.
본 발명은 농작물의 적엽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형태로서, 본 발명은 농작물(예: 목화)을 수확하기 전에 적엽시킬 수 있는 조성물 및 방법 및/또는 적엽된 농작물의 재성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조성물로서 구현된다.
포괄적으로, 본 발명은 작물 성장 조절제(바람직하게는 옥신(auxin) 전달 억제제)와 적엽제(바람직하게는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의 응답을 유도하는 제제)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 작물의 적엽 과정을 상승적으로 개선하고 및/또는 작물의 적엽후의 재성장을 최소화(전체적으로 방지되지 않는 경우)한다는 것을 발견한 것과 관련이 있다. 상기 옥신 전달 억제제가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이고,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 응답 유도제가 포스폰산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이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이고, 상기 포스폰산 유도체가 에테폰(즉, 에테폰 (2-클로로에틸) 포스폰산)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장점들은 하기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고려하면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선호되는 옥신 전달 억제제에는 미국 특허 제5,098,462호 및 제5,098,466호(이들의 내용 전체를 참고문헌으로 포함한다)에 더 자세히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치환된 세미카르바존 및 관련 화합물들(예: 티오세미카르카르바존, 이소티오세미카르브존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된다. 이들 화합물들은 카르보닐 화합물과 세미카르바지드 또는 티오세미카르바지드를 함께 실온에서 알콜 용매(예: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존재하에 산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반응시켜서 합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세미카르바존을 제조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가장 선호되는 세미카르바존은 디플루펜조피르이다.
상기 선호되는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 응답 유도제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이다.
상기 식에서, R1은 할로에틸이고, R2및 R3
(1) 염소 원자 및 히드록시기, (2) -OR4기 및 -O-CH2R4기 (여기서 각 R4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 및 헤테로시클릭기의 군의 일원이다), (3) -OR4및 -O-CH2R4기 (여기서 각 R4는 수소,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비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시클릭기, 알켄 및 알킨의 군의 상이한 일원인데, 단, 하나의 R4가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켄 및 알킨 중에서 선택되는 경우에, 나머지 R4는 비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 및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된다), (4) R2및 R3가 함께 하기 기를 나타내는데,
여기서 R5및 R6는 각각 별도의 단일 결합에 의하여 상기 인 원자에 연결되어 있고, R5및 R6중의 하나는 -O-이고, 나머지 하나는 -O-, -OCH2, -CO-O- 및 -CONH의 군에서 선택되고, R7은 벤젠, 치환된 벤젠, 헤테로시클릭 고리 및 치환된 헤테로시클릭 고리로부터 선택되는 시클릭기이고, (5) R2및 R3중 하나는 -OR8이고, 나머지 하나는 하기 화합물이며,
여기서 각 R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수소, 비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킬, 비치환된 아릴, 치환된 아릴 및 헤테로시클릭기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정의에 포함하되는 적합한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 응답 유도제들은 미국 특허 제3,879,188, 4,240,819, 4,352,869, 4,374,661, 4,401,454 및 5,123,951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의 내용 전체는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가장 바람직한 에틸렌 유도제는 2-클로로에틸-포스폰산 (일반적으로 에테폰이라고 알려져 있음) 및 그의 직접 유도체들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 사용가능한 구체적인 포스폰산 유도체 화합물들로는
비스(산 클로라이드) 또는 2-클로로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피로카테콜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4-클로로피로카테콜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에틸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 혼합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부틸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 혼합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2-클로로에틸 모노에스테르,
2-브로모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비스(페닐)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테트라클로로피로카테콜 시클릭 에스테르,
2-요오도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살리겐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살리시클릭 산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에틸 모노에스테르,
2-요오도에틸포스폰산의 부틸 모노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3-히드록시페닐 모노에스테르 (중합체 형태로 존재한다),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비스(2-옥소-피롤리디닐메틸)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o-히드록시페닐 모노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이소프로필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2-플루오로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옥틸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헥사데실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트리데실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무수물,
2-클로로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부틸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그리고, 2-브로모에틸포스폰산의 2-브로모에틸 모노에스테르 등이 있다.
상기 식에 포함되는 다른 유용한 포스폰산 유도체 화합물로는
포스폰아미드산의 살리시클릭 산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페닐 및 2-히드록시페닐 디에스테르의 혼합물,
2-클로로에틸디클로로포스핀,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비스(펜타클로로페닐) 에스테르;
2-클로로프로필포스폰산,
2-페닐티오에틸포스폰산,
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의 2,3-피리딘디오 시클릭 에스테르,
2-클로로에틸티오포스폰산,
(2-브로모, 2-플루오로 및 2-요오도) 그리고 2-클로로에틸-2,3-디브로모-4-히드록시-2-부테닐 에스테르 중합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포스폰 산 유도체의 염들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염들의 예로는 나트륨, 알루미늄, 아연, 칼륨, 및 리튬 염 등이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선호되는 적엽제는 시니돈-에틸 또는 S,S,S-트리부틸포스포르트리티오에이트(Def6이라는 등록상표명으로 바이엘사(BAYER Corporation)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함)와 같은 프로톡스 억제제 또는 티디아주론(Dropp50WP라는 등록상표명으로 아그로 에보(Agro Evo)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함)과 같은 페닐우레아이다.
상기 세미카르바존을 성장하는 농작물 1 에이커(=4,046.71 m2) 당 활성 성분을 0.005 내지 약 0.09,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0.05 파운드(lb. ai/A) 적용한다. 한편,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 응답 유도제는 약 0.25 내지 약 2.5 lb. ai/A의 양으로 작물에 적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약 0.5 내지 약 2.0 lb. ai/A의 양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성분들을 작물에 동시에 적용할 수도 있고(즉, 성분들의 탱크 혼합물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상기 세미카르바존 화합물을 성장하는 작물에 먼저 적용하고, 적어도 약 3 일 내지 21일 내에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 유형 응답 유도제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순차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각 활성 성분들의 양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상기 활성 성분들은 분말(dust), 과립, 용액, 유화액, 습윤성 분말, 유동액(flowables) 및 현탁액의 형태로서 함께 또는 순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특정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하기 설명될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을 따라서 그것이 요구되는 작물의 위치(locus)에 에이커 당 적절한 양으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물의 "위치"에 상기 화합물을 적용하는 것은 작물 또는 작물의 일부 또는 작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들은 상기 작물들의 바닥쪽 부분에 적용된다. 액상 및 고상 입자 화합물 및/또는 조성물을 작물의 바닥쪽 부분에 적용하는 것은 종래의 방법, 예를 들어 붐 앤드 핸드(boom and hand) 방법(예: 스프레이어 또는 더스터)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들 및/또는 조성물들은 필요한 경우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대기중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활성 성분들은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용액은 종래의 방법 예를 들면 작물의 위치에 스프레이, 아토마이징(atomizing) 또는 워터링(watering)을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들은 또한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들 또는 아쥬반트(adjuvant)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로는 흐름(drift) 제어제, 소포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비료, 식물 독성제(phytotoxicant), 제초제, 살충제(pesticide), 살충제(insecticide), 살진균제, 습윤제, 점착제(adherent), 살선충제, 살균제, 미량 원소들, 상승제, 해독제, 이들의 혼합물 그리고 작물 성장 제어 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른 그러한 아쥬반트등이 있다.
하기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개시할 것이나, 이들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롱플랑사(Rhone-Poulenc Ag comp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며, 활성성분으로서 에테폰(2-클로로에틸)포스폰산을 55.4%의 양으로 포함하는 PREPTM브랜드 에테폰 (ETP)을 목화 및 담배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1
ETP 및 디플루펜조피르 (DFP)를 온실에서 재배한 강낭콩(red kidney bean plants) 및 목화에 단독으로 그리고 혼합물 형태로 적용하였다. 처리된 작물의 적엽률에 대해서는 두 경우 모두 처리하고 3일 및 14일 경과후에 측정하였으며, 재성장률에 대해서는 강낭콩의 경우 처리후 14일 후, 그리고 목화의 경우 처리후 14일 및 28일 후에 각각 재성장률을 측정하였다. 강낭콩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A에 나타내었고, 목화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B에 나타내었다.
적엽률 % 재성장률 %
lb. ai/A 3 일후 14 일후 14 일 후
미처리 0 0 0 100
ETP 2.0 6 35 10
DFP 0.050 7 23 0
DFP 0.010 2 22 0
DFP 0.001 0 4 100
ETP+DFP 2.0+.0050 88 100 0
ETP+DFP 2.0+0.010 94 100 0
ETP+DFP 2.0+0.001 47 59 -
적엽률 % 재성장률 %
lb. ai/A 3 일후 14 일후 14 일후 28 일후
미처리 0 13 13 100 100
ETP 2.0 31 49 8 77
DFP 0.050 31 49 2 0
DFP 0.010 34 41 5 6
DFP 0.001 12 51 50 9
ETP+DFP 2.0+.0050 71 83 0 0
ETP+DFP 2.0+0.010 53 67 2 8
ETP+DFP 2.0+0.001 44 76 8 30
표 1A 및 1B의 데이타는 에테폰 또는 디플루펜조피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낭콩 및 목화에 대한 온실 실험에 있어서 51 % 이하의 낮은 적엽률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에테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물의 키를 감소시키고, 적은 수의 잎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었다.
디플루펜조피르를 0.01 및 0.05 lb ai/A의 양으로 사용한 경우, 상편생장(epinasty: 새로 성장하는 부분이 굴곡되고 및/또는 잎들이 오그라든다)을 나타냈으며 성장이 감소되었다. 디플루펜조피르에 의해 유발된 상편생장은 강낭콩의 경우에 심했다. 그러나, 상기 데이타는 온실 실험에 있어서 에테폰과 함께 디플루펜조피르를 0.01 및 0.05 lbs ai/A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각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보다 높은 적엽률을 보인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에테폰과 함께 많은 양의 디플루펜조피르를 함께 사용한 경우의 재성장률은 에테폰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더 낮았다.
실시예 2
실시예 1을 미시시피의 현장 조사(field study)에서 반복하였다. 작물들의 적엽률을 검사하고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적엽률 %
lb. ai/A 7 일후 20 일후
미처리 -- 0 0
DFP .005 23 40
DFP .010 23 39
DFP .020 21 39
DFP+ETP .005+1.0 64 70
DFP+ETP .010+1.0 76 80
DFP+ETP .020+1.0 71 70
ETP 1.0 58 78
상기 데이타는 에테폰과 함께 디플루펜조피르를 0.005 내지 0.020 lbs ai/A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각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적엽률이 개선되었다는 것을, 특히 처리하고 7일후의 결과에서 보이고 있다.
실시예 3
온실에서 재배한 강낭콩을 DFP 및 ETP로 처리하였다(탱크에서 혼합한 상태로 적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적용함). 이 실시예에서 DFP는 0.005 lb. ai/A의 양으로 사용하였다.
순차적으로 적용한 경우에, ETP 적용하기 3 일전, 14 일전 및 21 일전에 DFP를 적용하였다. ETP를 0.1 lb ai/A 및 0.4 lb ai/A의 양으로 적용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적엽률 %
처리 화합물 적용 기술 적용한 날 0.1 lb/A ETP 0.4 lb/A ETP
ETP na 0 18 20
DFPETP 탱크에서 혼합함 00 74 100
DFPETP 순차 적용 03 68 76
DFPETP 순차 적용 014 33 79
DFPETP 순차 적용 021 56 83
주: (1) 모든 처리 화합물들은 Dash HC 스프레이 아쥬반트를 1% v/v의 양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3의 데이타는 에테폰을 적용하기 3 일, 14일 및 21일 전에 디플루펜조피르를 사용하여 온실에서 강낭콩을 전처리한 경우에, 에테폰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적엽률이 개선된 것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을 온실에서 재배한 강낭콩에 대해서 반복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개시하였다.
처리 화합물 적용량lbs ai/A 적용일 적엽률 %15 일후
미처리 -- -- 0
ETP 1.0 7 28
DFPETP 0.0051.0 77 58
DFP 0.005 0 59
DFPETP 0.0051.0 07 73
상기 데이타는 에테폰을 적용하기 7 일전에 디플루펜조피르를 사용하여 강낭콩을 전처리한 경우에, 에테폰의 적엽 활성이 증가한 것을 보이고 있다.
실시예 5
필드에서 재배한 감자를 DFP 및 ETP의 혼합물로 처리하였다 (적용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감자의 적엽률을 처리후 4일 및 18일후에 검사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적엽률 %
처리 화합물 사용량lbs ai/A 4 일후 15 일후
미처리 -- 0 29
DFP+ETP 0.02+1.0 39 63
DFP+ETP 0.04+1.0 45 79
DFP+ETP 0.06+1.0 45 85
DFP+ETP 0.02+0.5 34 66
DFP+ETP 0.04+0.5 39 66
DFP+ETP 0.06+0.5 36 60
주: (1) 모든 DFP+ETP 처리 화합물들은 Dash HC 스프레이 아쥬반트를 1% v/v의 양으로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2를 루이지애나(LA), 조지아(GA) 및 노쓰 캐롤라이나(NC)의 필드에서 재배한 목화에 대하여 ETP의 존재 및 부재하에 0.03 내지 0.09 lbs ai/A의 DFP를 사용하여 반복하였다. 상기 작물의 재성장률을 각 경우에 대하여 처리후 특정일에 검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재성장률 %
사용량(lb. ai/A) LA17 일후 GA15 일후 NC27 일후 평균
미처리 -- 76.3 40.3 60.0 59
DFP 0.030 2.5 18.0 1.7 7
DFP 0.060 1.8 13.0 5.0 7
DFP 0.090 0.5 17.8 0.0 6
DFP+ETP 0.030+1.0 50.0 34.0 6.7 30
DFP+ETP 0.060+1.0 36.3 33.8 0.0 23
DFP+ETP 0.090+1.0 12.5 10.0 3.3 9
ETP 1.0 83.8 8.5 60.0 51
놀랍게도 상기 데이타는 ETP에 DFP를 추가하여 사용한 경우에 재성장양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6을 미시시피(MS)의 필드에서 재배한 목화에 대하여 반복하였다. 처리하고 20 일 경과후에 적엽 후의 재성장률을 측정하고, 하기 표 7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처리 화합물 사용량lbs ai/A 재성장률 %20 일후
미처리 -- --
DFP 0.005 31.3
DFP 0.010 15.0
DFP 0.20 11.3
DFP+ETP 0.005+1.0 21.3
DFP+ETP 0.010+1.0 10.0
DFP+ETP 0.020+1.0 8.8
ETP 1.0 36.3
실시예 8
온실에서 강낭콩에 대하여 DFP 및 하기와 같은 다른 적엽제 또는 건조제(desiccation agent)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시니돈-에틸 (미국 특허 4,933,001 및 5,123,955 참조; 이들은 전체로서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DEF6: 활성성분(a.i.) 바이엘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S,S,S-트리부틸 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적엽제
DROPP 50WP: 아그로 에보(Agro Evo)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티디아주론 목화 적엽제
이러한 온실에서의 실험에 있어서, 균일한 재성장률을 얻기 위하여 6 개의 복제물(replications) 중에서 4 개에 대하여, 처리하고 7 일후에 상기 강낭콩으로부터 잎을 뜯어 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A 내지 8C에 나타냈다. 여기서 재성장률은 미처리된 대조 농작물에 대한 100분률로 결정하였다.
DFP (lbs ai/A)
0 0.001 0.002 0.004
시니돈-에틸(lbs ai/A) 처리하고 21 일후의 재성률 %
0 100 12 4 3
0.03 124 17 1 0.0
0.06 110 12 3 0.0
0.12 73 4 6 0.0
DFP (lbs ai/A)
0 0.001 0.002 0.004
DEF6(lbs ai/A) 처리하고 21 일후의 재성률 %
0 100 60 20 0.0
0.375 190 55 8 0.0
0.75 252 57 5 0.0
0.12 200 75 0.0 0.0
DFP (lbs ai/A)
0 0.001 0.002 0.004
DROPP 50WP(lbs ai/A) 처리하고 21 일후의 재성률 %
0 100 47 20 18
0.05 95 102 90 53
0.1 74 95 88 54
0.2 87 78 77 63
상기 데이타로부터 알 수 있듯이, DFP만을 사용한 경우에 미처리된 대조군에 비하여 재성장률을 감소시켰다. BASF 123W 및 DEF6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성장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0.004 lbs ai/A의 양의 DFP와 시니돈 에틸 또는 DEF6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재성장률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DROPP 50WP를 사용한 경우에는 재성장을 약간 억제하였다. 0.004 lbs ai/A의 양의 DFP와 DROPP 50WP를 조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DROPP 50WP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재성장률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현재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양태라고 생각되는 바와 결부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 양태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의 정신과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적 재배열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Claims (21)

  1. 적엽이 필요한 성장하는 농작물의 위치(locus)에 적엽 효과량의 옥신(auxin) 전달 억제제 및 적엽제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 최소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신 전달 억제제가 세미카르바존이고 상기 적엽제가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 유도제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 유도제가 포스폰산 유도체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카르바존이 디플루펜조피르이고 상기 포스폰산 유도체가 에테폰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루펜조피르 및 에테폰을 동시에 작물의 위치에 적용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루펜조피르 및 에테폰을 혼합물의 형태로 작물의 위치에 적용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작물의 위치에 상기 디플루펜조피르를 먼저 적용하고 이어서 상기 에테폰을 적용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작물의 위치에 상기 디플루펜조피르를 적용하고 이어서 약 3 일 이상 내에 상기 에테폰을 작물의 위치에 적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작물의 위치에 상기 디플루펜조피르를 적용하고 이어서 약 3 일 내지 약 21 일 안에 상기 에테폰을 작물의 위치에 적용하는 방법.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물의 위치에 상기 디플루펜조피르를 약 0.005 내지 약 0.09 lb. ai/A의 양으로, 그리고 작물의 위치에 상기 에테폰을 약 0.25 내지 약 2.5 lb. ai/A의 양으로 적용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작물의 위치에 상기 디플루펜조피르를 약 0.01 내지 약 0.05 lb. ai/A의 양으로, 그리고 작물의 위치에 상기 에테폰을 약 0.5 내지 약 2.0 lb. ai/A의 양으로 적용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물이 목화, 강낭콩 및 감자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엽제가 프로톡스 억제제, S,S,S-트리부틸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또는 페닐우레아인 방법.
  14. 작물의 적엽후의 재성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효과량의 옥신 전달 억제제 및 적엽제를 포함하는, 농작물을 적엽시키고, 재성장을 최소화하는 작물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옥신 전달 억제제가 세미카르바존이고 상기 적엽제가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 유도제인 조성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옥신 전달 억제제가 세미카르바존이고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 유도제가 포스폰산 유도체인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카르바존이 디플루펜조피르이고 상기 포스폰산 유도체가 에테폰인 조성물.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미카르바존이 약 0.005 내지 약 0.09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에틸렌 응답 또는 에틸렌-유형 응답 유도제가 약 0.25 내지 약 2.5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19.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루펜조피르가 약 0.005 내지 약 0.09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에테폰이 약 0.25 내지 약 2.5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루펜조피르가 약 0.01 내지 약 0.05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고, 그리고 상기 에테폰이 약 0.5 내지 약 2.0 lb. ai/A의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엽제가 프로톡스 억제제, S,S,S-트리부틸포스포로트리티오에이트 또는 페닐우레아인 조성물.
KR1020027007623A 1999-12-15 2000-12-05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61,383 1999-12-15
US09/461,383 US6562758B1 (en) 1999-12-15 1999-12-15 Methods and compositions to defoliate crop plants and minimize plant regrowth following defoli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07A true KR20020065907A (ko) 2002-08-14
KR100729326B1 KR100729326B1 (ko) 2007-06-15

Family

ID=23832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6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29326B1 (ko) 1999-12-15 2000-12-05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6562758B1 (ko)
EP (1) EP1237413B1 (ko)
JP (1) JP2003517478A (ko)
KR (1) KR100729326B1 (ko)
CN (1) CN1225171C (ko)
AR (1) AR026981A1 (ko)
AT (1) ATE262792T1 (ko)
AU (1) AU782800B2 (ko)
BR (1) BR0016451B1 (ko)
CA (1) CA2394238A1 (ko)
DE (1) DE60009550D1 (ko)
EA (1) EA006390B1 (ko)
ES (1) ES2218262T3 (ko)
IL (2) IL149773A0 (ko)
MX (1) MXPA02005550A (ko)
NZ (1) NZ519212A (ko)
PL (1) PL357156A1 (ko)
TR (2) TR200400727T4 (ko)
UA (1) UA72950C2 (ko)
WO (1) WO2001043552A2 (ko)
ZA (1) ZA2002055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6672A1 (en) * 2002-07-12 2004-01-22 Kristian Madsen A method of removing phylloclades from phyllocacti
BRPI0706884A2 (pt) * 2006-02-02 2011-04-12 Du Pont método de inibição do crescimento de folhagem de planta de algodão, mistura para causar desfolhação prolongada de planta de algodão e composições agrìcolas
BRPI0806751B1 (pt) * 2007-01-17 2018-08-14 Agrofresh Inc. Liberação de agentes de bloqueio e/ou promoção de etileno
KR101400969B1 (ko) * 2012-08-28 2014-05-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에테폰 또는 에틸렌을 이용한 가공용 감자의 저장 방법
EP3416484A1 (en) 2016-02-19 2018-12-26 Haze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for controlled release of active ingredie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200396993A1 (en) 2017-12-27 2020-12-24 Hazel Technologi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lease of cyclopropenes
CN109042727A (zh) * 2018-08-20 2018-12-21 福建农林大学 一种非农药药剂及其在榕树叶面病害虫防治上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931A (en) * 1897-08-24 Sachusetts
US4374661A (en) 1967-12-27 1983-02-22 Union Carbide Corporation Growth regulation process
US3879188A (en) 1969-10-24 1975-04-22 Amchem Prod Growth regulation process
US4401454A (en) 1969-10-24 1983-08-30 Union Carbide Corporation Growth regulation methods
US4240819A (en) 1972-01-28 1980-12-23 Union Carbide Agricultural Products, Inc. Method for the inhibition of plant growth
US4352869A (en) 1980-12-24 1982-10-05 Union Carbide Corporation Solid state electrolytes
DE3222622A1 (de) 1982-06-11 1983-12-15 Schering AG, 1000 Berlin und 4709 Bergkamen Mittel zur entblaetterung von pflanzen mit synergistischer wirkung
US5098462A (en) 1985-08-20 1992-03-24 Sandoz Ltd. Substituted semi-carbazones and related compounds
US5098466A (en) * 1985-08-20 1992-03-24 Sandoz Ltd. Compounds
US4840660A (en) * 1985-12-30 1989-06-20 Rhone Poulenc Nederlands B.V. Plant growth regulator dispersions
US5123951A (en) 1986-03-31 1992-06-23 Rhone-Poulenc Nederland B.V. Synergistic plant growth regulator compositions
DE3643657A1 (de) 1986-12-18 1988-06-30 Schering Ag Mittel zur entblaetterung von pflanzen
DE3724399A1 (de) 1987-07-23 1989-02-02 Basf Ag Phenylalkenylcarbonsaeuren und deren ester
US5665673A (en) 1988-12-29 1997-09-09 Anderson; Richard J. Potentiating herbicidal compositions
US4960275A (en) 1989-11-06 1990-10-02 Imrych Magon Water immersion amusement apparatus
DE19911165B4 (de) * 1999-03-12 2008-03-13 Bayer Cropscience Ag Entlaubungsmitt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6451A (pt) 2002-09-10
EP1237413B1 (en) 2004-03-31
CA2394238A1 (en) 2001-06-21
TR200400727T4 (tr) 2004-06-21
ZA200205588B (en) 2003-10-07
WO2001043552A3 (en) 2001-11-15
IL149773A0 (en) 2002-11-10
WO2001043552A2 (en) 2001-06-21
AU782800B2 (en) 2005-09-01
ES2218262T3 (es) 2004-11-16
PL357156A1 (en) 2004-07-12
EP1237413A2 (en) 2002-09-11
KR100729326B1 (ko) 2007-06-15
CN1409599A (zh) 2003-04-09
MXPA02005550A (es) 2002-10-23
BR0016451B1 (pt) 2013-02-19
US6562758B1 (en) 2003-05-13
TR200401643T4 (tr) 2004-08-23
IL149773A (en) 2007-05-15
AU2165001A (en) 2001-06-25
EA006390B1 (ru) 2005-12-29
ATE262792T1 (de) 2004-04-15
AR026981A1 (es) 2003-03-05
CN1225171C (zh) 2005-11-02
UA72950C2 (uk) 2005-05-16
EA200200679A1 (ru) 2003-02-27
JP2003517478A (ja) 2003-05-27
DE60009550D1 (de) 2004-05-06
NZ519212A (en) 200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9208A (en) Herbicidal compositions and herbicidal processes
KR20000053110A (ko) 작물 선택성 제초제
US4361436A (en) Composition for plant growth regulation
US4448601A (en) Herbicidal compositions and herbicidal processes
KR100729326B1 (ko) 농작물을 적엽(摘葉)시키고, 적엽후의 재성장을최소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US6451793B1 (en) Synergistic insecticidal formulations of pyridaben and strobilurins
US4152429A (en) Methods of controlling plant fungi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2-chloroethylphosphonic acid
JPH05271007A (ja) 除草方法
US4760091A (en) Method of controlling phytopathogenic fungus
US20030166469A1 (en) Crop harvesting method using a 1,2,4-triazol-1-ylpropanoic acid and derivatives
US5270287A (en) Method for defoliating and desiccating cotton
US890682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ost emergent weed control with clethodim and gibberellic acid
US4932995A (en) Process for increasing rice crop yield
US4041109A (en) Diphosphorous
NZ253070A (en) Ovicidal compositions and method of combatting insect eggs
AU643238B2 (en) Method for defoliating and desiccating cotton
US4216213A (en) Acaricidal and insecticidal compositions
US20030083334A1 (en) Synergistic insecticidal formulations of pyridaben and strobilurins
Guthrie Control of the Corn Earworm Amd Corn Leaf Aphid on Bagged Sorghum Heads
US4454127A (en) Insecticidal pyrethroid compositions
JPS6136486B2 (ko)
US20030158041A1 (en) Methods of and compositions for plant defoliation
JPS58144308A (ja) 殺虫・殺ダニ組成物
MXPA97001091A (es) Composiciones pesticidas que contienen aminas grasas etoxiladas para incrementar la efectividad del endotalio y sus sales
DE2514088A1 (de) Neue verbindungen des diaminobenz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