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 20 중량%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효과를 가진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피부자극완화물질인 피토스테롤을 첨가하여 피부자극완화 화장료조성물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의 피토스테롤은 일반적인 피토스테롤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대두(Soybean), 평지씨(Rape Seed) 또는 목재로부터 추출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독일 헨켈사의 게네롤(Generol), 캐나다 피토켐사의 피토스테롤, 일본 에이자사의 피토스테롤과 같은 시판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피토스테롤로는 베타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캄페스테롤, 브래시카스테롤 및 아베나스테롤 중 선택된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파스테롤, 스피나스테롤, 에르고스테롤, 디오스게닌 등의 피토스테롤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들은 식물체 내에 매우 소량이 함유되어 있어 분리정제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매우 많이 들기 때문에 실제 상품화되고 있지 못하다.
상기 피토스테롤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01 - 2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토스테롤을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자극완화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2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한 경우에는 제형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피토스테롤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 5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 범위에서는 자극완화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형화가 용이하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을 사용하여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밀크로션)를 제조하였다.
구분 |
원료명 |
함량 |
1 |
정제수 |
100까지 |
2 |
글리세린 |
5.0 |
3 |
1,3 부틸렌 글리콜 |
4.0 |
4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5 |
메틸 파라벤 |
0.1 |
6 |
프로필 파라벤 |
0.1 |
7 |
유동 파라핀 |
10.0 |
8 |
모노 스테아린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20E.O) |
0.7 |
9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3 |
10 |
세탄올 |
0.5 |
11 |
스테아린산 |
0.7 |
12 |
피토스테롤 |
2.0 |
13 |
트리에탄올 아민 |
0.2 |
14 |
향 |
0.1 |
먼저 원료 1 내지 5를 혼합계량한 후 80℃로 가열용해하여 용액 A를 얻고, 별도로 원료 6 내지 12를 혼합계량한 후 80℃까지 가열용해하여 용액 B를 얻었다.
상기 용액 B를 용액 A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이어서 원료 13의 중화제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0℃까지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후 원료 14를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목적하는 로션형태의 화장료를 얻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2의 성분을 사용하여 비교예 1인 영양화장수(밀크로션)를 제조하였다.
구분 |
원료명 |
함량 |
1 |
정제수 |
100까지 |
2 |
글리세린 |
5.0 |
3 |
1,3 부틸렌 글리콜 |
4.0 |
4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2 |
5 |
메틸 파라벤 |
0.1 |
6 |
프로필 파라벤 |
0.1 |
7 |
유동 파라핀 |
10.0 |
8 |
모노 스테아린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20E.O) |
0.7 |
9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3 |
10 |
세탄올 |
0.5 |
11 |
스테아린산 |
0.7 |
12 |
트리에탄올 아민 |
0.2 |
13 |
향 |
0.1 |
먼저 원료 1 내지 5를 혼합계량한 후 80℃로 가열용해하여 용액 A를 얻고, 별도로 원료 6 내지 11을 혼합계량한 후 80℃까지 가열용해하여 용액 B를 얻었다.
상기 용액 B를 용액 A에 가하여 유화시키고 원료 12의 중화제를 투입하여 중화시킨 후 40℃까지 냉각시켰다. 냉각시킨 후 원료 13을 투입하고 35℃까지 냉각시켜 목적하는 로션형태의 화장료를 얻었다.
(실험예 1)
자극완화효과의 실험
피토스테롤의 자극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피토스테롤를 함유한 유액과 비교예 1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유액을 사전처리한 후 자극물질을 접촉시켰을 때 자극을 얼마나 억제하는지 비교하였다.
실험방법 및 절차는 자극물질에 대해 보호크림의 효과를 실험한 논문(Walter Wigger-Alberti 등. J Am Acad Dermatol. 1999)의 절차를 따랐으며,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강한 성인남녀 20명(남자 10명, 여자 1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내측 연한피부에 0.03ml의 실시예 1의 유액 및 비교예 1의 유액을 직경 2cm 정도 되도록 각각 도포하였다.
도포 30분 후 자극물질인 10%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핀챔버(직경 12mm. Epitest Ltd Oy. Finland)로 30분간 부착한 후 제거하였다. 제거 1시간 후에 육안관찰,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및 홍반지수 측정을 통해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상기의 모든 실험은 온도 22±2℃, 상대습도 55 - 60%의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하였다.
(1) 육안관찰(Visual Score)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으며 등급에 따라 20명의 평균치를 내어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0 : 아무 반응 없음
1 : 아주 경미한 홍반
2 : 경미한 홍반
3 : 홍반, 경계부위 부종, 구진
4 : 홍반, 부종
5 : 심한홍반, 부종, 수포
피검자 |
실시예 1 |
비교예 1 |
1 |
1 |
2 |
2 |
1 |
2 |
3 |
1 |
2 |
4 |
2 |
3 |
5 |
1 |
3 |
6 |
0 |
2 |
7 |
2 |
2 |
8 |
1 |
2 |
9 |
1 |
2 |
10 |
1 |
3 |
11 |
1 |
1 |
12 |
1 |
2 |
13 |
2 |
3 |
14 |
1 |
1 |
15 |
1 |
2 |
16 |
1 |
3 |
17 |
2 |
2 |
18 |
1 |
2 |
19 |
0 |
3 |
20 |
1 |
2 |
평균관찰수치 |
1.0 |
2.2 |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로션(실시예1)은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로션(비교예1)에 비해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2)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피부가 자극을 받게되면 각질층이 손상되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증가하게 되므로,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기(Tewameter TM-210, Courage+ Khazaka Koln, Germany)를 이용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여 자극완화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단위는 ㎎/㎡/hr이다.
피검자 |
실시예 1 |
비교예 1 |
1 |
12.5 |
18.5 |
2 |
16.7 |
19.0 |
3 |
15.3 |
20.1 |
4 |
17.9 |
21.0 |
5 |
13.4 |
20.5 |
6 |
11.5 |
18.5 |
7 |
15.5 |
18.9 |
8 |
13.6 |
18.3 |
9 |
14.5 |
18.8 |
10 |
13.7 |
20.3 |
11 |
12.1 |
17.4 |
12 |
12.5 |
17.5 |
13 |
15.4 |
19.8 |
14 |
13.1 |
18.8 |
15 |
14.2 |
18.5 |
16 |
13.7 |
21.5 |
17 |
15.7 |
19.3 |
18 |
14.8 |
19.1 |
19 |
12.5 |
20.7 |
20 |
13.6 |
19.5 |
평균측정수치 |
14.1 |
19.3 |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로션(실시예 1)을 사용한 경우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로션(비교예 1)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로션은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3) 홍반지수측정(Erythema Score)
피부가 자극을 받게되면 홍반, 수포 등이 생기면서 피부가 붉어지게 되는데 붉은 정도를 색차계(Chromameter 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할수 있다.
이러한 홍반지수는 L*a*b* 3차원으로 표현되는데 이중 적색(pasitive value)과 녹색(negative value) 사이의 값인 a*값을 측정하였으며 a*값이 클수록 홍반정도가 심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검자 |
실시예 1 |
비교예 1 |
1 |
6.89 |
7.97 |
2 |
7.21 |
8.21 |
3 |
7.36 |
8.17 |
4 |
7.40 |
8.46 |
5 |
6.54 |
7.80 |
6 |
6.40 |
7.06 |
7 |
7.42 |
8.17 |
8 |
6.88 |
8.54 |
9 |
6.96 |
8.36 |
10 |
7.10 |
8.27 |
11 |
7.26 |
7.47 |
12 |
7.11 |
7.76 |
13 |
7.57 |
8.77 |
14 |
6.87 |
7.56 |
15 |
6.96 |
7.99 |
16 |
6.71 |
8.54 |
17 |
7.60 |
8.12 |
18 |
7.01 |
8.07 |
19 |
6.72 |
8.89 |
20 |
6.91 |
8.24 |
평균측정수치 |
7.04 |
8.12 |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로션(실시예 1)은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로션(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영양크림의 제조
피토스테롤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하기 표 6의 성분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
원료명 |
함량 |
1 |
정제수 |
100까지 |
2 |
글리세린 |
5.0 |
3 |
1,3 부틸렌 글리콜 |
4.0 |
4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15 |
5 |
메틸 파라벤 |
0.1 |
6 |
프로필 파라벤 |
0.1 |
7 |
유동 파라핀 |
10.0 |
8 |
모노 스테아린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20E.O) |
0.7 |
9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3 |
10 |
세탄올 |
2.0 |
11 |
스테아린산 |
2.0 |
12 |
피토스테롤 |
3.0 |
13 |
트리에탄올 아민 |
0.2 |
14 |
향 |
0.1 |
(비교예 2)
하기 표 7의 성분을 이용하여 피테스테롤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의 영양크림을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
원료명 |
함량 |
1 |
정제수 |
100까지 |
2 |
글리세린 |
5.0 |
3 |
1,3 부틸렌 글리콜 |
4.0 |
4 |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
0.15 |
5 |
메틸 파라벤 |
0.1 |
6 |
프로필 파라벤 |
0.1 |
7 |
유동 파라핀 |
10.0 |
8 |
모노 스테아린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20E.O) |
0.7 |
9 |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
1.3 |
10 |
세탄올 |
2.0 |
11 |
스테아린산 |
2.0 |
12 |
트리에탄올 아민 |
0.2 |
13 |
향 |
0.1 |
(실험예 2)
자극완화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극완화효과를 실험하였다.
(1) 육안관찰(Visual Score)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하여 육안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피검자 |
실시예 2 |
비교예 2 |
1 |
1 |
2 |
2 |
1 |
1 |
3 |
0 |
2 |
4 |
1 |
2 |
5 |
1 |
2 |
6 |
0 |
2 |
7 |
1 |
2 |
8 |
1 |
2 |
9 |
1 |
1 |
10 |
0 |
2 |
11 |
1 |
1 |
12 |
1 |
2 |
13 |
2 |
2 |
14 |
0 |
1 |
15 |
1 |
2 |
16 |
1 |
3 |
17 |
1 |
2 |
18 |
1 |
2 |
19 |
0 |
3 |
20 |
1 |
2 |
평균관찰수치 |
0.8 |
1.9 |
상기 표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2)은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크림(비교예 2)에 비해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였다.
(2) 경표피수분손실량 측정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하여 경표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단위는 ㎎/㎡/hr이다.
피검자 |
실시예 2 |
비교예 2 |
1 |
12.0 |
18.3 |
2 |
13.5 |
19.0 |
3 |
12.6 |
19.1 |
4 |
13.9 |
19.9 |
5 |
13.5 |
19.5 |
6 |
11.0 |
19.0 |
7 |
13.0 |
18.0 |
8 |
12.7 |
17.5 |
9 |
12.8 |
18.5 |
10 |
13.0 |
18.3 |
11 |
12.1 |
16.5 |
12 |
12.0 |
17.0 |
13 |
12.3 |
19.0 |
14 |
13.0 |
18.3 |
15 |
12.5 |
18.9 |
16 |
11.9 |
19.5 |
17 |
13.2 |
18.3 |
18 |
12.5 |
18.7 |
19 |
10.9 |
19.4 |
20 |
11.7 |
19.0 |
평균측정수치 |
12.5 |
18.5 |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2)을 사용한 경우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크림(비교예 2)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영양크림은 피부자극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임을 알 수 있다.
(3) 홍반지수측정(Erythema Score)
실시예 2와 비교예 2에 대하여 홍반지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피검자 |
실시예 1 |
비교예 1 |
1 |
6.77 |
8.10 |
2 |
7.24 |
7.96 |
3 |
6.37 |
8.10 |
4 |
6.70 |
8.17 |
5 |
6.46 |
7.86 |
6 |
6.27 |
7.72 |
7 |
5.96 |
7.46 |
8 |
6.43 |
7.97 |
9 |
6.57 |
7.66 |
10 |
6.14 |
7.89 |
11 |
6.46 |
8.16 |
12 |
6.47 |
7.67 |
13 |
7.01 |
7.96 |
14 |
6.04 |
7.54 |
15 |
6.27 |
7.94 |
16 |
6.83 |
8.18 |
17 |
6.77 |
8.07 |
18 |
6.23 |
7.85 |
19 |
5.87 |
8.64 |
20 |
6.36 |
8.17 |
평균측정수치 |
6.46 |
7.95 |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한 영양크림(실시예 2)은 종래의 피토스테롤을 함유하지 않은 영양크림(비교예 2)에 비해 우수한 자극완화 효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