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60605A -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605A
KR20020060605A KR1020020001406A KR20020001406A KR20020060605A KR 20020060605 A KR20020060605 A KR 20020060605A KR 1020020001406 A KR1020020001406 A KR 1020020001406A KR 20020001406 A KR20020001406 A KR 20020001406A KR 20020060605 A KR20020060605 A KR 20020060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frame
brackets
cushion unit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773B1 (ko
Inventor
도요다히데토시
이시카와유즈루
가나우미쇼고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20020060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7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the shock absorber being connected to the chain-stay via a linkag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28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 B62K25/283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pivoted chain-stay for cycles without a pedal crank, e.g. motor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 아암(24)에 리어 쿠션 유닛(28)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리어 쿠션 유닛(28)의 하단을 피벗축(25)보다 하측위치에서 피벗 브래킷(13)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피벗 브래킷(13, 13)을 좌우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한 것으로, 차체 중심 근처의 좌우 브래킷간에 예컨대 연료 탱크, 전장(電裝)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어, 차량의 운동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조립시의 이동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Body Frame Structure for Motorcycle}
본 발명은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이고, 차체 조립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하여, 구조를 간소하게 하는데 적합한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차체 프레임 구조로는 예컨대, ①특허 제2945094호 공보 「전동식 이륜차」, ②특허 제2963337호 공보 「자동 이륜차」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①의 도5에는 헤드 튜브(12)로부터 후방 좌우로 메인 프레임(13, 13)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3, 13)의 후방부에 피벗축(23)을 통해 스윙 아암(24)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 이 스윙 아암(24)의 후단에 후륜(29)을 부착하고, 스윙 아암(24), 메인 프레임(13)과 쿠션 유닛(30)(도1 참조)을 개재시킨 자동 이륜차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보①의 도6에는 메인 프레임(13, 13)사이에 배터리 케이스(70)를 부착하고, 이 배터리 케이스(70)에 배터리(68)를 수납한 차체 프레임(11)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공보②의 도1에는 헤드 파이프(2)로부터 후방으로 메인 프레임(4)을 연장하고, 이 메인 프레임(4)에 엔진(6)을 부착함과 동시에 메인 프레임(4)의 후방부에 피벗 샤프트(49)를 통해 스윙 아암(5)을 스윙 가능하게 부착, 이 스윙 아암(5)의 후부에 후륜(7)을 부착하고, 스윙 아암(5)의 하부에 링크(13)를 통해 쇽 유닛(11)의 하단을 부착하고, 이 쇽 유닛(11)의 상단을 엔진(6)에 구비한 크랭크 케이스(12)에 부착한 자동 이륜차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보②의 도2에는 메인 프레임(4)의 평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차체 프레임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좌우 후방으로 메인 프레임을 연장시킨 것으로, 좌우 메인 프레임은 크게 떨어져 있으므로 전장품 혹은 다른 부품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스페이스인데, 상기 공보①의 기술에서는 메인 프레임(13)의 후측부 상부에 쿠션 유닛(30)의 단부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메인 프레임(13)의 후측부 상부간의 스페이스가 작아진다.
또한, 메인 프레임(13)의 후측부 상부간의 스페이스에 배치해야 할 부품은 다른 장소로 분산시켜 배치하게 되어, 중량이 분산되고, 예컨대, 높은 운동 성능을 필요로 하는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에는 불리해진다.
또한, 상기 부품이 분산되면, 부품을 차량에 부착할 시에 이동하면서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어 생산성이 저하하거나, 차량이 대형으로 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공보 ①의 기술에서는 메인 프레임(13, 13)간에 배터리 케이스(70)를 부착하였으므로, 제조를 위한 공정수가 늘어나,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상기 공보②의 기술에서는 메인 프레임(4)의 후단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엔진(6)의 크랭크 케이스(12)에 쇽 유닛(11)의 상단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상기 공보①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메인 프레임(4)의 후방부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차체 중심부에 부품을 집중시켜 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하게 하여, 차체 조립시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요부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에 근접하는 리어 쿠션 유닛을 설명하는 요부 측면도,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에 부착한 스윙 아암 및 리어 쿠션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도,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
도7은 차체 프레임 구조의 비교예를 도시하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11 : 헤드 파이프
12 : 메인 프레임 13 : 브래킷(피벗 브래킷)
14, 77 : 차체 프레임 24 : 스윙 아암
25 : 피벗축 28 : 쿠션 유닛(리어 쿠션 유닛)
68 : 크로스 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1은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후단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이들 브래킷에 후륜 지지용 스윙 아암을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을 걸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브래킷을 좌우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브래킷을 연결없이 독립하여 형성한 것으로, 좌우의 브래킷간에 예를들면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은 메인 프레임과 브래킷으로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하게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조립하는 경우에, 이동 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2는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후단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이들 브래킷에 후륜 지지용 스윙 아암을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을 걸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브래킷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 브래킷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으로 연결한 것으로, 좌우 브래킷 상부간에 예컨대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조립하는 경우에, 이동 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도면은 부호의 방향으로 보는 것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요부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헤드 파이프(11)로부터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2, 12)(안측의 메인 프레임(12)은 도시하지 않음)을 후방(자세하게는 후방 경사 하방)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각 메인 프레임(12, 12)의 후방부에 브래킷으로서의 피벗 브래킷(13, 13)(안측의 피벗 브래킷(13)은 도시하지 않음)을 부착한 차체 프레임(14)을 구비한다.
16은 전방측 실린더(16a)와 후방측 실린더(16b)를 구비하는 V형 엔진으로, 메인 프레임(12, 12)의 각각의 엔진 부착부(17, 18) 및 피벗 브래킷(13, 13)의 각각의 엔진 부착부(21, 22)에 부착한 것이다.
24는 스윙 아암으로, 피벗 브래킷(13, 13)간에 걸친 피벗축(25)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고, 후단에 후륜(26)을 부착한다.
28은 리어 쿠션 유닛으로, 상단을 스윙 아암(24)의 상부에 형성한 상부 브래킷(31)에 부착하고, 하단을 제1 링크(32)를 통해 스윙 아암(24)의 하부에 설치한 하부 브래킷(33)에 부착한 것이고, 제1 링크(32)는 제2 링크(34)를 통해 피벗 브래킷(13, 13)의 각 하단에 부착한 것이다.
36은 엔진(16)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일단 공기를 저장하는 흡기 박스로, 메인 프레임(12, 12)의 상부에 부착한 것이다.
37은 연료 탱크로, 메인 프레임(12, 12)의 상측방에서 흡기 박스(36)후방에 근접시켜 배치한 것이다.
41은 리어 펜더로, 메인 프레임(12, 12)의 상부에 각각 설치한 카울부착부(42, 43)에 전방부를 부착하고, 연료 탱크(37)의 상측방을 덮고, 다시 후륜(26)의 상측방을 덮어, 연료 탱크(37)의 상측방에 대응하는 상면에 시트(44)를 부착한 것이다.
여기서, 45는 헤드 파이프(11)에 조타 가능하게 부착한 프론트 포크, 46은 프론트 포크(45)의 하단에 부착한 전륜, 47, 48은 엔진(16)을 메인 프레임(12, 12)에 부착하기 위해 엔진(16)측에 설치한 행거부, 51, 52는 엔진(16)을 피벗 브래킷(13, 13)에 부착하기 위해 엔진(16)측에 설치한 행거부, 53은 엔진(16)의 하부에 구비한 오일 팬, 54는 연료 탱크(37)내에 형성한 연료 펌프, 55는 시트(44)의 후측방의 리어 펜더(41)에 형성한 등받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에 근접하는 리어 쿠션 유닛을 설명하는 요부 측면도이고, 리어 쿠션 유닛(28)은 오일을 주입한 실린더부(57)와, 이 실린더부(57)내에 이동 자유롭게 삽입한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과, 이 피스톤에 설치한 피스톤 로드(58)와, 실린더부(57)의 단부에 스윙 아암(24)의 상부 브래킷(31)에 부착하기 위해 형성한 스윙 아암 부착부(61)와, 피스톤 로드(58)의 단부에 제1 링크(32)에 부착하기 위해 설치한 링크 부착부(62)와, 이들 스윙 아암 부착부(61) 및 링크 부착부(62)의 각각의 사이에 개재시킨 스프링(63)으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32)는 3개의 지지축(65, 66, 67)을 부착한 것으로, 하부 브래킷(33)에 지지축(65)을 통해 제1 링크(32)를 스윙 가능하게 부착, 리어 쿠션 유닛(28)에 지지축(66)을 통해 제1 링크(32)를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고, 제1 링크(32)에 지지축(67)을 통해 제2 링크(34)를 스윙 자유롭게 부착한다.
제2 링크(34)는 피벗 브래킷(13, 13)의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크로스 빔(68)에 2개의 링크 부착부(69, 69)(안측의 링크 부착부(69)는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이들 링크 부착부(69, 69)에 지지축(70)을 통해 스윙 자유롭게 부착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이륜차의 평면도로, 좌우의 메인 프레임(12, 12)을 헤드 파이프(11)로부터 후방으로 끝이 넓어지게 연장시킨 경사부(12a, 12a)와, 이 경사부(12a, 12a)의 후단으로부터 거의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시킨 평행부(12b, 12b)로 구성하고, 좌우 메인 프레임(12, 12)의 상부에 흡기 박스(36)를 배치하고, 이 흡기 박스(36)의 후측에 인접시켜 연료 탱크(37)를 배치한 것을 도시한다. 또한, 71은 엔진(16)(도1 참조)의 전방측 실린더(16a)(도1 참조)에 부착한 전측 스로틀 바디, 72는 후측 실린더(16b)(도1 참조)에 부착한 후측 스로틀 바디, 73은 연료 분사용 제어 유닛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로, 피벗 브래킷(13, 13)의 각각의 하부만을 크로스 빔(68)으로 연결하고, 도1에 도시한 차체 프레임(14)을 헤드 파이프(11) 및 메인 프레임(12, 12)과, 도4에 도시한 피벗 브래킷(13, 13)과, 크로스 빔(68)으로 구성하고, 이 크로스 빔(68)의 하부에 전술의 제2 링크(34)(도2 참조)를 연결하기 위한 링크 부착부(69, 69)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피벗 브래킷(13, 13)의 각각의 하부만을 크로스 빔(68)으로 연결한 것으로, 피벗 브래킷(13, 13)의 상부간에는 큰 스페이스가 생기고, 이 스페이스에 각종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에 부착한 스윙 아암 및 리어 쿠션 유닛의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스윙 아암(24)의 후륜(26)(도1 참조)측의 단부가 상상선의 위치(도1의 상태이다.)로부터 화살표①과 같이 상측방으로 스윙하면, 스윙 아암(24)의 하부에 부착한 제1 링크(32)는 지지축(65)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②와 같이 스윙하고, 이에 따라 리어 쿠션 유닛(28)의 링크 부착부(62)는 화살표③과 같이 상승하므로, 리어 쿠션 유닛(28)은 축소되어 감쇠력을 발생한다.
이 때 스윙 아암(24)이 가장 상측방으로 스윙되었다고 해도 리어 쿠션 유닛(28)은 피벗 브래킷(13, 13) 상부간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피벗 브래킷(13, 13)의 상부간 큰 스페이스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도1,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헤드 파이프(11)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2, 12)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2, 12)의 각각의 후단에 피벗 브래킷(13, 13)을 부착하고, 이들 피벗 브래킷(13, 13)에 후륜(26) 지지용 스윙 아암(24)을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25)을 걸친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스윙 아암(24)에 리어 쿠션 유닛(28)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리어 쿠션 유닛(28)의 하단을 피벗축(25)보다 하측 위치에서 피벗 브래킷(13)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피벗 브래킷(13, 13)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68)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68)으로 연결한것으로,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 상부간에 예컨대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조립할 경우에, 이동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차체 프레임 구조의 별도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요부 사시도로,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을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하고, 차체 프레임(77)을 도1에 도시한 헤드 파이프(11) 및 메인 프레임(12, 12)과 도6에 도시한 피벗 브래킷(13, 13)으로 구성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은 이들 피벗 브래킷(13, 13)에 부착한 엔진(16)이나 피벗 브래킷(13, 13)에 걸친 피벗축(25)으로 지지한다.
이상 도1, 도6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헤드 파이프(11)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2, 12)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12, 12)의 각각의 후단에 피벗 브래킷(13, 13)을 부착하고, 이들 피벗 브래킷(13, 13)에 후륜(26) 지지용 스윙 아암(24)을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25)을 걸친 자동 이륜차(10)에 있어서, 스윙 아암(24)에 리어 쿠션 유닛(28)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리어 쿠션 유닛(28)의 하단을 피벗축(25)보다 하측 위치에서 피벗 브래킷(13)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피벗 브래킷(13, 13)을 좌우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을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한 것으로, 좌우의 피벗 브래킷(13, 13)사이에, 예를들면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의 운동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은 헤드 파이프(11)와, 메인 프레임(12, 12)과 피벗 브래킷(13, 13)으로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77)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77)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중심 근처에 부품이 집중함으로써, 차량을 조립할 경우에, 이동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7은 차체 프레임 구조의 비교예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로, 차체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좌우의 메인 프레임(101, 101)(안측의 메인 프레임(101)은 도시하지 않음)의 각각의 후방부를 상부 크로스 파이프(102) 및 하부 크로스 파이프(103)로 연결하고, 상부 크로스 파이프(102)에 후측방으로 돌출하는 브래킷부(104)를 형성하고, 이 브래킷부(104)에 리어 쿠션 유닛(106)의 상단부를 부착하고, 이 리어 쿠션 유닛(106)의 하단부를 링크(107)를 통해 스윙 아암(108)의 하부에 부착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링크(107)는 링크(111)를 통해 메인 프레임(101, 101)의 후방부 하단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메인 프레임(101, 101)간에 상부 크로스 파이프(102)를 설치함으로써, 메인 프레임(101, 101)간의 스페이스가 작아지고, 이러한 차체 중심 근처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1의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는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브래킷을 좌우 연결없이 독립하여 설치하였으므로, 좌우 브래킷간에 예를들면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 차량의 운동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은 차체 프레임에 크로스 파이프를 설치한 경우에 비해 본 발명과 같은 메인 프레임과 브래킷으로 구성하는 차체 프레임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어, 차체 프레임의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조립할 경우에, 이동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는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브래킷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으로 연결하였으므로, 좌우의 브래킷 상부간에, 예컨대 연료 탱크, 전장부품 혹은 다른 부품을 집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차체 중심 근처에 이러한 부품을 배치할 수 있어, 레이스용이나 오프-로드용차량의 운동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을 조립하는 경우에, 이동작업을 적게 할 수 있어, 차량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의 집중화에 의해 차량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

  1.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체 후측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후단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이들 브래킷에 후륜 지지용 스윙 아암을 상하 스윙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을 걸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상기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브래킷을 좌우로 연결없이 독립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2. 헤드 파이프로부터 차체 후측방으로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장하고, 이들 메인 프레임의 각각의 후단에 브래킷을 부착하고, 이들 브래킷에 후륜 지지용 스윙 아암을 상하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피벗축을 걸친 자동 이륜차에 있어서, 상기 스윙 아암에 쿠션 유닛의 상단을 부착하고, 이 쿠션 유닛의 하단을 상기 피벗축보다 하측 위치에서 브래킷측에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브래킷을 각각의 하단에서 크로스 빔으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KR10-2002-0001406A 2001-01-10 2002-01-10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489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03114A JP4627370B2 (ja) 2001-01-10 2001-01-10 自動二輪車用車体フレーム構造
JPJP-P-2001-00003114 2001-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605A true KR20020060605A (ko) 2002-07-18
KR100489773B1 KR100489773B1 (ko) 2005-05-16

Family

ID=1887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406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9773B1 (ko) 2001-01-10 2002-01-10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59885B2 (ko)
EP (1) EP1223101B1 (ko)
JP (1) JP4627370B2 (ko)
KR (1) KR100489773B1 (ko)
CN (1) CN1296249C (ko)
BR (1) BR0200082A (ko)
DE (1) DE60135538D1 (ko)
ES (1) ES2311004T3 (ko)
TW (1) TW5234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9013A (ja) * 2002-07-19 2004-04-02 Yamaha Motor Co Ltd 鞍乗型車両における車体フレームの緩衝構造
US7472772B2 (en) * 2003-02-20 2009-01-06 Honda Motor Co., Ltd. Structure for installing rear cushion
JP2006306283A (ja) * 2005-04-28 2006-11-09 Honda Motor Co Ltd 自動2輪車の車体構造
MY147071A (en) * 2005-11-17 2012-10-15 Yamaha Motor Co Ltd Motorcycle
JP4695023B2 (ja) 2006-06-13 2011-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4995060B2 (ja) * 2007-12-17 201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5193973B2 (ja) * 2009-08-25 2013-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ITBS20100060A1 (it) * 2010-03-29 2011-09-30 Beta Engineering Srl Unita' di sospensione per motociclette e biciclette
JP5530293B2 (ja) * 2010-07-30 2014-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ITBS20110074A1 (it) 2011-05-23 2012-11-24 Beta Engineering Srl Dispositivo di sospensione/ammortizzatore ad azione progressiva per veicoli
CN103057637B (zh) * 2012-12-20 2016-02-10 重庆派术科技有限公司 骑士摩托车功能附件安装架及与其安装的功能附件
US10167054B2 (en) * 2014-07-28 2019-01-01 Suzuki Motor Corporation Motorcycle
JP6612467B2 (ja) 2016-02-25 2019-11-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のフレーム構造
JP6913640B2 (ja) * 2018-01-25 2021-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クッションコンロッド
WO2025094210A1 (en) * 2023-10-31 2025-05-08 Hero MotoCorp Limited Adjustable frame of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749Y2 (ja) * 1979-02-13 1983-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二輪車の後車輪懸架装置
JPS5845388B2 (ja) * 1979-10-16 1983-10-0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US4415057A (en) * 1980-09-23 1983-11-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wheel damper device for motorcycle
JPS6027113Y2 (ja) * 1981-04-30 1985-08-15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US4463964A (en) * 1982-03-26 1984-08-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suspension system for motor vehicles
JPS58214486A (ja) * 1982-06-07 1983-12-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ンク式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S60244689A (ja) * 1984-05-19 1985-12-0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H0645353B2 (ja) * 1985-03-04 1994-06-1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騎乗形車両の車体構造
JPS61268580A (ja) * 1985-05-22 1986-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4712638A (en) * 1985-06-25 1987-12-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uspension system for motorcycles
JPS6264683A (ja) * 1985-09-17 1987-03-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ヨン
US4724920A (en) * 1985-12-06 1988-02-16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suspension systems for automatic two-wheeled vehicles
US5012883A (en) * 1988-03-20 1991-05-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duct device for a motorcycle
US4928781A (en) * 1988-06-03 1990-05-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ar wheel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s of small size
US5062495A (en) * 1990-06-18 1991-11-05 Padgett Ray T Rear suspension system for motorcycles
JP2945094B2 (ja) * 1990-08-02 1999-09-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式二輪車
JPH05278664A (ja) * 1992-04-03 1993-10-26 Suzuki Motor Corp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3178131B2 (ja) * 1992-12-28 2001-06-18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後輪懸架装置
JP2963337B2 (ja) * 1994-04-27 1999-10-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5469930A (en) * 1994-06-17 1995-11-28 Harley-Davidson, Inc. Motorcycle rear wheel suspension
JP2886809B2 (ja) * 1995-09-11 1999-04-2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2輪車の後輪懸架装置
US5975230A (en) * 1998-02-13 1999-11-02 Bourget; Joseph Roger Motorcycle frame having lowered seat and integral oil reservoir
GR1003204B (el) * 1998-08-31 1999-09-03 Smyrnaios Giannis Nelson Πληρως αιωρουμενη αναρτηση διπλης ενεργειας ποδηλατων
JP4004150B2 (ja) * 1998-09-11 2007-11-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リヤクッション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3769959B2 (ja) * 1998-12-28 2006-04-26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JP4138174B2 (ja) * 1999-08-31 2008-08-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リヤスイ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3768788B2 (ja) * 2000-09-05 2006-04-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3901954B2 (ja) * 2001-04-04 2007-04-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JP4627386B2 (ja) * 2001-07-03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05679A (ja) 2002-07-23
US7159885B2 (en) 2007-01-09
CN1296249C (zh) 2007-01-24
JP4627370B2 (ja) 2011-02-09
KR100489773B1 (ko) 2005-05-16
TW523475B (en) 2003-03-11
US20020089145A1 (en) 2002-07-11
EP1223101A3 (en) 2003-10-08
BR0200082A (pt) 2002-09-24
ES2311004T3 (es) 2009-02-01
EP1223101A2 (en) 2002-07-17
CN1364717A (zh) 2002-08-21
DE60135538D1 (de) 2008-10-09
EP1223101B1 (en)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0688B2 (en) Motorcycle frame
KR100489773B1 (ko) 자동 이륜차용 차체 프레임 구조
US6371236B1 (en) Vehicle frame structure of motorcycle
US6595310B2 (en) Swing arm type suspension for vehicles
CN100357152C (zh) 自动二轮车的发动机安装结构
JP2007230537A (ja) フレーム構造
EP1514787B1 (en) Swing arm suspension
US10823253B2 (en) Saddle-type vehicle
US10933934B2 (en) Saddle-type vehicle
JP2004306749A (ja) 車両のスイングアーム式懸架装置
JP2019018758A (ja) 鞍乗り型車両の前部構造
EP0581318B1 (en) Frame structure for motorcycle
EP1747983B1 (en) Low-floor vehicle
EP2500251B1 (en) Saddle-ride type vehicle
EP1642811A1 (en) Windscreen mounting structure in light vehicles
JPH0648362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ユニットスイング式エンジンの懸架構造
US7740095B2 (en) Vehicle including frame, swing arm and side-supported damper
JP4546003B2 (ja) 自動二輪車
JP4105442B2 (ja) 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002046683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ユニットスイング式エンジンの懸架構造
JPH01226486A (ja) 自動二輪車のパワーユニット支持構造
JP2656219B2 (ja) オートバイのステップ取付装置
JPS607990Y2 (ja) オ−トバイ用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2006281947A (ja) 自動二輪車
JP2002225779A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6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