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59814A -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814A
KR20020059814A KR1020027006844A KR20027006844A KR20020059814A KR 20020059814 A KR20020059814 A KR 20020059814A KR 1020027006844 A KR1020027006844 A KR 1020027006844A KR 20027006844 A KR20027006844 A KR 20027006844A KR 20020059814 A KR20020059814 A KR 20020059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housing assembly
ferrule
longitudina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6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더해리에이.
스미스듀안네티.
Original Assignee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롤린 에이. 베이츠,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캐롤린 에이. 베이츠
Publication of KR20020059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81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6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 G02B2006/4297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coupling with sources of high radiant energy, e.g. high power lasers, high temperature light sources having protection means, e.g. protecting humans against accidental exposure to harmful laser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7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 G02B6/3849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means preventing fibre end damage, e.g. recessed fibre surfaces using mechanical protective elements, e.g. caps, hoods, sealing membr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85Multicore or multichannel optical connectors, i.e. one single ferrule containing more than one fibre, e.g. ribbon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9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using encapsulation for protection, e.g. adhesive, molding or casting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평면 기판(102)의 연부 근처에서 백플레인(104)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174)을 접속시키기 광섬유 케이블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광섬유 케이블 각각 복수 개의 광섬유와 단자 페룰(170)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페룰(170) 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종방향 배향은 종방향 축선 및 전방 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페룰은 제1 종방향 운동 범위(x1)과 페룰 스프링 요소(178)를 구비한다. 상기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은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을 포함한다. 기판 하우징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페룰 수용 공동(164)와 기판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182, 184)를 포함하고 기판에 대한 종방향으로의 자유스런 운동을 하며,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은 페룰의 종방향 축선에 따른 기판 하우징 조립체의 운동을 제어하며, 종방향 스프링힘(h)를 가지며, 여기서 h는 (I)보다 크다.

Description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S}
고용량 고속 통신을 위해 광섬유를 사용하는 것은 확립이 잘되어 있다. 전송되는 정보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복수 개의 광섬유를 구비하는 광섬유 케이블의 사용 및 복수 개의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시스템의 사용이 증대되었다.
주어진 공간 내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광섬유의 수를 증가시킬 것이 오랫동안 요구되었다. 최근까지는 광섬유 상호 접속은 SC, ST, LC 등과 같은 산업 표준 커넥터를 사용하는 단식 또는 복식 형태에 제한되어 있다. 이들 해법은 리본 전기 케이블 또는 대량 단자의 IDC 커넥터의 발명전에 널리 알려진 싱글단 전기 케이블 단자와 유사하다.
광섬유 단자는 현재 싱글 단자에서 대량 단자로 발전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에, 다중 광섬유의 리본 케이블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케이블 개발을 위한 노력과 관련하여, 다중 섬유 장착용 페룰(ferrule) 또한 개발되었다.
광학 및 광전자적 장치를 수용하는 전통적인 구조의 전자 케비넷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전통적인 케비넷 구조에서, 케비넷은 서로에 대해 거의 평행한 복수 개의 내부 슬롯 또는 랙(rack)을 구비하는 상자로 구성되어 있다. 구성 요소는 소위 회로 기판 또는 보조 기판으로 불리며 케비넷 내의 슬롯 또는 랙 안으로 밀어넣어지도록 설계된 평면 기판에 장착되어 있고,
전기 케이블에 관해서, 섬유의 신호가 전자 케비넷의 백플레인을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백플레인은 그것의 이름이 평행 육면체의 케비넷의 배면(원위) 판에서 유래한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기판 카드에 직각이다. 본 발명에서 백플레인이라는 용어는 범용 버스 또는 기타 외부 장치 등과 복수 개의 상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호 접속판을 말하는 것이다. 설명을 위해, 백플레인은 전면 또는 내부면 및 배면 또는 외부면을 갖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백플레인 접속의 적용예는 전화 스위칭 장치의 상호 접속이다. 이러한 적용예에서, 광학적 및 전자적 통신 구성 요소를 갖는 카드가 케비넷 안으로 밀어 넣어져 있다. 백플레인의 전방 및 후방에서 제거할 수 있는 섬유 단자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광학적 드라이버 카드를 백플레인에 연결된 랙에 삽입 또는 제거하는 기능으로, 카드의 광학적 접속부의 연결 및 연결해제는 블라인드 메이팅 방식으로 완성되어야 한다.
적절한 광신호의 전송을 지속하기 위해, 광섬유의 단부는 3개의 운동 축(x, y 및 z) 모두를 따라 조심스럽게 정렬되어야 하며, 뿐만아니라 각도상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정렬되는 광섬유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렬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며 허용 오차는 비례하여 감소한다. 카드에 장착된 구성 요소를 백플레인 커넥터에블라인드 메이팅하는 것은 상호 접속의 축선을 따른 정렬 및 결합력에 관한 특별한 요구를 유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를 위해, 상호 접속의 축선은 종방향 또는 x축으로 불리며, 연결 지점에서의 광섬유의 종방향 정렬에 의해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백플레인 적용예에서는 종방향 축선은 카드의 이동 축선 및 케비넷 내외부의 광섬유 접속 축선과 동일 선상에 있다. 측방향 또는 y축은 x축 및 카드의 평면에 수직으로 것으로 규정된다. 마지막으로, 횡방향 또는 z축은 x축 및 백플레인 표면에 직각인 것으로 규정된다. 각도 정렬은 x축에 대한 각도 배향으로 규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가 이를 수용하는 슬롯 안으로 밀어 넣어지는 것은 광학적 상호접속을 동시에 달성된다. 광섬유 단부와, 이와 상호 접속된 광학적 구성 요소 사이의 종방향 축선을 따른 거리인 "광학적 간극"은 중요 고려 대상이다. 큰 간극은 효과적인 접속을 방해하며, 이로 인해 광신호의 손실을 야기한다. 반면에, 카드에서 "꽉 끼게됨"으로써 야기되는 결합면의 과잉 압력은 취약한 광섬유 단부 및 결합 구성 요소에 손상을 초래한다. 전통적인 광학적 간극의 허용 오차는 1 미크론 보다 작은 정도이다.
현재 커넥터 조립체는 페룰에 장착된 전방 편향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편향 스프링은 목적은 두 가지로, 하나는 결합 중에 페룰의 전체 이동의 제한된 양을 흡수하며, 다른 하나는 예정된 스프링 편향력을 제공하여, 페룰이 결합되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 페룰을 함께 밀접하게 압박한다.
추가적인 고려 대상은 카드 간극으로, 백플레인 커넥터 시스템을 취급하는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카드 간극은 회로 카드의 후연부와 백플레인의 내면 또는 전면 사이에 유지되는 공간으로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백플레인 연결 시스템의 설계자와 사용자는 광학적 상호 접속을 위해 요구되는 정밀도의 범위 내에서 백플레인에 대한 카드의 배치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은 알고 있다. 카드 간극은 여러 가지 변수에 종속되는 데, 그렇지 않으면 카드 삽입 거리로 규정된다. 이들 변수중 카드 길이, 카드 표면상의 구성 요소의 배치, 카드 물림 공차 및 백플레인 상의 구성 요소의 배치가 있다.
백플레인의 내부 표면에 비해 회로 카드를 과도하게 삽입하는 것은 백플레인 커넥터의 구성 요소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때, 과도한 압축 응력을 받게되는 별도의 상황이 존재한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압축 응력이 커넥터의 구성 요소 및 그 내부에 포함된 광섬유에 물리적 손상을 야기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과도한 조작력에 의한 구성 요소의 손상을 방지하고, 카드의 종방향 오정렬을 보상하며, 또한 광학적 간극의 거리와 결합력의 정확한 제어를 제공하는 커넥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 다른 고려 대상은 카드의 반경 방향 오정렬이다. 조작자가 슬롯에 카드를 삽입하는 경우에, 백플레인의 축방향 축선과 평행한 상태로 완벽하게 정렬되게 카드 연부를 유지하기는 대개 어렵다. 도 1은 백플레인 커넥터(14)와 결합하는 커넥터(12)를 구비한 각도 오정렬된 카드(10)를 도시하고 있다. 반면에, 카드는 y 및 z축에 대해 정확하게 정렬되어 있다. 커넥터(12)와 커넥터(14) 간의 접촉점에서, 각도 오정렬은 정확한 간극으로 광섬유(16)들 사이에서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것을 방해하고, 커넥터의 일단부와 각 광섬유 단부면에 과도한 압력을 야기한다.
정확한 정렬외의 기타 고려 대상이 백플레인 상호 접속 시스템에 존재한다. 레이저 광신호 및 기타 고광도 광원의 출현으로, 눈에 대한 안전이 오늘날 백플레인 커넥터 사용자와 관련된 주요 고려 대상이다. 안전 문제는 광량이 섬유의 수만큼 배가되기 때문에, 리본 섬유 어레이가 그 이전의 싱글 섬유 보다 위험한 것으로 드러났다는 점에서 더 증대되었다.
미국 특허 제5,080,461호에서 논의된 것과 같은 종래의 시스템들은 단자 섬유 커넥터에 장착된 복합 도어 시스템의 사용을 논의하지만, 주로 섬유 단부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싱글 방식 섬유의 광전송 코어는 그 직경이 단지 8 미크론 이하로 측정되기 때문에, 먼지 입자의 미세한 축적조차도 섬유가 작동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시스템은 각 섬유 단부에 복합 단자를 요구하며, 표준 커넥터가 아닌 다른 대응하는 암수형 커넥터 쌍에 단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그 시스템들의 사용을 성가시게 한다.
EMI(전자기 간섭) 제어 또한 백플레인 커넥터의 설계상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백플레인을 통한 광전기 장치의 접속은 전자 케비넷의 백플레인을 통과하는 실제의 개구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백플레인을 통한 EMI의 누출에 대한 잠재성이 존재한다. 전기적 상호 접속이 다수의 정교한 EMI 차폐 기술의 사용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에 접근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광섬유 커넥터는 이러한 고려 대상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백플레인의 광학적 커넥터 용례와 관련된 또 다른 고려 대상은굴곡 반경 제어이다. 수평의 케비넷 접속부는 종종 중력, 조작자의 실수, 또는 케비넷이 벽에 대해 밀어 붙여지는 경우와 같은 물리적 구속 등에 의한 응력으로 굴곡된다. 광섬유는 유리로 만들어지며,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신호가 전송된다. 광섬유가 소정의 임계각 이상으로 굴곡되는 경우, 유리에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며, 섬유의 파단 또는 손상을 야기할 것이다. 또한, 일정 굽힘각에서는 유리 섬유가 파단되지 않는 경우에도, 완전한 광신호가 더 이상 섬유 내부에서 봉쇄되지 않기 때문에, 광신호가 손실되거나 저하될 수 있다.
광케이블의 굴곡 반경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방법 및 장치가 시도되었다. 그들 중 케이블 상에서 미끄러지는 예비 성형된 부츠(boot)와, 클립 또는 클램프와 같은 외부 장치와, 케이블에 부착되는 경우 케이블이 성형 구조체의 형상을 취하도록 성형된 사출 성형 구성 요소가 있다.
백플레인 접속은 작은 공간 내에서 증대된 수의 광섬유 접속하는 것과 주로 수반하기 때문에, 광섬유의 굴곡 반경을 제어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회로 카드를 백플레인(backplane)에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각도 오정렬된 카드 및 백플레인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카드가 연결된 상태에서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커네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의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의 카드 하우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의 하우징 조립체의 카드 대향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커넥터 구성 요소가 상호 접속의 축선을 따라 정렬되어 있지만, 회로 카드는 상호 접속의 상기 축선을 대해 소정 각도를 갖는 상태의 백플레인 접속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커넥터 시스템의 플러그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로서, 커버의 설치를 제외한 완전 조립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1은 커버가 설치되고 있는 상태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완전 조립 상태의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성형 설비에 둘러져 있는 도 11에 도시된 플러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방향 및 각도 정렬 제어, 오염물 통제, 시각적 안전성 및 굴곡 반경 제어를 제공하는 광섬유의 상호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광학적 상호 접속 시스템은 광섬유 케이블의 상호 접속 어레이를 개별적 또는 집합적인 형태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은 백플레인을 통해 평면 기판, 즉 카드의 연부 근처에서 장착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하나 이상 연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각 광섬유 케이블은 복수개의 광섬유와, 단자 페룰을 포함하며, 이 단자 페룰 내의 광섬유의 종방향 배향은 종방향 축선과, 백플레인을 향한 전방 방향을 형성한다. 각 광섬유 케이블은 유지 부재에 대한 제1 종방향 운동 범위(x1)와, 종방향 페룰 스프링 힘(fn)을 갖는 페룰 스프링 요소를 구비하는 페룰에 의해 종결된다.
광학적 커넥터 시스템은 카드 하우징 조립체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한다. 카드 하우징 조립체는 평면 기판 또는 카드에 장착되며, 광섬유 페룰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페룰 수용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카드 하우징 조립체는 카드 하우징 스프링을 포함한다. 카드 하우징 조립체는 카드에 대한 종방향 운동 범위(x2)를 가지며, 카드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은 종방향 운동 범위에 따른 카드 하우징 조립체의 운동을 제어한다. 카드 스프링은 종방향으로 향하는 스프링힘(h)을 가지며, 여기서
으로,
다시 말하면, 카드 스프링의 스프링힘은 모든 페룰 스프링의 대향 스프링힘을 상쇄할 수 있다. 페룰 스프링이 하나 이상의 개별 스프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카드 스프링은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x-y 평면에 따른 각도 오정렬을 보상하는 독립된 카드 현가 장치를 생성한다.
백플레인 부재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구비한다. 백플레인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종방향 수용 공동을 포함하며, 카드 하우징 조립체 내의 각 공동과 정합한다. 수용 공동은 백플레인의 제1 표면을 따르는 전방 개구와, 백플레인의 제2 표면을 따르는 후방 개구를 구비한다. 전방 도어는 전방 개구를 덮으며, 후방 도어는 후방 개구를 덮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들 도어는 가요성의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폐쇄 위치를 향해 편향된 스프링 요소이다. EMI 방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도어는 전기적으로 접지될 수 있다. 다른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백플레인 하우징은 2개의 부재를 포함하며, 하나는 백플레인의 제1 면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백플레인의 제2 면에 연결된다. EMI 방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부재들 중 하나는 전기적으로 접지되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호 접속 시스템은 또한 광섬유 케이블의 굴곡 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굴곡 반경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광케이블을 구비할 수 있다. 굴곡 반경 제어 부재는 광섬유 케이블을 둘러싸는 열 수축되는 변형 저항성의 외부 자켓을 포함하며, 열 수축 외부 자켓은 요구되는 굴곡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학적 상호 접속 시스템(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광학적 상호 접속 시스템(100)은 회로 카드 또는 보조 카드(102)를 백플레인(104)을 통해 이와 연결시킨다. 카드(102)는 회로 카드 또는 보조 기판과 같은 평면 기판으로 광학적 구성 요소, 광전자적 구성 요소, 전자적 구성 요소를포함할 수 있다. 카드(102)는 카드 가이드(106)로 형성된 슬롯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백플레인(104)은 관통 개구(108), 제1 내부 표면(110), 제2 외부 표면(112)을 포함한다.
광학적 상호 접속 시스템(100)은 개구(108) 내에 배치된 백플레인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이 백플레인 하우징(120)은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분(122)과 제2 부분(124)을 포함한다. 제1 부분(122)은 수형 위치 설정 기능부(126)를 구비하며, 이 수형 위치 설정 기능부(126)는 제2 부분(124)의 배면상의 상응하는 암형 기능부와 맞물린다. 위치 설정 기능부는 조립 중에 백플레인 하우징 부분(122, 124) 간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부분(122, 124)이 분리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하우징 부분(122, 124)을 분리하는 것이 성형 코어 설계를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스너(128)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를 백플레인(104)에 고정시킨다. 파스너(128)는 나사가 형성된 금속 삽입물을 포함하며, 이 삽입물은 백플레인 하우징(120)의 제1 부분(122) 및 제2 부분(124) 내의 정합하는 보어(130)을 통해 삽입된다. 당업자들은 장착 나사가 파스너(128)와 함께 사용되며, 접착제, 억지 끼워 맞춤 및 당업계에 알려진 기타 장치 등의 다양한 파스너 기구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정렬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는 4개의 수용 공동(132)의 어레이를 형성한다.대안적 실시예에서는 단일 수용 공동, 또는 다양한 광섬유 케이블 접속부를 수용하도록 임의의 필요로 하는 다른 개수의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공동(132)은 전방 개구(134)와 후방 개구(13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배면, 전면,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을 돕기 위한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접을 수 있는 전방 도어(138)는 전방 개구(134)를 폐쇄하도록 연결되며, 후방 도어(140)는 후방 개구(136)를 폐쇄하도록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방 및 후방 도어(138, 140)는 전방 및 후방 개구(134, 136)에 힌지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판스프링 금속 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가 수용 공동(132)의 개구 내에 삽입될 경우, 도어(138, 140)는 접혀져 편평하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는 광섬유의 위치 제어를 지속하기 위해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 및 치수적 안정성을 나타내는 유전 재료로된 성형 플라스틱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재료는 보강제가 충전 또는 비충전된 사출 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폴리머, 또는 엑폭시와 같은 트랜스퍼 성형(transfer molding) 가능한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도어(138, 140)는 템퍼링된 스테인레스강, 베릴륨/구리 합금 또는 기타 재료와 같은 전도성 금속 재료로 만들어지며, 접지 경로를 제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어(138, 140)는 이하의 세 가지 기능을 제공한다.
1) 조립된 커넥터 하우징에 주위 오염물이 들어가는 것을 제한하는 물리적 장벽의 제공.
2) 백플레인(104)을 통과하는 공동(132)을 통해 누출될 수 있는 전자기 간섭을 접지하기 위해 흡수 및 전송.
3) 백플레인의 임의의 단부에서 방출되는 광신호로부터의 눈의 안전을 제공.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는 범용 플러그 또는 페룰에 상응하는 결합 기능부를 포함한다. 2중 도어 구조는 각 케넥터에서 특별한 개폐식 단자를 포함할 필요 없이 광학적 연결의 밀봉을 가능하게 한다. 2중 도어 배열은 또한 수용 공동이 후방 및 전방 플러그에 의해 채워지지 않은 임의의 시간에, 적어도 하나의 도어가 폐쇄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도성 하우징 조립체(24) 내에서 유지되는 전도성 금속 도어의 사용은 비교적 간단하며 정교한 구성을 사용하여 EMI 구성 요소의 봉쇄 및 접지를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가 상기 문제점들 중 어떤 것에도 무관한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사용이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성능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선택적일 수 있다.
하우징 조립체(120)의 다른 유용한 특징은 측방 레치 수용 기능부(142)의 사용이다. 반면에, 통상적인 전화 플러그에서와 같이, 전통적인 플러그 유지 기능부는 커넥터 플러그 및 수용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러한 배열이 편평항 리본 광섬유 케이블의 다발에 불필요하게 방해가 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광섬유 리본 케이블 내의 광섬유 케이블 어레이에 의해 형성된 동일한 평면을 따라 레치 수용 기능부를 배치시킴으로써 그러한 문제점에 접근하였다. 이는 다수의 편평한 리본 케이블을 축소된 공간내에서 수직으로 묶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전방 단부는 카드(102)가 가이드 슬롯(106) 안으로 밀어 넣어질 때,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결합한다. 기판 하우징 조립체는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전방 개구(134)에 상응하고 이에 끼워 맞춰지는 크기의 형상을 갖는 중공 돌출부(154)를 비롯한, 하우징 부재(152)를 포함한다.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는 미늘식 단부(158)를 갖는 기판 부착 기능부(156)를 포함한다. 기판 부착 기능부(156)는 평면 기판(102) 내의 수용 슬롯(160)을 통해 삽입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판 부착 기능부(156)는 횡방향 및 측방향으로 기판 하우징 조립체를 기판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종방향 축선을 따른 소정 범위의 자유스런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롯(160)의 길이가 정렬 기능부(156)의 폭을 초과한다. 당업자들은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를 평면 기판(102)에 부착하는 동시에, x축 방향으로 자유스런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추가적인 방법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대안적 실시예는 기계적 파스너, 스프링 클립 등과 같은 부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돌출부(154)는 중공의 직사각형 형상이며, 절두 피라미드형 유도부(162)로 종결된다. 피라미드형 유도부(162)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의 돌출부(154)를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의 수용 공동(132) 안으로 안내함으로써 소정의 결합 오정렬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돌출부(154)는 수용 공동(132)의 내벽에 대한 정렬을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54)는 또한 결합 중에 전방 도어(138)를 개방시키는 기계적인 압력을 제공한다. 돌출부(154)의 내벽은 계단식 공동(164)을 형성하며, 이 계단식 공동은 계단식 공동(164)의 내부에 안착되는 광섬유 페룰(170)을 유도한다. 본 실시예, 즉 계단식 공동(164)은 MT형 광학 페룰과 같은 산업 표준 페룰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단식 공동(164)은 직사각형의 전방 및 후방 개구(166, 168)를 각각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전방 개구(166)는 페룰(170)을 내부 플랜지(172)까지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크기이다. 통상적인 MT형 커넥터는 광섬유(174)의 다발에 장착되는 페룰(170)을 포함하며, 광섬유 다발은 완화 본체 부분(176)에 활주가능하게 연결된다. 페룰(170)은 종방향 축선을 따라 한정된 운동 범위(x1)을 갖는다. 광섬유(174) 다발은 완화 본체 부분(176)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페룰과 완화 본체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 요소는 운동 범위의 전방 단부를 향해 페룰을 전방으로 편향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는 완화 본체 부분(176)을 비롯한, MT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후방 개구(168)를 포함한다. 완화 본체 부분(176)는 플랜지(173)에 대해 유지되는 동시에, 페룰(170)은 후방 개구(168)까지 연장하여 이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완화 부재(176)는 이 부재(76)가 계단식 공동(164)의 전방으로 삽입되고, 스프링(178)이 완화 부재(176)와 페룰(170) 사이에서 압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페룰(170)이 후방 개구(168)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은 페룰(170)에 형성된 플랜지(180)에 의해 방지된다. 이 플랜지(180)가 내부 플랜지(172)와 맞물릴 때 페룰(170)에 대한 이동 멈춤부의 기능을 하도록 플랜지(180)는 형성되어 있다. 완화 부재(176)에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후방 개구(168)와 맞물리는 래칭 기능부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래칭 기능부는 하우징 조립체(150)와 완화 부재(176)의 양측면 상에 마련된다. 몇몇 경우에는 완화 부재(176)를 하우징 조립체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해제 기능부가 하우징 쪽에 마련된다. 이 해제 기능부는 단순보 형상으로,피벗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제 기능부는 상응하는 래치 기능부가 방출되도록 외측으로 튕겨질 수 있다.
카드 가이드(106)를 따라 카드(102)가 이동하는 길이는 연결된 위치에서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 상에 스프링 힘을 발휘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카드 간극의 폭은 0보다 커야하며, 바람직하게는 각 하우징에 대해 스프링으로 편향되는 페룰의 조합 행정(통상적으로 1 내지 2㎜)보다 커야 한다.
카드(102)에 대한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운동 범위(x2)는 카드 가이드(106)를 따른 카드(102)의 운동 범위 내에서 허용 오차를 보정하고, 카드를 밀어 넣을 때 카드(102)가 백플레인 하우징(120)에 의해 정지되거나, 정지 기능부가 카드 가이드(106)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지 기능부에 의해 정지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소정 과도한 힘을 흡수하기 위해 충분하다. 본 발명은 회로 카드의 부착된 커넥터 구성 요소가 상기 회로 카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문제점 또는 과도한 압축에 접근하였다. 따라서, 연결되는 위치에서,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는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배면에 대해 단단히 유지되며, 스프링 조립체(184)에 의해 제공되는 일정한 스프링 편향을 받게된다. 일정한 스프링 편향의 제공에 대한 이점은 조작 중에 카드(102)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도, 하우징 조립체(150, 120) 사이에서 초기 접촉의 지속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도 5는 전방 및 후방 도어(138, 140)를 갖는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의 세부 절개도이다. 도어(138)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돌출부(154)가 전방 개구(134) 안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154)의 피라미드형 유도부(162)가 전방 도어(138)를 접도록 설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플러그(190)가 후방 개구(136)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190)의 삽입은 후방 도어(140)가 접혀지게 한다. 도어(138, 140)는 개방 위치로 접혀지고, 이어서 플러그(190) 또는 돌출부(154)가 제거 될 때 복원되는 수회의 사이클을 버틸 수 있는 스프링형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EMI 방호가 고려 대상인 경우에, 후방 도어(140) 및 백플레인 하우징의 제1 부분(124)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경우, 후방 도어(140)와 제1 부분(124)은 공동(132)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임의의 EMI 방사의 상당부분을 흡수한다. 제1 부분(124)은 이어서 접지단 기능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도어(140) 또는 백플레인 하우징(122) 중 임의의 하나는 유전 재료로 형성하고, 단지 하나만을 전도성 요소로 남겨둘 수 있다. 따라서, 남겨진 전도성 부분은 접지될 것이다.
전방 개구(134) 및 후방 개구(136)를 덮는 전방 도어(138) 및 후방 도어(140)를 마련함으로써, 플러그(190) 또는 카드 하우징 조립체(150) 중 임의의 하나를 제거하는 것은 상기 도어들 중 하나를 폐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시각적 안전에 대해 가능한 위험성을 어느 정도 경감시킨다. 각 도어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는 단지 하나의 플러그(190)가 후방 개구(136) 안으로 삽입되는 경우, 나머지 수용 공동(132)의 후방 개구(138)는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구(134, 136) 내에 도어(138, 140)의 밀착 끼워 맞춤을 한층 더 보장하기 위해, 수용 공동(132)의 측벽에는 도어(138, 140)의 측면 윤곽과 정합하고 측연부와 중첩되는 프레임 기능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또한 보다 확실히 밀봉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EMI를 봉쇄하며 광의 누출을 방지한다.
도 6 및 도 7은 스프링 수용 개구(186)와 하우징 조립체(150) 안으로 삽입된 스프링(184)의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184)은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이 와이어 스프링(184)은 스프링, 기판 부착 기능부(156)와 기판 수용 슬롯(160) 사이에 약간의 가압 끼워 맞춤을 제공할 수 있는 치수의 와이어 직경을 갖는다. 스프링(184)이 스프링 수용 개구(186)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기판 부착 기능부(156)가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 조립체(150)를 카드(102)에 고정시킨다. 특히, 도 6을 참조로 하면, 슬롯(160)이 기판 부착 기능부(156)를 위해, 카드(102)를 통과하는 통로를 어떻게 제공하는지 이해 할 것이다. 기판 부착 기능부(156)의 미늘식 단부(158)는 카드(102)의 배면을 파지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 조립체(150)를 보조 카드(102)에 횡방향 축선을 따라 고정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슬롯(160)은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가 카드(102)의 표면상에서 종방향 축선을 따른 운동 범위(x2)를 갖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프링 조립체(182)의 전방 편향과 하우징 조립체(150)의 운동 여유(x2)의 합은 백플레인(104)에 대한 카드(102)의 정렬에서의 부정확한 허용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스프링 조립체(182)의 복수 개의 스프링(184)의 합력은 개별 페룰 조립체의 독립된 스프링(178)의 스프링힘과 같은 대항 스프링힘 모두의 합보다 크도록 선택된다. 그렇지 않으면, 페룰 조립체의 스프링(178)의 합력이 하우징 조립체를 후방으로 밀게되고, 이로 인해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 사이의 요구되는 연결이 방해된다. 그러나,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전방 운동이 플렌지(151)에 의해 제한될 것이기 때문에, 독립된 페룰들은 여전히 이들의 운동 범위를 유지하며, 따라서 각각의 개별 광케이블 접속에서 밀착 끼워 맞춤이 보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종방향 운동은 스프링 조립체(182)에 의해 제어된다. 스프링이라는 용어는 코일 스프링, 편향 클립, 탄성 밴드, 압축성 발포체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타 유사한 장치와 같은 탄력성 또는 탄성 부재를 말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 조립체(182)는 서로에 대해 측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있으며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의 측방 단부에 일반적으로 위치하게 되는 2개의 스프링 클립(184)을 포함한다. 스프링 조립체(182)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 즉 (a)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 상에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전방 방향 힘을 발휘하고, 이로 인해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이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가 장착되어 있는 기판(102) 사이에서 스프링 편향을 발생시키며, (b) 기판 래칭 기능부(156)를 고정시키고, 이로 인해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가 기판으로부터 예기치 않게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며, (c) 카드의 각도 오정렬을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스프링 조립체(182)는 바람직하게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를 보조 카드의 전면 또는 결합 연부를 향해 편향시킴으로써,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가 스프링(184)의 수직력의 작용의 반작용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기판 하우징조립체(150)가 스프링(184)의 저항에 대항하여 이동하게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의 2개의 스프링의 배치는 각도 오정렬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 인해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50)의 선단 연부 상의 압력 및 가능한 손상을 감소시키며 포트의 각도 오정렬을 보상한다.
도 9 내지 도 11에는 플러그 조립체(190)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조립체(190)는 통상의 MT형 커넥터 펠룰을 수용하고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와 정합하는 접속 기능부를 제공한다. 당업자들은 플러그 조립체가 상이한 형태의 커넥터를 수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 실시예에서,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는 전통적인 커넥터 조립체를 직접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조립체(190)는 하부 하우징 부재(192)와 하우징 커버(194)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MT형 커넥터 조립체는 페룰(170)과 페룰 스프링(178)을 포함한다. MT형 케넥터는 보호 자켓(198)으로 둘러싸여 있는 다중 섬유 리본 케이블(196)을 종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는 플랜지면(202)에 의해 형성된 전방 개구(200)와, 수용 구멍(204)과, 스프링 유지 립(206)을 포함한다. 페룰(170)은 전방 부분(171)과 플랜지(172)를 구비한다. 전방 부분(171)은 개구(200)를 관통한다. 그러나, 개구(200)는 플랜지(172)가 개구(200)를 통과할 정도로 크지는 않으며, 플랜지(172)가 플랜지면(202)에 대해 안착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192) 내에 적절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페룰 스프링(178)의 단부(179)는 수용 구멍(204) 내에 안착되며, 플랜지(172)와 스프링 유지 립(206) 사이에서 압축된다. 페룰 스프링(178)의 압축은 플랜지(172)와 립(206)에 가해지는 힘을 발생시키며, 그 내에서 스프링은 개구(200)를 통해 전방으로 페룰(170)을 편향시킨다.
도 11은 하부 하우징(192)에 부착하기 위해 배치된 하우징 커버(194)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부착은 하우징 커버(194)의 맞물림 기능부(208)를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의 측벽에 존재하는 맞물림 공동(210) 안으로 배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된다. 하우징 커버(194)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할 때, 맞물림 기능부(208)는 맞물림 공동(210) 내에 구속된다. 회전이 진행함에 따라, 복수 개의 수형 스냅 래치(212)는 각각의 암형 래치 수용 기능부(214)와 맞물려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와 하우징 커버(194)를 함께 고정한다.
개구(216)가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 내에 마련되어 강성 부재(218)가 통과할 통로를 제공한다. 강성 부재(218)는 일반적으로 광섬유 케이블 내에 존재하며, 통상적으로는 광섬유 커넥터의 하우징에 부착되어 케이블의 광섬유에서의 축방향 응력을 저감시킨다.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는 또한 공동(220)을 포함하며, 이 공동 안으로 하우징 커버(194)의 기둥(222)이 조립 공정 중에 삽입되어 하부 하우징 구성 요소(192)에 대해 하우징 커버(194)를 측방향으로 고정 및 정렬시킨다.
도 12는 굴곡 반경 제어 부재(230)가 설치된 광섬유 케이블(196)에 조립되어있는 플러그 조립체(190)를 도시하고 있다. 굴곡 반경 제어 부재(230)는 예시를 목적으로 플러그 조립체(190)의 후방 하우징 섹션(232) 상에 부착된 수축 가능한 배관과, 케이블 보호 자켓(198)과, 케이블의 강성 부재(218)로 구성되어 있다. 굴곡 반경 제어 부재(230)는 플러그(190)에 케이블(196)을 고정시키는 위치에서 가열 수축되어 있다.
도 13은 베이스 플레이트(254)에 고정된 수직 지지부(255)와, 수직 지지부(252)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성형 맨드릴(256)을 포함하는 케이블 성형 장치(250)를 보여주고 있다. 맨드릴(256)의 반경은 광섬유 케이블(196)의 임계 굴곡 반경을 초과한다. 서로에 대한 맨드릴(256)의 각은 예상되거나 요구되는 광섬유 케이블(196)의 경로에 상응한다.
굴곡 반경 제어 부재(230)를 부착하기 위해, 수축 가능한 배관 또는 자켓(262)은 먼저 플러그 조립체(190)와 광섬유 케이블(196)에 밀어 넣어지거나, 그 위에 둘러싸여진다. 열수축 가능한 자켓 또는 배관이라는 용어는 광섬유 케이블의 요구되는 부분을 둘러쌀 수 있는 열수축 재료로 이루어진 배관, 자켓, 테이프, 랩 또는 피복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수축 가능한 자켓이라는 용어는 가열되는 경우, 수축되어 광섬유 케이블을 압착하고, 주위 온도로 복귀될 때 그러한 수축된 형상을 유지하는 재료로서, 열수축 가능한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말한다.
케이블(196)과 수축가능한 배관(262)은 맨드릴(256) 주위에 둘러진다. 도시되어 있는 장치(250)는 이중 굴곡을 생성하여 케이블(196)이 하측 및 좌측으로 성형되며, 이로 인해 복합 굴곡을 생성한다. 수축 가능한 배관은 이어서 이 배관이 수축하기에 충분한 온도로 가열된다. 본 실시예에서, 열수축 가능한 재료를 수축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열에 대한 노출은 광섬유 케이블에서의 어떠한 악영향도 피하도록 선택되지만, 광섬유 케이블의 일상적인 조작의 범위보다는 높아야 한다. 열원은 고온 공기 분사기, 방열 요소, 가열된 맨드릴 또는 적절한 기타 열원을 포함한다. 가열은 맨드릴(256) 상에 광케이블(196)을 배치하기 전에 또는 그 후에 행해질 수 있다. 수축 가능한 배관(262) 및 케이블(196)은 맨드릴(256)에 둘러져 유지되는 동시에, 배관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단 냉각되면, 케이블(196)은 요구되는 형상과 굴곡 반경을 취할 것이다. 성형된 케이블의 강성은 수축가능한 튜브가 형성되는 재료의 두께와 경도에 의해 조정된다.
어떤 경우에는 열로 활성화되며 광케이블(196)의 보호 자켓 및 후방 하우징 섹션(232)과의 접합을 형성하는 접착제로 수축가능한 배관의 내면을 도포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굴곡 반경 제어 부재는 굴곡이 예상되거나 요구되는 케이블의 임의의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야외에서의 도포는 둘러쌀 수 있는 수축 재료 및 가열 공기 분사기 또는 램프와 같은 휴대용 열원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굴곡 반경 제어 및 스트레인 경감을 제공하기 위해 수축가능한 배관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지만, 수축가능한 배관의 사용은 고비용 문제에 대한 저렴한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정교한 정렬을 요구하는 다양한 광학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및 심지어는 다양한 비광학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정신에 벗어남이 없이 기타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되고 도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서는 안 된다. 기타 다른 변형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백플레인(104)을 통해 평면 기판(102)의 연부 근처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174)을 접속시키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각각 복수 개의 광섬유와 단자 페룰(170)을 포함하며, 이 단자 페룰(170) 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종방향 배향은 종방향 축선 및 전방 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 페룰은 제1 종방향 운동 범위(x1)와 페룰 스프링 요소(178)를 구비하며, 이 페룰 스프링 요소는 종방향의 페룰 스프링힘(fn)을 갖고, 상기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평면 기판에 장착되고, 광섬유 페룰을 수용하는 페룰 수용 공동(132)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제2 종방향 운동 범위를 갖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상기 제2 종방향 운동 범위를 따른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운동을 제어하며, 종방향 하우징 스프링힘(h)을 갖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182)을 포함하고,
    여기서,
    인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은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는 제1 및 제2 현가 스프링 부재(184)를 포함하며, 이 제1 및 제2 현가 스프링 부재는 상기 평면 기판에 대한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소정 범위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는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은 복수 개의 개별 하우징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개별 하우징 스프링 부재의 종방향 스프링힘의 합은 페룰 스프링 부재의 종방향 스프링힘의 합보다 큰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동 상에 접을 수 있는 도어(138)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5. 제1 표면(110)과 제2 표면(112)을 구비하는 백플레인 부재(104)에 평면 기판(102)의 연부 근처에서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174)을 접속시키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광섬유의 종방향 배향은 종방향 축선을 형성하고,
    상기 백플레인 부재의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각각 따라 전방 개구(134) 및 후방 개구(136)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수용 공동(132)이 마련되어 있는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와,
    상기 전방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전방 도어(138)
    를 포함하는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후방 도어(148)를 더 포함하는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어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을 둘러싸는 변형 저항성의 열수축 외부 자켓을 더 포함하며, 이 열 수축 외부 자켓은 요구되는 굴곡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인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9. 상기 광섬유 케이블(196)을 둘러싸는 변형 저항성의 열수축 외부 자켓을 포함하며, 이 열 수축 외부 자켓은 요구되는 굴곡 곡률 반경을 갖는 것인, 광섬유 케이블의 굴곡 반경을 제어하기 위한 굴곡 반경 제어 부재(230).
  10. 하나 이상의 광섬유를 갖는 광섬유 케이블(196)의 적어도 일부의 굴곡 반경을 제어하는 굴곡 반경 제어 방법으로서,
    a. 열수축성 재료의 자켓(262)을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자켓을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일부의 둘레에 배치하는 단계와,
    c. 상기 광섬유를 요구되는 굽힘각으로 굴곡시키는 단계,
    d. 열을 가함으로써 상기 광섬유 케이블의 둘레의 자켓을 수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굴곡 반경 제어 방법.
  11. 백플레인(104)을 통해 평면 기판(102)의 연부 근처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광섬유 케이블(174)을 접속시키기 위한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광섬유 케이블은 각각 복수 개의 광섬유와 단자 페룰(170)을 포함하며, 이 단자 페룰(170) 내에서의 상기 광섬유의 종방향 배향은 종방향 축선 및 전방 방향을 형성하고, 상기 단자 페룰은 제1 종방향 운동 범위(x1)와 페룰 스프링 요소(178)를 구비하며, 이 페룰 스프링 요소는 종방향의 페룰 스프링힘(fn)을 갖고, 상기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100)은,
    상기 평면 기판에 장착되며, 광섬유 페룰을 수용하는 페룰 수용 공동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제2 종방향 운동 범위를 갖는 기판 하우징 조립체(150)와;
    상기 제2 종방향 운동 범위에 따른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운동을 제어하며, 종방향 하우징 스프링힘(h)을 갖고, 여기서인 기판 하우징 조립체 스프링(182)과;
    상기 백플레인 부재의 제1 표면 및 제2 표면을 각각 따라 전방 개구 및 후방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종방향 수용 공동이 마련되어 있는 백플레인 하우징 조립체(120)와;
    상기 전방 개구를 덮는 전방 도어(138)와 상기 후방 도어를 덮는 후방 도어(140)
    를 포함하는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KR1020027006844A 1999-12-01 2000-04-18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KR200200598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43713 1999-12-01
US09/443,713 US6419399B1 (en) 1999-12-01 1999-12-01 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
PCT/US2000/010243 WO2001040839A1 (en) 1999-12-01 2000-04-18 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814A true KR20020059814A (ko) 2002-07-13

Family

ID=2376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6844A KR20020059814A (ko) 1999-12-01 2000-04-18 광섬유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419399B1 (ko)
EP (3) EP1388745B1 (ko)
JP (1) JP2003515785A (ko)
KR (1) KR20020059814A (ko)
CN (1) CN1193251C (ko)
AT (1) ATE381719T1 (ko)
AU (1) AU4353800A (ko)
CA (1) CA2392714A1 (ko)
DE (1) DE60037539T2 (ko)
WO (1) WO2001040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995A (en) 1997-05-20 1999-03-16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connector and adapter
JP3769178B2 (ja) * 2000-09-06 2006-04-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アダプタ
US6547445B2 (en) 2001-02-06 2003-04-15 Teradyne, Inc. High-density fiber optic backplane
US6623177B1 (en) * 2001-07-09 2003-09-23 Em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iber optic communications between circuit boards
US6482042B1 (en) * 2001-08-29 2002-11-19 Emc Corporation Techniques for accessing a circuit board utilizing an improved adaptor
US7073953B2 (en) 2001-08-31 2006-07-11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JP3921063B2 (ja) * 2001-09-17 2007-05-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JP4197588B2 (ja) 2001-09-21 2008-12-17 旭硝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用コンセントおよびプラグを含む組立体
US6652153B2 (en) * 2001-12-07 2003-11-25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High density fiber optic connector with individual fiber removal
US6757470B2 (en) * 2001-12-12 2004-06-29 Alcatel Canada Inc. Faceplate combination
US6672771B2 (en) 2002-03-19 2004-01-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 for aligning fiber optic connectors
US6839935B2 (en) * 2002-05-29 2005-01-11 Teradyn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leaning optical connectors
US6634794B1 (en) * 2002-06-05 2003-10-21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US6762941B2 (en) 2002-07-15 2004-07-13 Teradyne, Inc. Techniques for connecting a set of connecting elements using an improved latching apparatus
US6832858B2 (en) * 2002-09-13 2004-12-21 Teradyne, Inc. Techniques for forming fiber optic connections in a modularized manner
US7594766B1 (en) 2002-11-15 2009-09-29 Finisar Corporation Integrated optical transceiver array
US7350984B1 (en) * 2002-11-15 2008-04-01 Finisar Corporation Optical transceiver module array system
JP4105696B2 (ja) * 2002-11-29 2008-06-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に搭載されるユニット及び当該電子装置の伝送線路の接続機構
US6791841B1 (en) 2002-12-13 2004-09-14 Emc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set of cables
US7042562B2 (en) * 2002-12-26 2006-05-09 Amphenol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inspecting an optical interface
US6962445B2 (en) 2003-09-08 2005-11-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Ruggedized fiber optic connection
US6984073B2 (en) * 2003-10-14 2006-01-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and opto-electronic interconnect alignment system
US20050084221A1 (en) * 2003-10-16 2005-04-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fiber optic cables
US7186031B2 (en) * 2003-10-16 2007-03-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interconnect device
US6939056B2 (en) * 2003-11-06 2005-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chor for fiber optic cable
US7093984B2 (en) * 2003-11-06 2006-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chor for fiber optic cable
US6953287B2 (en) * 2003-11-06 2005-10-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chor for fiber optic cable
NL1025381C2 (nl) * 2004-02-02 2005-08-03 Framatome Connectors Int Optisch connectorsysteem.
NL1025379C2 (nl) * 2004-02-02 2005-08-03 Framatome Connectors Int Optisch connectorsysteem.
US7963704B2 (en) * 2005-02-08 2011-06-21 Molex Incorporated Hermaphroditic fibre optical connector system
JP4858750B2 (ja) * 2005-10-06 2012-0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4652204B2 (ja) * 2005-10-06 2011-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バックプレーン及び光伝送方法
US7274851B2 (en) * 2005-10-18 2007-09-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ber optic module
JP4981382B2 (ja) * 2006-08-18 2012-07-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7591595B2 (en) 2007-01-24 2009-09-22 Adc Telel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adapter
US7572065B2 (en) 2007-01-24 2009-08-11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or
US7762726B2 (en) 2007-12-11 2010-07-27 Adc Telecommunications, Inc. Hardened fiber optic connection system
US8157455B2 (en) 2008-02-15 2012-04-17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Optical connector
US20100080517A1 (en) * 2008-09-29 2010-04-01 Cline Timothy S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employing fiber movement support and method of assembly
US8172465B2 (en) * 2008-10-17 2012-05-08 Netig Ll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urcating fiber optic cables
US8559781B2 (en) * 2008-11-07 2013-10-15 Us Conec, Ltd. Removable sleeve for fiber optic connectors for high density applications
CH700064A1 (de) * 2008-12-01 2010-06-15 Reichle & De Massari Fa Duplex-adapter und sicherungsvorrichtung für eine optische steckverbindung.
JP5233780B2 (ja) * 2009-03-24 2013-07-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給電器、受電器、非接触型データ及び電力伝送装置
WO2011116159A1 (en) * 2010-03-19 2011-09-22 Corning Incorporated Fiber optic interface device with bent optical path
WO2011116163A1 (en) * 2010-03-19 2011-09-22 Corning Incorporated Small-form-factor fiber optic interfac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20183258A1 (en) * 2010-11-12 2012-07-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agnetically mating optical data connectors
TW201239434A (en) * 2011-03-24 2012-10-01 Netgami System Llc Multi-diameter optical fiber link for transmitting unidirectional signals and eliminating signal deterioration
WO2013126068A1 (en) * 2012-02-24 2013-08-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tical blind-mate connector
US8517615B1 (en) * 2012-03-28 2013-08-27 Netgami System L.L.C. Multi-diameter optical fiber link for all optics system backplane solution
CN104838301B (zh) 2012-09-28 2017-06-09 泰科电子英国有限公司 光纤盒
US9223094B2 (en) 2012-10-05 2015-12-29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Flexible optical circuit, cassettes, and methods
US9529162B2 (en) 2012-10-09 2016-12-2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methods of forming optical fiber connectors
EP2926181B1 (en) 2012-11-30 2020-04-15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onnector with field installable outer connector housing
US9128256B2 (en) 2013-02-06 2015-09-08 Xyratex Technology Limited Optical connector
WO2014206976A1 (en) 2013-06-27 2014-12-31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Fiber optic cable anchoring device for use with fiber optic connecto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733433B2 (en) 2013-09-19 2017-08-15 Fujikura Ltd. Optical connection box
JP6236266B2 (ja) * 2013-09-19 2017-11-22 株式会社フジクラ 中継用光接続ユニット
JP2015215381A (ja) * 2014-05-07 2015-12-03 株式会社フジクラ 中継用光接続ユニット
JP6236299B2 (ja) * 2013-11-15 2017-11-2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接続ボックス
CN104849816B (zh) 2014-02-14 2017-01-1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4849815B (zh) * 2014-02-14 2017-01-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组装方法
CN103837498B (zh) * 2014-02-26 2016-08-17 中国科学院自动化研究所 一种近红外光谱检测光纤接头套装
CN106471681B (zh) * 2014-06-25 2019-12-31 申泰公司 连接器组件
CN105445862B (zh) 2014-07-09 2018-01-1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光纤连接器及其现场组装方法
US9658409B2 (en) 2015-03-03 2017-05-23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changeable polarity
US10042125B2 (en) 2015-07-06 2018-08-07 Xyratex Technology Limited Optical connectors
EP4403972A3 (en) 2015-11-30 2024-10-16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O2017106514A1 (en) 2015-12-16 2017-06-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eld installed fiber optic connector
US10158194B2 (en) 2016-01-15 2018-12-18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Narrow width adapters and connectors with spring loaded remote release
JP6314163B2 (ja) * 2016-01-29 2018-04-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US10228521B2 (en) 2016-12-05 2019-03-12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Narrow width adapters and connectors with modular latching arm
US12001064B2 (en) 2017-07-14 2024-06-04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Small form factor fiber optic connector with multi-purpose boot
US10281668B2 (en) 2017-07-14 2019-05-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US11822133B2 (en) 2017-07-14 2023-11-21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MX2020002878A (es) 2017-10-02 2020-07-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Circuito de fibra optica y metodo de preparacion.
US11194101B2 (en) * 2018-09-11 2021-12-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LC one piece front loaded ferrule with unitary retainer and ferrule holder
US11726002B2 (en) * 2018-10-11 2023-08-15 Exfo Inc. Optical test instrument with removable cartridge
EP3891256B1 (en) 2018-12-04 2024-11-0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Optimizing the simultaneous production of high-value chemicals and fuels from heavy hydrocarbons
WO2020180806A1 (en) 2019-03-02 2020-09-10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Fiber management enclosure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TWI723937B (zh) * 2020-05-31 2021-04-0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光學連接器及其光學連接器模組
US12085764B2 (en) * 2021-05-12 2024-09-10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Connection system for printed circuit board
CN115524799A (zh) * 2021-06-25 2022-12-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适配器组件及光通信设备
JPWO2023032712A1 (ko) * 2021-08-30 2023-03-09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8203626A (pt) * 1981-06-22 1983-06-14 Raichem Ltd Artigo de junta de cabo encerramento processo de fazer uma junta de cabo e conjunto de pecas para fazer uma junta de cabo
CA1232347A (en) * 1982-05-19 1988-02-02 Joris R.I. Franckx Cable joint enclosure
GB8919977D0 (en) * 1989-09-04 1989-10-18 Raychem Sa Nv Environmental seal
AU654683B2 (en) 1990-11-07 1994-11-17 Bicc Public Limited Company Optical connection to backplanes
US5138679A (en) * 1991-04-17 1992-08-11 Amp Incorporated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centering and floating alignment feature
US5329604A (en) * 1993-02-11 1994-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er coupling device and optoelectronic system utilizing same
US5506922A (en) * 1994-08-01 1996-04-09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mponent assembly with a movable protective shield
DE19601949B4 (de) * 1995-01-13 2004-08-12 Stratos Lightwave, Inc. (n.d.Ges.d. Staates Delaware), Harwood Heights System zum Schaffen einer statischen Entladung und einer elektromagnetischen Abschirmung
SE504811C2 (sv) * 1995-08-21 1997-04-28 Ericsson Telefon Ab L M Kopplingsdon samt anordning vid elektrooptisk krets
EP0991969B1 (de) 1997-06-24 2001-08-01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Ferrulencontainer und verbindungsanordnung für eine optische mehrfachfaser
US6081647A (en) * 1998-01-05 2000-06-2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US5980312A (en) 1998-01-12 1999-11-09 Amphenol Corporation Modular optical/electronic backplane assembly
US6079881A (en) 1998-04-08 2000-06-27 Molex Incorporated Fiber optic connector receptacle assembly
US6186670B1 (en) 1998-06-02 2001-02-13 Pirelli Cable Corporation Optical fiber connector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19399B1 (en) 2002-07-16
AU4353800A (en) 2001-06-12
EP1254388A1 (en) 2002-11-06
EP1388744A2 (en) 2004-02-11
DE60037539T2 (de) 2008-12-24
JP2003515785A (ja) 2003-05-07
CN1402839A (zh) 2003-03-12
EP1254388B1 (en) 2007-12-19
EP1388745B1 (en) 2012-10-03
EP1388744A3 (en) 2004-02-25
CN1193251C (zh) 2005-03-16
DE60037539D1 (de) 2008-01-31
EP1388745A3 (en) 2004-02-25
EP1388745A2 (en) 2004-02-11
CA2392714A1 (en) 2001-06-07
ATE381719T1 (de) 2008-01-15
WO2001040839A1 (en) 200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99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
EP1312958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system
US707614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bend radius of an optical fiber cable
US6672771B2 (en) Device for aligning fiber optic connectors
US20050281509A1 (en) Optical connector system with EMI shielding
US6422760B1 (en)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US6984073B2 (en) Optical and opto-electronic interconnect alignment system
US748489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shield
US7178993B2 (en) Optical transceiver reducing EMI noise
GB2297007A (en) Optical transceiver module
EP1583990A1 (en) Fiber optic connector module having rear extender
JP3211540B2 (ja) 光送受信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5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