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55342A -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342A
KR20020055342A KR1020000084786A KR20000084786A KR20020055342A KR 20020055342 A KR20020055342 A KR 20020055342A KR 1020000084786 A KR1020000084786 A KR 1020000084786A KR 20000084786 A KR20000084786 A KR 20000084786A KR 20020055342 A KR20020055342 A KR 20020055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gradient
vehicle
motor
ang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두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2000008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342A/ko
Publication of KR2002005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34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2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comprising special mechanical means for correcting the field of view in relation to particular driving conditions, e.g. change of lane; scanning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구배에 따라 미러의 각도가 가변되는 차량의 미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미러의 각도가 운전자의 자세변화에 맞도록 자동으로 보정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구배에 따른 차량의 기울기를 가변저항값으로 인식하는 구배인식센서(1)는 차량의 중심에 장착된다. 미러(6)는 모터(9)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도가 상하로 가변된다. 전자제어유니트(5)는 구배인식센서(1)에서 입력되는 출력전압값에 따라 모터(9)의 회전각과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차량이 등판로 또는 강판로를 주행하게 되면 구배인식센서(1)의 저항값이 가변되고 그에 따른 출력전압값은 전자제어유니트(5)에 입력되어 모터(9)에 출력하여 미러(6)를 적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준다.

Description

구배인식 미러시스템{GRADIENT SENSING MIRROR SYSTEM}
본 발명은 도로의 구배에 따라 미러의 각도가 가변되는 차량의 미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미러는 운전자가 후방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운적석과 조수석 중앙의 천정 쪽에 부착되는 룸 미러가 있고 도어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사이드 미러(아웃 사이드 미러)가 있다. 통상의 룸 미러 또는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임의의 각도로 조정해 놓았기 때문에 어떠한 도로를 주행하더라도 그 반사 각도는 운전자가조정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그러나 차량이 장등판(長登坂)이나 장강판(長降坂) 주행시 룸 미러나 사이드 미러가 고정되어 있어서 운전자의 후방 시야 확보를 어렵게 하는 경우가 많다. 등판로 주행시 운전자는 중심을 잡기 위해 허리를 앞으로 숙여 자세를 보정하려 하며, 반대로 강판로를 주행할 때에는 허리를 뒤로 뉘어 자세히 보정하려는 습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반사각이 고정되어 있는 룸 미러와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에게 충분한 후방 시야 확보를 제공해 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등판로 주행시에는 몸을 앞으로 숙였기 때문에 후방의 실내 천장쪽이 보이게 되며, 강판로 주행시에는 몸을 뒤로 젖혔기 때문에 후방의 시트쪽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로의 구배에 따라 후방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미러의 각도를 운전자의 자세변화에 따라 변하는 시각에 맞도록 자동으로 보정해 줄 수 있는 구배인식 미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중심에 장착되어 도로의 구배에 따른 차량의 기울기를 가변저항값으로 인식하는 구배인식센서와,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도가 상하로 가변되는 미러, 그리고 상기 구배인식센서에서 입력되는 출력전압값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각과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차량이 등판로 또는 강판로를 주행하게 되면 구배인식센서의 저항값이 가변되고 그에 따른 출력전압값은 전자제어유니트에입력되어 모터에 출력하여 미러를 적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도.
도 2a는 구배가 없는 도로 주행시의 룸 미러 모식도.
도 2b는 등판로 주행시의 룸 미러 모식도.
도 2c는 강판로 주행시의 룸 미러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구배인식센서2:평형추3:지침4:가변저항
5:전자제어유니트(ECU)6:미러9:모터10:기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구배인식센서(1)는 차량의 중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배인식센서(1)는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면 이동하는 평형추(2)가 달린 지침 (3)과, 이 지침(3)의 움직임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4)으로 구성한 것이다.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면 가변저항값은 변하게 된다. 이것은 일정한 입력값(5V)을 주게 되면 가변저항(4)을 통해 나오는 출력전압값을 얻을 수 있으므로 그 출력전압값이 전자제어유니트(5)에 입력되도록 하면 된다.
미러(6)는 후면의 중앙에 회전축(7)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7)의 외곽에 기어면(8)을 형성하며 기어면(8)에는 정역회전하는 모터(9)의 축에 설치된 기어(10)와 맞물리도록 한 것이다. 미러(6)의 회전축(7)은 브래킷(11)에 의하여 하우징(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모터(9)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모터(9)의 구동력이 기어(10)를 통해 미러(6)에 전달되므로 미러(6)는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위에서 모터(9)는 각도제어가 용이한 스텝모터가 바람직하다.
전자제어유니트(5)는 구배인식센서(1)의 출력전압값에 비례하여 모터(9)의 회전각을 결정하고 모터(9)에 출력한다. 전자제어유니트(5)는 구배인식센서(1)의 입력에 따라 모터(9)의 방향성도 결정한다.
따라서, 차량이 등판로 또는 강판로를 주행하게 되면 구배인식센서(1)의 저항값이 가변되고 그에 따른 출력전압값은 전자제어유니트(5)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전자제어유니트(5)는 모터(9)에 출력하여 모터(9)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게 되며 그 회전각도 일정하게 주어진다. 모터(9)가 회전하면 기어(10)를 통해 미러 (6)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적정한 각도로 회전된다. 이렇게 미러(6)가 차량의 기울기만큼 회전하여 각도가 변하게 되면 운전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뒤로 젖히더라도 그 상태에서 미러(6)에 반사되는 상은 차량이 평지를 달릴 때와 똑같은 상태로 보이게 된다.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을 룸 미러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운전자의 자세와 변화된 룸 미러 간의 각도변화 관계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즉, 도 2a는 룸 미러가 정상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차량은 평지를 주행하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차량이 등판로를 주행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에는 운전자의 머리가 화살표방향과 같이 앞으로 이동하게 되며 룸 미러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아래로 숙여지게 된다. 도 2c는 차량이 강판로를 주행할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에는 운전자의 머리가 화살표방향과 같이 뒤로 이동하며 룸 미러는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위로 젖혀지게 된다. 도 2b와 도 2c와 같이 운전자의 머리 위치와 미러의 각도가 변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눈에 들어오는 후방의 시계방향은 도 2a와 일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등판로와 강판로를 주행할 때에 운전자가 중심을 잡으려고 상체를 움직일 때 미러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해 줌으로써 후방 시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후방시계 불량에 따른 안전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이로서 안전한 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차량의 중심에 장착되어 도로의 구배에 따른 차량의 기울기를 가변저항값으로 인식하는 구배인식센서와, 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각도가 상하로 가변되는 미러, 그리고 상기 구배인식센서에서 입력되는 출력전압값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각과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니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구배인식센서는 차량이 기울기를 가지면 이동하는 평형추가 달린 지침과, 이 지침의 움직임에 따라 값이 변화하는 가변저항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미러는 후면의 중앙에 회전축을 설치하고 그 회전축의 외곽에 기어면을 형성하며 기어면에는 정역회전하는 모터의 축에 설치된 기어와 맞물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KR1020000084786A 2000-12-28 2000-12-28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Ceased KR200200553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786A KR20020055342A (ko) 2000-12-28 2000-12-28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786A KR20020055342A (ko) 2000-12-28 2000-12-28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342A true KR20020055342A (ko) 2002-07-08

Family

ID=2768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786A Ceased KR20020055342A (ko) 2000-12-28 2000-12-28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3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5936B2 (en) * 2005-05-17 2008-02-05 Kabushiki Kaisha Honda Lock Rearview correcting/controlling system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84A (ko) * 1995-08-29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의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KR97003828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사이드미러 자동가변장치
KR19980019743A (ko) * 1996-09-03 1998-06-25 김영석 차량의 전조등 각도조절장치
KR19980050759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선회 및 언덕길 주행시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사이드 미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84A (ko) * 1995-08-29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의 백 미러 자동 제어 장치
KR970038287A (ko) * 1995-12-29 1997-07-24 김태구 사이드미러 자동가변장치
KR19980019743A (ko) * 1996-09-03 1998-06-25 김영석 차량의 전조등 각도조절장치
KR19980050759A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선회 및 언덕길 주행시 각도가 자동 조절되는 사이드 미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5936B2 (en) * 2005-05-17 2008-02-05 Kabushiki Kaisha Honda Lock Rearview correcting/controlling system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7551A (en) Display apparatus for automotive vehicle
KR20000057863A (ko) 커브에서 운전할 때의 자동차 외부 미러의 자동조정시스템
JPS6157218B2 (ko)
CN113669572A (zh) 车载屏幕的调节装置、车载显示装置和车辆
JPS60197436A (ja) 車両用着席姿勢支持装置
KR20080052028A (ko) 차량의 지능형 시야 확보 시스템
KR20020055342A (ko) 구배인식 미러시스템
JP2003159942A5 (ko)
JP2001122145A (ja) 車両用自動操舵装置
KR20110001289U (ko) 차량 조향시 자동 시야각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EP0463563B1 (en) Electrical remote-control mirror assembly
KR100228086B1 (ko) 속도감응식 틸딩 아웃 사이드 미러
KR0160275B1 (ko) 후방입사광 광도 감지식 룸미러 장치
CN108275077A (zh) 一种汽车智能调节后视镜
KR10032495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자동 조절장치
KR100254560B1 (ko) 자동차용 룸미러
US6309082B1 (en) Automatic turning head light structure
JP3788070B2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制御装置
KR19990002781U (ko) 자동차의 룸미러 각도 조절장치
KR20250001157A (ko) 자동차용 선바이저의 자동 제어 장치
KR100505881B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자동 조정 시스템
KR20040098268A (ko) 자동차 혼의 좌우 회전각도 조절장치
JP3788067B2 (ja) 車両用ミラーの角度制御装置
KR970038327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KR20230172870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3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