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866A - An all-terrain vehicle tire - Google Patents
An all-terrain vehicle ti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53866A KR20020053866A KR1020027006364A KR20027006364A KR20020053866A KR 20020053866 A KR20020053866 A KR 20020053866A KR 1020027006364 A KR1020027006364 A KR 1020027006364A KR 20027006364 A KR20027006364 A KR 20027006364A KR 20020053866 A KR20020053866 A KR 200200538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d
- tire
- lugs
- terrain vehicle
- ax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11—Patterns comprising tread lugs arranged parallel or oblique to the axis of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구동 차축에 위치설정되는 전 지형용 차량 타이어(10)는 3개의 원주방향 연속 채널(61, 62, 63)을 구비하는 트레드(12)를 가진다. 2개의 채널(62, 63)은 길다란 러그(40, 42)를 축방향 내측부(40A, 42A)와 축방향 외측부(40B, 42B)로 분리한다. 길다란 러그(40, 42) 사이의 채널(61, 62, 63) 및 흙 배출 채널(60)은 트레드(12)의 흙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The all-terrain vehicle tire 10 positioned on the drive axle has a tread 12 having three circumferential continuous channels 61, 62, 63. The two channels 62, 63 separate the long lugs 40, 42 into axially inner portions 40A, 42A and axially outer portions 40B, 42B. The channels 61, 62, 63 and the soil discharge channel 60 between the long lugs 40, 42 facilitate the soil removal of the tread 12.
Description
전 지형용 차량은 비교적 경량이고 낮은 무게 중심을 갖는다. 종래의 3륜식은 작은 정방형 블록 요소 및 비교적 얕은 트레드 깊이를 갖는 돌기식 타이어를 구비했다.All-terrain vehicles are relatively lightweight and have a low center of gravity. The conventional three-wheeled type had a protruding tire with a small square block element and a relatively shallow tread depth.
최신식 "쿼드 러너스(quad runners) 또는 4륜식 ATV가 개발되었으며, 그 향상된 안정성으로 인해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마력의 증대 그리고 차량 현가 장치 및 섀시 양자에서의 개선은 차량이 비교적 고속과 훨씬 더 큰 하중 운반 능력을 갖도록 한다.State-of-the-art "quad runners" or four-wheeled ATV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being applied more extensively due to their improved stability. The increase in horsepower and improvements in both the vehicle suspension and the chassis make the vehicle relatively fast and much larger. Have load carrying capacity.
이들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어는 0.7bar(10psi) 또는 그보다 작은 범위의 매우 낮은 압력에서 작동한다. 이 타이어는 매우 폭이 넓고, 비교적 대형인 공기 챔버로서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한다. 타이어는 일반적으로 36cm(14인치) 또는 그보다 작은 공칭 외륜 직경과 69cm(27인치) 또는 그보다 작은 전체 직경을 갖는다.Tires used in these vehicles operate at very low pressures in the range of 0.7 bar (10 psi) or less. These tires are very wide and relatively large air chambers that absorb shock and vibration. Tires generally have a nominal outer ring diameter of 36 cm (14 inches) or less and an overall diameter of 69 cm (27 inches) or less.
후방 타이어는 보다 적은 하중이 가해지는 전방 타이어보다 약간 더 큰 사이즈를 갖는다.The rear tires are slightly larger in size than the front tires with less load.
거친 비포장 도로에 적용시, 타이어는 미국 의장 제 308,038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구릉성의 거친 지형을 오를 수 있도록 효율적인 직진성 또는 견인력을 제공하는 길다란 러그를 사용하는 매우 개방형의 트레드 패턴을 가져야 한다. 게다가, 트레드는 미국 특허 제 5,259,42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 운전중에 차량 안정성을 위한 우수한 측방향 견인력을 제공해야 한다.When applied to rough dirt roads, the tires must have a very open tread pattern using long lugs that provide efficient straightness or traction to allow the vehicle to climb hilly rough terrain, as disclosed in US 308,038. In addition, the tread must provide excellent lateral traction for vehicle stability during rotational driving as disclosed in US Pat. No. 5,259,429.
특허에 개시된 타이어는 반복 패턴으로 배열된 긴, 중간 길이의, 짧은 러그를 사용하여 향상된 견인력을 제공한다. 이들 러그는 각 러그가 트레드 숄더부상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열된다. 또한, 러그는 다수의 러그가 모든 경우에 타이어의 풋프린트내에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비교적 근접하게 이격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된 타이어는 그 제조업체에 따른 등급에서 최고의 진흙 타이어중 하나로 고려된다.The tires disclosed in the patent use long, medium length, short lugs arranged in a repeating pattern to provide improved traction. These lugs are arranged such that each lug completely surrounds the tread shoulder injury. The lugs are also spaced relatively clos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uch that a number of lugs are in the tire's footprint in all cases. Tires m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considered one of the best mud tires in the grad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진흙을 가득 함유한 젖은 흙에서, 트레드는 길다란 러그 사이에 진흙이 채워지는 경향이 있다. 인접한 러그 사이의 원주방향 간격은 통상적으로 흙을 배출하는 통로로 간주된다. 채널은 트레드의 중앙면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트레드 숄더를 지나 연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단 이러한 영역이 진흙으로 채워지면, 트레드는 모든 견인력을 제공하는 능력을 실제적으로 잃게 된다. 이것은 뭉쳐진 진흙으로 러그를 덮기 때문이며, 타이어가 매끄러운 외관이거나 또는 홈이 없는 경주용 트레드가 되게 한다.In wet soil full of mud, treads tend to fill mud between long lugs. The circumferential spacing between adjacent lugs is typically regarde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soil. The channel generally extends past the tread shoulder ax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surface of the tread. Once these areas are filled with mud, the tread will practically lose its ability to provide all of the traction. This is because the lugs are covered with agglomerated mud, which causes the tire to have a smooth appearance or a grooveless racing tread.
본 발명의 목적은 젖은 진흙 상태에서 자체 크리닝이 되는 트레드 패턴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ead pattern that self-cleans in wet mud.
다른 목적은 트레드 디자인이 굳은 흙상에서 우수한 조종 및 견인 성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purpose is for the tread design to have good maneuvering and towing performance on hard soil.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구동 차축에 위치설정되는 전 지형용 차량 타이어(10)가 개시되어 있다. 타이어(10)는 카커스(30)와 카커스(30)의 반경방향 외측의 트레드(12)를 구비한다.An all-terrain vehicle tire 10 positioned on a drive axle is disclosed. The tire 10 has a carcass 30 and a tread 12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30.
트레드는 다수의 길다란 러그(40, 42)를 가지며, 러그(40, 42)는 내부 트레드(13)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1 및 제 2 측방향 트레드 에지(14, 16) 사이에 위치된다. 측방향 트레드 에지(14, 16) 사이의 거리는 트레드의 원호 폭(TW)을 형성한다. 측방향 트레드 에지(14, 16) 사이의 절반 거리에서 트레드(12)의 중앙면(EP)이 형성된다.The tread has a number of elongated lugs 40, 42, which lugs 40, 42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tread 13 and are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lateral tread edges 14, 16. do. The distance between the lateral tread edges 14, 16 forms the arc width TW of the tread. At half the distance between the lateral tread edges 14, 16, the central surface EP of the tread 12 is formed.
길다란 러그(40, 42)는 트레드(12)의 원주 둘레에 열(1, 2)로 배열되어 있다. 길다란 러그(40)의 제 1 열(1)은 트레드의 중앙면(EP)에 인접한 축방향 내측 단부(41)로부터 축방향 외측 단부(49)에서 종료되는 제 1 측면 에지 쪽으로 연장된다. 상기 길다란 트레드 러그의 제 2 열은 트레드의 중앙면에 인접한 축방향 내측 단부로부터 축방향 외측 단부(49)에서 종료되는 제 2 측방향 트레드 에지쪽으로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러그의 제 2 열은 제 1 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편향된다.The long lugs 40, 42 are arranged in rows 1, 2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read 12. The first row 1 of the elongated lug 40 extends from the axial inner end 41 adjacent to the central plane EP of the tread towards the first side edge ending at the axial outer end 49. The second row of elongated tread lugs extends from the axial inner end adjacent to the center surface of the tread toward the second lateral tread edge terminating at the axial outer end 49, preferably the second row of tread lugs Circumferentially deflected relative to the first row.
상기 트레드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1, 62, 63)을구비한다. 제 1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1)은 길다란 러그(40, 42)의 제 1 및 제 2 열(1, 2)의 축방향 내측 단부(41)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2)은 제 1 측방향 트레드 에지(14)와 트레드(12)의 중앙면(EP) 사이에 위치된다. 제 3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3)은 제 2 측방향 트레드 에지(16)와 트레드(12)의 중앙면(EP) 사이에 위치된다.The tread has three or more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s 61, 62, 63. The first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1 is located between the axially inner ends 41 of the first and second rows 1, 2 of the elongated lugs 40, 42. The secon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2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lateral tread edge 14 and the central plane EP of the tread 12. The thir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3 is located between the second lateral tread edge 16 and the central plane EP of the tread 12.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1, 62, 63)이란 용어는 각 채널에 적어도 간격(S)의 최소 축방향 폭을 갖는 환상 개방 간격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간격(S)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cm이고, 더 바라직하게는 2cm이다. 이상적으로는, 각 개방 채널은 평행 평면(A, B 또는 C)에 의해 교차되는 최소 개방 간격(S)을 가지며, 평행 평면(A, B 또는 C)은 트레드 중앙면에 평행하고 타이어 축에 수직하다.As used herein, the term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1, 62, 63 means that each channel has an annular open gap with a minimum axial width of at least the gap S, where the gap S Is preferably at least 1 cm, more preferably 2 cm. Ideally, each open channel has a minimum opening distance S intersected by parallel planes A, B or C, with parallel planes A, B or C parallel to the tread center plane and perpendicular to the tire axis. Do.
제 1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1)은 트레드(12)의 중앙면(EP)상에 중심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및 제 3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2, 63)은 중앙면으로부터 트레드 원호 폭(TW)의 40% 미만의 거리에 위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트레드의 중앙면으로부터 트레드 원호 폭의 25% 내지 40% 범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 2 및 제 3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2, 63)은 폭(TW)의 대략 33% 위치에 중심설정된다.The first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1 is preferably centered on the center plane EP of the tread 12, and the second and thir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s 62, 63 are tread from the center plane. Located at a distance less than 40% of the arc width TW, preferably in the range from 25% to 40% of the width of the tread arc from the center plane of the tread, most preferably the second and third circumferentially open channels ( 62 and 63 are centered at approximately 33% of the width TW.
제 2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2)은 러그(40)의 축방향 내측부(40A)와 축방향 외측부(40B)를 형성하는 제 1 열(1)의 각 길다란 러그(40)를 관통한다. 유사하게, 제 3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3)은 러그(42)의 축방향 내측부(42A)와 축방향외측부(42B)를 형성하는 제 2 열(2)의 각 길다란 러그(42)를 관통한다.The secon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2 penetrates each elongate lug 40 of the first row 1 forming an axially inner portion 40A and an axially outer portion 40B of the lug 40. Similarly, the thir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63 penetrates each elongate lug 42 of the second row 2, which forms an axially inner portion 42A and an axially outer portion 42B of the lug 42. do.
바람직하게는, 길다란 트레드 러그(40, 42)는 반경방향 외측 표면으로부터 내측 트레드(13)까지 측정했을 때 반경방향 깊이(D)를 가진다.Preferably, the elongated tread lugs 40, 42 have a radial depth D as measured from the radially outer surface to the inner tread 13.
축방향 내측부(40A, 42B)를 길다란 러그(40, 42)의 축방향 외측부(40B, 42B)에 연결하는 감소된 깊이의 타이어 바아의 제 2 및 제 3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들 타이어 바아는 높이(h)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h)는 내측 트레드(13)에서 측정하였을 때 깊이(D)의 50% 또는 그 미만이다.It can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s of the reduced depth tire bar connecting the axial inner portions 40A, 42B to the axial outer portions 40B, 42B of the elongated lugs 40, 42. have. These tire bars preferably have a height h, the height h of which is 50% or less of the depth D as measured at the inner tread 13.
본 발명의 전 지형용 차량 타이어(10)는 트레드의 전체 원주 방향 둘레의 측면 에지(14, 16) 사이에서 측정했을 때 35% 이하의 트레드(12)의 총량 대 순량비(net-to-gross ratio)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l-terrain vehicle tir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net-to-gross ratio of less than or equal to 35% of the tread 12 as measured between the side edges 14, 16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ad. It is preferable to have).
정의Justice
"전 지형용 차량(ATV)"은 전체 폭이 50인치(1270mm) 또는 그 미만이며, 짐을 싣지 않은 자체 중량이 600lbs.(275kg) 또는 그 미만이며, 4개 또는 그 이상의 저압 타이어로 주행하며, 작동자 또는 조종자가 조종 제어를 위해 다리를 벌리고 앉도록 설계된 좌석을 구비하며, 다른 승객없이 작동자만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모터 구동식 비포장 도로용 차량(50)이다. 폭 및 중량은 부속품 및 선택적인 장착물을 배제시킨 것이다. ATV는 하기와 같이 4개의 종류로 세분된다."ATV" is 50 inches (1270 mm) or less in overall width, weighs 600 lbs. (275 kg) or less without load, and operates with four or more low pressure tires. Motor-driven off-road vehicle 50 having a seat designed to allow a chair or operator to sit with legs apart for maneuvering control and to be used only by the operator without other passengers. Width and weight exclude accessories and optional mountings. ATV i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as follows.
G형(General Use Model) ATV: 일반적인 레크리에이션용 및 다용도의 ATV;General Use Model ATVs: General recreational and versatile ATVs;
S형(Sport Model) ATV: 숙련된 작동자만이 사용하는 레크리에이션용 ATV;Sport Model ATVs: Recreational ATVs used only by trained operators;
U형(Utility Model) ATV: 주로 실용적인 사용을 위한 ATV;Utility Model ATV: ATV mainly for practical use;
Y형(Youth Model) ATV: 어른의 감독하에 16세 이하의 작동자에 의해 오프-로드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사용되는 ATV. 어린이용 모델 ATV는 하기와 같이 더욱 세분될 수 있다.Youth Model ATV: An ATV used for off-road recreation by an operator under the age of 16 under adult supervision. The children's model ATV can be further subdivided as follows.
Y-6형 ATV: Y-6형 ATV는 6세 이상의 어린이에 의해 사용되는 어린이 모델 ATV.Y-6 type ATV: Y-6 type ATV is a children's model ATV used by children over 6 years old.
Y-12형 ATV: Y-12형 ATV는 12세 이상의 어린이에 의해 사용되는 어린이 모델 ATV.Y-12-type ATV: The Y-12-type ATV is a children's model ATV used by children 12 years of age and older.
"종횡비"는 단면 폭에 대한 단면 높이의 비를 의미한다."Aspect ratio" means the ratio of the cross sectional height to the cross sectional width.
"축방향" 및 "축방향으로"는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라인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Axial" and "axially" mean a line or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벨트 구조체" 또는 "보강 벨트"는 직조 되거나 또는 직조되지 않고, 트레드 아래에 놓이고, 비드에 고정되지 않았으며,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17° 내지 27° 범위의 좌우 코드각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환상 층 또는 평행한 코드의 플라이를 의미한다.The “belt structure” or “reinforcement belt” is woven or not woven, lies under the tread, is not secured to the bead, and has at least two right and left cord angles ranging from 17 ° to 27 ° relative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Plies of two annular layers or parallel cords.
"바이어스 플라이 타이어"는 카커스 플라이 내의 강화 코드로서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대략 25° 내지 65° 각도로 비드에서 비드로 타이어를 대각선으로 횡단하여 연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플라이 코드는 교호 층에서 대향 각도로 뻗어있다."Bias fly tire" means a reinforcement cord in a carcass ply, extending diagonally across the tire from bead to bea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25 ° to 65 ° relative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with the fly cord being the opposite angle at the alternating layer. Laid out.
"카커스"는 트레드 및 다른 벨트 보강재를 제외한 타이어 플라이 재료 및 다른 타이어 구성 요소의 적층체를 의미하며, 이들 부가적인 구성요소는 성형된 타이어를 형성하기 위해 가황처리되기 전에 카커스에 부가될 수 있다."Carcass" means a stack of tire fly materials and other tire components excluding treads and other belt reinforcements, and these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added to the carcass before being vulcanized to form a molded tire. have.
"적도면(EP)"은 타이어의 회전축에 수직하며 트레드의 중심을 관통하는 평면을 의미한다."Equator plane" means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and penetrating the center of the tread.
"내측"은 타이어의 내부쪽을 의미하며, "외측"은 그 외측쪽을 의미한다."Inside" means the inside of the tire, and "outside" means the outside.
"외측"은 타이어의 외측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Outside" means facing the outside of the tyre.
"공기 타이어"는 비드 및 트레드를 갖는 대체로 토로이드(일반적으로 개방 원환체)형의 적층식 기계 장치를 의미하며, 고무, 화학물질, 직물 및 강철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다. 자동차 바퀴에 장착된 경우에, 타이어는 그의 트레드를 통해 견인력을 제공하며 자동차의 하중을 지지하는 유체를 포함한다."Air tire" means a laminated toroidal (usually open torus) type of stacked machinery having beads and treads, and is made of rubber, chemicals, textiles and steel or other materials. When mounted to an automobile wheel, the tire includes a fluid that provides traction through its tread and supports the load of the automobile.
"반경방향" 및 "반경방향으로"는 방사상으로 타이어의 회전축을 향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Radial direction" and "radi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radially toward or away from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레이디얼 플라이 타이어"는 비드에서 비드로 연장하는 플라이 코드가 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65° 내지 90° 사이의 코드각으로 놓이는 벨트형 또는 원주방향으로 제한된 공기 타이어(belted or circumferentially-restricted pneumatic tire)를 의미한다."Radial fly tires" are belted or circumferentially-restricted pneumatic tires in which the fly cord extending from the bead to the bead lies at a cord angle between 65 ° and 90 °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Means.
"섹션 높이(SH)"는 타이어의 적도면에서 공칭 림 직경으로부터 타이어의 외경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를 의미한다."Section height SH" means the radial distance from the nominal rim diameter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tire in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섹션 폭(SW)"은 타이어가 24시간 동안 정상 압력으로 팽창된 후 무하중 상태에서 측정한 타이어의 축에 평행한 측벽의 외측 사이의 최대 직선 거리를 의미하며, 이때 라벨, 장식 또는 보호 밴드로 인한 측벽의 증가는 배제한다."Section width (SW)" means the maximum straight distan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arallel to the axis of the tire measured at zero load after the tire has been inflated to normal pressure for 24 hours, with a label, decorative or protective band Increase in sidewalls due to
"측벽"은 트레드와 비드 사이의 타이어의 일부를 의미한다."Sidewall" means the part of the tire between the tread and the bead.
"트레드"는 타이어 케이싱에 부착된 경우의 성형된 고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타이어가 정상적으로 팽창되고 정상 하중이 가해졌을 때 노면과 접촉하게 되는 타이어의 부분을 포함한다."Tread" means a molded rubber component when attached to a tire casing and includes the portion of the tir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the tire is normally inflated and under normal load.
"트레드 폭 또는 트레드 원호 폭"은 축방향의 즉, 타이어의 회전축에 평행한 평면내의 트레드 표면의 호의 길이를 의미한다."Tread width or tread arc width" means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tread surface in the axial direction, ie in a plan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ire.
본 발명은 비포장 도로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기식 전 지형용 차량(ATV : all-terrain vehicle)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ires for off-road roads, and more particularly to pneumatic all-terrain vehicle (ATV) tir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타이어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타이어의 평명도,2 is a flatness of the tire of FIG.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타이어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re taken along line 3-3 of FIG. 2,
도 4는 도 1의 타이어의 확대 부분도,4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the tire of FIG. 1;
도 5는 도 1의 타이어의 변형된 러그 및 블록 구조의 도면,5 is a diagram of a modified lug and block structure of the tire of FIG. 1, FIG.
도 6은 도 1의 타이어의 풋프린트의 흙 배출 유동 패턴의 도면.6 is a view of the soil discharge flow pattern of the footprint of the tire of FIG. 1.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타이어(10)가 도시되어 있다. 타이어(10)는 36cm(14인치) 또는 그 보다 작은 공칭 림 직경과, 카커스(carcass)와, 상기 카커스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트레드(12)를 구비한다.1, there is shown a preferred tir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10 has a nominal rim diameter of 36 cm (14 inches) or smaller, a carcass, and a tread 12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도면에 도시된 참조부호는 상세한 설명에서의 그것과 동일하다.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각종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Reference numerals shown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embodiments are shown in FIGS. 1 to 6,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트레드(12)는 내부 트레드(13)와 다수의 길다란 러그(40, 42)를 구비하며, 상기 각 러그(40, 42)는 내부 트레드(1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축방향 내측부(40A, 42A)와 축방향 외측부(40B, 42B)를 구비한다.The tread 12 has an inner tread 13 and a plurality of elongated lugs 40, 42, each of which lugs 40, 42 axially inner portion 40A extending radially outward of the inner tread 13. 42A) and axially outer portions 40B and 42B.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타이어(1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tire 10 is shown.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10)는 ATV 타이어이다. 타이어(10)에는 숄더부내의 트레드(12)의 측면 에지(14, 16)에서 종료되는 노면과 맞닿는 트레드부(12)가 제공된다. 측벽부(18, 20)는 트레드 측면 에지(14, 16)로부터 각각 연장하여 한쌍의 비드 영역(22)에서 종료되며, 상기 각 비드 영역은 연장될 수 없는 환상 비드 코어(26)를 각각 구비한다. 타이어(10)는 비드 영역(22)으로부터 측벽부(18), 트레드부(12), 측벽부(20)를 통해 비드 영역(22)까지 연장하는 보강 플라이 구조체(38)를 갖는 카커스(30)가 더 제공된다. 플라이 구조체(38)의 접어 올린 단부(32, 34)는 비드 코어(26) 주위를 각각 바람직하게 둘러싼다. 타이어가 튜브가 없는 형태라면, 타이어(10)는 타이어(1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종래의 내부 라이너(35)를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트레드 강화 벨트 또는 보강 띠 구조체(breaker structure)(36)는 트레드부(12) 바로 아래의 보강 플라이 구조체(38)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강 띠 구조체(36)는 2개의 절단된 보강 띠 플라이(50, 51)를 포함하며, 보강 띠 플라이(50, 51)의 코드는 타이어의 중간 원주방향 중앙면에 대해 대략 35°의 각도로 배향된다.The tire 1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n ATV tire. The tire 10 is provided with a tread portion 12 that abuts the road surface ending at the side edges 14, 16 of the tread 12 in the shoulder portion. The sidewall portions 18, 20 extend from the tread side edges 14, 16, respectively, and terminate in a pair of bead regions 22, each of which has an annular bead core 26, which cannot be extended. . The tire 10 has a carcass 30 having a reinforcing ply structure 38 extending from the bead region 22 to the bead region 22 through the side wall portion 18, the tread portion 12, and the side wall portion 20. ) Is further provided. The folded ends 32, 34 of the fly structure 38 preferably surround each other around the bead core 26. If the tire is tubeless, the tire 10 may include a conventional inner liner 35 that form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A pair of tread reinforcement belts or breaker structures 36 may be selectively positioned circumferentially around the radially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y structure 38 directly below the tread portion 12. In the particular embodiment shown, each reinforcing band structure 36 includes two cut reinforcing band plies 50, 51, with the cords of the reinforcing band plies 50, 51 being the middle circumferential central surface of the tire. Oriented at an angle of approximately 35 ° relative to.
보강 띠 플라이(50)의 코드는 보강 띠 플라이(51)의 중간 원주방향 중앙면으로부터 반대측 중간 원주방향 중앙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벨트 또는 보강 띠 구조(36)가 ATV 타이어내에 사용된다면, 다수의 임의의 소망 구조의 벨트 또는 보강 띠 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코드는 소망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벨트 또는 보강 띠 구조(36)는 구멍이 나는 것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타이어의 운행중 노면으로부터 트레드의 리프팅(lifting)을 최소화하기 위해 벨트 폭을 가로질러 측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것은 벨트 또는 보강 띠 플라이(50, 51)의 코드를 나일론 및 합성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cord of the reinforcing strip ply 5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middle circumferential center plane from the middle circumferential center plane of the reinforcing band ply 51. However, if the belt or reinforcing strip structure 36 is used in an ATV tire, it may comprise any of a number of desired belt or reinforcing strip plies, and the cord may be placed at a desired angle. The belt or reinforcing strip structure 36 provides not only resistance to puncture but also lateral stiffness across the belt width to minimize lifting of the tread from the road surface of the tyre. In the embodiment shown, this can be achieved by making the cords of the belts or reinforcing strip plies 50, 51 from nylon and synthetic materials.
벨트 또는 보강 띠 구조체의 사용은 승차감 및 조종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적용분야에서 그와 같은 특정 ATV 차량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들 벨트 또는 보강 띠 구조체는 전방 타이어 또는 후방 타이어에 바람직할 수 있지만, 전방 타이어 및 후방 타이어 양자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당업자는 그와 같은 구성 요소가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를 회피되어야 하는 경우는 쉽게 알 수 있다.The use of belt or reinforcing strip structures can adversely affect ride comfort and maneuverability and therefore may not be desirable for such particular ATV vehicles in many applications. In addition, these belt or reinforcing strip structures may be desirable for front or rear tires, but not for both front and rear tire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see when such components should be avoided.
도 3에 도시된 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플라이 구조체(38)를 갖는 카커스(30)를 도시한다. 보강 플라이 구조체(38)는 반경방향 플라이 타이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코드(41)의 플라이 층을 구비하며, 상기 코드(41)는 적도면에 대해 65° 내지 90° 범위내의 각도로 배향되고 바이어스 타이어에 대한 구조체(38)는 적어도 2개의 코드(41)의 플라이 층을 구비하며, 각 인접한 층의 코드는 동일하지만타이어의 적도면에 대해 25° 내지 65°로 대향되게 배향된다.The tire shown in FIG. 3 shows a carcass 30 having at least one reinforcing ply structure 38. The reinforcement ply structure 38 has a ply layer of at least one cord 41 for radial ply tires, the cords 41 being oriented at an angle within the range of 65 ° to 90 ° with respect to the equator plane and on the bias tire. The perimeter structure 38 has a ply layer of at least two cords 41, with the cords of each adjacent layer being the same but oriented opposite 25 ° to 65 ° relative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타이어(10)의 평면도 및 트레드(12)의 확대 부분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2 and 4, a plan view of the tire 10 and an enlarged partial view of the tread 12 are shown, respectively.
측면 에지(14, 16)는 회전축(R)에 대해 수직하고 숄더 영역내의 길다란 러그(40, 42)의 축방향 최외각 부분을 횡단하는 평면으로서 정의된다.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는 트레드 원호 폭 및 트레드 폭을 형성한다. 측면 에지 사이의 중간 지점은 타이어(10)의 적도면(EP)이다. 트레드(12)는 내부 트레드(13)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길다란 러그(40, 42)를 구비한다. 각 러그(40, 42)는 전연(67) 및 후연(68)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연 및 후연은 만곡되어 있다.The lateral edges 14, 16 are defined as plane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R and traversing the axial outermost portion of the elongated lugs 40, 42 in the shoulder reg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edges forms a tread arc width and a tread width. The intermediate point between the side edges is the equator plane EP of the tire 10. The tread 12 has elongate lugs 40, 42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inner tread 13. Each lug 40, 42 has a leading edge 67 and a trailing edge 68. Preferably, the leading and trailing edges are curved.
러그(40, 42)는 2개의 원주방향으로 반복하는 열(1, 2)로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열(1, 2)은 트레드(12)의 중심으로부터 트레드 측면 에지(14, 16)로 측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제 1 열은 제 2 열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편향된다.Lugs 40 and 42 are arranged in rows 1, 2 which repeat in two circumferential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rows 1, 2 extend laterally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12 to the tread side edges 14, 16. The first row is circumferentially deflec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w.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열(1, 2)의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러그(40, 42) 사이의 내측 트레드(13) 위의 체적 공간은 트레드(13)의 중심부로부터 트레드 숄더로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흙 배출 채널(60)을 형성한다. 각 흙 배출 채널(60)은 트레드 중앙면의 축방향 내부 위치(61)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속 개방 채널을 통해 양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흙 배출 채널(60)로 개방되며, 축 방향 외측 위치(62)에서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을 통해 양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흙 배출 채널(60)로 개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축 방향 내부 위치(61)에서의 채널과 축방향 외측 위치(62)에서의 채널은 트레드의 원주 주위에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각 축방향 내부 위치(61) 및 각 축방향 외측 위치(62)에서 가가 채널의 최소 축방향 폭은 1cm 내지 4cm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2cm이다. 축방향 내부 위치(61)에서의 개구는 길다란 숄더 러그(40)의 축방향 내측 단부와 길다란 러그(42)의 축방향 내측 단부 사이에 있다. 그에 반해, 축방향 외측 위치(62)의 채널은 길다란 러그(40, 42) 각각의 축방향 내측부(40A, 42A)와 축방향 외측부(40B, 42B) 사이에 있다. 축방향 내부위치(61)의 최소 개구 채널(S)은 러그(40, 42) 사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평행한 평면(A)과, 러그(40, 42)의 축방향 내측부(40A, 42A)의 축방향 최외측 지점과 축방향 외측부(40B, 42B)의 축방향 최내측 지점 사이의 평면(B 또는 C)과 교차한다.As shown in FIG. 6, the volume space above the inner tread 13 between the circumferentially adjacent lugs 40, 42 of the first and second rows 1, 2 is tread from the center of the tread 13. The shoulder defines a soil discharge channel 60 extending axially outward. Each soil discharge channel 60 is opened in both circumferentially adjacent soil discharge channels 60 through a continuous opening channe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axially inner position 61 of the tread central plane, and in the axially outward position 62. In the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in the circumferentially adjacent soil discharge channel 60 is opened. The channel at the axial inner position 61 and the channel at the axial outer position 62 as shown are axially align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read. The minimum axial width of the valence channel at each axial inner position 61 and each axial outer position 62 is in the range of 1 cm to 4 cm, preferably 2 cm. The opening in the axially inner position 61 is between the axially inner end of the elongated shoulder lug 40 and the axially inner end of the elongate lug 42. In contrast, the channel at the axially outward position 62 is between the axially inner portions 40A, 42A and the axially outer portions 40B, 42B of each of the long lugs 40, 42. The minimum opening channel S of the axially inner position 61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lugs 40 and 42 and is parallel to the plane A and the axially inner portions 40A and 42A of the lugs 40 and 42. Intersect the plane B or C between the outermost point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innermost point in the axial outer portion 40B, 42B.
제 1 및 제 2 열(1, 2)의 각 러그(40, 42)는 그것의 축방향 내측부(40A, 42A)의 축방향 외측 단부(47)에 위치된 확대된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러그 헤드(43)를 바람직하게 구비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1, 2)의 러그 헤드(43)는 각각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적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열(1, 2)의 러그(40, 42)의 확대된 러그 헤드(43)는 러그(40, 42)의 인접한 축방향 외측부(40B, 42B)의 축방향 내측 단부(45)와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것은 제 1 및 제 2 열의 러그(40, 42)의 확대된 러그 헤드(43)가 러그(42)의 축방향 외측부(40B, 42B)의 러그 단부(45) 사이에서 축방향 외측 위치(62)의 축방향 내측으로 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Each lug 40, 42 of the first and second rows 1, 2 extends in an enlarged circumferential lug head located at the axially outer end 47 of its axially inner portions 40A, 42A. (43) is preferably provided, more preferably the lug heads 43 in rows 1 and 2 are each axially aligned and spaced apart from the equator plane. Preferably, the enlarged lug heads 43 of the lugs 40, 42 in the first and second rows 1, 2 are axially inward of the adjacent axial outer portions 40B, 42B of the lugs 40, 42.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end 45. This means that the enlarged lug head 43 of the lugs 40, 42 in the first and second rows has an axial outer position 62 between the lug ends 45 of the axial outer portions 40B, 42B of the lugs 42. Means that it is directed inward in the axial direction.
러그(40, 42)는 내부 트레드(13)로부터 약 1.9cm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5cm의 반경방향 거리(D)로 연장한다. 이러한 깊은 미끄러짐 방지 트레드(12)는 젖거나 질척대는 흙의 상태에서 견인력이 우수하다. 채널(60)은 타이어(10)가 회전하고 러그(40, 42)가 풋프린트 또는 접지부에 적어도 2개의 러그(42)가 포함되며, 2개의 러그(42) 또는 3개의 흙 배출 채널(60)이 하나의 트레드 또는 양 트레드 반부상에서 흙과 맞닿도록 배열된다. 흙 또는 진흙은 축방향으로 숄더를 지나거나 원주방향으로 채널 위치(61, 62)를 통하여 신속하게 배출된다. 또한, 특정한 러그 배치와 타이어(10)가 회전함에 따라 트레드 패턴내에 진흙이 뭉치는 것을 실제로 방지하는 흙 배출 채널(60) 사이의 위치(61, 62, 63)에서의 원주방향의 연속적인 개구 채널로 인해 진흙이 이들 깊은 러그(40, 42) 주위로 뭉치지 않을 수 있다.The lugs 40, 42 extend from the inner tread 13 at a radial distance D of about 1.9 cm or more, preferably about 2.5 cm. This deep slip tread 12 is excellent in traction in wet or smuggling soil. The channel 60 includes a tire 10 that rotates and the lugs 40, 42 that include at least two lugs 42 in the footprint or ground, and two lugs 42 or three dirt discharge channels 60. ) Are arranged to abut soil on one or both tread halves. Soil or mud is quickly discharged through the axial shoulder or through the channel positions 61, 62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so, a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ing channel at positions 61, 62, 63 between the soil discharge channel 60 which actually prevents agglomeration of mud in the tread pattern as the tire 10 rotates with a particular lug arrangement. This may prevent mud from clumping around these deep lugs 40 and 4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트레드(12)의 중요한 특징부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확대된 러그 헤드(43)이다. 이들 특징부는 타이어가 회전함에 따라서, 긴 러그(40, 42)가 타이어의 풋프린트 또는 접촉 패치에 포함되거나 제외됨에 따라서 꿈틀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러그가 노면에 접촉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노면이 단단한 경우에 타이어(10)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게다가, 도면에서 더 관찰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러그(40, 42)는 트레드의 모든 원주방향 위치에서 트레드상의 적어도 2개의 러그가 1인치 폭의 축방향 밴드를 따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즉, 일 도면에서 1인치 폭의 밴드가 축방향으로 트레드를 가로지른다면, 밴드는 적어도 2개의 러그에서 교차할 것이며, 밴드의 폭은 1인치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n important feature of the tread 12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larged lug head 43 extending circumferentially. These features ensure that as the tire rotates, enough lugs ar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to prevent wringing as the long lugs 40 and 42 are included or excluded from the tire's footprint or contact patch. In this case, the riding comfort of the tire 10 is improved. In addition, as can be further seen in the figure, lugs 40 and 42 ar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two lugs on the tread contact along an axial band one inch wide at all circumferential positions of the tread. That is, if in one figure a band of one inch wide crosses the tread in the axial direction, the band will intersect at least two lugs, and the width of the band is preferably substantially less than one inch.
이들 특징부는 운전자가 실제로 매우 작은 비율의 접촉 패치가 노면에 접촉하는 경우에 많은 수의 트레드가 노면과 접촉하는 것으로 느끼게 한다.These features make the driver feel that a large number of treads ar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when a very small percentage of the contact patches actually touch the road surface.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트레드는 포장된 도로에 접촉하는 트레드 영역의 33%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25%로 나타낸다.Such a trea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33% or less of the tread area in contact with the paved road, preferably represented by about 25%.
경작용 타이어는 시속 25마일 이하의 속도로 주행한다. 이러한 ATV 타이어는 시속 50마일에 근접한 속도를 낼 수 있다. 그와 같은 속도에서 러그는 승차감의 문제를 일으키는 거친 진동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에 협력하게 작동해야 한다. 이러한 트레드 패턴은 이들 진동을 감소시켜 타이어가 고속으로 작동되게 한다.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의 형상 및 배향에 의해 가능해진다. 각 러그(40, 42)는 다소 축방향으로 경사진 내측부(40A, 42A)뿐만 아니라 측방향으로 보다 더 경사지는 축방향 외측부(40B, 42B)를 구비하며 이는 타이어의 견인 성능을 강화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부(40B, 42B)는 각기 좁은 슬롯 또는 홈(70)을 구비하여 견인력을 더 강화시킨다. 내측부(40A, 42A)는 좁은 축방향 내측 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는 확대된 러그 헤드(43)측으로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전연(67)과 후연(68) 사이의 이러한 좁은 단부는 감소된 축방향 폭으로 인해 흙을 파고들도록 설게되어 있다. 일단 상기 단부가 흙을 파고들면, 전연(67)은 측방향 경사가 보다 크도록 굴곡되어 증가된 고정 에지를 제공한다. 경사진 축방향 내측부(40A, 42A)는 상당한 크기의 견인력 향상을 제공하는 동시에, 축방향 외측부(40B, 42B)는 측방향 경사로 인해 증가된 부가적인 전방 견인력을 제공한다.Light tires travel at speeds of 25 miles per hour or less. These ATV tires can reach speeds close to 50 miles per hour. At such speeds, lugs should work in concert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sh vibrations that cause problems in riding comfort. This tread pattern reduces these vibrations and allows the tire to run at high speeds.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shape and orientation of the lugs as shown. Each lug 40, 42 has a somewhat axially inclined inner portion 40A, 42A as well as a laterally more inclined axial outer portion 40B, 42B which enhances the traction performance of the tire. As shown, the outer portions 40B and 42B have narrow slots or grooves 70, respectively, to further enhance traction. The inner portions 40A and 42A have narrow axial inner ends, which gradually widen toward the enlarged lug head 43. This narrow end between the leading edge 67 and the trailing edge 68 is designed to dig into the soil due to the reduced axial width. Once the end is dug in the soil, the leading edge 67 is bent with greater lateral inclination to provide an increased fixed edge. The inclined axial medial portions 40A, 42A provide a significant amount of traction improvement while the axial lateral medial portions 40B, 42B provide increased additional forward traction due to lateral inclination.
도 5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62)는 도 1, 도 2, 도 3, 도 4 및 도 6의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깊이로 연장하지 않아도 된다. 축방향 내측부(40A, 42A)와 축방향 외측부 사이의 간격은 감소된 깊이의 연결 바아(53)에 의해 브릿지될 수 있다.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 흙 유동 특성이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러그부 사이의 연결부(53)는 러그 깊이(D)의 적어도 50%의 깊이를 갖는 개구가 있어야 하는 것은 중요하다. 보다 작은 개구의 양은 유동의 견지에서 너무 제한된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As further shown in FIG. 5, the position 62 does not have to extend to a sufficient depth as show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FIGS. 1, 2, 3, 4 and 6. The spacing between the axial inner portions 40A, 42A and the axial outer portion can be bridged by connecting bars 53 of reduced depth. It is important that the connections 53 between the lugs have an opening with a depth of at least 50% of the lug depth D in order to maintain the circumferential continuous open channel soil flow characteristics. The amount of smaller openings is undesirable because it is too limited in terms of flow.
도 2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연속된 개구 채널이 축방향 최소 폭(S)을 갖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은 이미 명백하다. 이러한 최소 개구 폭은 적어도 1cm가 바람직하며, 적어도 2cm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또는 제 2 열의 각 러그(40, 42)내의 이러한 개구의 축방향 최소 폭(S)은 타이어의 원주 둘레에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각 채널내의 최소 개구 폭(S)은 트레드의 중앙면에 평행한 평행한 평면(A, B 또는 C)에 의해 교차될 수 있다. 이것은 3개의 원주방향 채널(61, 62, 63)이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12)의 원주 둘레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최소 개구를 가질 필요는 없지만, 이들 최소 개구에서 평면(A, B 또는 C)이 각 개구를 횡단하게 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단한 표면상에서 측정된 접촉 패치는 패치의 내부에 외측 채널을 가지므로, 축방향 외측 러그부(40B, 42B)의 적어도 일부는 접촉 패치에 있다. 축방향 외측 개구가 트레드의 숄더부에 너무 근접하고 있다면 채널(61, 62, 63)을 통한 트레드 클리닝에 거의 무익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축방향 외측 개구는 접촉 패치의 측방향 극단부내에 위치된다.As shown in the plan view of FIG. 2, it is already clear that the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opening channel has an opening with an axial minimum width S. FIG. This minimum opening width is preferably at least 1 cm, more preferably at least 2 cm. The axial minimum width S of this opening in each lug 40, 42 of the first or second row is axially align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The minimum opening width S in each channel can be crossed by a parallel plane A, B or C parallel to the center plane of the tread.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three circumferential channels 61, 62, 63 have a minimum opening axially aligne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tread 12 as shown, but at these minimum openings a plane A, B or C. ) Must cross each opening. Preferably the contact patch measured on the hard surface has an outer channel inside the patch, so at least some of the axial outer lugs 40B, 42B are in the contact patch. Since the axial outer openings are too close to tread cleaning through the channels 61, 62, 63 if they are too close to the shoulder portion of the tread, these axial outer openings are shown in the lateral extremes of the contact patch as shown. Is located.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62)에서의 개구는 선택적으로 거의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지만, 그러한 경우에 개구는 약 1cm 내지 2cm 또는 그 이상의 큰 최소 축방향 간격(S)을 가지므로 흙이 개구를 통해 신속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As shown, the opening at position 62 may optionally have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but in such a case the opening has a large minimum axial spacing S of about 1 cm to 2 cm or more, so that the soil may To ensure rapid flow.
선택적으로, 위치(62)에 있어서, 최소 개구 폭(S)의 원주방향 위치에서 후연(68)쪽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축방향 내측부(40A, 42A)와 축방향 외측부(40B, 42B) 사이에 있는 채널의 개구는 분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그부 사이의 이러한 영역에서의 채널의 분기는 진흙의 유동을 도울 뿐만 아니라, 타이어가 진흙을 통과하여 구를 때 흙을 트레드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진흙 배출 특징부를 제공하게 된다.Optionally, at position 62, the channel extending between the axial inner portions 40A, 42A and the axial outer portions 40B, 42B exten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position of the minimum opening width S toward the trailing edge 68. The opening of is preferably branched. Branching of the channel in this region between the lug portions not only assists the flow of the mud, but also provides mud discharge features that allow the tire to quickly remove dirt from the tread as it rolls through the mud.
타이어가 젖은 점토형 흙에서 회전할 때, 채널은 흙 배출 채널(60)에 강제 유입시키는 통로를 제공한다. 3개의 원주방향 연속 개방 채널(61, 62, 63)이 원주방향의 막힘없는 통로를 제공하기 때문에, 풋프린트가 노면을 질주함에 따라서 진흙은 타이어의 배면에서 떨어짐으로써 3개의 원주방향 개방 채널(61, 62, 63)로 배출된다. 채널(61, 62, 63)은 물/습기가 진흙 아래에 닿아서 하부의 상승뿐만 아니라 상부의 강하에 의해 진흙을 분해시키게 함으로써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러그(40, 42) 사이의 진흙을 실제로 제거하게 한다. 매우 습한 조건에서, 원주방향 채널(61, 62, 63)은 물을 흙 배출 채널(60)내로 펌핑하여 실제로 흙을 채널로부터 씻어낸다.As the tire rotates in wet clay soil, the channel provides a passage forcing the soil discharge channel 60. Since the three circumferentially continuous open channels 61, 62, and 63 provide a circumferential unobstructed passage, the mud falls off the back of the tire as the footprint races on the road surface, so that the three circumferentially open channels 61 , 62, 63). Channels 61, 62, and 63 allow water / moisture to reach below the mud to dissect the mud not only by the rise of the lower but also by the drop of the upper, thereby actually removing the mud between the circumferentially adjacent lugs 40, 42. do. In very humid conditions, the circumferential channels 61, 62, 63 pump water into the soil discharge channel 60 to actually wash the soil out of the channel.
개시된 바와 같이 최소한의 트레드에서의 러그 맞물림 에지의 자유부는 이러한 최악의 조건하에 트레드가 지속적으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한다.As disclosed, the free portion of the lug engagement edge at the minimum tread allows the tread to continue to provide traction under this worst case condition.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1999/027323 WO2001036218A1 (en) | 1999-11-17 | 1999-11-17 | An all-terrain vehicle ti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53866A true KR20020053866A (en) | 2002-07-05 |
KR100662976B1 KR100662976B1 (en) | 2006-12-28 |
Family
ID=2227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063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2976B1 (en) | 1999-11-17 | 1999-11-17 | Battery car tir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4451585B2 (en) |
KR (1) | KR100662976B1 (en) |
CN (1) | CN1195646C (en) |
AU (1) | AU1479300A (en) |
WO (1) | WO2001036218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36490B2 (en) * | 2001-06-15 | 2003-03-25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Off-road tire having a textured inner tread |
CA2787953A1 (en) | 2010-01-27 | 2011-08-04 |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 Tire with noise-reducing tread pattern |
CN102741065B (en) * | 2010-02-05 | 2015-05-20 | 倍耐力轮胎股份公司 | Agricultural tyre |
CN102887038B (en) * | 2012-08-24 | 2015-04-01 |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 Pneumatic tyre for all-terrain vehicle |
CN105307872A (en) * | 2013-06-19 | 2016-02-03 | 普利司通美国轮胎运营有限责任公司 | Tire with noise-reducing tread pattern |
CN104029565B (en) * | 2014-06-11 | 2016-07-20 | 厦门正新橡胶工业有限公司 | Mud ground all-terrain vehicle air tread pattern structure |
CN105196799A (en) * | 2015-04-28 | 2015-12-30 | 贵州轮胎股份有限公司 | Tire sidewall protection method and structure |
CN106114070A (en) * | 2016-08-26 | 2016-11-16 | 四川远星橡胶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tire being applicable to cross country motorcycle |
JP7178263B2 (en) * | 2018-12-27 | 2022-11-25 | Toyo Tire株式会社 | pneumatic tir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792556A (en) * | 1971-12-17 | 1973-06-12 | Michelin & Cie | IMPROVEMENTS TO TIRE PACKAGES |
JPS5237844B2 (en) * | 1974-04-23 | 1977-09-26 | ||
US4823855A (en) * | 1987-11-23 | 1989-04-25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Pneumatic tire tread pattern |
US5259429A (en) * | 1992-03-09 | 1993-11-09 | Harms Mark J | Pneumatic tire for offroad vehicles |
JPH05278415A (en) * | 1992-04-02 | 1993-10-26 | Bridgestone Corp | Pneumatic tire |
US5411067A (en) * | 1993-03-23 | 1995-05-02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Pneumatic tire for use on agricultural tractors and other like vehicles |
EP0918653A1 (en) * | 1996-07-18 | 1999-06-02 |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 An all-terrain-vehicle tire |
AU3065499A (en) * | 1998-08-26 | 1999-11-01 | Goodyear Tire And Rubber Company, The | An on/off-road tread |
-
1999
- 1999-11-17 WO PCT/US1999/027323 patent/WO2001036218A1/en active IP Right Grant
- 1999-11-17 KR KR1020027006364A patent/KR10066297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11-17 CN CNB998170798A patent/CN119564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11-17 AU AU14793/00A patent/AU1479300A/en not_active Abandoned
- 1999-11-17 JP JP2001538189A patent/JP445158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1479300A (en) | 2001-05-30 |
CN1195646C (en) | 2005-04-06 |
JP4451585B2 (en) | 2010-04-14 |
CN1398225A (en) | 2003-02-19 |
WO2001036218A1 (en) | 2001-05-25 |
KR100662976B1 (en) | 2006-12-28 |
JP2003514705A (en) | 2003-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266771B1 (en) | Off-road tire having a textured inner tread | |
US6929044B1 (en) | All-terrain vehicle tire | |
US6401774B1 (en) | Off-road tire having puncture preventing pads | |
EP1107872B1 (en) | An on/off-road tread | |
CA2129216C (en) | A non-directional pneumatic tire for use on agricultural tractors and other like vehicles | |
US8215353B2 (en) | Studs for a tire | |
US6021829A (en) | All-terrain-vehicle tire | |
US4574857A (en) | Tractor tire tread | |
EP0934835B1 (en) | Heavy duty radial tyre | |
JP2002509824A (en) | Industrial pneumatic tires | |
US6209602B1 (en) | Industrial service agricultural tire | |
JP4723855B2 (en) | Off-road tires with low net-to-gross ratio | |
US4802547A (en) | Golf cart | |
US8215354B2 (en) | Studs for a tire | |
KR100662976B1 (en) | Battery car tire | |
US5363895A (en) | Bias ply pneumatic tire | |
EP1222077B1 (en) | An all-terrain vehicle tire | |
CA2261043C (en) | An all-terrain-vehicle tire | |
US7096904B2 (en) | Off road tire having variable width puncture preventing pads | |
JP2000516886A (en) | Agricultural tires for industrial use | |
JP3832687B2 (en) | Pneumatic tires for motorcycles | |
KR20000023794A (en) | An all-terrain-vehicle tire | |
MXPA99000357A (en) | Rim for all-terrible amphibious vehicles | |
WO1999047368A1 (en) | Non-directional farm t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205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