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46474A -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 Google Patents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474A
KR20020046474A KR1020000076670A KR20000076670A KR20020046474A KR 20020046474 A KR20020046474 A KR 20020046474A KR 1020000076670 A KR1020000076670 A KR 1020000076670A KR 20000076670 A KR20000076670 A KR 20000076670A KR 20020046474 A KR20020046474 A KR 2002004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ption device
oil
optional device
oper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6275B1 (ko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Priority to KR10-2000-007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2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27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Safety arrangements, e.g. hydraulic driven fans, preventing cavitation, leakage, over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브레이커 또는 쉐어 등의 옵션장치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작업시 사용압력이 높은 사용조건 및 장시간 사용으로 온도 상승에 따른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메인 절환밸브와 옵션장치사이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작업중 작동유의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옵션장치로 부터 작동유를 귀환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 및 제2포펫과, 제1 및 제2포펫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외부로 부터 작동신호압 공급시 작동하여 옵션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로 귀환시키는 온/오프 스플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고압으로 작동되는 옵션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셀렉트밸브로 부터 온도상승으로 인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하여 장비의 신뢰도를 높이며, 셀렉트밸브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단순화하여 해당부품의 사이즈를 줄이며 압력손실을 줄임에 따라 옵션장치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hydraulic circuit for heavy equipment option device}
본 발명은 작업조건에 따라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브레이커(breaker) 또는 쉐어(shear) 등의 옵션장치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작업시 사용압력이 높은 사용조건 및 장시간 사용으로 온도 상승에 따른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옵션장치에 고압의 작동유를 공급시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셀렉트밸브(select valve)에 절환되도록 내설되는 포펫(poppet)에 의해 누유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브레이커를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장착하여 작업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한 파일럿 신호압(Pb)이 메인 절환밸브(1)의 좌측단 및 셀렉트밸브(2)의 상단에 인가됨에 따라 각각 절환되며, 유압펌프(P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우측방향으로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경유하여 옵션장치(브레이커를 말함)(3)에 공급되어 이를 구동시키며, 이때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하측방향으로 절환된 셀렉트밸브(2)를 경유하여 탱크(T)로 귀환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옵션장치(3)로서 브레이커보다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쉐어를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한 파일럿 신호압(Ps)이 메인 절환밸브(1)의 우측단에 인가됨에 따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위치절환되며, 유압펌프(P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통과한 후 중립을 유지하는 셀렉트밸브(2)를 경유하여 옵션장치(3)에 공급되어 구동시키며, 이때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좌측방향으로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경유하여 탱크(T)로 귀환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셀렉트밸브(2)는 외부로 부터 구동신호 인가시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결정하도록 스플(2a)이 시프팅될 수 있도록 내설되어 있다. 이로 인해 브레이커보다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쉐어를 옵션장치(3)로서 사용하는 경우, 블록 내부에 내설되는 스플(2a)의 틈새를 통하여 누유가 발생시 하중이 무거운 물체를 집어서 운반할 때 누유로 인해 집어들어올린 물체를 운반도중 떨어뜨릴 위험요소를 갖게되며, 이는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작동유의 온도가 상승시 누유발생량은 더욱 더 많아지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브레이커를 옵션장치로 사용하는 경우, 누유로 인한 압력손실이 크게되어 자체의 배압허용기준이 낮은 브레이커에 발생되는 부하로 인한 내구성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압력손실을 줄이기위하여 스플(2a)사이즈를 확대하는 경우 셀렉트밸브(2)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되어 비용 및 장착공간상의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고압으로 작동되는 옵션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셀렉트밸브로 부터 온도상승으로 인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하여 장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셀렉트밸브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단순화하여 해당부품의 사이즈를 줄이며, 압력손실을 줄임에 따라 옵션장치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셀렉트밸브의 내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의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셀렉트밸브 본체의 내부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메인 절환밸브
3; 옵션장치(option device)
4; 제1포펫(poppet)
5; 제2포펫
6; 온/오프 스플
7; 솔레노이드밸브
8; 셀렉트밸브 본체
9; 커버
10; 필터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작동유 공급으로 구동하는 옵션장치와, 유압펌프와 옵션장치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옵션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메인 절환밸브를 구비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에 있어서, 메인 절환밸브와 옵션장치사이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작업중 작동유의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옵션장치로 부터 작동유를 귀환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 및 제2포펫과, 제1 및 제2포펫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외부로 부터 작동신호압 공급시 작동하여 옵션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로 귀환시키는 온/오프 스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옵션장치로 부터 귀환되는 유로에 이물질로 부터 옵션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에 의한 페달 또는 리모트컨트롤밸브에 의해 전기적인신호 인가시 절환되어 온/오프 스플에 작동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제1 및 제2포펫을 통하여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압의 작동유와 저압의 드레인측과 경계부위를 이루는 제1포펫의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실링과, 온/오프 스플의 중립상태를 유지하여 제2포펫이 유동하지않도록 블록화시키는 밸브스프링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P1)와, 유압펌프(P1)에 연결되어 작동유 공급으로 구동하는 옵션장치(3)와, 유압펌프(P1)와 옵션장치(3)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옵션장치(3)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메인 절환밸브(1)와, 메인 절환밸브(1)와 옵션장치(3)사이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옵션장치(3)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작업중 작동유의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며, 옵션장치(3)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옵션장치(3)로 부터 작동유를 탱크(T)로 귀환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2포펫(4,5)과, 제2포펫(5)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외부로 부터 작동신호압 공급시 작동하여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T)로 귀환시키는 온/오프 스플(6)을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압력이 저압인 전술한 옵션장치(3)로 부터 귀환되는 유로에 먼지등의 이물질로 부터 옵션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필터(10)가 설치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 또는 리모트컨트롤밸브(미도시됨)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 인가시 절환되어 온/오프 스플(6)에 파일럿 작동압을 공급하도록 파일럿펌프(P2)와 분기되는 제1포펫(4)과 온/오프 스플(6)사이의 유로에 솔레노이드 밸브(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옵션장치(3)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제1,제2포펫(4,5)을 통하여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인 절환밸브(1)를 통과한 고압유와 저압의 드레인측과 경계부위를 이루는 제1포펫(4)의 슬라이딩부에 실링(11)이 장착되며, 중립상태를 유지하여 제2포펫(5)이 유동하지않도록 블록화시키는 밸브스프링(6a)이 온/오프 스플(6)에 설치된다.
미 설명부호 9는 셀렉트밸브 본체(8) 외측면에 부착되어 파일럿 신호압(Pi)유입구 및 드레인(dr)구가 형성되는 커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압으로 구동가능한 브레이커를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장착하여 사용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파일럿 신호압(Pb)이 전술한 메인 절환밸브(1)의 좌측단에 인가되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절환시킴에 따라 유압펌프(P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우측방향으로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경유하여 옵션장치(3)(브레이커를 말함)에 공급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한 리모트컨트롤밸브(RCV) 또는 페달(미도시됨)의 조작으로 인한 전기적인 신호가 전술한 솔레노이드밸브(7)에 인가되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킴에 따라 파일럿펌프(P2)로 부터 토출되는 파일럿 신호압(Pi)이 절환된 솔레노이브밸브(7)를 경유하여 전술한 셀렉트밸브 본체(8)내에 유입된다.
즉, 파일럿 신호압(Pi)일부는 제1포펫(4)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메인 절환밸브(1)측으로의 B포트를 차단하며, 이와 동시에 파일럿 신호압(Pi)일부는 온/오프 스플(6)의 우측단에 인가되어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켜 제2포펫(5)의 상부를 드레인(Dr)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A포트를 경유하여 제2포펫(5)을 상측방향으로 밀어올리게되어 탱크(T)로 귀환됨에 따라 옵션장치(3)는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제1포펫(4)은 파일럿 신호압(Pi)에 의해 상측부가 가압되어 시이트된 상태이므로 귀환되는 전유량은 B포트로 유입되지않고 T포트를 경유하여 탱크(T)로 귀환된다. 전술한 T포트와 탱크(T)사이의 귀환유로에 옵션장치(3)의 작업특성상 먼지 등의 이물질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필터(10)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파일럿 신호압(Pi)에 의해 전술한 제1포펫(4)이 가압되어 B포트로의 유로를 차단하게되는 것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어 A포트에서 T포트로 귀환되는 저압상태의 귀환유는 Pa×(øy-øx)의 힘으로서 제2포펫(5)을 들어올리게되며, 전술한 커버(9)에 형성된 신호압도입부에 유입되는 파일럿 신호압(Pi)은 (Ppi×øy)의 힘으로서 제1포펫(4)을 시이트(seat)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때, 귀환되는 저압유는 Pa는 파일럿 신호압 Ppi보다 압력 및 단면적인 충분하게 작으므로 시이트되어 B포트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면에, 작동압력이 브레이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압으로 구동가능한 쉐어 또는 크럼셀을 옵션장치로서 사용할 경우를 설명한다.
운전자에 의한 파일럿 신호압(Ps)이 전술한 메인 절환밸브(1)의 우측단에 인가되어 이를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절환시킴에 따라, 유압펌프(P1)로 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는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통과한 후 제1,2포펫(4,5)을 경유하여 옵션장치(3)(쉐어를 말함)에 공급되며, 이때 전술한 제1포펫(4)은 이의 상측단이 파일럿통로 및 중립상태인 솔레노이드밸브(7)를 통해 탱크(T)로 드레인되므로 제1포펫(4)을 밀어올려 작동유는 제2포펫(5)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옵션장치(3)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절환된 메인 절환밸브(1)를 경유하여 탱크(T)로 귀환됨에 따라, 쉐어는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옵션장치(3)가 장비특성상 고압으로서 작동되므로 작업조건 및 장시간 작업시 온도상승으로 인해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즉, 메인 절환밸브(1)를 통과하는 고압상태의 작동유가 제1포펫(4)을 경과시 저압상태의 드레인측과 경계부위를 이루는 제1포펫(4)의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실링(11)에 의해 제1포펫(4)을 통한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포펫(4)을 경유한 고압의 작동유가 제2포펫(5)을 통과시 밸브스프링(6a)에 의해 중립을 유지하는 온/오프 스플(6)에 의해 제2포펫(5)을 유동하지않도록 블록화시키게되므로 제2포펫(5)을 통하여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전술한 셀렉트밸브에 내설되는 제1,2포펫(4,5)구조에서는 작업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압, 대용량이 요구되는 옵션장치를 장시간 사용시 온도 상승으로 인해 작동유의 누유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압력손실을 줄여 내부허용배압이 적은 저압의 옵션장치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굴삭기의 작업장치 선단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고압으로 작동되는 옵션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셀렉트밸브로 부터 온도상승으로 인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확보하여 장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셀렉트밸브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를 단순화하여 해당부품의 사이즈를 줄이며, 압력손실을 줄임에 따라 옵션장치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는 중장비 관련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기술내용 일부를 변형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 연결되어 작동유 공급으로 구동하는 옵션장치와, 유압펌프와 옵션장치사이의 유로에 설치되어 옵션장치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흐름방향을 제어하는 메인 절환밸브를 구비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절환밸브와 옵션장치사이의 유로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작업중 작동유의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상기 옵션장치로 부터 작동유를 귀환시키도록 작동하는 제1 및 제2포펫; 및
    상기 제1 및 제2포펫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외부로 부터 작동신호압 공급시 작동하여 상기 옵션장치로 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를 탱크로 귀환시키는 온/오프 스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저압인 경우 상기 옵션장치로부터 귀환되는 유로에 이물질로 부터 옵션장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페달 또는 리모트컨트롤밸브에 의해 전기적인신호 인가시 절환되어 상기 온/오프 스플에 작동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장치의 사용압력이 고압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포펫을 통하여 누유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압의 작동유와 저압의 드레인측과 경계부위를 이루는 제1포펫의 슬라이딩부에 장착된 실링과, 상기 온/오프 스플의 중립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제2포펫이 유동하지않도록 블록화시키는 밸브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KR10-2000-0076670A 2000-12-14 2000-12-14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Expired - Lifetime KR100406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70A KR100406275B1 (ko) 2000-12-14 2000-12-14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70A KR100406275B1 (ko) 2000-12-14 2000-12-14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74A true KR20020046474A (ko) 2002-06-21
KR100406275B1 KR100406275B1 (ko) 2003-11-17

Family

ID=3748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670A Expired - Lifetime KR100406275B1 (ko) 2000-12-14 2000-12-14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2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79B1 (ko) * 2001-12-06 2005-05-17 한일유압 주식회사 굴삭기용 홀딩밸브장치 및 홀딩밸브의 유압제어방법
KR100569198B1 (ko) * 2003-05-06 2006-04-07 이일재 유압타격장치
KR100772735B1 (ko) * 2003-05-06 2007-11-01 이일재 유압타격장치
KR100800081B1 (ko) * 2006-08-29 2008-0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용 옵션장치의 유압회로
KR100974273B1 (ko) * 2007-09-14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량 제어장치
WO2014135286A1 (en) * 2013-03-06 2014-09-12 Caterpillar Sarl Pressure loss reducing circuit for a works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234U (ko) * 1995-06-05 1997-01-24 중장비 액튜에이터와 옵션작업기의 유압병합시스템
KR100212218B1 (ko) * 1996-12-31 1999-08-02 추호석 중장비의 다목적 유압제어장치
KR200319429Y1 (ko) * 1997-12-29 2003-09-19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감압밸브
KR100277670B1 (ko) * 1999-05-03 2000-12-15 변수 굴삭기의 다기능 복합 유압시스템
JP2001193709A (ja) * 1999-12-28 2001-07-17 Kayaba Ind Co Ltd 油圧制御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79B1 (ko) * 2001-12-06 2005-05-17 한일유압 주식회사 굴삭기용 홀딩밸브장치 및 홀딩밸브의 유압제어방법
KR100569198B1 (ko) * 2003-05-06 2006-04-07 이일재 유압타격장치
KR100772735B1 (ko) * 2003-05-06 2007-11-01 이일재 유압타격장치
KR100800081B1 (ko) * 2006-08-29 2008-02-0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굴삭기용 옵션장치의 유압회로
KR100974273B1 (ko) * 2007-09-14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중장비용 유량 제어장치
WO2014135286A1 (en) * 2013-03-06 2014-09-12 Caterpillar Sarl Pressure loss reducing circuit for a works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275B1 (ko) 2003-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758B1 (ko) 유압회로
KR100800080B1 (ko)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JP2007192344A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KR100890984B1 (ko) 주행중 버킷의 버킷레스트 이탈방지용 유압회로
KR100305742B1 (ko) 중장비의재생장치
KR20090040651A (ko) 중장비용 유압제어밸브
KR100934945B1 (ko) 건설중장비용 유압 회로
KR100621983B1 (ko) 중장비용 가변 재생밸브
KR100518768B1 (ko) 부하홀딩용 유압밸브의 제어장치
KR100406275B1 (ko)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회로
KR100240092B1 (ko) 건설중장비용 작업장치의 로킹장치
KR100518770B1 (ko) 중장비 옵션장치용 유압시스템
KR101343831B1 (ko) 지게차의 유압시스템
KR100226281B1 (ko) 가변우선장치
KR19980038855A (ko) 건설기계의 작업장치용 실린더를 위한 유압장치
KR100205568B1 (ko) 로우더의 유압장치
KR20040093891A (ko) 붐 플롯포지션 기능을 갖는 유압회로
KR100910167B1 (ko) 휠타입 굴삭기의 유압회로
KR100479923B1 (ko) 파일럿 밸브를 이용한 다기능 선택 유압회로
KR100816661B1 (ko) 에너지 절감형 유압회로
KR200333340Y1 (ko) 굴삭기의붐비상하강장치
KR100611712B1 (ko) 누유 제거 기능을 구비한 스풀식 셀렉트 밸브
KR100511197B1 (ko) 유압제어밸브 장치
JP2012077767A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100283220B1 (ko) 압력손실 저감기능을 갖는 중장비용 메인콘트롤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112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8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1061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