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42509A -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2509A
KR20020042509A KR1020010075287A KR20010075287A KR20020042509A KR 20020042509 A KR20020042509 A KR 20020042509A KR 1020010075287 A KR1020010075287 A KR 1020010075287A KR 20010075287 A KR20010075287 A KR 20010075287A KR 20020042509 A KR20020042509 A KR 200200425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address
stored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꾸무라다까시
야기히로노리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2004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25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37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48Storage
    • H04N1/00151Storage with selectiv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1Viewing or previewing
    • H04N1/00164Viewing or previewing at a remote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3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in a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i.e. a system where digital photographic images undergo typical photofinishing processing, e.g. printing ordering
    • H04N1/00169Digital image input
    • H04N1/0018Digital image input of images captured using a loaned, rented or limited-use still digital camera, e.g. recyclable or dispos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udio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간단하게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촬영하고, 또한 그 결과를 입수한다.
사용자(10)는 점포(12)로부터 디지털 카메라를 빌려, 원하는 화상을 촬영하여 점포(12)에 반환한다. 점포(12)에서는 사용자(10)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어드레스 데이터(URL)를 부여함과 함께, 사용자(10)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에 저장한다. 사용자(10)는 점포(12)로부터 부여된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서버(14)에 액세스하여, 자기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입수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 방법{DATA DISTRIBUTION SYSTEM, DATA DISTRIBUTION APPARATUS AND DATA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배신 시스템 및 장치 및 방법, 특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화상 데이터 등을 배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터넷 기술의 진보 등을 배경으로 하여, 각종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나 음악 데이터 등을 서버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배신하는, 광학 카메라로 얻어진 은염 사진을 스캐너로 주사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하여, 이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고, 소정의 서비스 센터에서 프린트 아웃하여 사용자에게 우송하는 것등이다.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을 인터넷을 통해 소정의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고, 프린트 아웃하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고가의 프린터를 소유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는 고가의 디지털 카메라를 구입하여 화상을 취득해야하고, 또한 원하는 화상을 얻기 위해 항상 디지털 카메라를 휴대해야만하는 번잡함도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로 얻어진 화상을 소정의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자기가 소유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단말에 디지털 카메라로 얻어진 화상을 입력하고, 단말을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화상 데이터를 송신할 필요가 있으며, 상응하는 지식과 설비가 필요해지는 문제도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령층을 막론하고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보다 간이하게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시인 가능한 상태에서 입수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 이상으로 간이하고, 효율적으로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시스템 혹은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시스템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의 점포(12)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서의 송신 데이터 포맷 설명도.
도 4는 디지털 카메라(17)의 구성도.
도 5는 디지털 카메라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되는 URL 설명도.
도 6은 디지털 카메라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되는 다른 URL 설명도.
도 7은 도 1에서의 서버(14)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도 7에서의 데이터 기억부의 구성도.
도 9는 본 실시예의 전체 처리 흐름도.
도 10은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에서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다른 화면 표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용자
12 : 점포
14 : 서버
16 : 인터넷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데이터를 배신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와 관련지어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컴퓨터에 기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 등의 기기를 대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반환한 경우에 그 기기가 기억하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어드레스와 관련지어 서버 컴퓨터(서버)에 기억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가 시인 가능한 형식으로 상기 기기에사전에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어도 기기를 반환하는 시점에 있어서 어드레스를 알 수 있으며, 반환 후에 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기기의 고유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고유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의 제조 번호 혹은 일련 번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코드 형식으로 기기를 식별하는 정보가 기기에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바코드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메모리에 사전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를 입력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기억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기기가 반환되는 점포 등에서의 수고를 줄임과 함께 확실하게 서버에 어드레스를 공급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 혹은 RAM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어드레스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HTTP에서의 URL로 할 수 있다. URL에 의해 Web 페이지를 일의적으로 특정할 수 있으며, 해당 Web 페이지에 사용자가 취득한 데이터를 게재함으로써, URL을 이용하여 자기가 소득한 데이터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 컴퓨터에 기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서 컴퓨터, 휴대 전화, 디지털 텔레비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화상 데이터로서는 정지 화상 외에, 동화상이라도 무방하다.
사용자에게 대여되고, 사용자로부터 반환되는 기기로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배신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되는 어드레스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억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서의 상기 어드레스를 이용한 액세스에 대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송신하는 처리 수단을 갖는다.
본 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에서 입력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억 수단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은,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기에 사전에 기억된 상기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시스템에서도, 상기 어드레스로서는 URL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로서는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배신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터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수단을 갖는다.
본 장치에서도,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할 수 있으며, 혹은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내장 메모리에 사전에 기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장치에서 상기 어드레스는 URL이고, 상기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홈페이지(Web 페이지) 형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장치에서도, 상기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로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컴퓨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개념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사용자(10),점포(12), 서버(14)가 인터넷(16)을 통해 서로 접속된다. 사용자(10)는 점포(12)에서 원하는 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의 대여를 받아, 원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들 데이터의 취득은, 사용자가 테마파크나 유원지, 비즈니스 상의 전시회나 시가지 등, 여러 옥내외에서 인물이나 풍경을 촬영하거나, 인물의 소리나 그 밖의 소리를 녹음함으로써 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마파크에서의 기념 촬영, 산의 풍경, 시가지에서 친구끼리의 촬영, 전시회 등 출장지의 모습의 촬영이다.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한 후, 사용자(10)는 점포(12)에 기기를 반환한다. 점포(12)는 소정 위치에 설치된 편의점등으로 구성되며, 점포(12)에서는 반환된 기기로부터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판독함과 함께, 사용자(10)에 대하여 인터넷(16)을 통해 그 취득한 데이터를 입수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공여한다.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취득한 데이터를 Web 페이지 형식으로 입수할 때에는 HTTP(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로 이용되는 URL(유니폼 리소스 로케이터)로 할 수 있다. 어드레스의 구체적인 부여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기기로부터 판독한 점포(12)는 판독한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로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가 취득한 데이터와 함께 사용자(10)에 부여된 상기한 어드레스도 동시에 서버(14)에 송신한다. 서버(14)에서는 점포(12)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그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HTML(하이퍼 텍스트 마크 업 랭귀지) 형식으로 기술된 Web 페이지에 표시할 때에는 그 Web 페이지의 URL을 점포(12)로부터 부여된 어드레스로 하는 등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버(14)에는 사용자(10)가 빌린 기기에 의해 취득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또한 이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도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10)는 이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사용자(10)는 인터넷(16)을 통해 필요할 때에 취득한 데이터를 입수할 수 있다.
도 2에는, 도 1에서의 점포(12)의 구성 블록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사용자(10)로부터 반환된 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7)의 메모리에는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나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점포(12)의 데이터 입력부(12a)는 디지털 카메라(17)의 메모리로부터 이들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입력한다. 데이터의 전송은, 전파나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나 데이터 라인이나 커넥터를 이용한 유선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단, 유선 통신의 경우, 일반 컴퓨터 등의 기기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도록 이들과 호환성이 없는 특별한 형상의 데이터 라인, 커넥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통신의 경우, 특별한 전송 방식이나 스크램블을 걸어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점포에서 디지털 카메라(17)로부터 데이터 전송을 개시시킬 때에는, 예를 들면 외부 전파가 디지털 카메라(17)에 투입된 것을 검출하거나, 또한 기계적으로 핀이 디지털 카메라(17)에 삽입된 것을 검출하는 등, 외부 요인을 검출하여 전송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데이터 전송을 개시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판독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는 데이터 송신부(12b)에 전송되고, 데이터 송신부(12b)는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에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10)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도 데이터 입력부(12a)에 입력되고, 데이터 송신부(12b)를 통해 서버(14)에 송신된다. 어드레스는 사용자(10)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사전에 부여되어도 무방하며, 혹은 반환된 기기와는 별개로 생성되어 데이터 입력부(12a)에 입력되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데이터 입력부(12a) 및 데이터 송신부(12b)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령, 퍼스널 컴퓨터의 CPU)에 의해 제어된다. 디지털 카메라(17)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 입력, 이 입력 데이터로의 어드레스 정보의 부가, 데이터 송신부(12b)로의 전송, 또한 데이터 송신부(12b)로부터 네트워크 망으로의 전송은, CPU의 명령으로 제어되어 동기를 취해 순차적으로 동작된다. 데이터 입력부(12a)에서는, 입력 데이터는 일단 메모리(도시 생략)에 기억되어, CPU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의 URL이 부가된다. 사용자의 URL은,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차 사용자가 서버(14)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이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12b)는 소위 인터넷의 경우 서버(14)로 송신하기 위해 목적지인 서버(14)의 어드레스를 부가하여 패킷 방식으로 송신한다.
도 3에는 데이터 송신부(12b)로부터 서버(14)에 인터넷(16)을 통해 송신되는데이터의 포맷 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송신되는 데이터(18)는 헤더부, 사용자(10)에 일의적으로 부여되는 어드레스(도면에서는 URL),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버(14)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URL과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에게 일의적으로 부여되는 어드레스는,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10)로부터 반환되는 기기(17)에 사전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는 사용자(10)에 대하여 대여되고, 그리고 반환되는 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17)의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디지털 카메라(17)로서는 시판되는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그 기능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7)의 전원으로서의 전지는 시판되는 전지와의 호환성이 없으며, 또한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통상의 퍼스널 컴퓨터에 입력하기 위한 접속 단자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대여 시의 요금에 따라 촬영 가능 매수에 제한을 두거나, 혹은 대여 시의 요금에 따라 촬영 해상도에 제한을 둘 수도 있다. 디지털 카메라(17)에 타이머를 설치하고, 대여 시부터 카운트 다운을 개시함으로써 대여로부터 일정 기간 내에만 촬영 기능을 동작시키고, 반환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반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촬영 매수 또는 데이터량에 따라 반환 금액을 변경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디지털 카메라(17)의 소정 개소에는 어드레스(도면에서는 URL의 경우가 나타내어져 있음)를 나타내는 시일이 붙어 있고, 사용자(10)가 점포(12)에 이 디지털 카메라(17)를 반환할 때, 점포(12)측에서는 어드레스 URL이 기재된 시일(17a)을 디지털 카메라(17)로부터 떼어내어, 사용자(10)에게 부여함으로써 사용자(10)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시일(16a)에 기재된 어드레스와 동일한 데이터가 디지털 카메라의 소정 위치에 예를 들면 바코드와 같이 기계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설치되고, 점포(12)에 설치된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되고, 데이터 입력부(12a)에 입력할 수 있다. 물론, 시일(17a)이 2매가 한 조가 되고, 1매를 사용자(10)에게 부여하고, 다른 1매를 기계 판독용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시일(17a)은 디지털 카메라(17)의 본체에 붙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7)의 패키지에 부여되어 있고, 사용자(10)가 디지털 카메라(17)를 빌려, 사용할 때에 패키지를 파기시킴으로써 비로서 그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7)의 메모리(플래시 메모리등)에 사전에 시일(17a)에 기술된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디지털 카메라(17)의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판독할 때에 이 어드레스 데이터도 판독하여 데이터 입력(12a)에 입력하는 것도 적합하다.
도 5에는, 디지털 카메라(17)의 플래시 메모리에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시킨 경우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플래시 메모리(20)에는 화상 데이터(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20a) 및 텍스트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20b)이 설치되고, 텍스트 영역(20b)의 일부에 어드레스 영역(20c)이 확보되며, 디지털 카메라(17)의 공장 출하 시 등에 이 어드레스 영역에 URL 등의 어드레스 데이터가 기억된다.
물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17)의 플래시 메모리(20)의영역이 부팅 레코드, FAT(파일 얼로케이션 테이블), 루트 디렉토리, 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의 각 영역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화상 데이터 영역이나 음성 데이터 영역의 메모리 용량을 확보하면서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 예를 들면 루트 디렉토리 영역에 URL 데이터를 기억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디지털 카메라(17)의 플래시 메모리(20)에의 데이터 배열은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배열이라도 무방하다. 어드레스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타이밍은, 공장 출하 시라도 무방하며, 혹은 디지털 카메라(17)가 사용자(10)에게 대여되는 타이밍, 혹은 사용자(10)로부터 반환된 타이밍 중 하나라도 무방하다. 공장 출하 시에 어드레스 데이터를 기억시킬 때에는, 어드레스 데이터를 그 디지털 카메라(17)가 갖는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또한 디지털 카메라(17)를 대여 혹은 반환 시에 기억시킬 때에는 사용자(10)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어드레스 데이터를 디지털 카메라(17)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17)의 제조 번호, 혹은 제조 번호와 날짜로부터 어드레스 데이터를 생성하면 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 데이터로서 URL을 이용하는 경우, 「http://www.sanyo.service/제조 번호」로 하는 등이다. 점포(12)에서, 디지털 카메라(17)의 제조 번호를 판독 장치로 판독하고, URL의 형식으로 프린트 아웃하여, 영수증과 함께 사용자에게 부여하거나, 또는 영수증에 소정의 URL을 프린트 아웃하여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 경우, 판독 장치 및 프린트 장치가 어드레스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점포(12)에 구비된 POS 단말을 그대로 어드레스 생성 수단으로서 기능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사용자(10)의 고유 정보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자택의 전화 번호나 휴대 전화 번호에 기초하여 생성하면 된다. 이 경우, 어드레스로서「http://www.sanyo.service/전화 번호」 등으로 할 수 있다.
또, 어드레스로서는 URL이 아니고, URL과 일의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임의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에 대하여 임의의 ID를 부여하고, 점포(12)측에서 이 ID에 대하여 1:1로 URL을 생성하고, ID와 함께 서버(14)로 송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10)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Web 페이지에 우선 액세스하여, 이 ID를 이용하여 서버(14)로부터 URL을 취득하고, 이 URL을 이용하여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1에서의 서버(14)의 구성이 나타내어져 있다. 서버(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I/F(14a), CPU(14b), ROM(14c), RAM(14d), 데이터 기억부(14e) 및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를 갖고 구성된다. 점포(12)로부터 송신된 어드레스 및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는 인터페이스 I/F(14a)를 통해 CPU(14b)에 공급된다. CPU(14b)는 수신한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4e) 및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에 기억한다. 데이터 기억부(14e)는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것으며,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는 사용자의 개인적 데이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성명이나 ID, 과거의 사용 이력 등을 기억한다.
도 8에는 데이터 기억부(14e)에 기억되는 데이터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사용자(10)에는 사용자마다 ID가 부여되고, 이 ID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가일괄 관리된다. 그리고, 각 사용자마다 부여된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가 기억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 ID1의 사용자는 어드레스 AA이고, 그 데이터는 P1등이다. 어드레스로서 URL을 이용한 경우, 데이터로서는 이 URL에 일의적으로 특정되는 Web 페이지(홈페이지) 상의 데이터가 된다. 이 경우, 서버(14)는 WWW 서버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사용자(10)로부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에 액세스 요구가 있으면, CPU(14b)는 데이터 기억부(14e)에 저장되어 있는 그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인터넷(16)을 통해 사용자(10)에게 송신한다. 어드레스로서 URL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10)는 단말에 인스톨되어 있는 Web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URL을 서버(14)에 송신하고, 서버(14)로부터 송신된 그 URL에 일의적으로 나타내어지는 Web 페이지를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단말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입수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서의 전체 처리 흐름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사용자(10)에게 대여되어 반환되는 기기로서 디지털 카메라(17)를 상정하고 있다. 우선, 점포(12)는 사용자(10)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대여한다(S101). 이 대여는 유료로 할 수 있으며, 보증금까지 포함된 요금을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10)가 디지털 카메라(17)를 이용하여 원하는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면, 디지털 카메라(17)를 점포(12)에 반환한다(S102). 반환시에는, 보증금을 사용자(10)에게 반환해도 된다. 그리고, 점포(12)는 사용자(10)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한다(S103). 이 어드레스는, 상술된 바와 같이 URL라도 무방하며, 그 URL을 얻기 위한 ID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10)의 휴대 전화 번호 혹은 자택의 전화 번호에 소정의 문자열을 부가하여 ID로 하고, 사용자(10)에게 부여한다. 예를 들면, 09099999999AB 등이다. 점포측(12)에서는 이 ID로부터 URL을 생성하고, 서버(14)로 송신한다. 서버(14)는, 수신된 ID와 URL을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에 저장하고, 사용자(10)로부터 이 ID를 이용한 액세스 요구가 있는 경우에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에 기억된 URL을 판독하여 사용자(10)에게 송신한다.
또, 점포(12)에서 ID로부터 URL을 생성하는 것만이 아니고, 서버(14)에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점포(12)에서는 ID 및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서버(14)에 송신하고, 서버(14)에서 그 ID에 기초하여 URL을 생성하여 사용자 데이터 기억 수단(14f)에 기억함과 함께, 생성한 ID와 관련지어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14e)에 기억한다. 어떤 경우든, 이 경우의 ID도 URL을 얻기 위한 검색 키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그것은 어드레스 데이터이다.
사용자(10)에 대하여 어드레스를 부여한 후, 사용자가 취득한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입력하고(S104), 이들 데이터를 서버(14)에 송신한다(S105). 서버(14)에서는 점포(1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한다(S106). 또, 서버(14)가 점포(12)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터넷(16)을 통해 점포(12)로부터 송신할 필요는 없고, 데이터 송신부(12b)로부터 점포(12) 내의 서버(14)에 데이터를 송신하여 기억하면 된다.
그리고, 서버(14)에서는 사용자(10)로부터의 액세스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107), 어드레스를 이용한 액세스 요구가 있던 경우에는 그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자(10)에 대하여 송신한다(S108).
도 10에는 사용자(10)가 단말에 인스톨된 Web 브라우저를 조작하고, 어드레스로서 URL을 이용하여 서버(14)에 액세스하고, 서버(14)로부터 이 액세스에 따라 송신된 Web 페이지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서버(14)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URL에서 일의적으로 특정되는 Web 페이지(22)이고, 이 Web 페이지(22)에는 자기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22a, 22b)가 게재된다. 화상 데이터(22a, 22b)는 BMP 포맷이라도 무방하며, JPEG 외에 임의의 포맷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디지털 카메라(17)로 원하는 화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카메라(17)를 점포(12)에 반환하는 것만으로 자기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갖는 Web 페이지를 볼 수 있다. 이 WEb 페이지는 사용자(10)에 대하여 작성된 Web 페이지이고, 그런 의미에서 서버(14)는 사용자(10)의 Web 페이지를 작성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할 수도 있다. Web 페이지 내의 배열은 사전에 서버(14)측에서 결정해도 무방하며, 사용자(10)가 디지털 카메라(17)의 반환 시나 Web 상에 표시할 때 Web 화면 상에서 지정해도 무방하다. 사용자(10)가 지정한 배열 데이터는 사용자 데이터 기억부(14f)에 기억되며, CPU(14b)는 적절하게 이 사용자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그 사용자(10) 고유의 Web 페이지를 작성하여 데이터 기억부(14e)에 기억할 수 있다. 또, Web 페이지 상에의 표시는 도 10에 한정되지 않고, 앨범처럼 표시시키거나, 비즈니스용으로 출장 보고처럼 표시시키거나, 사용자의 희망에 맞추어 표시 형식을 선택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이 Web 페이지(22)는 서버(14)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사용자(10)가 제3자에게 그 URL을 알림으로써, 제3자도 용이하게 사용자의 Web 페이지(22)를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자기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제3자에게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또한, Web 페이지와 맞추어 서버(14)는 프리보드를 설치할 수도 있어, 사용자(10)의 Web 페이지를 본 제3자가 이 프리보드에 자기의 의견을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0)가 Web 페이지(22)에 액세스한 후, 자기 ID를 입력한 경우에는 이 WEb 페이지(22)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자기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에 주석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화상 데이터와 함께 디지털 카메라(17)로 음성 데이터를 취득한 경우, 서버(14)의 CPU(14b)에서는 이 음성 데이터를 공지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텍스트 데이터화하고, 화상 데이터와 함께 Web 페이지(22)에 게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는 이러한 경우의 Web 페이지(22)가 나타내어져 있고, 화상 데이터(22a)의 하부에 사용자가 취득한 음성 데이터가 텍스트화되어 텍스트 데이터(22c)로서 표시된다. 또한, 음성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서버(14)에 기억시키고, Web 상에는 화상 데이터를 표시시킴과 함께 사용자가 음성으로 듣는 시스템으로 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10)는 점포(12)로부터 빌린 기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취득하고, 빌린 기기를 점포(12)에 반환하는 것만으로 인터넷(16)을 통해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용이하게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기기를 소유할 필요도 없고, 또한 기기로 취득한 데이터를 자기가 소유하는 단말등으로부터 인터넷을 이용하여 송신할 필요도 없으며, 필요할 때에 용이하게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10)는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14)에 대하여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에 액세스하고 있지만, 휴대 전화를 이용하여 서버(14)에 액세스하는 것도 가능하고, 휴대 정보 단말(PDA)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16)에 접속되어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이나 CATV를 이용하여 서버(14)에 액세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디지털 텔레비전 등에 서버(14)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표시되기 때문에, 가족이나 친구 등과 함께 자기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 등을 볼 수 있다.
또한, 점포(12)로서는 편의점 외에, 역 등의 공공 시설, 유원지나 박람회, 전시회 등의 특정한 이벤트 회장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10)는 특정한 이벤트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취득하고 싶어하는 경우, 디지털 카메라 등을 휴대할 필요는 없고, 그 자리에서 빌려 촬영하고, 후일 인터넷(16)을 통해 취득한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편의점 등의 점포가 동일 계열 또는 상이한 계열이라도 본 시스템에 대하여 제휴하고 있는 경우에는, 디지털 카메라(17)를 반환한 점포가 빌린점포와 달라도 화상 데이터 등을 서버(14)에 기억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후일 인터넷(16)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점포(12)에서, 미리 취득한 URL 및 어드레스를 제시하고, 서버(14)에 기억된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점포(12)의 단말로 판독하고, 프린트아웃이나, CD, MD 및 DVD 등의 기억 매체에 기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점포(12)는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로 송신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희망하는 경우에는 점포(12)에서 화상 데이터 등을 프린트 아웃하여 건네주는 것도 가능하고, CD나 MD, DVD 등의 기억 매체에 사용자(10)가 취득한 데이터를 저장하여 건네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점포(12)에서 사용자(10)의 취득한 데이터를 입력할 때, 사용자(10)가 적절하게 입력해야 할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지정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점포(12) 내에 사용자(10)가 조작 가능한 입력 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10)가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적절하게 입력 장치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고, 사용자가 선택한 화상 데이터만을 데이터 입력 장치(12a)에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편의점 등의 점포(14)에서는 기존의 멀티미디어 단말과 상기 입력 장치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함과 함께 이 멀티미디어 단말을 이용하여 Web 상의 표시 형식을 도 10이나 앨범 형식, 출장 보고 형식으로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주로 사용자(10)에게 대여되어 점포(12)에 반환되는 기기로서 디지털 카메라(17)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임의의 기기, 예를 들면 비디오 카메라 등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기기로서는 반드시 디지털 기기일 필요는 없고, 아날로그 기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기기를 이용하는 경우, 점포(12)에서 혹은 서버(14) 내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서버(14)에 기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한 경우에는 서버(14)의 기억 용량이 부족한 경우도 상정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만 데이터 기억부(14e)에 사용자(10)가 소득한 데이터를 기억해 두고, 일정 기간 경과 후에는 자동적으로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로서, 상술한 것에서는 제조 번호 또는 전화 번호 등을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서 이용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는다. 어드레스로 이용된 것은 각 사용자와 URL이 1:1로 대응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번호 또는 문자열이어도 좋다. 달리 말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번호 또는 문자열을 갖는 정보를 어드레스로서 이용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예를 들어, 날짜, 점포의 식별 번호 또는 문자, 점포마다 또는 비즈니스 전체의 접수 순위, 나라 또는 지역을 식별하는 번호 또는 문자, 난수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단, 난수에 대해서는, 서버(12)측 등에서 동일한 번호 또는 문자열이 복수의 사용자에게 부여되지 않도록 집중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제조 번호 또는 전화 번호, 또는 개인의 성 또는 이름을 조합하는 것으로서,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어드레스의 일종으로서의 ID는 문자열 외에 그 사용자가 개인적인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의 지문이나 눈동자 정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는 점포(12)에서 사용자(10)에게 어드레스를 부여하고, 부여한 어드레스를 인터넷(16)을 통해 서버(14)에 송신하고 있지만, 서버(14)의 CPU(14b)에서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어드레스를 인터넷(16)을 통해 점포(12)에 송신하고, 점포(12)에서 수신한 어드레스를 사용자(10)에게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10)가 디지털 카메라(17)를 반환했을 때, 점포(12)는 디지털 카메라(17)의 메모리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서버(14)에 송신하지만, CPU(14b)에서는 선착순으로 어드레스를 생성하여 그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함과 함께, 점포(12)에 생성한 어드레스를 송신할 수 있다. 점포(12)에서는 수신한 어드레스를 적절하게 프린트하여 사용자(10)에게 부여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16)을 이용하여 사용자(10)에게 데이터를 배신하고 있지만, 인터넷에 한하지 않고, LAN이나 WAN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유선, 무선이라도 상관없다. LAN을 이용한 경우, 예를 들면 특정한 회사에서 그 종업원에게 디지털 카메라(17)를 대여하고,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반환하면, 회사의 서버(14)에 Web 페이지 형식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게 되며, 이것을 자기가 보는 것 외에 타인에게 보임으로써 보고서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디지털 카메라(17)를 반환할 때마다 새로운 URL이 발행되어, 사용자에게 부여되도록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사용자가 URL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데이터를 사용자의 희망에 의해 동일한 URL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에 기억시켜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의 ID에 의해 인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예를 들면 회원제와 같이 회원 등록에 의해 1명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URL을 나눠 제공하고, 회원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17)를 반환할 때마다 그 사용자가 회원증 등을 사용하여 URL 혹은 사용자 ID를 제시하고, 항상 그 URL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회원증 등의 카드에 URL, 사용자 ID 혹은 그것에 대응하는 바코드와 같은 형식을 표시시켜 두고, 이들을 키보드나 판독 장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입력부(20a)에 저장하도록 해도 무방하며, IC 카드에 URL 혹은 사용자 ID를 기억시켜 두고, 그것을 커넥터나 무선 송수신 기술 등 전자 회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입력부(20a)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기가 취득한 데이터를 매우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5)

  1.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데이터를 배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와 관련지어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컴퓨터에 기억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가 시인 가능한 형식으로 상기 기기에 사전에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메모리에 사전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데이터를 입력함과 함께 상기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서버 컴퓨터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 컴퓨터에 송신되어 상기 서버 컴퓨터에 기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단말은 컴퓨터, 휴대 전화, 디지털 텔레비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혹은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방법.
  1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배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수단과,
    상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억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를 이용한 액세스에 대하여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데이터 및 상기 어드레스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기억 수단에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상기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은,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기기에 사전에 기억된 상기 어드레스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UR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시스템.
  19.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배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반환된 기기에 기억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부여된 어드레스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부터의 상기 어드레스에 의한 데이터 요구를 접수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정보로부터 생성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상기 기기의 내장 메모리에 사전에 기억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는 URL이고,
    상기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데이터를 홈페이지 형식으로 상기 사용자의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 또는 음성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디지털 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배신 장치.
KR1020010075287A 2000-11-30 2001-11-30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방법 KR200200425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65490 2000-11-30
JP2000365490A JP2002170059A (ja) 2000-11-30 2000-11-30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装置並びに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2509A true KR20020042509A (ko) 2002-06-05

Family

ID=1883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287A KR20020042509A (ko) 2000-11-30 2001-11-30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20095477A1 (ko)
EP (1) EP1213910B1 (ko)
JP (1) JP2002170059A (ko)
KR (1) KR20020042509A (ko)
CN (1) CN1211979C (ko)
AT (1) ATE279834T1 (ko)
DE (1) DE60106375T2 (ko)
ES (1) ES2231393T3 (ko)
PT (1) PT1213910E (ko)
TW (1) TW5630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538B1 (ko) * 2002-11-21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카메라 대여 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디지털 사진처리 시스템
JP4110271B2 (ja) * 2002-11-26 2008-07-0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220153A (ja) * 2003-01-10 2004-08-05 Fujitsu Ltd 画像提供システム
US7492395B2 (en) 2003-09-19 2009-02-1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providing photofinishing services using recycled digital camera memory devices
NL1025222C2 (nl) * 2004-01-13 2005-07-18 Maxifoto Int Bv Systeem voor het coderen van een opname en werkwijze daarvoor.
CN2749015Y (zh) * 2004-04-07 2005-12-28 叶晨 网络控制数字录像机
US7404085B2 (en) * 2004-09-03 2008-07-22 Sap Ag Authentication of handheld devices for access to applications
HK1085885A2 (en) * 2005-05-06 2006-09-01 Yet Chan Camera
WO2008067646A1 (en) * 2006-12-04 2008-06-12 Sxip Identity Corp. Method and system for trusted client bootstrapping
JP4555322B2 (ja) * 2007-08-31 2010-09-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通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通信装置
US8463740B2 (en) * 2009-08-05 2013-06-11 Microsoft Corporation Sharing files on a computer through use of URIs
US8455859B2 (en) * 2009-10-01 2013-06-04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trained structure of semiconductor device
US20110282946A1 (en) * 2010-05-14 2011-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unique url access processing system
US20120044362A1 (en) * 2010-08-18 2012-02-23 Motiondrive Ag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digital camera exposures in a network
US8670065B2 (en) 2010-08-18 2014-03-11 DigiDays, AG Methods and systems for cameras with a disposable housing
US20120047095A1 (en) * 2010-08-18 2012-02-23 Motiondrive Ag Methods and systems for selling digital photography services in combination with a single-use digital camera
CN101951508B (zh) * 2010-09-27 2012-05-23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数字电视终端访问互联网视频的方法及相关设备和系统
CN102572226A (zh) * 2010-12-09 2012-07-11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自适应的分布式摄像方法及系统
US20180246993A1 (en) * 2017-02-28 2018-08-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ata game token from destination-based games
CN107067834A (zh) * 2017-03-17 2017-08-18 麦片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口语评测功能的点读系统
CN107483882A (zh) * 2017-07-07 2017-12-15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多窗口显示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5673C2 (de) * 1989-02-23 1994-02-03 Minolta Camera Kk Bilderzeugende Einrichtung mit einem kleindimensionierten Speicher mit einem Bitkarten-Zuweisungssystem
JPH10150523A (ja) * 1996-11-20 1998-06-0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により撮影された写真画像データの保管活用システム
US6573927B2 (en) * 1997-02-20 2003-06-03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still camera for capturing digital image and creating a print order
JP4266397B2 (ja) * 1997-10-21 2009-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WO2000030338A2 (en) * 1998-11-13 2000-05-25 Silicon Film Technologies, Inc. Electronic film system and method of film processing
JP2000194718A (ja) * 1998-12-28 2000-07-14 Fuji Photo Film Co Ltd ファイル統合装置および方法,ファイル統合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録媒体ならびにプリン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28740A (ja) * 1999-02-05 2000-08-15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再生装置および生産システムならびにディジタルカメラの製造方法
US7111317B1 (en) * 2000-03-24 2006-09-19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providing image goods and/or services to a customer
US6788769B1 (en) * 1999-10-13 2004-09-07 Emediacy, Inc. Internet directory system and method using telephone number based addr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79834T1 (de) 2004-10-15
JP2002170059A (ja) 2002-06-14
EP1213910A1 (en) 2002-06-12
EP1213910B1 (en) 2004-10-13
PT1213910E (pt) 2005-02-28
CN1211979C (zh) 2005-07-20
US20020095477A1 (en) 2002-07-18
TW563040B (en) 2003-11-21
DE60106375T2 (de) 2006-03-09
ES2231393T3 (es) 2005-05-16
DE60106375D1 (de) 2004-11-18
CN1364011A (zh)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42509A (ko) 데이터 배신 시스템, 데이터 배신 장치 및 데이터 배신방법
US7502133B2 (en) Acc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mage and send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terminal
JP200308508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携帯端末、配信サーバ、並びに記憶媒体
JP2009282896A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5052696B1 (ja) 動画公開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4140823A (ja) コード情報を用いた情報提供システム
US20080022210A1 (en) Wedding Ceremon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4032264A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
JP2007213216A (ja) 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サーバー、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079941B (zh) 图像管理设备和图像管理方法
JP200601212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並びに端末装置
JP2005208499A (ja) インデックスプリント作成装置、サービスサーバおよびサービス方法
JP2006094329A (ja) 無線タグを用いた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KR20180075720A (ko) 앨범 제작 서비스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19008737A (ja) コミュニティ維持活性化システムおよびイベント管理サーバ
JP4407914B2 (ja) レース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125280A (ja) 撮影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2342465A (ja) カメラ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020204A (ja) プリント注文受付サーバ
JP4915632B2 (ja) 撮像システム
JP2005074856A (ja) 印刷システム
JP4339386B2 (ja) 画像データ管理装置および画像サービスシステム
JP5346257B2 (ja) 撮像装置
JP2004318550A (ja) ホームページの閲覧方法、プリント注文方法、ホームページの閲覧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
JP6524047B2 (ja) サーバ、そ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3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